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프로농구 2016-17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6-17 시즌 한국프로농구는 KBL 출범 20주년을 기념하여 20주년 기념 로고를 제작하고, 창원 LG 세이커스가 창단 20주년을 맞이하였다. FIBA 룰에 따라 경기 중 벤치 선수들의 몸 풀기가 금지되었다. 정규 시즌에서는 안양 KGC인삼공사가 우승을 차지했으며, 플레이오프에서는 안양 KGC인삼공사가 서울 삼성 썬더스를 꺾고 최종 우승을 달성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7년 농구 - 2018 한국프로농구 플레이오프
2017-2018 KBL 정규리그 종료 후 6강, 4강 플레이오프, 챔피언 결정전으로 진행된 2018 한국프로농구 플레이오프에서는 서울 SK 나이츠가 원주 DB 프로미를 꺾고 우승했으며 애런 헤인즈가 챔피언 결정전 MVP에 선정되었다. - 2017년 농구 - 2017 한국프로농구 플레이오프
2017 한국프로농구 플레이오프는 2016-2017 시즌 한국프로농구의 포스트시즌으로, 정규 시즌 상위 6개 팀이 토너먼트 방식으로 우승팀을 가렸으며, 정규 시즌 1위 안양 KGC 인삼공사가 챔피언 결정전에서 서울 삼성 썬더스를 꺾고 우승했다. - 2016년 농구 - 한국프로농구 2015-16
한국프로농구 2015-16 시즌은 KBL의 19번째 시즌으로 개막하여 종료되었으며, 시즌 중 감독 교체, 승부 조작 사건, 팀명 변경, 공인구 교체 등 다양한 이슈가 있었고, 정규 시즌 1위는 전주 KCC 이지스, 챔피언 결정전 우승은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가 차지했다. - 2016년 농구 - 2016년 하계 올림픽 농구
2016년 하계 올림픽 농구는 리우데자네이루에서 남자부와 여자부 각각 12개 팀이 참가하여 조별 예선과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남녀 모두 미국이 금메달, 세르비아와 스페인이 은메달과 동메달을 획득했다. - 한국프로농구 시즌 - 한국프로농구 1997
한국프로농구 1997은 KBL의 출범 시즌으로 용병 제도와 지역 연고제가 처음 도입되었으며, 부산 기아 엔터프라이즈의 통합 우승, 강동희의 MVP 동시 수상, 제럴드 워커의 KBL 최초 트리플 더블 기록 등 다양한 이야깃거리가 있었다. - 한국프로농구 시즌 - 한국프로농구 2006-07
한국프로농구 2006-07 시즌은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가 정규 시즌 1위와 챔피언 결정전 우승을 차지했으며, 플레이오프에는 오리온스, 삼성 썬더스, KTF, KT&G, 현대모비스, LG 세이커스가 참여했다.
한국프로농구 2016-17 | |
---|---|
시즌 정보 | |
대회 | KBL 리그 |
시즌 | 2016–17 |
기간 | 2016년 10월 14일 – 2017년 3월 30일 |
이전 시즌 | 2015–16 |
다음 시즌 | 2017–18 |
결과 |
2. 시즌 화제
출범 20주년을 맞아 20주년 기념 로고를 제작하였다.[1] 창원 LG 세이커스가 창단 20주년을 맞이하였다.[2]
2016-17 시즌에는 10개의 구단이 참가했다.
3. 제도 변화
4. 구단별 캐치프레이즈 (슬로건)
구단 캐치프레이즈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WE ARE LEGEND 전주 KCC 이지스 WITHUS KCC! 원주 DB 프로미 모두를 위한 농구 안양 KGC인삼공사 2016-2017 Real Basketball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 WE'RE ORIONS 서울 삼성 썬더스 챔피언을 향해! GO THUNDERS! 서울 SK 나이츠 HERE WE GO! 창원 LG 세이커스 GO SAKERS! Victory! 부산 KT 소닉붐 새로운 시작, 새로운 도약 Let's do it!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飛上 전자랜드
5. 팀
하위 섹션인 '연고지 및 경기장'에서 각 구단의 연고지, 경기장, 수용 인원, 창단, 가입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5. 1. 연고지 및 경기장
팀 | 연고지 | 경기장 | 수용 인원 | 창단 | 가입 |
---|---|---|---|---|---|
안양 KGC | 안양 | 안양체육관 | 6,690 | 1992 | 1997 |
부산 KT 소닉붐 | 부산 | 사직체육관 | 14,099 | 1997 | 1997 |
창원 LG 세이커스 | 창원 | 창원체육관 | 6,000 | 1994 | 1997 |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 | 고양 | 고양체육관 | 6,216 | 1995 | 1997 |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 인천 | 삼산월드체육관 | 7,220 | 1994 | 1997 |
전주 KCC 이지스 | 전주 | 전주체육관 | 4,730 | 1977 | 1997 |
서울 삼성 썬더스 | 서울 | 잠실실내체육관 | 11,069 | 1978 | 1997 |
서울 SK 나이츠 | 서울 | 잠실학생체육관 | 6,229 | 1997 | 1997 |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 울산 | 동천체육관 | 5,831 | 1986 | 1997 |
원주 DB 프로미 | 원주 | 원주종합체육관 | 4,600 | 1996 | 1997 |
6. 선수 이동
2016-17 시즌에는 자유 계약, 재계약, 군 입대, 트레이드 등 다양한 방식으로 선수 이동이 있었다.
자유 계약
선수 | 소속팀 변경 |
---|---|
김종범 | 원주 동부 → 부산 KT |
천대현 | 울산 모비스 → 부산 KT |
김태홍 | 전주 KCC → 원주 동부 |
최윤호 | 원주 동부 → 서울 삼성 |
차민석 | 안양 KGC → 인천 전자랜드 |
김경수 | 부산 KT → 안양 KGC |
방경수 | 고양 오리온 → 서울 삼성 |
리카르도 라틀리프 | 서울 삼성 |
커티스 위더스 | 서울 삼성 |
애런 헤인즈 | 고양 오리온 |
씨제이 레슬리 | 고양 오리온 |
제임스 하든 | 고양 오리온 |
로드 벤슨 | 원주 동부 |
웬델 맥키네스 | 원주 동부 |
라존 론도 | 원주 동부 |
로렌조 브라운 | 원주 동부 |
안드레 에밋 | 전주 KCC |
폴 조지 | 전주 KCC |
재계약
- 원주 동부: 김창모, 박지현
- 울산 모비스: 양동근
- 서울 삼성: 이관희, 주희정, 최수현
- 서울 SK: 김선형, 김우겸
- 고양 오리온: 김강선, 문태종, 이우균, 허일영
- 인천 전자랜드: 박성진, 이정제, 정병국
- 전주 KCC: 정의한
- 부산 케이티 소닉붐: 김우람, 박상오, 윤여권, 이민재
- 안양 KGC 인삼공사: 양준영
군 입대
구단 | 선수 이름 |
---|---|
안양 KGC 인삼공사 | 김윤태 |
서울 삼성 썬더스 | 배강률, 신재호, 장민국 |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 | 김만종, 박재현, 한호빈 |
울산 모비스 피버스 | 김영현, 배수용 |
원주 동부 프로미 | 박지훈 |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 임준수 |
창원 LG 세이커스 | 유병훈, 주지훈 |
부산 케이티 소닉붐 | 김현수 |
전주 KCC 이지스 | 정희재 |
트레이드
선수 | 팀 변화 |
---|---|
이현민 |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 ↔ 서울 삼성 썬더스 (박재현) |
함준후 |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 서울 SK 나이츠 (이대헌) |
정휘량 | 안양 KGC인삼공사 ↔ 전주 KCC 이지스 (무상 트레이드) |
한희원 |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 안양 KGC인삼공사 (박찬희) |
송수인, 주태수 |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 전주 KCC 이지스 (염승민, 한성원) |
유성호 | 안양 KGC인삼공사 ↔ 울산 모비스 피버스 (김종근) |
김민섭 |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 ↔ 서울 SK 나이츠 (무상 트레이드) |
이현민 | 서울 삼성 썬더스 ↔ 전주 KCC 이지스 (김태술) |
송창용 | 울산 모비스 피버스 ↔ 전주 KCC 이지스 (김효범) |
조성민 | 부산 KT 소닉붐 ↔ 창원 LG 세이커스 (김영환) |
영입
선수 | 팀 변화 |
---|---|
데이비드 사이먼 | 서울 SK → 안양 KGC |
커스버트 빅터 | 울산 모비스 → 인천 전자랜드 |
찰스 로드 | 안양 KGC → 울산 모비스 |
마이클 더니건 | 인천 전자랜드 → 안양 KGC |
디안젤로 해밀턴 | 창원 LG → 울산 모비스 |
홍수화 | 부산 KT → 서울 삼성 |
송창무 | 서울 삼성 → 서울 SK |
이영훈 | 부산 KT → 원주 동부 |
정성수 | 창원 LG → 부산 KT |
신상언 | 전주 KCC → 울산 모비스 |
박민혁 | 울산 모비스 → 창원 LG |
6. 1. 은퇴 선수
2016-17 시즌을 끝으로 여러 선수들이 은퇴했다. 은퇴한 선수들은 국내 선수와 외국인 선수로 구분된다.6. 1. 1. 국내 선수
선수 | 팀 |
---|---|
김현중 | 원주 DB 프로미 |
백인선 |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
권용웅, 이동준, 이승준, 한상웅 | 서울 SK 나이츠 |
박성은, 신윤하, 우승연 | 부산 kt 소닉붐 |
김태주, 박성훈, 이동하 | 서울 삼성 썬더스 |
박진수, 이현호, 차재영 |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
김일두 | 전주 KCC 이지스 |
임재현 |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 |
6. 1. 2. 외국인 선수
구단 | 선수 |
---|---|
서울 삼성 썬더스 | 마이클 크레익, 디안젤로 러셀 |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 | 오데리언 바셋 |
창원 LG 세이커스 | 마리오 리틀, 제임스 메이스, 찰스 가르시아, 키스 클랜턴 |
전주 KCC 이지스 | 아이라 클라크, 제스퍼 존슨 |
부산 KT 소닉붐 | 리온 윌리엄스, 라킴 잭슨, 마이클 비즐리, 대니 그린 |
울산 모비스 피버스 | 네이트 밀러, 디숀 심스, 드웨인 미첼 |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 제임스 켈리, 커스버트 빅터, 에반 브락, 대리언 타운스 |
서울 SK 나이츠 | 테리코 화이트, 제이스 싱글톤, 라샤드 제임스, 브라이언 데이비스 |
안양 KGC 인삼공사 | 데이비드 사이먼, 키퍼 사익스, 마이클 더니건 |
6. 2. 선수 이적
KBL영어 2016-17 시즌에는 자유 계약, 재계약, 군 입대, 트레이드 등 다양한 방식으로 선수 이적이 이루어졌다.6. 2. 1. 자유 계약
선수 | 소속팀 변경 |
---|---|
김종범 | 원주 동부 → 부산 KT |
천대현 | 울산 모비스 → 부산 KT |
김태홍 | 전주 KCC → 원주 동부 |
최윤호 | 원주 동부 → 서울 삼성 |
차민석 | 안양 KGC → 인천 전자랜드 |
김경수 | 부산 KT → 안양 KGC |
방경수 | 고양 오리온 → 서울 삼성 |
구단 | 외국인 선수 |
---|---|
서울 삼성 | 리카르도 라틀리프, 커티스 위더스 |
고양 오리온 | 애런 헤인즈, 씨제이 레슬리, 제임스 하든 |
원주 동부 | 로드 벤슨, 웬델 맥키네스, 라존 론도, 로렌조 브라운 |
전주 KCC | 안드레 에밋, 폴 조지 |
6. 2. 2. 재계약
- 원주 동부 프로미: 김창모, 박지현
- 울산 모비스 피버스: 양동근
- 서울 삼성 썬더스: 이관희, 주희정, 최수현
- 서울 SK 나이츠: 김선형, 김우겸
-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 김강선, 문태종, 이우균, 허일영
-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박성진, 이정제, 정병국
- 전주 KCC 이지스: 정의한
- 부산 케이티 소닉붐: 김우람, 박상오, 윤여권, 이민재
- 안양 KGC 인삼공사: 양준영
6. 2. 3. 군 입대
구단 | 선수 이름 |
---|---|
안양 KGC 인삼공사 | 김윤태 |
서울 삼성 썬더스 | 배강률, 신재호, 장민국 |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 | 김만종, 박재현, 한호빈 |
울산 모비스 피버스 | 김영현, 배수용 |
원주 동부 프로미 | 박지훈 |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 임준수 |
창원 LG 세이커스 | 유병훈, 주지훈 |
부산 케이티 소닉붐 | 김현수 |
전주 KCC 이지스 | 정희재 |
6. 2. 4. 트레이드
KBL영어 2016-17 시즌 중 선수들의 팀 간 이동(트레이드)은 다음과 같다.선수 | 팀 변화 |
---|---|
이현민 |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 ↔ 서울 삼성 썬더스 (박재현) |
함준후 |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 서울 SK 나이츠 (이대헌) |
정휘량 | 안양 KGC인삼공사 ↔ 전주 KCC 이지스 (무상 트레이드) |
한희원 |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 안양 KGC인삼공사 (박찬희) |
송수인, 주태수 |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 전주 KCC 이지스 (염승민, 한성원) |
유성호 | 안양 KGC인삼공사 ↔ 울산 모비스 피버스 (김종근) |
김민섭 |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 ↔ 서울 SK 나이츠 (무상 트레이드) |
이현민 | 서울 삼성 썬더스 ↔ 전주 KCC 이지스 (김태술) |
송창용 | 울산 모비스 피버스 ↔ 전주 KCC 이지스 (김효범) |
조성민 | 부산 KT 소닉붐 ↔ 창원 LG 세이커스 (김영환) |
6. 2. 5. 영입
선수 | 팀 변화 |
---|---|
데이비드 사이먼 | 서울 SK 나이츠 → 안양 KGC 인삼공사 |
커스버트 빅터 | 울산 모비스 피버스 →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
찰스 로드 | 안양 KGC 인삼공사 → 울산 모비스 피버스 |
마이클 더니건 |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 안양 KGC 인삼공사 |
디안젤로 해밀턴 | 창원 LG 세이커스 → 울산 모비스 피버스 |
홍수화 | 부산 KT → 서울 삼성 |
송창무 | 서울 삼성 → 서울 SK |
이영훈 | 부산 KT → 원주 동부 |
정성수 | 창원 LG → 부산 KT |
신상언 | 전주 KCC → 울산 모비스 |
박민혁 | 울산 모비스 → 창원 LG |
7. 신인 지명 선수
는 제거되어야 할 템플릿이므로 제거한다.
2016년 KBL 드래프트에서 각 구단이 지명한 신인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
8. 정규 시즌 순위
2017년 3월 26일에 정규 시즌 최종 순위가 확정되었다.[1]
순위 | 팀 | 경기수 | 승 | 패 | 승률 | 승차 | 플레이오프 | 비고 |
---|---|---|---|---|---|---|---|---|
1 | KGC | 54 | 39 | 15 | 0.722 | - | 4강 PO 진출 | 정규리그 우승 |
2 | 오리온 | 54 | 36 | 18 | 0.667 | 3.0 | 4강 PO 진출 | |
3 | 삼성 | 54 | 34 | 20 | 0.630 | 5.0 | 6강 PO 진출 | |
4 | 모비스 | 54 | 28 | 26 | 0.519 | 11.0 | 6강 PO 진출 | |
5 | 동부 | 54 | 26 | 28 | 0.481 | 13.0 | 6강 PO 진출 | VS 전자랜드 상대전적 우세 |
6 | 전자랜드 | 54 | 26 | 28 | 0.481 | 13.0 | 6강 PO 진출 | VS 동부 상대전적 열세 |
7 | SK | 54 | 23 | 31 | 0.426 | 16.0 | 6강 PO 탈락 | VS LG 상대 골득실 우세 |
8 | LG | 54 | 23 | 31 | 0.415 | 16.0 | 6강 PO 탈락 | VS SK 상대 골득실 열세 |
9 | KT | 54 | 18 | 36 | 0.333 | 21.0 | 6강 PO 탈락 | |
10 | KCC | 54 | 17 | 37 | 0.315 | 22.0 | 6강 PO 탈락 |
9. 플레이오프
정규 시즌 상위 6개 팀이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여 챔피언 결정전을 치렀다.
홈팀(정규시즌 순위) | 원정팀(정규시즌 순위) | 결과 | 비고 |
---|---|---|---|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4위) | 원주 DB 프로미 (5위) | 3:0 모비스 승 | 6강 플레이오프 |
서울 삼성 썬더스 (3위) |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6위) | 3:2 삼성 승 | 6강 플레이오프 |
안양 KGC 인삼공사 (1위) |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4위) | 3:0 KGC 승 | 4강 플레이오프 |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 (2위) | 서울 삼성 썬더스 (3위) | 2:3 삼성 승 | 4강 플레이오프 |
안양 KGC 인삼공사 (1위) | 서울 삼성 썬더스 (3위) | 4:2 KGC 승 | 챔피언결정전 |
참조
[1]
웹사이트
기록/순위, 농구 : 네이버 스포츠
https://sports.news.[...]
2019-10-03
[2]
웹사이트
Korean Basketball 2016-7
https://www.asia-bas[...]
2019-1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