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은 원자력안전기술원법에 따라 설립된 대한민국 원자력 안전 규제 전문 기관이다. 1981년 원자력연구소 내 원자력안전센터 설립을 시작으로, 1990년 정식 출범했다. 원자력 시설 및 방사선 안전 규제, 방사선 비상 대응, 원자력 안전 연구 개발, 국제 협력 및 국민 신뢰 증진을 주요 업무로 수행한다. 국민에게 신뢰받는 안전 최우선의 KINS를 비전으로, 독립성, 전문성, 책임성, 투명성, 신뢰성을 핵심 가치로 삼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공기관 (원자력안전위원회 소관) -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은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을 보장하고 핵무기 개발을 방지하기 위해 설립된 기관으로, 핵물질 계량관리, IAEA 안전조치 이행, 핵물질 수출입 통제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이사회를 통해 주요 의사결정을 내린다. - 공공기관 (원자력안전위원회 소관) - 한국원자력안전재단
한국원자력안전재단은 원자력 및 방사선 안전 확보를 목적으로 설립된 대한민국 재단법인으로, 안전 연구 개발, 정책 수립 지원, 방사선작업종사자 안전 관리, 방사성 물질 수출입 요건 확인, 생활주변 방사선 안전관리, 방사선 안전 교육 등의 사업을 수행하며 원자력안전 R&D 연구관리 전문기관 및 생활주변방사선전문기관으로 지정되어 활동하고 기획재정부 지정 기타공공기관이다. - 대한민국 원자력안전위원회 -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은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을 보장하고 핵무기 개발을 방지하기 위해 설립된 기관으로, 핵물질 계량관리, IAEA 안전조치 이행, 핵물질 수출입 통제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이사회를 통해 주요 의사결정을 내린다. - 대한민국 원자력안전위원회 - 대한민국의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장
대한민국의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장은 대통령이 임명하며, 원자력안전위원회의 소관 사무를 통할하고 위원회를 대표하여 회의를 주재하며 소관 사무를 총괄하는 장관급 또는 차관급의 직위이다. - 대한민국의 원자력 - 한국전력기술
한국전력기술은 1975년에 설립된 발전소 설계 전문 회사이며, 한국원자력연구소와 미국의 번즈 앤 로우사의 합작으로 설립되어 한국전력의 자회사로 편입되었고, 원자력 및 화력 발전소 설계 분야를 주요 사업으로 한다. - 대한민국의 원자력 - 한국원자력의학원원자력병원
한국원자력의학원원자력병원은 1963년 개소한 방사선의학연구소로 시작하여 암을 포함한 다양한 질병의 진단, 치료, 연구를 수행하며 환자 중심의 통합적인 의료 서비스와 지역사회 병·의원과의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암환자에게 최적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는 기관이다.
|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명칭 |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
| 영문 명칭 | Korea Institute of Nuclear Safety |
| 한자 명칭 | 韓國原子力安全技術院 |
| 개요 | |
| 유형 | 정부 기관 |
| 설립일 | 1990년 |
| 조직 | |
| 본부 | 대전광역시 유성구 과학로 62 (구성동 19번지) |
| 기관장 | 김석철 |
| 상위 기관 | 원자력안전위원회 |
| 산하 기관 | http://nsic.kins.re.kr |
| 직원 | (정보 없음) |
| 예산 | (정보 없음) |
| 웹사이트 | |
| 공식 웹사이트 | www.kins.re.kr/english |
2. 설립 근거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법에 따라, 원자력 이용과 관련된 안전규제 업무를 전문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을 설립한다.[5]
3. 연혁
4. 주요 업무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은 원자력법 제111조 및 방사능방재법 제45조에 따라 정부 위탁 업무를 수행한다.[1] 주요 업무는 다음과 같다.
- 원자력 및 방사선 안전 규제
- 방사선 비상 대응
- 원자력 안전 규제 연구 개발 및 전문화
- 국제 협력 및 국민 신뢰 증진
4. 1. 원자력 시설 안전 규제
- 원자력발전소에 대한 심사 및 검사를 한다.
- 핵주기시설 및 연구로 등에 대한 심사 및 검사를 한다.
4. 2. 방사선 안전 규제
방사성동위원소 등의 이용에 따른 안전성을 확인하고, 방사성폐기물 폐기시설 등의 심사 및 검사를 수행한다.4. 3. 방사선 비상 대응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은 다음의 업무를 수행한다.- 방사선 사고·테러 대응 및 방재
- 전국토 및 원전 주변 환경 방사능 감시
- 주변국 핵실험 및 원자력 사고 탐지
4. 4. 원자력 안전 규제 연구 개발 및 전문화
- 안전 규제 기준 및 기술 개발
- 안전 규제 정책 및 제도 개발, 전문 인력 양성
4. 5. 국제 협력 및 국민 신뢰 증진
KINS는 국제 사회에서의 기여를 강화하고 원자력 발전소 수출을 지원하고 있다. 또한, 안전 문화를 널리 퍼뜨리고 국민의 신뢰를 높이기 위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5. 조직
이전 출력 결과는 원본 소스 및 요약 정보가 없어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는 안내였습니다. 따라서 주어진 지시사항에 따라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이전 출력 결과를 그대로 유지합니다.
현재 제공된 원본 소스(source)가 비어있고, 요약(summary) 또한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주어진 정보만으로는 '조직' 섹션에 대한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원본 소스 또는 요약 정보가 제공되면 해당 내용을 바탕으로 위키텍스트를 작성하겠습니다.
5. 1.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장
(내용 없음)5. 1. 1. 부원장
專門委員|전문위원중국어실6. 비전 및 핵심 가치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은 "국민에게 신뢰받는 안전 최우선의 KINS"를 비전으로 삼고 있으며, 독립성, 전문성, 책임성, 투명성, 신뢰성을 핵심 가치로 추구한다.
6. 1. 비전
국민에게 신뢰받는 안전 최우선의 KINS6. 2. 핵심 가치
독립성(Independence|인디펜던스영어), 전문성(Expertise|엑스퍼티즈영어), 책임성(Accountability|어카운터빌러티영어), 투명성(Transparency|트랜스페어런시영어), 신뢰성(Trust|트러스트영어)7. 전략 목표 및 과제
KINS영어은 원자력 및 방사선 안전 규제 기술 개발, 규제 전문 역량 강화, 국민과의 소통 및 국제 협력 이행, 자율적 경영 시스템 구축 등을 주요 전략 목표로 삼고 있다.
이를 위한 전략 과제로는 안전 정책 평가, 미래 정책 로드맵 개발, 원자력 및 방사선 안전 규제 강화, 환경 감시 및 비상 대응 역량 강화, 규제 기술 개발, 국제 협력, 원자력 안전 기술 해외 진출, 규제 서비스 혁신, 대중 소통 강화, 통합적 전략 경영 관리 시스템 구축, 소통과 신뢰의 조직 문화 정착 등이 있다.
7. 1. 전략 목표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영어)은 다음의 전략 목표를 가지고 있다.- 원자력 안전 최고 수준 유지
- 방사선 안전 최고 수준 유지
- 규제 기술 고도화 및 규제 전문 역량 강화
- 국민과의 소통 및 전략적 국제 협력 이행
- 자율과 책임의 경영 시스템 구축
7. 2. 전략 과제
- 안전 정책 평가 및 미래 정책 로드맵 개발
- 원자력 안전 규제 효과성 및 효율성 강화
- 미래 지향적 방사선 안전 규제 기반 구축
- 환경 감시 및 비상 대응 핵심 역량 강화
- 미래 수요 대비 규제 기술 개발
- 글로벌 안전 인력 양성 및 전략적 국제 협력
- 원자력 안전 기술 해외 진출 추진 및 글로벌 인증
- 고객별 규제 서비스 품질 혁신
- 안전에 대한 대중 소통 강화
- 통합적 전략 경영 관리 시스템 구축 및 운영
- 소통과 신뢰의 조직 문화 정착
참조
[1]
웹사이트
President's Message - About KINS - KINS
https://www.kins.re.[...]
2023-12-20
[2]
웹사이트
Korea Opens World's First Nuclear Safety School
https://www.iaea.org[...]
2023-12-20
[3]
웹사이트
Regulatory Framework - About KINS - KINS
https://www.kins.re.[...]
2023-12-20
[4]
간행물
https://inis.iaea.or[...]
[5]
법령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법 제1조(목적) 이 법은 원자력 안전규제 전문기관으로서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을 설립하여 원자력의 생산과 이용에 따른 방사선재해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고, 공공의 안전과 환경보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