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고양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고양시는 경기도 서북부에 위치한 도시로, 조선 시대에 고봉현과 덕양현을 합쳐 고양현으로 불린 데서 유래했다. 1992년 고양군에서 고양시로 승격되었고, 1996년 덕양구와 일산구가 설치되었으며, 2005년 일산구는 일산동구와 일산서구로 분구되었다. 2014년 인구 100만 명을 돌파했으며, 2022년 특례시로 승격되었다. 고구려, 신라, 고려 시대를 거쳐 조선 시대에 고양군이 되었으며, 서울특별시 편입과 군·면 통폐합을 겪었다. 현재 3개의 일반구와 44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산 신도시 개발 이후 인구가 급증했다. 고양시는 북한산, 창릉천, 한강 등 자연환경을 갖추고 있으며, 고양어울림누리, 고양아람누리, 킨텍스, 행주산성 등 문화·관광 시설과 고양국제꽃박람회와 같은 축제를 통해 문화 관광 도시로 발돋움하고 있다. 교통은 서울과의 접근성이 좋으며, 경의선, 일산선, 자유로, 제2자유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등이 지나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기도의 도시 - 평택시
    평택시는 경기도 남서부에 위치하며, 안성시, 천안시 등과 접하고, 평택항, 해군 제2함대, 주한 미군 기지, 삼성반도체 평택캠퍼스 등 주요 시설과 다양한 기업의 생산 시설을 갖춘 도농복합시다.
  • 경기도의 도시 - 파주시
    파주시는 경기도 북서부에 위치하며, 고조선 시대부터 역사를 이어왔고, 임진강과 한강이 흐르는 대륙성 기후를 띠며, 장단콩 등 특산물과 다양한 문화·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2024년 1월 특례시로 지정되었다.
  • 고양시의 행정 구역 - 화정동 (고양시)
    화정동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의 법정동으로, 화수촌과 냉정 마을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으며,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다양한 주거 시설과 화정역, 그리고 잘 갖춰진 교육 시설을 가진 계획 도시이다.
  • 고양시의 행정 구역 - 행신동
    행신동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에 위치한 법정동이자 행정동으로, 4개의 행정동과 강매동을 포함하며, 행주 주변에 새로 만들어진 마을 또는 살기 좋은 마을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고, 경의선과 BRT가 지나 교통이 편리하며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어 인구가 증가하였다.
  • 1992년 설치 - 화정동 (고양시)
    화정동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의 법정동으로, 화수촌과 냉정 마을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으며,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다양한 주거 시설과 화정역, 그리고 잘 갖춰진 교육 시설을 가진 계획 도시이다.
  • 1992년 설치 - 행신동
    행신동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에 위치한 법정동이자 행정동으로, 4개의 행정동과 강매동을 포함하며, 행주 주변에 새로 만들어진 마을 또는 살기 좋은 마을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고, 경의선과 BRT가 지나 교통이 편리하며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어 인구가 증가하였다.
고양시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대한민국 경기도 고양시 지도
대한민국 내 위치
기본 정보
공식 명칭고양시
한글 표기고양시
한자 표기高陽市
로마자 표기Goyang-si
매큔-라이샤워 표기Koyang-si
국가대한민국
광역자치단체경기도
지역수도권
면적286.1 km²
인구 (2022년 10월 기준)1,074,784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행정 구역3구, 39동
방언서울 방언
정치
정부 형태시장-의회제
시장이동환 (국민의힘)
의회고양시의회
시의회 의석더불어민주당 21석, 진보당 2석
상징
시목백송
시화장미
시조까치
동물고양이, 토끼
마스코트고양고양이
표어미래를 바꾸는 힘! 고양
고양시 엠블럼
고양시 엠블럼
고양시 깃발
고양시 깃발
기타
공식 홈페이지고양시청

2. 역사

조선 태종 13년(1413년)에 고봉현의 '고' 자와 덕양현의 '양' 자를 합쳐 고양이라는 이름이 만들어졌다.


  • 고구려 시대에는 달을성현·왕봉현, 신라(통일신라) 시대에는 고봉현·우왕현, 고려 시대에는 덕양현·고봉현·행주로 불리다가, 조선 시대에 고양군이 되었다.
  • 1895년 5월 26일: 한성부 고양군
  • 1906년 9월 24일: 양주군에서 신혈면을 편입.[7]
  • 1914년 4월 1일: 군면병합으로, '''고양군'''이 경성부 연희면·용산면·서강면·한지면·은평면·숭신면·인창면·두모면 및 양주군 고양주면을 편입.[8]
  • 1936년 4월 1일: 경성부 확장에 따라 행정구역 조정.[16][17]
  • 1949년 8월 13일: 일부를 서울특별시에 편입.[18][19]
  • 1961년 8월 7일: 고양군청이 서울특별시 중구에서 원당면으로 이전.[20]
  • 1973년 7월 1일:[21]
  • 신도면의 일부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에 편입.
  • 신도면이 신도읍으로 승격.
  • 1979년 5월 1일: 원당면이 원당읍으로 승격.[22]
  • 1980년 12월 1일:[23]
  • 벽제면이 벽제읍으로 승격.
  • 중면이 일산읍으로 승격.
  • 1985년 10월 1일:[24]
  • 지도면이 지도읍으로 승격.
  • 신도읍의 일부를 화전읍으로 분리.
  • 1992년 2월 1일: 고양군이 '''고양시'''로 승격. 고양군과 관할의 읍·면(신도읍·원당읍·벽제읍·일산읍·지도읍·화전읍·송포면)이 폐지.[25],[34]
  • 1996년 3월 1일: 덕양구·일산구 설치.[35]
  • 2005년 5월 16일: 일산구가 일산동구·일산서구로 분할.[36]
  • 2014년 8월 1일: 고양시의 인구가 100만명을 넘어섬.[33]
  • 2022년 1월 13일: 특례시로 승격.[37]
  • 2023년 7월 1일: 서해선 (소사 ~ 대곡)이 연장 개통.

3. 지리

고양시는 경기도 서쪽 중북부에 위치하며, 동서로 27km, 남북으로 18km 크기이다. 남쪽으로는 서울특별시, 북쪽으로는 파주시, 동쪽으로 양주시, 남서쪽으로는 한강을 끼고 김포시와 접하고 있다.[38] 동쪽 끝은 동경 126° 56.5‘의 덕양구 효자동, 서쪽 끝은 동경 126° 45.5’의 일산서구 구산동, 남쪽 끝은 북위 37° 34‘의 덕양구 현천동, 북쪽 끝은 북위 37° 41.5’의 덕양구 벽제동으로 남양주시와 비슷한 위치에 있다.[38]

경기도를 남북으로 나누면 한강 이북으로 행정상 경기북부에 속하나, 경기도 전체적으로 서쪽 중북부에 위치하여 일반적인 경기북부와는 조금 다르다.[39] 따라서 경기 '서부'로 보는 것이 더 정확하다. 시청과 기타 주요 핵심지들은 위도상 서울특별시 최북단 도봉구보다 남쪽에 위치하며 시의 최남단인 덕은동 일대는 한강 이남인 강서구, 강동구 일부와 같으며 서울 한강 이북 최남단 자치구와도 위도상 비슷하다. 행정상으로는 한강 이북으로 경기북부에 속하나 실제로는 서울특별시 강북 지역과 거의 같다. 이는 반대편 동부권인 남양주시도 마찬가지이다. 최근 도로교통망 발달로 한강 이남의 김포시, 부천시, 인천광역시와도 왕래가 잦다.

동부에는 북한산이 솟아 있고 대부분 구릉과 산악지대로 이루어져 있다. 창릉천 등의 하천이 흐르며 한강과 접해 있다. 서부는 대부분 평야지대여서 농사를 짓기 유리하다.

2014년 4월 기준 전체 면적은 268.05km2로 경기도의 2.6%에 해당한다. 이중 덕양구는 165.55km2, 일산동구는 59.94km2, 일산서구는 42.56km2이다. 모든 지역이 과밀억제구역이며, 군사보호구역이 45.8%, 개발제한구역이 44.8%, 농림지역이 12.3%에 이르는 등 도시 성장 속도를 억제하는 각종 규제를 받고 있다.[38] 고양시는 고양군 시절부터 지역마다 따로따로 성장해 서울이나 여타 광역시와 달리 "제1도심"이라고 할 만한 곳이 없는데, 이러한 구심점 없는 성장은 고양시의 체계적인 발전에 부정적 요소로 평가되고 있다.

일산 신도시가 떠오르지만, 실제 동쪽 경계는 북한산, 서쪽 경계는 한강이며, 도시 지역 자체가 넓고 다양한 지형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북한산은 동쪽으로 돌출된 지역이며, 서울과의 동쪽 끝 경계는 앵봉산과 봉산을 잇는 구릉지대이다. 서쪽으로 한강 건너편에는 김포시가 있다.

서울 확장 당시 동쪽 지역은 서울에 귀속되었지만 북한산은 제외되어, 행정 구역 지도를 자세히 보면 식칼이나 말뚝처럼 보인다. 지축 부근에서는 북한산이 뚜렷하게 보이며, 일산 신도시 아파트 중간층에서 고속도로를 따라 운전하거나, 이산포 옆에서도 멀리 북한산을 볼 수 있다. 북한산이 잘 보이는지에 따라 그날 날씨를 어느 정도 추정할 수 있다.

북동쪽으로는 양주시, 북서쪽으로는 파주시, 남동쪽으로는 서울특별시와 접하고 있다. 남서쪽으로는 한강이 남동쪽에서 북서쪽 방향으로 흐르며, 이를 경계로 김포시와 마주하고 있다.

북한산을 비롯한 시 북동부는 산악 지형이지만, 시 전체는 대체로 평지에 위치하고 있다.

4. 행정 구역

고양시는 조선 태종 13년(1413년)에 고봉현의 '고' 자와 덕양현의 '양' 자를 합쳐 만들어진 이름이다. 1992년 2월 1일 고양군이 고양시로 승격되었고,[34] 1996년 3월 1일에는 덕양구일산구가 설치되었다.[35] 2005년 5월 16일에는 일산구가 일산동구일산서구로 분구되었으며,[36] 2014년 8월 1일에는 인구가 100만 명을 넘어섰고,[33] 2022년 1월 13일 특례시로 승격되었다.[37]

고양시는 경기도 서쪽 중북부에 위치하며, 동서로 27km, 남북으로 18km 크기이다. 남쪽으로는 서울특별시, 북쪽으로는 파주시, 동쪽으로 양주시, 남서쪽으로는 한강을 끼고 김포시와 접한다. 동부에는 북한산이 있고 대부분 구릉과 산악지대로 이루어져 있으며, 서부는 대부분 평야지대여서 농사에 유리하다.

2014년 4월 기준 전체 면적은 268.05km2로 경기도의 2.6%에 해당한다. 이 중 덕양구는 165.55km2, 일산동구는 59.94km2, 일산서구는 42.56km2이다. 개발제한구역이 44.8%에 이르는 등 각종 규제를 받고 있다.[38]

고양시의 행정구역


고양시에는 3개의 일반구(덕양구, 일산동구, 일산서구)가 있다. 일산동구일산서구일산신도시 지역이며, 덕양구에는 구 도심이었던 원당동주교동 외에 행신, 화정지구가 있다. 3개 , 44개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구한자면적 ()인구 (명)세대
덕양구德陽區165.51km2466,157178,039
일산동구一山東區59.1km2297,671115,258
일산서구一山西區42.8km2302,523108,475
고양시高陽市267.41km21,066,351401,772


  • 인구·세대는 2019년 주민등록 기준, 면적은 2012년 12월 31일 기준

4. 1. 인구

고양시의 인구는 1990년대 일산신도시 개발 이후 급격하게 증가했다. 0~4세 인구는 20.47%, 65세 이상 인구는 8.43%이다. 생산연령층인 15~64세 인구는 71.4%로 전국 평균 72.8%보다 비율이 낮고, 유소년 인구 부양비는 23.5%로 전국 평균인 22.8%보다 높으며, 노년인구 부양비는 8.8%로 전국 평균인 14.5%보다 낮다. 여자 인구 100명당 남자 인구를 나타내는 성비는 97.8로 여자가 다소 많다.[40] 덕양구삼송지구 등의 개발에 힘입어 인구가 꾸준히 유입되어 2014년 8월 1일 인구 100만을 돌파하였으며, 2013년 말부터 인구가 월평균 천 단위로 증가하고 있다.

'''고양시의 인구추이'''[41][42]

연도인구
1960년75,859명
1966년93,741명
1970년130,860명
1975년143,028명
1980년155,601명
1985년183,125명
1990년244,975명
1995년518,282명
2000년763,971명
2005년866,846명
2010년905,076명
2015년1,027,546명
2016년1,031,890명


5. 교육

고양시에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특수학교를 비롯한 다양한 교육 기관이 있다.

'''초등학교'''

가람초등학교가좌초등학교강선초등학교고봉초등학교고양관산초등학교
고양동산초등학교고양백석초등학교고양신일초등학교고양오금초등학교고양용현초등학교
고양초등학교고양한내초등학교고양화수초등학교고양화정초등학교금계초등학교
낙민초등학교내유초등학교냉천초등학교능곡초등학교다솜초등학교
대곡초등학교대화초등학교덕은초등학교덕이초등학교도래울초등학교
모당초등학교목암초등학교무원초등학교문촌초등학교문화초등학교
백마초등학교백송초등학교백신초등학교백양초등학교벽제초등학교
삼송초등학교상탄초등학교서정초등학교성라초등학교성사초등학교
성석초등학교성신초등학교성저초등학교소만초등학교송포초등학교
신능초등학교신원초등학교신촌초등학교아람초등학교안곡초등학교
양일초등학교오마초등학교용두초등학교용정초등학교원당초등학교
원중초등학교율동초등학교일산은행초등학교일산초등학교장성초등학교
장촌초등학교저동초등학교정발초등학교주엽초등학교중산초등학교
지도초등학교지축초등학교창릉초등학교토당초등학교풍동초등학교
풍산초등학교하늘초등학교한류초등학교한뫼초등학교한산초등학교
한수초등학교행남초등학교행신초등학교행주초등학교향동숲내초등학교
향동초등학교현산초등학교호곡초등학교호수초등학교화중초등학교
황룡초등학교흥도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특수학교'''



고양시에는 어린이 도서관을 포함하여 총 15개의 시립도서관이 있으며, 이는 인구 8만 3600명당 1개 정도이다. 이는 10만 명당 1개 정도인 전국 평균보다 높은 수치이다.[43]

6. 문화·관광

2004년 9월 1일 개관한 복합문화체육 공간인 고양어울림누리와 2007년 5월 4일 개관한 공연예술센터인 고양아람누리가 있다. 또한 관산동에 테마동물원 쥬쥬가 있다.

'''유적'''



'''전시시설'''

  • 고양 아람누리 예술극장
  • 고양 어울림누리 예술극장
  • 킨텍스
  • 항공우주박물관
  • 배다리 한국 전통주 박물관
  • 테마동물원 "주주"
  • 라틴아메리카 문화센터 및 박물관
  • 농심 테마파크
  • 현대 모터스튜디오 고양
  • [http://www.aquaplanet.co.kr/ilsan/index.jsp 한화 아쿠아플라넷 일산 아쿠아리움]


'''오락 및 쇼핑'''

'''레저'''

  • 북한산
  • 정발산
  • 고봉산
  • 호수공원
  • 고양종합운동장


'''축제'''

매년 설날, 행주산성에서는 새해 첫날 일출을 맞이하는 성대한 축제가 열린다.
시간: 매년 설날 오전 5시-9시
장소: 행주산성이 있는 산 정상

  • '''행주대첩제'''


이 행사는 행주산성에서 있었던 한국 역사상 중요한 승리인 행주대첩(3월 14일)을 기념하기 위해 열린다. 인근 지역의 초등학생과 학부모들은 순국선열을 위한 추모식에 참여하고 행주산성의 역사에 대해 배울 수 있다.
시간: 매년 3월 14일 오전 10시
장소: 행주산성 충장사

1970년대 초 한국의 화훼 문화를 육성하는 화훼 산업이 발전했다. 고양시는 화훼 산업으로 가장 유명한 도시 중 하나가 되었고, 고양꽃박람회는 한국을 대표하는 원예 행사이자 국내외 참가자 간의 거래 장소로 성장했다.
시간: 매년 4월 초
장소: 일산 호수공원 주변 지역

  • '''고양호수예술제'''


이 행사는 호수공원 주변 여러 장소에서 열리는 자유로운 스타일의 예술 축제이다. 무대라는 제약에서 벗어난 예술가들의 상상력과 재치가 거리를 활기와 낭만적인 분위기로 채운다. 재즈, 마임, 무용, 연극, 설치미술 등 다양한 공연 예술과 화려한 장식으로 장소를 꾸미고, 전 세계 유명 극단의 열정적인 공연과 화려한 불꽃놀이가 축제의 흥분을 만끽하는 관객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한다.
시간: 매년 10월
장소: 호수공원 주변 지역

7. 경제·산업

일산서구 일산3동의 후곡학원가


고양시는 다양한 대형 유통 시설과 쇼핑 센터가 발달한 도시이다. 주요 상업 시설은 다음과 같다.

종류상호명위치
백화점롯데백화점 일산점일산동구 중앙로 1283 (장항동)
백화점현대백화점 킨텍스점일산서구 호수로 817 (대화동)
백화점그랜드백화점 일산점일산서구 중앙로 1436 (주엽동)
아울렛롯데아울렛 고양터미널점일산동구 백석동
아울렛뉴코아아울렛 일산점일산동구 중앙로 1206 (마두동)
아울렛롯데아울렛 고양점덕양구 권율대로 420 (도내동)
복합 쇼핑몰스타필드 고양점덕양구 고양대로 1955 (동산동)
대형마트이마트 타운 킨텍스점
(이마트 킨텍스점, 이마트 트레이더스 킨텍스점)
일산서구 킨텍스로 171 (대화동)
대형마트이마트 일산점일산동구 중앙로 1124 흰돌마을 (백석동)
대형마트이마트 화정점덕양구 백양로 79 (화정동)
대형마트이마트 풍산점일산동구 무궁화로 237 (중산동)
창고형 할인매장이마트 트레이더스 고양점덕양구 고양대로 1955 (동산동)
대형마트롯데마트 주엽점일산서구 중앙로 1496 문촌마을 (주엽동)
대형마트롯데마트 화정점덕양구 화중로 66 (화정동)
대형마트홈플러스 킨텍스점일산서구 호수로 817 (대화동)
대형마트홈플러스 고양터미널점일산동구 중앙로 1036 (백석동)
대형마트홈플러스 일산점일산동구 중앙로 1275번길 64 (장항동)
창고형 할인매장코스트코 일산점일산동구 장백로 25 (백성동)
가구/생활용품이케아 고양점덕양구 권율대로 420 (도내동)
아울렛세이브존 화정점덕양구 화정로 52 (화정동)


8. 스포츠

고양종합운동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하는 K3리그 소속 고양 시민축구단(2008년 창단)이 있다. 고양체육관을 홈구장으로 하는 KBL 소속 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2022년 창단)가 있다. 고양 국가대표 야구훈련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하는 KBO 퓨처스리그 소속 고양 히어로즈[44](2014년 창단)가 있다.

2012년까지 고양시를 연고로 했던 고양 국민은행 축구단은 FC 안양에 흡수되었다. 고양 국민은행은 2006년 내셔널리그에서 우승하여 K리그에 승격할 수 있었으나 이를 거부하였다. 이에 반발해 서포터즈 '보레아즈'는 고양 시민축구단을 창단하였다.[45] 과거 경찰 야구단이 있었을 당시 경찰 야구단의 연고지로 사용되었다.

고양 스케이트장


춘천을 연고로 하는 아이스하키팀 하이원은 2019년 리그에서 철수하기 전 고양 아이스링크에서 일부 홈 아시아리그 아이스하키 경기를 치렀다.[2]

고양시의 전 축구팀으로는 고양 KB국민은행 FC와 고양 자이크로 FC가 있다. 현재는 K4리그 팀인 고양 시티즌 FC가 있다.

한국농구연맹 소속 팀인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Goyang Sono Skygunners)도 이 도시에 연고지를 두고 있다.[3]

야구에서는 2011년 창설된 독립구단인 고양 원더스(2012년~2014년), 병역 중인 선수들이 활동했던 한국경찰청 경찰 야구단(2006년~2019년), NC 다이노스 2군인 고양 다이노스(2015년~2018년)가 고양시를 연고지로 활동했다. 2019년부터 KBO 리그키움 히어로즈 2군인 고양 히어로즈가 고양 국가대표 야구훈련장을 연고지로 퓨처스리그에 참가하고 있다.

농구에서는 KBL의 고양 캐롯 점퍼스가 2011년부터 고양체육관(고양 소노 아레나)을 연고지로 하고 있다.

축구에서는 내셔널리그의 고양 KB국민은행 축구단(1969년~1997년, 2000년~2012년), K리그2고양 자이크로 FC(2013년~2016년), K4리그고양시민축구단(2008년~2022년), 고양 KH FC(2021년~2022년), 고양 해피니스 FC(2023년)가 고양시를 연고지로 했으나 모두 해산되었다. 여자 축구 WK리그고양 대교 눈높이(2011년~2014년)는 이천시로 연고지를 이전했고(이후 해산), 장기간 지속되는 클럽이 존재하지 않는다.

2017년 12월 현재 고양시청 소속 운동부는 다음과 같다.

종목창단일인원수 합계지도자선수주요 선수
591148
역 도1987.01.011028장미란(은퇴)
육 상2002.12.01826
태권도2004.01.12615황경선
수 영2005.12.28514
빙 상2007.01.01716조해리, 곽윤기, 이정수, 김아랑
테니스2007.01.01514
배드민턴2008.01.01716
세팍타크로2008.12.18615
마라톤2010.01.01514이두행, 성지훈


9. 교통

고양시의 교통은 경의선, 일산선 등 철도 노선과 자유로, 제2자유로, 통일로 등의 도로가 잘 갖춰져 있어 서울로의 접근이 편리하다.

2009년 7월 1일 수도권 전철 경의선(현.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복선 전철 개통으로 서울까지 30분대로 이동이 가능해졌고, 2014년 12월 27일 수도권 전철 중앙선과 직결 운행이 시작되면서 양평군 용문역까지 환승 없이 갈 수 있게 되었다. 2023년 7월 1일에는 수도권 전철 서해선 2차 구간(대곡-소사선) 개통으로 부천시 소사역까지 연결되었다.

간선급행버스와 국토교통부에서 신설한 M7106번, M7119번, M7129번, M7412번, M7613번 등의 광역급행버스(M버스) 노선 신설로 버스 이용 편의도 개선되었다. 그러나 파주시 지역의 운정신도시 등 주거지역 발달로 차량 유입이 늘면서 교통 혼잡은 증가하는 추세이다.

과거에는 새마을호와 통근열차를 이용할 수 있었으나, 경의선 광역전철화로 폐지되었다. 현재 고양시에서 이용 가능한 유일한 일반 열차는 KTX (행신역 정차)이다. 새마을호무궁화호를 타려면 서울역이나 용산역으로 가야 한다.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의 일산 연장[46]이 경제적으로 타당성이 있는지 논의하고 있다.[47]



고양종합터미널은 고속버스와 시외버스를 함께 운영하는 중장거리 대중교통 시설이다. 일산선 화정역 인근 화정터미널이 있었으나, 시설 노후 및 협소 문제로 2012년 6월 일산동구 백석동에 고양종합버스터미널이 개장했다. 고양종합터미널 개장으로 화정터미널 운영 노선은 축소되었다.

단거리 대중교통은 명성, 서울여객신성교통, 신일여객 (파주시 소재) 등이 주로 담당한다. 서울운수, 제일여객, 선진운수, 동해운수, 신촌교통 등 서울 업체들도 고양시 경유 노선을 운영하며, 고양교통, 선진버스도 고양시에 있다.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가 고양시를 관통하여 김포공항, 인천공항, 인천광역시, 김포시, 부천시 등지로 이동이 편리하다. 고양시 내 나들목과 분기점으로는 통일로 나들목, 고양 나들목, 일산 나들목, 자유로 나들목, 북로 분기점 등이 있다. 2020년에는 평택파주고속도로 북로 분기점 / 남고양 나들목 ~ 내포 나들목 구간이 개통되어 고양시를 통과한다.

국도 제39호선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인천광역시, 의정부시, 김포공항, 김포시, 부천시로, 국도 제1호선은 고양시 북쪽을 지나 파주시 조리읍과 서울 은평구로 이어진다. 국도 제77호선에 속하는 자유로는 고양시 서쪽을 관통하여 서울 마포구파주시를 연결한다.

일산신도시중앙로수도권 전철 3호선 위에 뻗어 있으며, 버스 중앙차로제가 운영되고 있다.

; 고속도로

; 국가지원지방도

; 지방도

고양시는 과거 '피프틴' 자전거 공유 시스템을 운영했으나, 현재는 '타조(Tajo)'로 대체되었다.[4]

10. 자매 도시

고양시는 다음 도시들과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5]


11. 출신 인물

참조

[1]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6-07
[2] 웹사이트 South Korea, Next Olympics Host, Went Shopping in North America to Build Its Hockey Teams https://www.nytimes.[...] 2017-02-23
[3] 웹사이트 Enter the Skygunners: Goyang rejoins KBL under new owner https://koreajoongan[...] 2023-07-21
[4] 웹사이트 http://www.gyinews.c[...] 2023-06-16
[5] 웹사이트 http://www.goyang.go[...] Goyang 2020-04-17
[6]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7] 법령 대한제국칙령 제49호 1906-09-24
[8] 법령 朝鮮総督府令第111号 1913-12-29
[9] 간행물 (新旧対応)朝鮮全道府郡面里洞名称一覧 1917
[10] 기타
[11] 기타
[12] 기타
[13] 기타
[14] 기타
[15] 기타
[16] 법령 朝鮮総督府令第8号 1936-02-14
[17] 법령 경기도고시 제32호 1936-03-23
[18] 법령 대통령령 제159호 시·도의 관할구역 및 구·군의 명칭·위치·관할구역 변경의 건 1949-08-13
[19] 법령 대통령령 제160호 서울시 구출장소 설치에 관한 건 1949-08-13
[20] 법령 각령 제87호 경기도 고양군 위치 변경의 건 1961-08-07
[21] 법령 법률 제2596호 서울특별시 및 경기도의 관할구역 변경에 관한 법률 1973-03-12
[22] 법령 대통령령 제9409호 미금읍 등 53개 읍 설치에 관한 규정 1979-04-07
[23] 법령 대통령령 제10050호 경기도 시흥군 의왕읍 등 35개 읍 설치에 관한 규정 1980-10-21
[24] 법령 대통령령 제11772호 경기도 양주군 회천읍 등 읍 설치와 읍의 관할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 1985-09-26
[25] 법령 법률 제4417호 경기도 고양시 설치와 강원도 춘성군의 명칭 변경에 관한 법률 1991-12-14
[26] 웹사이트 아이돌 고향을 찾아서① 우리 고향 아이돌 누가 있을까 http://sports.khan.c[...] 스포츠경향 2017-06-23
[27] 기타
[28] 기타
[29] 기타
[30] 기타
[31] 기타
[32] 기타
[33] 웹인용 고양시청 페이스북 타임라인 사진 https://www.facebook[...] 2014-08-01
[34] 법령 법률 제4417호 경기도 고양시 설치와 강원도 춘성군의 명칭변경에 관한 법률 1991-12-14
[35] 법령 고양시 조례 제303호 고양시 구 설치와 관할 구역에 관한 조례 1996-02-17
[36] 조례 고양시 조례 제892호 2005-04-08
[37] 뉴스 고양특례시 공식 출범…행정·재정 권한 대폭 확대 ‘기대감↑’ https://n.news.naver[...] 뉴스1 2022-01-13
[38] 웹사이트 고양시의 일반현황 http://www.goyang.go[...] 2014-02-11
[39] 일반텍스트
[40] 간행물 경기도 통계연보 2011
[41] 간행물 인구주택총조사 통계청
[42] 간행물 주민등록인구 2015
[43] 뉴스 고양은 공공도서관 선진도시 https://archive.toda[...] 중앙일보 2008-03-24
[44] 일반텍스트
[45] 뉴스 고양 국민은행, K리그 승격 거부로 서포터즈 잃다 http://isplus.joins.[...] 일간스포츠 2007-08-01
[46] 일반텍스트
[47] 웹사이트 https://www.newsis.c[...]
[48] 뉴스 고양 종합버스터미널 착공..2010년 개장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7-12-07
[49]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2-01-02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