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엘리 (성경 인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엘리는 사사 시대 말기에 실로의 제사장이자 마지막 판관이었던 성경 인물이다. 그는 한나의 아들 사무엘을 축복하고, 아들들의 죄악으로 인해 심판을 예언받았다. 엘리는 블레셋과의 전쟁에서 언약궤를 빼앗기고 아들들이 죽자 충격을 받아 사망했으며, 그의 가문은 제사장직을 잃고 저주를 받았다. 랍비 문헌에서는 그를 예언자로, 사마리아 자료에서는 부정적인 인물로 묘사한다.

2. 배경

여호수아 18장 1절의 기술에 따르면, 이집트에서 가나안 지역으로 이주한 이스라엘 민족이 언약궤를 모신 회막을 세운 지역이 실로였다. 실로는 이 시기부터 종교적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하였다. 엘리가 이스라엘 민족의 사사로 활동하는 시기는 사사 시대의 막바지에 해당한다.[33] 엘리는 실로의 제사장(코헨)이었으며, 사무엘 이전 이스라엘의 마지막에서 두 번째 판관이었다.[1] 그는 이스라엘과 유다 왕국 통치 이전 시대의 인물이다. 엘리의 사후 사무엘대제사장 및 선지자로 활동하며, 이스라엘은 사사 시대에서 왕정 시대로 넘어가며, 다윗의 아들 솔로몬에 의해 예루살렘성전이 건설되면서, 종교적 중심지가 예루살렘으로 이동한다.

삼손블레셋의 침략에 맞서 싸웠으며, 20년 동안 이스라엘을 다스렸다. 케슬러[9]와 노왁[10]과 같은 일부 학자들은 삼손과 엘리의 시대 사이에 겹치는 부분이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판관기는 항상 판관의 관할 기간과 대조되는 압제의 연도를 언급한다. 엘리 통치의 초기 부분이 압제의 시기에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이것은 이전 판관인 삼손이 겪었던 블레셋의 압제와 겹치는 것을 배제하는 것으로 보인다.[7]

3. 생애

엘리는 구약성경 사무엘기에 등장하는 인물로, 실로의 제사장(코헨)이자 이스라엘의 마지막에서 두 번째 판관이었다.[1] 그는 통일 왕국 시대 이전에 활동했다.

성경에 따르면, 엘리는 한나가 아들을 낳게 해달라고 기도할 때 그녀를 만났고, 이후 한나가 낳은 아들 사무엘을 맡아 성전에서 훈련시켰다.[3] 엘리에게는 홉니와 비느하스라는 두 아들이 있었는데, 그들 역시 제사장이었으나 악행을 저질러 하나님의 제사를 멸시했다. 엘리는 아들들의 잘못을 알고 있었지만 제대로 꾸짖거나 막지 못했고, 이로 인해 엘리의 가문에 하나님의 심판이 임할 것이라는 예언이 내려졌다.[4][5] 엘리는 어린 사무엘을 통해 이 심판의 메시지를 다시 한번 확인하게 된다.[6]

훗날 이스라엘 백성이 블레셋과의 전투에서 패배하고 언약궤마저 빼앗겼다는 소식을 듣게 되었을 때, 엘리는 큰 충격을 받고 의자에서 넘어져 목이 부러져 사망했다. 이때 그의 두 아들 홉니와 비느하스도 같은 날 전사했다.[7] 성경은 엘리가 총 40년 동안 이스라엘의 판관으로 활동했다고 기록하고 있다.[7]

3. 1. 사무엘(한나)과의 만남

사무엘기한나와 엘리의 이야기로 시작한다. 한나는 엘가나의 아내였지만 아이가 없었다. 엘가나에게는 한나 외에 브닌나라는 또 다른 아내가 있었는데, 브닌나는 자녀를 낳았고 기회가 될 때마다 아이가 없는 한나를 조롱하고 비난하여 한나를 깊은 슬픔에 빠뜨렸다.[2]

한나는 실로의 성전에 올라가 통곡하며 하나님께 아들을 낳게 해달라고 간절히 기도했다. 만약 아들을 주시면 그 아이를 하나님께 바치겠다고 서원했다. 이때 성전에 있던 엘리는 입술만 움직이며 조용히 기도하는 한나의 모습을 보고, 그녀가 술에 취했다고 오해하여 포도주를 끊으라고 꾸짖었다.[35][3] 엘리의 지적에 한나는 자신이 술에 취한 것이 아니라, 마음이 너무 괴롭고 격동하여 하나님 앞에 심정을 쏟아 놓는 중이라고 해명했다. 엘리는 한나의 간절한 마음을 이해하고 "평안히 가시오. 이스라엘의 하나님이 당신이 구한 것을 이루어주시기를 바라오."라고 축복하며 그녀를 보냈다.[36][3]

엘리의 축복을 받은 한나는 얼굴에서 근심이 사라졌고, 이후 믿음대로 아들 사무엘을 잉태하게 되었다.[37] 한나는 하나님께 서원한 대로 사무엘이 젖을 떼자 그를 실로의 성전으로 데려가 엘리에게 맡겼고, 사무엘은 그곳에서 나실인으로 자라며 훈련받게 되었다.[38] 하나님께서는 한나의 서원 이행을 기쁘게 여기시고 그녀에게 세 아들과 두 딸을 더 낳는 복을 주셨다.[38]

엘리는 사무엘을 맡아 훈련시켰다. 어느 날 밤, 하나님께서 사무엘을 부르셨는데, 사무엘은 처음에 엘리가 자신을 부르는 것으로 착각했다. 엘리 자신은 하나님의 음성을 듣지 못했지만, 하나님께서 사무엘을 부르신다는 사실을 깨닫고 사무엘에게 어떻게 응답해야 하는지 가르쳐 주었다. 하나님께서는 사무엘을 통해 엘리와 그의 가문에 심판이 임할 것이라는 메시지를 전하셨다. 엘리는 사무엘에게 하나님께서 하신 말씀을 모두 말해달라고 요청했고, 모든 것을 들은 후 "하나님께서 가장 좋다고 여기시는 대로 행하실 것"이라고 담담히 받아들였다.[6]

3. 2. 심판에 대한 예언

사무엘상 2장에 따르면, 엘리의 아들들인 홉니와 비느하스는 행실이 나빴으며 여호와의 제사를 멸시했다. 그들은 제물 중 가장 좋은 부위를 자신들이 차지하고 성소 입구에서 봉사하는 여인들과 간음하는 등 악행을 저질렀다. 엘리는 아들들의 잘못을 알고 있었지만 가볍게 책망하는 데 그쳐 그들의 죄를 막지 못했다.[39][4] 이 때문에 엘리의 가문에 저주가 내릴 것이 예언되었다.

먼저 "하나님의 사람"이 엘리에게 나타나 아들들의 죄악으로 인해 엘리 가문이 벌을 받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예언에 따르면, 엘리 가문의 모든 남자 후손은 노년에 이르기 전에 죽고 다른 가문에 종속될 것이며, 엘리의 두 아들은 같은 날 죽을 것이었다.[4][5] 이는 엘리가 아론의 후손으로서(출애굽기 28장) 그의 가문이 영원히 제사장 직분을 맡으리라는 하나님의 이전 약속과는 대조되는 심판이었다.[4]

1645년 얀 빅터스가 그린 그림으로, 한나가 아들 사무엘을 엘리에게 데려가는 장면이며, 엘리는 오른쪽에 앉아 있다.


이후 어린 사무엘이 엘리 앞에서 하나님을 섬길 때[40], 하나님은 사무엘을 통해 엘리 가문에 대한 심판을 다시 한번 확언하셨다. "내가 그의 집을 영원토록 심판하겠다고 그에게 말한 것은 그가 아는 죄악 때문이니 이는 그가 자기의 아들들이 저주를 자청하되 금하지 아니하였음이니라 그러므로 내가 엘리의 집에 대하여 맹세하기를 엘리 집의 죄악은 제물로나 예물로나 영원히 속죄함을 받지 못하리라 하였노라 하셨더라"[41] 이는 엘리가 아들들의 죄악을 방관한 책임으로 인해 그의 가문이 영원한 심판을 받게 되며, 제사로도 용서받지 못할 것임을 의미했다.

3. 3. 죽음

사무엘의 말이 온 이스라엘에 퍼져나갈 무렵, 이스라엘은 블레셋과 전쟁을 벌였다.[42] 첫 전투에서 패배한 이스라엘은 승리를 위해 실로에 있던 하나님의 언약궤를 전쟁터로 옮겨왔고, 이때 엘리의 두 아들 홉니와 비느하스도 언약궤와 함께했다(사무엘상 4:2-4). 그러나 이어진 에벤에셀 전투에서 이스라엘은 또다시 블레셋에게 크게 패했고, 언약궤마저 빼앗겼으며 홉니와 비느하스는 전사했다.[43]

''엘리의 죽음'', 1860년 율리우스 슈노르 폰 카롤스펠트(Julius Schnorr von Karolsfeld)의 목판화


당시 엘리는 나이가 많아 눈이 거의 보이지 않는 상태였고, 성문 곁 의자에 앉아 전쟁 소식을 기다리고 있었다. 한 병사가 돌아와 언약궤를 빼앗겼다는 비보를 전하자, 엘리는 큰 충격을 받고 의자에서 뒤로 넘어져 문기둥에 목이 부러져 그 자리에서 숨을 거두었다.[44][7] 성경은 엘리가 "나이가 많고 몸이 비대하였기 때문"이라고 그 이유를 기록하며, 그가 이스라엘의 사사로 활동한 기간이 40년이었다고 덧붙인다.[45]

사무엘상 4장 18절은 당시 상황을 다음과 같이 묘사한다.

:하나님의 궤를 말할 때에 엘리가 자기 의자에서 뒤로 넘어져 문 곁에서 목이 부러져 죽었으니 나이가 많고 비대한 까닭이라 그가 이스라엘의 사사가 된 지 사십 년이었더라[45]

한편, 엘리의 며느리이자 비느하스의 아내는 출산을 앞두고 있었다. 그녀는 언약궤를 빼앗기고 시아버지와 남편이 모두 죽었다는 소식을 듣고 큰 충격 속에 산통을 시작했다. 아이를 낳은 후 산고로 죽어가면서, 그녀는 "영광이 이스라엘에서 떠났다"는 뜻으로 아들의 이름을 이카보드라고 지었다.[8]

4. 가계

엘리의 족보


엘리의 족보는 성경 본문에 직접 명시되어 있지 않지만, 일부 학자들은 엘리가 아론의 아들 이타마르의 후손이라고 본다. 이는 엘리의 후손들에 대한 다른 기록들을 근거로 한 추정이다.[7] 예를 들어, 아히멜렉은 이타마르 가문에 속했으며,[11] 동시에 엘리의 후손인 아히둡의 후손이기도 했다.[12][13]

성경에 언급된 엘리 가문의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 아히멜렉: 엘리의 증손자. 의 제사장으로 다윗을 도왔다는 이유로 사울 왕의 명령을 받은 도엑에게 살해당했다.[14] (하위 섹션 '다윗의 제사장' 참고)
  • 아비아달: 아히멜렉의 아들로 엘리의 고손자. 놉에서 일어난 학살에서 유일하게 살아남아 다윗 시대에 사독과 함께 대제사장이 되었으나, 후에 솔로몬 왕에 의해 파면되었다.[15] (하위 섹션 '다윗의 제사장' 참고)


성경 기록 외에, 랍비 문헌에서는 다음과 같은 인물들도 엘리의 후손으로 언급하고 있다.

  • 예레미야: 아비아달의 후손으로 추정된다.[24] 솔로몬 왕이 아비아달을 제사장직에서 파면하고 아나돗으로 추방했을 때(열왕기상 2:26-27), 예레미야는 아나돗에 살던 제사장 중 한 명이었으므로(예레미야서 1:1) 이러한 주장이 제기된다.
  • 라바 바르 나흐마니: 바빌로니아 탈무드 학자(아모라임).[25]
  • 아바예: 바빌로니아 탈무드 학자, 라바 바르 나흐마니의 조카.
  • 베바이 벤 아바예: 바빌로니아 탈무드 학자, 아바예의 아들.


랍비 문헌에 따르면, 라바는 40세에, 그의 조카 아바예는 60세에 사망했다고 전해진다.[26][27][25]

4. 1. 엘리의 아들들

엘리의 아들로는 홉니와 비느하스가 있었고, 비느하스는 아히둡과 이가봇이라는 아들을 두었다.

홉니와 비느하스는 제사장 신분임에도 불구하고 하나님께 드리는 제사를 멸시할 정도로 직분에 불성실하고 믿음이 없었다.[46] 그들은 하나님이 정하신 제사 절차를 무시하고 자기 마음대로 행할 만큼 교만했으며,[47] 제물 중 자신의 몫이 아닌 부위까지 빼앗을 정도로 타락했다.[48] 심지어 성전에서 수종 드는 여인들과 부적절한 관계를 맺는 등 부도덕한 모습까지 보였다.[49]

엘리는 아들들의 이러한 악행을 알고 있었지만, 그들을 가볍게 꾸짖었을 뿐 제대로 막지 못했다. 결국 아들들은 계속해서 죄를 지었고, 이로 인해 "하나님의 사람"이 엘리에게 찾아와 엘리와 그의 가문이 벌을 받을 것이라고 예언했다. 예언의 내용은 엘리 가문의 모든 남자 후손들이 노년에 이르기 전에 죽고, 다른 가문의 예언자들에게 종속될 것이라는 저주였다.[4] 이는 엘리 가문이 아론의 후손으로서 영원히 제사장직을 맡을 것이라는 하나님의 이전 약속(출애굽기 28장)과는 대조되는 것이었다. 이 저주는 엘리의 모든 남자 후손에게 영원히 내려졌으며, 예언의 확실한 징표로 엘리의 두 아들이 같은 날 죽을 것이라는 말을 들었다.[5]

이 예언대로 홉니와 비느하스는 블레셋과의 전쟁에서 같은 날 죽음을 맞이했다.[51] 비느하스의 아내는 하나님의 궤를 빼앗겼다는 소식과 함께 시아버지 엘리와 남편 비느하스의 사망 소식을 듣고 충격 속에서 아들을 낳았다. 그녀는 죽어가면서 "영광이 이스라엘에서 떠났다"는 의미로 아이의 이름을 이가봇이라 지었다.

4. 2. 다윗의 제사장

아히멜렉은 아히둡의 아들로, 다윗사울을 피해 도망쳤던 성읍인 놉의 제사장이었다.[52] 그는 다윗에게 거룩한 떡과 골리앗의 칼을 주었는데(사무엘상 21:1, 8), 이 장면을 목격한 에돔 사람 도엑이 나중에 사울에게 이 사실을 알려 아히멜렉은 죽임을 당했다.[53]

아비아달은 아히멜렉의 아들이다. 사울다윗을 도왔다는 이유로 아버지 아히멜렉을 포함한 제사장 84명을 죽일 때 유일하게 살아남았다.[54] 이후 다윗 시대에 사독과 함께 제사장이 되었다.[55] 그러나 다윗 말년에 솔로몬의 이복 형인 아도니아의 반역에 가담하였고, 이로 인해 솔로몬에 의해 제사장 직분을 파면당하고 아나돗으로 추방되었다. 솔로몬은 아비아달이 과거 여호와의 궤를 메었고 다윗에게 충성했기 때문에 목숨은 살려주었다. 성경은 이 사건이 여호와가 실로에서 엘리의 집에 대해 하신 예언의 말씀이 성취된 결과라고 설명한다.[56]

5. 랍비 문헌 및 사마리아 자료

탈무드는 엘리를 예언자로 기록하고 있다.[16]

랍비들은 엘리의 제자인 사무엘이 평신도가 제물을 도살하는 것을 합법으로 판결했다고 설명한다. 이는 할라카(유대 율법)가 제사장은 단지 "피를 가져와야 한다"고 명시했기 때문이다(레위기 1:5, 제바힘 32a 참조).[17] 엘리는 사무엘의 논리가 옳다고 인정하면서도, 스승인 자신이 있는 앞에서 법적 판단을 내린 것은 사형에 해당한다고 반응했다고 전해진다.[17]

랍비 주석가들은 대제사장직 계승이 민수기 25:13에 따라 비느하스의 자손에게 주어졌다고 설명한다.[18] 일부 랍비들에 따르면, 비느하스는 기브아 전투 전에 백성에게 토라를 제대로 가르치지 않았고,[19] 입다서원을 무효화하지 않는 죄를 지었다.[20] 이로 인해 대제사장직이 일시적으로 그에게서 거두어져 이다말의 후손, 특히 엘리와 그의 아들들에게 넘어갔다고 본다.

그러나 엘리의 아들들인 홉니와 비느하스의 죄 때문에, 대제사장직이 더 충실한 다른 제사장에게 돌아갈 것이라는 예언이 있었다. "나는 내 마음에 합하고 내 뜻대로 행할 충실한 제사장을 일으키리니 내가 그를 위하여 견고한 집을 세우리니 그가 나의 기름 부음 받은 자 앞에서 영구히 행하리라."[21]

많은 학자들은 엘르아살의 후손인 사독이 대제사장으로 임명되었을 때 이 예언이 성취되었다고 본다.[22][23]

성경에 언급된 인물 외에도, 랍비 문헌에서는 다음과 같은 인물들을 엘리의 후손으로 언급한다.

인물설명비고
예레미야아비아달의 후손으로 추정.[24] (솔로몬 왕이 아비아달을 제사장직에서 파면하고 아나돗으로 추방했을 때(열왕기상 2:26-27), 예레미야는 아나돗에 살던 제사장이었으므로(예레미야 1:1) 개연성이 있다.)
라바 바르 나흐마니바빌로니아 탈무드 학자 (아모라)[25]40세에 사망[26][27][25]
아바예바빌로니아 탈무드 학자, 라바 바르 나흐마니의 조카60세에 사망[26][27][25]
베바이 벤 아바예바빌로니아 탈무드 학자, 아바예의 아들



사마리아인들은 그리심 산이 여호수아가나안을 정복하고 10개 지파가 정착한 이후 이스라엘의 첫 번째 성지였다고 주장한다. 성경에 따르면 그리심 산 이야기는 모세가 여호수아에게 이스라엘 12지파를 세겜 근처 두 산으로 데려가, 절반은 그리심 산(축복의 산)에, 나머지 절반은 에발 산(저주의 산)에 배치하여 계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불순종을 경고하도록 명령한 데서 유래한다.

사마리아인들은 자신들이 기원전 722년 아시리아에 의한 북이스라엘 왕국 멸망에서 살아남은 북부 지파, 특히 에브라임 지파와 므낫세 지파의 직계 후손이라고 주장한다. 사르곤 2세의 기록에 따르면 추방된 이스라엘인의 수가 상대적으로 적었으므로(27,290명), 상당수 인구가 남아 '이스라엘인'(사마리아인들이 선호하는 명칭)으로 간주될 수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사마리아 역사서에서는 이스라엘의 근본적인 분열이 여호수아 사후 제사장 엘리가 모세가 세우고 그리심 산에 있던 성막을 떠나 실로 언덕에 자신만의 성막을 세우면서 시작되었다고 본다(사무엘상 1:1-3; 2:12-17). 이는 부정한 제사장직과 예배 장소를 세운 행위로 간주된다.[28]

14세기 사마리아 역사가 아부 알-파트는 사마리아인의 기원에 대해 다음과 같이 언급한다:

: 이타마르 가문 출신인 야프니의 아들 엘리와 비느하스 가문의 아들들 사이에 끔찍한 내전이 발발했는데, 이는 야프니의 아들 엘리가 비느하스의 후손으로부터 대제사장직을 찬탈하기로 결심했기 때문이다. 그는 돌로 된 제단에서 제물을 바치곤 했다. 그는 50세였고, 부유했으며, 이스라엘 자손의 재산을 관리했다... 그는 제단에 제물을 바쳤지만 소금을 사용하지 않았는데, 마치 부주의한 것처럼 보였다. 대제사장 오지가 이 사실을 알고 제물이 받아들여지지 않자, 그는 그를 완전히 거부했고, 심지어 그를 꾸짖었다고 한다. 그러자 그와 그를 동정하는 무리가 반란을 일으켰고, 즉시 그와 그의 추종자들, 짐승들이 실로로 향했다. 그리하여 이스라엘은 파벌로 갈라졌다. 그는 지도자들에게 사람들에게 이렇게 전했다. 경이로운 것을 보고 싶은 사람은 누구든지 나에게 오라. 그러자 그는 실로에 많은 무리를 모아 그곳에 성전을 세웠다. 그는 성전(그리심 산에 있는)과 같은 장소를 건설했다. 그는 모든 세부 사항을 생략하지 않고 제단을 세웠는데, 모든 것이 조각 하나하나가 원래의 것과 일치했다. 이때 이스라엘 자손은 세 파벌로 갈라졌다. 그리심 산에 충성하는 파벌, 거짓 신을 따르는 이단적인 파벌, 그리고 실로에서 야프니의 아들 엘리를 따르는 파벌.[29]

또한, 18세기에 이전 기록들을 바탕으로 작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사마리아 연대기 아들러(신 연대기)는 다음과 같이 진술한다:

: 그의 시대에 이스라엘 자손은 세 그룹으로 나뉘었다. 하나는 이방인의 가증한 행위를 따라 다른 신들을 섬겼고, 다른 하나는 야프니의 아들 엘리를 따랐지만, 그들의 많은 수가 그의 의도를 드러낸 후 그에게서 돌이섰다. 그리고 세 번째는 선택된 장소인 세겜의 거룩한 도시 그리심 산 벳엘에 있는 대제사장 우지 벤 부키와 함께했다.[30]

사마리아인들에 따르면, 이것은 모세로부터 시작된 신성한 호의의 시대인 '리드완'(رضوان|리드완ar) 또는 '라후타'(רהוּת‎|라후타ar)의 종말을 의미했다. 그리하여 하나님이 백성에게서 얼굴을 돌리는 신성한 불운의 시대인 '파누타'(פְּנוּתָה‎|파누타ar) 시대가 시작되었다. 사마리아인들에 따르면, 신성한 호의의 시대는 '타헤브'(메시아 또는 회복자)의 도래와 함께 돌아올 것이다.[31]

마찬가지로, 사마리아 자료에 따르면, 비느하스의 아들들로 이어지는 제사장 계보는 1624년 제112대 대제사장 슐로미야 벤 핀하스가 죽으면서 끊어졌고, 그 후 제사장직은 이다말의 아들들에게 넘어갔다.[32]

참조

[1] 성경 I Samuel 7:15
[2] 성경 I Samuel 1:1-8
[3] 성경 I Samuel 1:17
[4] Bibleverse 1 Samuel 2:31
[5] Bibleverse 1 Samuel 2:12-36
[6] 성경 I Samuel 3:1-18
[7] 간행물 Eli https://jewishencycl[...] Jewish Encyclopedia 1906
[8] 성경 I Samuel 4:18-22
[9] 서적 The Chronology of Judaism and The First of the Kings
[10] 서적 Richter-Ruth
[11] Bibleverse 1 Chronicles 24:3
[12] Bibleverse 1 Samuel 22:20
[13] Bibleverse 1 Samuel 14:3
[14] 웹사이트 Two Pillars for a Longer Life http://ohr.edu/3206 Ohr Somayach 2017-05-22
[15] Bibleverse 1 Kings 2:26-27
[16] 웹사이트 How many prophets were there and who were they? – philosophy prophecy history prophets torah the bible the prophets http://www.askmoses.[...]
[17] 웹사이트 Berakhot 31b https://www.sefaria.[...]
[18] 간행물 Maggid Meisharim (of R Yosef Karo)
[19] 간행물 Yalkut Shimoni
[20] 간행물 Genesis Rabbah
[21] Bibleverse 1 Samuel 2:35
[22] 간행물 Torath HaKohanim
[23] 서적 The David Story W. W. Norton 2000
[24] 웹사이트 JEREMIAH - JewishEncyclopedia.com http://jewishencyclo[...]
[25] 웹사이트 two Pillars for a Longer Life http://ohr.edu/3206 Ohr Somayach 2019-05-08
[26] 웹사이트 Yevamot 100 – 106 by Rabbi Mendel Weinbach zt'l http://ohr.edu/3206
[27] 웹사이트 Abbaye – (4040–4100, 280–340) http://www.chabad.or[...]
[28] 강연 The Emergence of the Samaritan Community http://www.the-samar[...] Mandelbaum House 2001-08
[29] 서적 The Keepers, An Introduction to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Samaritans Hendrickson Publishing 2002
[30] 서적 The Keepers
[31] 서적 The Keepers
[32] 문서 Samaritan High Priest
[33] 성경 사무엘상 4장 13절
[34] 성경 사무엘상 1장 14절
[35] 성경 삼상 1장 12-14절
[36] 성경 사무엘상 1장 17-18절
[37] 성경 사무엘상 1장 19-20절
[38] 성경 사무엘상 1장 21-28절
[39] 성경 사무엘상 2장 27-36절
[40] 성경 사무엘상 3장 1절
[41] 성경 사무엘상 3장 13-14절
[42] 성경 사무엘상 1장 1절
[43] 성경 사무엘상 4장 9-11절
[44] 성경 사무엘상 4장 17-18절
[45] 성경 사무엘상 4장 18절
[46] 성경 사무엘상 2장 12절, 17절
[47] 성경 사무엘상 2장 15절
[48] 성경 사무엘상 2장 14절
[49] 성경 사무엘상 2장 22절
[50] 성경 사무엘상 2장 34절
[51] 성경 사무엘상 4장 11절
[52] 성경 사무엘상 21장 1절, 22장 9절
[53] 성경 사무엘상 22장 9-10절
[54] 성경 사무엘상 21장 7절-22장 19절
[55] 성경 사무엘하 8장 17절
[56] 성경 열왕기상 2장 26-27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