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 (성경 인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나(Hannah)는 성경 사무엘기에 등장하는 인물로, 남편 엘가나의 두 아내 중 한 명이다. 불임으로 고통받던 한나는 실로의 성막에서 아들을 낳게 해달라고 간절히 기도했고, 아들을 낳으면 하나님께 바치겠다고 서원했다. 이후 아들 사무엘을 낳아 젖을 뗀 후 성전에 바쳤으며, 감사의 노래를 불렀다. 한나는 기도의 모범으로 여겨지며, 아들을 낳은 후 엘리로부터 축복을 받아 세 아들과 두 딸을 더 낳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히브리어 성경의 여자 - 시바의 여왕
시바의 여왕은 성경, 에티오피아, 유대교, 이슬람교 등에서 언급되는 전설적인 인물로, 솔로몬 왕을 방문하여 그의 지혜를 시험하고, 에티오피아 왕조의 기원과 관련되며, 예술 작품과 대중문화에서도 다양하게 묘사된다. - 히브리어 성경의 여자 - 다말 (다윗의 딸)
다말은 다윗 왕의 딸로 이복 오빠 암논에게 강간당한 후 친오빠 압살롬의 복수를 받았으며, 그녀의 이야기는 성경 해석과 문학 작품에 영향을 주었다.
한나 (성경 인물) | |
---|---|
기본 정보 | |
![]() | |
다른 이름 | 안나 |
직업 | 예언자 |
배우자 | 엘가나 |
자녀 | 사무엘, 딸 셋, 아들 둘 |
아버지 | 다수 |
어머니 | 불명 |
친척 | 엘리사벳 (전통에 따름) |
축일 | 12월 9일 (동방 정교회) |
수호 | 자녀가 없는 아내, 불임 여성 |
주요 저작 | 한나의 노래 |
주요 성지 | 사무엘의 무덤, 이스라엘 |
성경 속 한나 | |
구약성경 | 사무엘상 1~2장 |
신약성경 | 언급 없음 |
추가 정보 | |
유대교 | 한나는 사무엘상에 나오는 인물이다. 그녀는 남편 엘가나의 두 아내 중 한 명이었다. 다른 아내 브닌나는 아이가 있었지만, 한나는 아이가 없었다. 브닌나는 한나를 괴롭혔고, 한나는 끊임없이 울었다. 엘가나는 한나에게 왜 우느냐고 물었고, 아이가 없어서 슬프냐고 물었다. 그는 그에게 열 명의 아들보다 낫지 않느냐고 물었다. 한나는 여호와께 아들을 주시면 평생 그를 여호와께 드리겠다고 서원했다. 한나는 아이를 낳아 사무엘이라고 이름 지었다. 사무엘이 젖을 뗀 후, 그녀는 그를 실로에 있는 성막으로 데려가 엘리 제사장에게 맡겼다. 한나는 매년 사무엘에게 줄 새 겉옷을 만들었다. 여호와께서는 한나를 축복하셔서 아들 셋과 딸 둘을 더 주셨다. 한나는 사무엘상 2장 1~10절에 나오는 "한나의 기도"의 저자로 여겨진다. 유대 전통은 또한 한나를 엘리사벳의 어머니로 여긴다. |
기독교 | 한나는 기독교인들에게 예언자로 존경받고 있으며, 그녀의 이야기는 인내와 믿음의 본보기로 여겨진다. 누가복음에 나오는 안나는 아마도 한나를 모델로 한 인물일 것이다. 동방 정교회에서는 12월 9일에 성녀 한나를 기념한다. |
이슬람교 | 코란에는 한나가 직접적으로 언급되지는 않지만, 학자들은 그녀가 임란의 아내의 이름인 "임란의 여성"과 관련이 있다고 믿는다. |
2. 성경 속 이야기
엘가나에게는 브닌나와 한나, 두 아내가 있었다. 브닌나는 자녀가 있었지만 한나는 불임이었다. 그럼에도 엘가나는 한나를 더 사랑하여 실로 성소에서 제사를 드릴 때 한나에게는 갑절의 몫을 주었다.[17]
어느 날 한나는 성막에 올라가 크게 울며 기도했고, 엘리 대제사장이 문설주 곁 의자에 앉아 있었다. 한나는 아들을 주시면 평생 나실인으로 하나님께 바치겠다고 서원했다. 엘리는 한나가 술에 취했다고 오해했지만, 한나가 자신의 상황을 설명하자 그녀를 축복했다.[18]
이후 한나는 임신하여 아들 사무엘을 낳았고, '하나님께서 들으셨다'는 뜻의 '사무엘'이라 이름 지었다. 한나는 약속대로 사무엘을 젖 뗀 후 실로의 성전에 데려가 엘리 제사장 밑에서 자라게 했다.[18]
한나는 감사의 찬가를 불렀으며, 이후 엘리의 축복으로 아들 셋과 딸 둘을 더 낳았다.[5]
2. 1. 가정 배경과 불임
엘가나는 두 명의 아내가 있었는데, 한나는 그 중 한 명이었다. 엘가나는 레위 지파 사람이었다. 엘가나는 한나를 더 사랑했지만, 한나는 오랫동안 아이를 갖지 못했다.[17] 다른 아내 브닌나는 자녀를 낳아 한나를 괴롭혔다.[17] 이는 고대 사회에서 여성이 자녀, 특히 아들을 통해 자신의 가치를 증명해야 했던 사회적 분위기를 반영한다.[17]
2. 2. 한나의 기도와 서원
한나는 엘가나의 두 아내 중 한 명이었는데, 다른 아내인 브닌나는 자녀가 있었지만 한나는 불임이었다.[17] 그럼에도 엘가나는 한나를 더 사랑했다. 매년 엘가나는 실로의 성소에 제사를 드렸는데, 브닌나와 그 자녀들에게는 몫을 주었지만 한나에게는 갑절의 몫을 주었다.[18]어느 날 한나는 성소에 올라가 크게 울며 기도했다.[18] 당시 대제사장 엘리는 문설주 곁 의자에 앉아 있었다. 한나는 기도하면서 하나님께 아들을 주시면 그 아들을 평생 나실인으로 하나님께 바치겠다고 서원했다.[18] 릴리안 클라인은 여성의 가치는 출산 능력에 따라 향상되기 때문에, 한나의 절박한 서원은 아들을 낳는 것만으로도 공동체에 정착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고 보았다.[17]
엘리는 한나가 술에 취한 것으로 오해하고 질문했지만,[18] 한나가 자신을 설명하자 그녀를 축복하고 집으로 보냈다. 이후 한나는 임신하여 아들 사무엘을 낳았다.[18]
2. 3. 사무엘의 출생과 성전에 바쳐짐
한나는 하나님의 응답으로 아들 사무엘을 낳았다. '사무엘'이라는 이름은 "하나님께서 들으셨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18]
한나는 매년 실로 성소에 제사를 드리러 가던 남편 엘가나와 동행했다. 엘가나에게는 브닌나라는 아내도 있었는데, 브닌나는 아이가 있었지만 한나는 아이를 낳지 못했다. 그럼에도 엘가나는 한나를 더 사랑하여 제물의 갑절을 주었다. 어느 날 한나는 성막에 올라가 크게 울며 아들을 주시면 평생 나실인으로 하나님께 바치겠다고 기도했다.[2]
엘리는 한나가 술에 취했다고 생각했지만, 한나가 자신의 상황을 설명하자 엘리는 그녀를 축복했다. 이후 한나는 임신하여 아들을 낳았고, 그 이름을 사무엘이라 지었다. 한나는 약속대로 사무엘을 젖 뗀 후 실로의 성전에 데려가 엘리 제사장 밑에서 자라게 했다.[3]
2. 4. 한나의 노래
한나는 사무엘기 상 2장 1-10절에서 사무엘을 바친 후 하나님께 감사의 찬양을 드렸다.[4] 이 노래는 "자신의 개인적인 경험에서 신성한 경제의 보편적인 법칙을 분별하고, 그것이 하나님의 왕국의 전체 과정에 갖는 중요성을 인식하도록" 영감을 받은 예언적인 찬가로 여겨진다.[4]이 노래는 신약성경에서 마리아가 부른 찬가인 마니피캇 (누가복음 1:46-55)과 비교되기도 한다.[4] 성서 주석가 A. F. 커크패트릭은 "''마니피캇''은 한나의 노래와 주의 깊게 비교해야 하며, 이는 모방보다는 메아리에 가깝다. 유사성은 실제 언어보다는 생각과 어조에 있으며, 이 찬가가 한나의 상황에 적합하다는 매우 섬세하고 귀중한 증거를 제공한다"라고 언급한다.[4] 즉, 두 찬가는 형식적인 면에서 유사하기보다는, 하나님의 주권과 역전의 은혜라는 주제를 공유하며 비슷한 어조를 띤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2. 5. 추가적인 축복
엘리는 한나에게 축복을 내렸고, 이후 한나는 아들 셋과 딸 둘을 더 낳아 총 여섯 명의 자녀를 두게 되었다.[5]3. 현대 성서 비평
한나는 경쟁자와의 갈등, 아이를 갖지 못하는 상황, 아들에 대한 갈망 등 전형적인 모습을 보인다. 미셸 오셔로우(Michelle Osherow)에 따르면, 한나는 진지한 청원자이자 신성한 영광을 기뻐하는 축하자의 전형을 보여준다.[6] 한나는 초기 영국 프로테스탄트교에서 개인 기도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중요한 인물로 여겨졌다.[6] 예루살렘 탈무드는 한나를 기도의 모범으로 여겼으며, 한나의 이야기는 로쉬 하샤나 때 하프타라에서 낭독된다.[7]
3. 1. 갈등과 전형성
한나는 경쟁자와의 갈등, 아이를 갖지 못하는 상황, 아들에 대한 갈망이라는 전형적인 모티프를 보여준다. 미셸 오셔로우(Michelle Osherow)에 따르면, 한나는 진지하게 청원하고 신성한 영광을 기뻐하는 축하자의 전형을 나타낸다.[6] 한나는 개인 기도의 중요성을 강조했던 초기 영국 프로테스탄트교에서 중요한 인물이었다.[6] 예루살렘 탈무드는 한나를 기도의 모범으로 여겼으며, 한나의 이야기는 로쉬 하샤나 때 하프타라에서 낭독된다.[7]
3. 2. 프로테스탄트 관점
한나는 경쟁자와의 갈등, 아이를 갖지 못하는 상황, 아들을 간절히 원하는 모습 등 전형적인 모티프를 보여준다. 미셸 오셔로우(Michelle Osherow)에 따르면, 한나는 진지하게 청원하고 신성한 영광을 기뻐하는 축하자의 전형을 나타낸다.[6] 한나는 초기 영국 프로테스탄트교에서 개인 기도의 중요성을 강조한 중요한 인물이었다.[6] 예루살렘 탈무드는 한나를 기도의 모범으로 여겼으며, 한나의 이야기는 로쉬 하샤나의 하프타라 낭독 구절이다.[7]
3. 3. 사무엘과 사울
한나는 경쟁자와의 갈등, 아이를 갖지 못하는 상황, 아들을 향한 갈망 등 전형적인 모티프를 보여준다. 미셸 오셔로우(Michelle Osherow)에 따르면, 한나는 진지하게 청원하고 신성한 영광을 기뻐하는 축하자의 전형을 보여준다. 한나는 개인 기도의 중요성을 강조했던 초기 영국 프로테스탄트교에서 중요한 인물이었다.[6] 예루살렘 탈무드는 한나를 기도의 모범으로 여겼으며, 한나의 이야기는 로쉬 하샤나의 하프타라 낭독 구절이다.[7]
사울(Saul)의 히브리어 형태는 '샤울'이며, 사무엘의 출생 이야기는 한나가 아들의 이름을 설명하는 구절(1:20)을 포함하여 관련 동사 어근 ''sh-'-l''을 반복적으로 사용한다. 28절에는 '샤울'(빌려주다) 형태 자체가 나타나는데, 이는 사울의 히브리어 이름과 동일하다. 비평적인 논평가들은 이 이야기가 원래 사울의 출생에 관한 것이었지만, 나중에 "사무엘"이라는 이름으로 대체되었다고 주장했다.[8][9] 나다브 나아만은 동사 어근 ''sh-'-l''이 실제로 사무엘이 태어난 장소인 "실로"라는 이름과 관련이 있다고 주장한다.[10][11]
4. 서약
민수기 30장 11~13절은 남편이 아내가 서약한 내용을 알게 된 후 이의를 제기하면 그 서약을 무효화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아무 말도 하지 않으면 서약은 유효한 것으로 간주된다.[12] 엘가나가 다음 실로에 갔을 때, 한나는 아이를 돌보기 위해 집에 머물렀지만, 아이가 젖을 떼면 주님께 바치겠다고 말했다. 엘가나는 "좋은 대로 하시오"라고 대답했다. "아이가 젖을 뗄 때"가 되자 (사무엘이 성전에 봉헌된 나이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지만) 한나는 살아있는 아이를 성소에서 섬기도록 데려와 그녀의 약속의 진실성을 보여주었고, 아이는 이미 주님의 방식대로 교육을 받았다. 제물의 질은 믿음의 질을 반영했다.[12]
레위기에는 제사장과 성소를 지원하기 위한 돈으로 서약이나 맹세를 이행할 수 있는 규정이 있었다.[12] 그래서 한나는 아들을 낳은 후, 침착하게 숙고한 결과 아들과 헤어질 수 없다고 느꼈다면, 자신의 서약을 이행하기 위해 그 옵션을 선택할 수도 있었다.[12]
5. 예술 작품 속 한나
윌리엄 웨일스는 영국 앰블사이드의 성 마리아 버진 교회에 한나, 사무엘, 엘리를 묘사한 스테인드글라스 창문을 제작했다.[13]
6. 소설
참조
[1]
서적
Longman Pronunciation Dictionary
Longman
[2]
웹사이트
Hannah: Bible
http://jwa.org/encyc[...]
2009-03-20
[3]
문서
New King James Version 1 Samuel 1:20
[4]
웹사이트
Cambridge Bible for Schools and Colleges on 1 Samuel 2
http://biblehub.com/[...]
2017-04-17
[5]
문서
1 Samuel 2:21
[6]
서적
Biblical Women's Voices in Early Modern England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Ltd.
[7]
웹사이트
Rosh Hashanah Haftarah: 1 Samuel 1:1-2:10
http://www.myjewishl[...]
2017-04-17
[8]
학술 논문
The Composition of 1 Samuel 1-2
https://www.jstor.or[...]
[9]
서적
Peake's Commentary on the Bible
Routledge
[10]
간행물
Samuelʼs Birth Legend and the Sanctuary of Shiloh
https://www.academia[...]
[11]
학술 논문
The Composition of 1 Samuel 1-2
https://www.jstor.or[...]
[12]
서적
The Torah, A Women's Commentary
URJ Press and Women of Reform Judaism
[13]
웹사이트
A Mother in Israel
http://diglib.librar[...]
[14]
문서
第一サムエル記 1章11節
[15]
문서
第一サムエル記 2章1節
[16]
서적
Longman Pronunciation Dictionary
Longman
[17]
웹사이트
Hannah: Bible
http://jwa.org/encyc[...]
2009-03-20
[18]
문서
New King James Version 1 Samuel 1: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