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무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무엘은 에브라임 사람 엘가나와 한나의 아들로, 이스라엘의 마지막 사사이자 예언자, 그리고 초대 왕 사울에게 기름을 부은 인물이다. 그는 어린 시절 엘리 제사장 밑에서 성장하여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았으며, 블레셋과의 전투에서 승리하며 이스라엘 백성을 구원했다. 백성들의 요구에 따라 사울을 왕으로 세웠지만, 사울의 불순종에 대해 책망하고 다윗에게 기름을 부어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 사무엘은 종교적, 정치적 지도자로서 이스라엘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정의와 공의를 실현하고자 노력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레위 지파 - 에즈라
    에즈라는 기원전 5세기 페르시아 시대 유대인 지도자이자 서기관으로, 바벨론 유수 후 유대인 귀환과 예루살렘 재건에 기여했으며, 토라 준수 강조와 유대인 공동체 정화를 위해 노력했고, 유대교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그의 역사적 실존 여부와 활동 시기에 대한 학계의 다양한 견해와 후대 유대교와 기독교 전통에서의 다양한 신학적 해석이 존재한다.
  • 레위 지파 - 예레미야
    예레미야는 기원전 7세기 유다 왕국의 예언자로, 예루살렘 멸망과 바빌론 포로를 예언하며 고난을 겪어 "우는 예언자"라고도 불리며 그의 예언은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 이스라엘 왕국 사람 - 사독
    사독은 구약성경에 등장하는 인물로, 다윗 왕을 도왔으며 솔로몬의 왕위 등극에 참여했고, 사두개파의 기원과 관련하여 언급되기도 한다.
  • 이스라엘 왕국 사람 - 아히마아스
    아히마아스는 사독의 후임으로 이스라엘 대제사장이 되었으며, 그의 후임은 아사랴이고 구약성경의 사독 가문 대제사장 계보에 속한다.
  • 사무엘기 - 사울
    사울은 사무엘상과 사무엘하에 등장하는 이스라엘의 초대 왕으로, 암몬과의 전투에서 승리했지만 블레셋과의 전쟁에서 패배하고 다윗을 질투하여 길보아 전투에서 자살했다.
  • 사무엘기 - 다윗
    이스라엘의 2대 왕 다윗은 목동 출신으로 골리앗을 물리치고 이스라엘을 통일하여 전성기를 이끌었으며, 종교 및 문화 발전에 기여했지만 밧세바와의 죄와 아들 반란 등 어두운 면도 존재하며, 그의 생애는 여러 종교에서 다양하게 해석되고 역사적 논쟁도 있다.
사무엘
기본 정보
"마티아스 스톰, 1635년경, 엔돌의 마녀와 사울 부분"
직함예언자, 선견자
출생일기원전 1070년경
출생지라마타임-소빔 (전통)
사망일기원전 1012년경
사망지베냐민 지파의 라마 (전통)
기념일8월 20일 (가톨릭교회, 동방 정교회, 루터교)
7월 30일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파오니 9일 (콥트 정교회)
숭배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
성경 속 판관
출애굽기모세
여호수아기여호수아
사사기옷니엘
에훗
삼갈
드보라
기드온
아비멜렉
돌라
야일
입다
입산
엘론
압돈
삼손
사무엘상엘리
사무엘
요엘
아비야
이름
영어Samuel
아랍어شموئيل or صموئيل
그리스어Σαμουήλ
라틴어Samūēl
기타
로마자 표기Šəmūʾēl (히브리어), Šamūʾīl or Ṣamūʾīl (아랍어), Samouḗl (그리스어)

2. 생애

사무엘은 엘가나와 한나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어머니 한나의 서원에 따라 어릴 때 실로의 제사장 엘리에게 맡겨져 봉사하며 성장했다.[61] 그는 어린 시절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고 예언자로 인정받았으며, 이스라엘의 종교적 지도자(제사장)이자 정치적 지도자(사사)로 활동했다.

말년에 백성들이 왕정을 요구하자, 사무엘은 이것이 하나님의 뜻에 어긋남을 지적하며 반대했으나 결국 백성들의 요구를 받아들여 사울에게 기름을 부어 이스라엘의 첫 번째 왕으로 세웠다. 사울 왕 아래 이스라엘은 주변 민족들과 싸웠으나, 사울이 아말렉 사람을 완전히 멸하라는 하나님의 명령을 어기자 사무엘은 하나님의 뜻에 따라 비밀리에 다윗에게 기름을 부어 다음 왕으로 선택했다. 이후 다윗은 블레셋의 용사 골리앗을 물리치고 사울 왕을 섬겼으나, 그의 인기를 질투한 사울에게 생명의 위협을 받기도 했다.

사무엘은 라마 츠오핌에서 죽어 그곳에 묻혔다.

2. 1. 출생과 어린 시절

사무엘의 아버지는 엘가나이고, 어머니는 한나이다.[71] 엘가나는 에브라임 산지의 라마다임 지역 수프 출신으로,[4][5] 사무엘서에는 에브라임 사람으로 기록되어 있다.[71] 하지만 역대기의 족보에 따르면 엘가나는 레위 사람으로 나오기도 한다(역대상 6:3–15, 6:18–33).[6][7] 이는 유다 지파에 속한 레위 사람처럼 지역 기반으로 불린 경우일 수 있다(예: 사사기 17:7).[6][7]

엘가나에게는 브닌나와 한나라는 두 명의 아내가 있었다. 브닌나에게는 자녀가 있었지만, 한나에게는 자녀가 없어 큰 슬픔 속에 지냈다. 엘가나는 한나를 더 아꼈지만, 질투심에 찬 브닌나는 한나가 아이를 낳지 못하는 것을 비난하며 괴롭혔다.[8] 경건했던 엘가나는 가족과 함께 정기적으로 실로의 성소를 순례했다.[8]

어느 날 실로의 성소에 간 한나는 아이를 갖게 해달라고 간절히 기도했다. 눈물을 흘리며 만약 아들을 주신다면, 그 아들을 평생 하나님께 바치고 그의 머리에 삭도를 대지 않는 나실인으로 키우겠다고 서원했다.[8] 이때 성소 문설주 곁에 앉아 있던 대제사장 엘리는 한나가 속으로 기도하는 모습을 보고 처음에는 술에 취한 것으로 오해했으나, 곧 그녀의 진심을 알고 축복해주었다.[9] 엘리는 실로의 제사장이자 고대 이스라엘 왕정 시대 이전의 마지막 이스라엘 사사 중 한 명이었다.[9]

엘리의 축복 후 집으로 돌아간 한나는 임신하여 아들을 낳았고, 사무엘상 1장 20절에 따라 "내가 하나님께 그를 구하였다"는 의미로 이름을 사무엘이라 지었다.[10] 사무엘(히브리어: שְׁמוּאֵל|Šəmūʾēlhbo)이라는 이름은 '하나님이 세우셨다' 또는 '하나님이 두셨다'는 의미(Śāmū|사무hbo + ʾĒl|엘hbo)[11][12][13]로 해석되거나, 한나가 기도하여 얻었다는 의미에서 '나는 그를 하나님께 구하였다/빌려왔다'(שְׁאִלְתִּיו מֵאֵל|셰일티브 메엘hbo의 축약형)[14][15][16]는 뜻으로도 해석된다.[17] 두 해석 모두 한나가 사무엘을 하나님께 나실인으로 바친 것과 관련이 있다.[17]

헤르브란트 판덴 에크하우트(Gerbrand van den Eeckout) – 한나가 그녀의 아들 사무엘을 제사장 엘리에게 바치는 모습 (1665년경)


한나는 서원한 대로 사무엘이 젖을 떼자 그를 실로의 엘리 대제사장에게 데려가 맡겼다.[4][61] 사무엘은 성막에서 엘리에게 유대교 제사장 교육을 받으며 자랐고,[71] 엘리는 자신의 아들들과 달리 신실한 사무엘을 아꼈다.[61] 한나는 때때로 아들을 보러 실로에 방문했다.[9] 어린 사무엘은 잠자리에서 하나님의 말씀을 듣는 경험을 하기도 했으며, 성장하여 예언자로 인정받게 되었다.[61]

사무엘에게는 이후에 태어난 남동생 3명과 여동생 2명이 있었다.[62][63][64][65]

2. 2. 하나님의 부르심

사무엘은 어릴 때 실로의 성전에서 엘리 제사장 밑에서 섬겼다. 1세기 유대 역사가 요세푸스에 따르면, 이때 사무엘의 나이는 12살이었다.[18] 어느 날 밤, 하나님께서 사무엘을 부르셨다. 사무엘은 처음에 엘리가 자신을 부른 것으로 생각하고 세 번이나 엘리에게 갔지만, 엘리는 하나님께서 사무엘을 부르셨다는 사실을 깨닫고 사무엘에게 어떻게 응답해야 할지 알려주었다. 엘리는 사무엘에게 다음과 같이 말하라고 가르쳤다.

: "말씀하십시오. 주여, 당신의 종이 듣고 있습니다." [19]

사무엘이 하나님의 부르심에 응답하자, 하나님께서는 엘리의 두 아들 홉니와 비느하스의 악행 때문에 엘리 가문을 심판하실 것이라고 예고하셨다.[4] 이는 엘리가 아들들이 하나님께 드릴 제물을 횡령하고 성전에서 봉사하는 여성을 성폭행하는 등의 죄를 저질렀음에도 이를 바로잡지 않았기 때문이다.[68] 하나님은 엘리에게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다고 사무엘에게 전했다.

: “그 날에 내가 처음부터 끝까지 엘리의 집에 대해 말했던 것을 엘리에게 행하리라. 나는 엘리가 알고 있는 악행 때문에 그 집을 영원히 벌하겠다고 엘리에게 말하리라. 그의 아들들이 하나님을 범하였는데도 그가 그것을 막지 않았기 때문이다.(사무엘상 3:12-13)”

엘리에게 하나님의 심판을 전하는 사무엘


다음 날 아침, 사무엘은 엘리에게 하나님의 말씀을 전하기를 주저했지만, 엘리의 요청에 따라 정직하게 전했다. 그 말을 들은 엘리는 단지 주님께서 자신에게 옳다고 생각되는 대로 하시기를 바란다고 답했다.

이 경험을 전환점으로 삼아 사무엘은 예언자로서 성장했으며, "에서 브엘세바까지 온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하나님이 세우신 신실한 예언자로 인정받게 되었다.[20] 성공회 신학자 도널드 스펜스 존스는 이 과정을 통해 모든 백성의 마음이 점차 준비되어, 적절한 때가 왔을 때 사무엘을 하나님이 보내신 지도자로 인정하게 되었다고 설명한다.[21] 사무엘상에는 이 사건 이후 사무엘의 명성이 온 이스라엘에 퍼졌다고 기록되어 있다.

: “사무엘은 자라났다. 주님이 그와 함께하시며 그의 말씀 하나도 땅에 떨어지지 않게 하셨으므로, 단에서 브엘세바까지 모든 이스라엘 백성은 사무엘이 주의 예언자로 세워졌다는 것을 알았다. 주님은 다시 실로에서 나타나셨다. 곧 주님은 실로에서 주님의 말씀으로 사무엘에게 자신을 나타내셨다. 이렇게 사무엘의 말씀은 온 이스라엘 백성에게 미쳤다.(사무엘상 3:19-21)”

2. 3. 예언자와 사사로서의 활동

사무엘이 성장하면서 하나님이 그와 함께하여 그의 말이 모두 이루어지게 하셨다. 이로 인해 에서 브엘세바에 이르기까지 모든 이스라엘 사람들은 사무엘을 하나님께서 세우신 예언자로 인정하게 되었다(사무엘상 3:19-20).

사무엘이 젊었을 때, 실로의 성소는 이스라엘 신앙의 중심지였으나, 블레셋과의 에벤에셀 전투에서 이스라엘은 결정적인 패배를 당했다. 이 전투의 결과로 이스라엘 땅은 블레셋의 지배하에 놓이게 되었고, 신성한 언약궤마저 빼앗기는 수모를 겪었다. 언약궤 약탈 소식과 함께 두 아들의 전사 소식을 들은 대제사장 엘리는 충격으로 의자에서 넘어져 목이 부러져 죽었다. 블레셋 사람들은 언약궤를 7개월 동안 보관하였으나, 그 기간 동안 각종 재앙과 불행이 끊이지 않자 결국 언약궤를 이스라엘 사람들에게 돌려주었다.[9]

이스라엘 백성들이 아벡 전투에서 블레셋에게 크게 패하고 언약궤를 빼앗긴 지 20년 후, 사무엘은 판관(사사)으로서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하였다. 신학자 브루스 C. 버치(Bruce C. Birch)는 사무엘이 블레셋의 압제라는 어려운 시기 속에서 이스라엘의 종교적 유산과 민족 정체성을 보존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고 평가한다. 그는 사무엘이 당시 상황에서 필요에 따라 제사장, 예언자, 재판관(사사)이라는 여러 권위를 한 몸에 지니고 활동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았다.[22]

20년간의 압제가 지난 후, 예언자로서 전국적인 명성을 얻은 사무엘(사무엘상 3:20)은 백성들을 미스바로 소집하여 블레셋에 맞설 준비를 하였다. 그는 이스라엘 모든 가문을 불러 모아 하나님과의 언약을 갱신하며 민족의 결속을 다졌다. 이스라엘 군대가 새롭게 집결했다는 소식을 들은 블레셋은 이들을 공격하기 위해 미스바로 진격해왔다. 그러나 전투 결과는 이스라엘의 압도적인 승리였고, 블레셋 군대는 공포에 질려 도망치기 바빴으며 후퇴 과정에서 큰 피해를 입었다. 사무엘은 이 승리를 기념하여 전투가 벌어졌던 에벤에셀에 큰 돌을 세워 기념비로 삼았다. 이 미스바 전투의 승리로 이스라엘은 블레셋의 지배에서 벗어나 상당 기간 평화를 누릴 수 있었다.

사무엘이 하나님께 제물을 드리고 이스라엘 백성들이 블레셋 사람들을 물리치는 가운데, 전투 현장인 에벤에셀에 기념비를 세우는 모습. 18세기 포르투갈 페나 궁전의 스테인드글라스 창문에 묘사되어 있다.


이처럼 사무엘은 예언자로서 하나님의 말씀을 전하고, 판관(사사)으로서 백성들을 이끌며 외세의 압제로부터 이스라엘을 구원하는 등 종교적, 정치적 지도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3. 이스라엘 왕정 প্রতিষ্ঠা

사무엘이 노년에 이르러 그의 아들들이 사사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부패한 모습을 보이자, 블레셋과 같은 외부 민족의 위협에 직면한 이스라엘 백성들 사이에서 강력한 지도체제, 즉 왕정에 대한 요구가 높아졌다.[69][23] 이는 사사 시대 동안 유지되었던 신정정치에서 벗어나 주변 국가들과 같은 정치 체제를 갖추려는 움직임이었다.

백성들의 장로들은 사무엘에게 찾아와 왕을 세워줄 것을 공식적으로 요청했다. 사무엘은 이러한 요구가 이스라엘의 진정한 통치자이신 하나님을 거부하는 행위로 여겨 처음에는 반대하며 왕정 제도가 가져올 폐해를 경고했다.[22] 그러나 백성들의 지속적인 요구와 하나님의 허락에 따라, 사무엘은 결국 베냐민 지파사울을 이스라엘의 첫 번째 으로 세우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22] 이 사건은 이스라엘 역사에서 사사 시대가 끝나고 통일 왕국 시대가 시작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3. 1. 왕정 요구와 사울의 즉위

사무엘이 나이가 들자, 그의 두 아들 요엘과 아비야가 브엘세바에서 재판관으로 활동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들은 아버지 사무엘과는 달리 뇌물을 받고 판결을 왜곡하는 등 부정한 행동을 저질러 백성들의 신뢰를 잃었다.[69] 이는 과거 엘리 제사장의 아들들이 보였던 부패와 유사한 모습이었다.

당시 이스라엘은 블레셋과 같은 주변 민족의 지속적인 위협에 시달리고 있었다. 이러한 외부 위협 속에서 이스라엘의 장로들과 지파 지도자들은 보다 강력하고 통합된 중앙 정부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23] 결국 그들은 사무엘에게 찾아가 다른 나라들처럼 자신들을 다스릴 왕을 세워달라고 요구했다.

사무엘은 백성들의 요구를 자신에 대한 거부이자, 이스라엘의 진정한 왕이신 하나님에 대한 불신으로 받아들여 처음에는 주저하며 반대했다.[22] 그는 왕정이 도입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폐해에 대해 백성들에게 상세히 경고했다. 왕은 백성들의 아들딸을 징병하여 군인이나 종으로 삼고, 농작물과 가축의 십분의 일을 세금으로 거두며, 결국 백성들이 왕의 노예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사무엘상 8:11-17) 사무엘은 이러한 왕정 요구의 근본적인 이유가 하나님 없이 스스로 살 수 있다고 생각하는 백성들의 교만함에 있다고 보았다.

하지만 백성들은 사무엘의 경고를 듣지 않고, "아닙니다! 우리에게는 왕이 있어야 합니다. 그래야 우리도 다른 모든 민족처럼 되고, 우리 왕이 우리를 다스리며, 우리 앞에 나아가 싸울 것입니다." (사무엘상 8:19-20) 라고 주장하며 왕을 세워줄 것을 강력히 요구했다. 백성들의 완고한 요구에 하나님은 사무엘에게 그들의 뜻을 들어주되, 왕정의 위험성을 다시 한번 분명히 알리라고 지시했다.

하나님의 지시에 따라 사무엘은 새로운 지도자를 찾게 되었다. 이때 베냐민 지파 출신 기스의 아들 사울이 아버지가 잃어버린 나귀를 찾던 중 사무엘을 만나게 되었다. 하나님은 사무엘에게 바로 이 사울이 이스라엘의 초대 왕이 될 인물임을 미리 알려주었다. (사무엘상 9:16)

사무엘은 하나님의 뜻에 따라 사울의 머리에 기름을 붓고 그를 이스라엘의 지도자로 세웠다. (사무엘상 10:1) 이후 미스바에 모든 백성을 모으고 제비를 뽑는 절차를 통해 사울이 공식적으로 이스라엘의 첫 번째 왕으로 선포되었다. (사무엘상 10:21) 사울은 왕이 되기 전 광야 생활과 같은 특별한 지도자 훈련 과정을 거치지 않은 상태에서 왕위에 올랐다. 일부 해석에 따르면, 사무엘과 사울의 이야기는 기존의 신정정치와 새롭게 등장한 왕정 체제 사이의 갈등을 보여주는 사례로 여겨지기도 한다.

사울이 왕으로 즉위한 후, 사무엘은 길갈에서 백성들을 모아 고별 연설을 했다.[24][25] 이 연설에서 사무엘은 왕이 세워졌지만 여전히 선지자와 재판관의 역할이 중요하며, 왕 역시 하나님의 명령에 순종해야 할 책임이 있음을 강조했다. 그는 백성들에게 우상 숭배, 특히 아세라바알 숭배에 빠지지 말 것을 강력히 경고하며, 만약 백성들이 하나님께 불순종한다면 하나님께서 그들을 외적의 손에 넘기실 것이라고 선포했다. (사무엘상 12:17-18) 사무엘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이후 이스라엘 역사에서 백성들이 아세라 숭배에 빠졌던 기록이 나타난다.[26][27][28]

3. 2. 사울과의 갈등과 다윗의 등장

사울 왕은 블레셋과의 전투를 앞두고 사무엘이 도착하기 전에 먼저 번제를 드리는 잘못을 저질렀다. 이에 사무엘은 사울을 책망하며 그의 왕위가 오래가지 못할 것이라고 예언했다.

이후 사무엘은 출애굽 당시 이스라엘을 공격했던 아말렉 족속을 완전히 멸망시키라는 하나님의 명령을 사울에게 전달했다. 이는 신명기 25장 17-19절에 기록된 계명을 이행하는 것이었다.[29] 그러나 사울은 아말렉과의 전투에서 승리한 후, 명예욕과 탐욕 때문에 아말렉 왕 아각을 사로잡고 가장 좋은 가축들을 살려두었다. 사무엘이 이를 지적하자 사울은 하나님께 제물로 바치려 했다며 변명했지만, 이는 명백히 하나님의 명령을 어긴 불순종이었다. 사무엘은 "순종이 제사보다 낫고 듣는 것이 숫양의 기름보다 낫다"고 꾸짖으며, 하나님께서 사울을 버리셨음을 선언했다. 이후 사무엘은 직접 아각 왕을 처형하고 사울 곁을 떠나 다시는 그를 만나지 않았다.[30]

살바토르 로사의 사울에게 나타난 사무엘의 영, 1668년


하나님은 사울을 대신할 새로운 왕을 세우도록 사무엘에게 명령했다. 사울의 보복을 두려워한 사무엘이었지만, 하나님의 뜻에 따라 제사를 드린다는 명분으로 베들레헴으로 가서 이새의 아들들을 만났다. 사무엘은 외모가 준수한 아들들에게 잠시 마음이 흔들렸으나, "사람은 겉모습을 보지만 나 야훼는 중심을 본다"는 하나님의 말씀을 듣고, 들에서 양을 치던 막내아들 다윗을 선택하여 비밀리에 기름을 부었다. 이 날 이후 다윗에게 하나님의 영이 크게 임했다.

다윗은 이후 블레셋의 거인 용사 골리앗을 쓰러뜨리고, 뛰어난 수금 연주 실력으로 악령에 시달리던 사울 왕을 섬기며 이스라엘의 영웅으로 떠올랐다. 그러나 다윗의 명성이 높아질수록 사울은 그를 시기하고 두려워하여 여러 차례 죽이려 했다. 생명의 위협을 느낀 다윗은 라마에 있는 사무엘에게로 도망쳐 도움을 받았다.

세월이 흘러 노년에 이른 사무엘은 라마에서 죽음을 맞이했고, 그의 고향인 라마에 묻혔다. 온 이스라엘 백성들은 위대한 지도자이자 예언자였던 그의 죽음을 슬퍼하며 애도했다.

4. 사무엘의 죽음과 유산

사무엘은 라마에 있는 자신의 집에서 죽어 묻혔으며(사무엘상 25:1), 온 이스라엘 백성이 그의 죽음을 슬퍼하며 애도했다.[31] 성경에는 사무엘이 라마에 묻혔다고 기록되어 있다.[31]

사무엘의 무덤
전통적으로 이 매장지는 서안 지구의 나비 사무일 마을에 있는 사무엘의 무덤으로 여겨진다.[32][33]

사무엘은 죽은 후에도 이스라엘 역사에 영향을 미쳤다. 사울 왕은 블레셋과의 마지막 전투를 앞두고 결과를 알기 위해 엔돌의 마녀를 찾아가 스올에서 사무엘의 영혼을 불러내 달라고 요청했다(사무엘상 28:3–24). 갑작스러운 소환에 분노한 사무엘의 영혼은 하나님께서 이미 사울을 버리셨으며, 다음 날 전투에서 사울과 그의 아들들이 죽게 될 것이라고 예언했다(사무엘상 28:19-20). 이 예언은 다음 날 현실이 되어, 사울과 그의 아들들은 블레셋과의 전투에서 전사했다.

4. 1. 랍비 문헌의 관점

고전 랍비 문헌에서는 사무엘을 모세와 동등하거나 그 이상으로 존경받는 인물로 평가한다. 이는 예레미야서[41]시편[42]에서 언급된 그의 깊은 신앙심에 더해, 하나님께서 성막에 갈 필요 없이 사무엘에게 직접 말씀하셨다는 점에 근거한다.[43]

사무엘의 무덤


랍비들은 또한 사무엘이 매우 총명했다고 묘사한다. 그는 할라카(유대 율법)가 제사장들이 '피를 가져오는 것'만을 명시했음을 근거로, 평신도도 희생 제물을 도살하는 것이 율법적으로 허용된다고 주장했다.[44][45][46] 당시 많은 랍비들에게 부정적으로 평가받던 엘리 제사장은 사무엘의 논리가 기술적으로는 맞지만, 스승인 자신이 있음에도 제자인 사무엘이 법적인 판단을 내렸다는 이유로 사형에 처해야 한다고 반박했다고 전해진다.[46]

랍비 문헌은 성경 기록보다 사무엘을 훨씬 더 호의적으로 다룬다. 그가 매년 여러 지역을 순회한 것은 백성들이 그를 찾아오는 수고를 덜어주기 위함이었다고 설명한다. 사무엘은 상당한 부자였으며, 순회 시 다른 사람들에게 신세를 지지 않기 위해 자신의 모든 수행원과 가족을 직접 데리고 다녔다고 한다. 또한 사울 왕이 하나님의 은총을 잃었을 때, 사무엘은 깊이 슬퍼했으며 그로 인해 일찍 늙었다고 묘사된다.[47]

엔돌의 마녀가 사무엘의 영혼을 불러낸 사건에 대해서도 랍비 문헌은 구체적인 해석을 덧붙인다. 성경에는 익명으로 나오는 엔돌의 마녀를 미드라시에서는 아브넬의 어머니인 '스바냐'였다고 주장한다 (얄쿠트 시므온, 사무엘 140 인용). 사무엘상에서 사무엘이 죽어 묻혔다는 사실이 반복적으로 강조된 점(사무엘상 25:1, 28:3)을 들어, 그가 소환될 당시 살아있었다는 가능성은 없다고 본다 (토세프타, 소타 11:5). 랍비들은 사람이 죽은 후 12개월 동안은 영혼이 시체 주위를 맴돈다고 보았는데(안식일 152b), 사무엘은 이 기간 내에 소환되었다고 설명한다. 또한 이 사건에서 마술사는 영혼을 볼 수는 있지만 들을 수는 없고, 영혼을 부른 사람은 목소리를 들을 수는 있지만 볼 수는 없으며, 주변 사람들은 보거나 들을 수 없다는 이론을 제시했다 (얄쿠트, 앞서 인용). 마녀가 사무엘을 보고 비명을 지른 이유는 그가 일반적으로 예상되는 누운 자세가 아닌, 똑바로 선 채로 나타났기 때문이라고 해석한다 (70인역 사무엘상 28:14의 ὄρθιον|오르티온grc 참조).[34]

사무엘의 야르차이트(기일)는 유대력으로 이얄(Iyar)월 28일이다.[48]

4. 2. 기독교적 관점

17세기 사무엘 성인의 이콘 (도네츠크 지역 미술관)


그리스도교에서 사무엘은 이스라엘의 예언자이자 재판관, 그리고 지혜로운 지도자로 존경받는다. 그는 하나님에 대한 깊은 헌신의 모범으로 여겨진다. 가톨릭, 동방 정교회, 그리고 루터교에서는 8월 20일을 사무엘의 축일로 기념한다.[49] 아르메니아 사도교회의 성인력에서는 7월 30일에 성조상 중 한 명으로 기리며, 콥트 정교회에서는 파오니 9일에 예언자 사무엘의 승천을 기념한다.

목사이자 저자인 허버트 록키어(Herbert Lockyer)와 같은 일부 신학자들은 사무엘이 예언자, 제사장, 통치자로서 수행한 역할이 그리스도의 예표가 된다고 해석하기도 한다.[50]

사무엘의 아버지는 엘가나이고 어머니는 한나이다. 한나는 오랫동안 자녀를 갖지 못하다가 간절한 기도 끝에 사무엘을 낳았다. 이에 감사하며 한나는 사무엘을 실로의 제사장 엘리에게 보내어 하나님을 섬기도록 했다.[61] 엘리는 자신의 아들들의 잘못된 행실을 부끄러워하며 사무엘을 아꼈다. 어린 사무엘은 잠결에 하나님의 음성을 듣는 경험을 하였고, 점차 성장하여 주님의 예언자로 인정받게 되었다.

사무엘은 종교 지도자인 제사장이자 정치적 민족 지도자인 사사로서 활동했다. 노년에 이르러 백성들이 왕을 세워달라고 요구하자, 사무엘은 왕정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반대했으나 백성들의 뜻을 꺾지 못하고 결국 사울을 이스라엘의 첫 번째 왕으로 세웠다. 이스라엘은 사울 왕 아래 하나로 뭉쳐 주변 민족들과 싸웠다. 그러나 사울이 "아말렉 사람을 진멸하라"는 하나님의 명령을 따르지 않자, 사무엘은 하나님의 뜻에 따라 비밀리에 다윗에게 기름을 부어 다음 왕으로 선택했다.

사무엘은 죽어서 라마 츠오핌에 묻혔다.

4. 3. 이슬람의 관점

이슬람에서도 사무엘(صموئيل or شموئيل|Šamūʾīl or Ṣamūʾīlar)은 예언자이자 선견자로 여겨진다. 이슬람에서 사무엘의 이야기는 그의 탄생과 탈룻을 왕으로 기름 부은 사건에 초점을 맞춘다. 다른 이스라엘 예언자들의 이야기와 유사한 요소들이 있으며, 이슬람 주석에서는 사무엘이 우상 숭배에 반대하여 설교했다고 전한다. 사무엘은 꾸란에 이름이 직접 언급되지는 않지만, 꾸란 2장 246절[51][52] 등에서 그를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슬람 전승에 따르면, 모세 이후 이스라엘 백성은 나라를 다스릴 왕을 원했다. 이에 알라는 예언자 사무엘을 보내 탈룻을 이스라엘의 첫 번째 왕으로 기름 붓게 했다. 그러나 이스라엘 백성은 탈룻이 부유한 가문 출신이 아니라는 이유로 그를 조롱하고 비난했다(꾸란 2장 247절). 탈룻은 일반적으로 사울과 동일시되는데, 히브리 성경과는 달리 꾸란에서는 탈룻(사울)을 크게 칭찬하며 그가 뛰어난 영적, 육체적 힘을 부여받았다고 언급한다. 꾸란의 기록에서 사무엘은 탈룻의 왕권의 징표로 언약궤가 이스라엘 백성에게 돌아올 것이라고 예언했다.[53]

전승에 따르면 사무엘의 무덤에 있는 사무엘이 묻힌 곳을 나타내는 아랍어 표지판

5. 사무엘에 대한 다양한 관점

성경에 나타난 사무엘의 모습은 단일하지 않으며, 다양한 학문적 관점에서 분석되고 있다. 이러한 분석들은 성경 텍스트 자체의 형성 과정과 편집 의도를 탐구하며 사무엘이라는 인물을 다각적으로 이해하려는 시도이다.

주요 접근법 중 하나는 성경 비평학의 방법론, 특히 문서 가설에 기반한 출처 비평이다. 이 관점은 사무엘서가 서로 다른 시기와 관점을 가진 여러 자료(source)가 편집되어 현재의 형태가 되었다고 본다. 이에 따르면, 사무엘은 지역적인 영향력을 가진 '선견자(seer)'로서의 모습과, 전국적인 활동을 펼친 '선지자(prophet)'이자 사사(judge)로서의 모습이 결합된 인물로 해석될 수 있다. 각기 다른 자료에서 유래한 이 두 역할은 후대의 편집 과정에서 하나로 합쳐진 것으로 추정된다.

또 다른 중요한 관점은 신명기 역사가들의 역할에 주목하는 것이다. 신명기 역사서는 여호수아, 사사기, 사무엘서, 열왕기를 포함하는 일련의 역사서로, 특정 신학적 관점(신명기적 신학)을 바탕으로 편집되었다고 여겨진다. 이 관점에 따르면, 신명기 역사가들은 사무엘을 모세의 권위를 계승하는 이상적인 지도자로 부각시키며, 그의 역할을 예언자, 재판관, 제사장으로 확장하고 이상화했을 가능성이 있다.

이처럼 다양한 학문적 관점들은 성경 속 사무엘의 복합적인 면모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지만, 동시에 역사적 인물로서의 사무엘의 실제 모습을 재구성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음을 보여준다.

5. 1. 문서 가설에 따른 분석

일부 학자들은 성경에 나타난 사무엘의 모습이 실제로는 서로 다른 두 가지 역할이 합쳐진 결과라고 본다. 이는 사무엘서가 여러 다른 자료(근원)를 편집하여 만들어졌다는 문서 가설에 따른 분석이다.

  • 선견자(seer)로서의 사무엘: 그는 라마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했으며, 그 영향력은 비교적 지역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사울은 처음에 사무엘을 알지 못했고, 그의 종을 통해 사무엘의 존재를 알게 되었다. 이 역할에서 사무엘은 기브아, 베델, 길갈 등지를 순회하는 음악적이고 열광적인 예언자 무리(네비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묘사된다. 일부 전통적인 학자들은 사무엘이 이 예언자 집단의 창시자라고 보기도 한다. 라마에서 사무엘은 아버지의 잃어버린 나귀를 찾던 사울을 만나 비밀리에 기름부음을 행하고 식사를 함께했다.

  • 선지자(prophet)로서의 사무엘: 그는 실로에 기반을 두고 전국을 순회하며 백성들을 꾸짖고 회개를 촉구하는 등 더 넓은 범위에서 활동했다. 이 역할에서 사무엘은 사사(biblical judge)로서 국가적인 문제에 대해 공개적으로 조언하고 개인에게도 사적인 조언을 제공했다. 그는 말년에 이 사사 역할을 브엘세바에 기반을 둔 아들들에게 맡겼으나, 아들들의 부패와 암몬 사람들의 침략 위협 속에서 백성들은 사무엘에게 왕을 세워달라고 요구했다. 사무엘은 마지못해 이 요청을 받아들였고, 모든 백성이 모인 앞에서 사울에게 왕으로 기름을 부었다.


근원 비평 연구에 따르면, 이 두 가지 역할은 서로 다른 시기에 기록된 별개의 자료에서 유래했으며, 후대에 사무엘서를 편집하는 과정에서 하나로 합쳐졌다고 본다.

  • 비교적 오래된 자료로 여겨지는 군주제 자료(Monarchial source영어)는 사무엘을 라마의 지역 선견자로 묘사하며, 사울에게 비밀리에 기름을 붓는 등 군주제를 긍정적으로 다룬다. 이 자료에서는 사울이 군사적 성공을 통해 백성들의 환호 속에서 왕으로 추대된다.
  • 반면, 후대의 자료로 여겨지는 공화파 자료(Republican source영어)는 사무엘을 국가적인 선지자로 그리고, 군주제(특히 사울의 통치)에 비판적인 입장을 보인다. 이 자료에서 사무엘은 백성들의 요구에 마지못해, 국가적인 집회에서 제비뽑기(cleromancy)를 통해 사울에게 기름을 붓는다. 또한 공화파 자료는 열광적인 선지자들을 사무엘과는 다소 거리를 둔 존재로 묘사하는 경향이 있다.[35]


사무엘상 7장 15-17절에 나오는 사무엘이 라마에서 베델, 길갈, 미스바를 거쳐 다시 라마로 돌아오는 연례 순회를 하며 사사의 직무를 수행했다는 기록은, 이러한 서로 다른 두 가지 사무엘의 모습을 조화시키려는 편집자의 노력으로 해석되기도 한다.[37] 이는 드보라에브라임 산지의 야자수 아래에서 재판했던 것과 유사한 모습이다.[36]

또한 사무엘서에는 사무엘이 성소에서 제사를 드리고 제단을 쌓는 등 제사장의 역할을 수행하는 모습이 나타난다. 하지만 모세오경의 율법(특히 제사장 자료(Priestly Code)나 신명기 자료(Deuteronomic Code))에 따르면 이러한 행위는 아론의 후손인 제사장이나 레위 사람만이 할 수 있는 일이었다. 사무엘이 나실인이나 선지자였다는 사실만으로는 이러한 행위가 정당화되기 어렵다. 사무엘서와 열왕기에는 왕이나 다른 선지자들이 율법의 규정을 따르지 않은 사례가 여럿 등장하지만, 일부 비평적 학자들은 이 문제를 다른 방식으로 설명하려고 시도한다. 예를 들어, 후대에 기록된 역대기에서는 사무엘을 레위 사람으로 묘사하여 이 문제를 해결하려 하지만[38], 많은 학자들은 이를 역대기 저자가 후대의 종교적 관점에 맞춰 사무엘서와 열왕기의 내용을 수정한 것으로 본다. 문서 가설에 따르면 성경의 많은 율법 자체가 사무엘 시대보다 후에 기록되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역대기의 이러한 서술은 역사적 사실보다는 종교적인 의도를 반영한 것으로 해석된다.[37]

5. 2. 신명기 역사서의 관점

구약성서 출처 비평의 문서설에 따르면, "신명기적 역사가"들이 여호수아, 사사기, 사무엘상·하, 열왕기상·하를 편집하면서 사무엘을 여호수아처럼 실제보다 더 위대한 인물로 이상화했다.

예를 들어, 사무엘의 아버지 엘가나는 에브라임 지파의 땅인 수프의 라마다임-소빔 출신으로 묘사되지만, 역대기상에서는 그를 레위인으로 기록하고 있다.[39] 이는 신명기 역사가들이 사무엘의 가계를 보다 권위 있는 레위 지파로 격상시키려 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신명기 역사가들은 사무엘을 사사기의 사사들처럼 군대를 이끌고 사법적 기능을 수행하는 재판관으로 묘사했다. 사무엘상 12장 6절부터 17절에 나오는 사무엘의 연설은 그가 하나님에 의해 이스라엘을 구원하도록 보내진 재판관임을 강조하는데, 이는 신명기 역사가들에 의해 작성되었을 가능성이 높다.[40]

또한, 사무엘상 9장 6절부터 20절에서는 사무엘이 지역의 "선견자"로 묘사된다. 신명기 역사가들은 이러한 기존의 모습을 유지하면서도, 사무엘을 "이스라엘이 하나님과의 언약을 지키지 못한 것을 처음으로 지적한 예언자"로 제시하여 그의 예언자적 역할을 부각했다.[40]

결론적으로 신명기 역사가들에게 사무엘은 모세의 역할을 계승한 예언자, 재판관, 제사장으로서, 모세의 연장선상에 있는 중요한 인물로 그려졌다. 이러한 신명기 역사가들의 편집과 이상화 작업으로 인해, 역사적 인물로서 사무엘의 실제 모습은 명확히 파악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40]

6. 사무엘의 업적과 현대적 의미

사무엘은 고대 이스라엘 역사에서 종교와 정치를 아우르는 독특한 지도자였다. 그는 마지막 사사이자 예언자, 제사장으로서 활동하며 혼란스러운 시기에 백성들을 이끌었다.[61] 그의 주요 업적은 이스라엘 백성들의 요구에 따라 왕정 시대를 열고 초대 왕 사울을 세운 것이다. 비록 왕정 도입에는 신중한 입장이었으나, 백성들의 뜻과 하나님의 지시에 따라 이를 실행했다.

그러나 사무엘은 단순히 왕을 세우는 데 그치지 않고, 왕권에 대한 견제 역할도 수행했다. 사울 왕이 하나님의 명령을 따르지 않고 불순종하자, 사무엘은 그를 질책하고 새로운 지도자로 다윗을 선택하여 기름을 부었다. 이는 왕이라 할지라도 하나님의 정의와 공의 아래 있어야 함을 분명히 보여주는 사건이었다. 사무엘의 이러한 행동은 이후 이스라엘 역사에서 예언자들이 왕의 권력을 비판하고 견제하는 전통의 기초를 마련했다고 평가받는다. 그는 신정(神政)과 왕정 사이의 과도기적 역할을 수행하며, 이스라엘이 국가 체제를 갖추는 데 중요한 기여를 했다.

6. 1. 종교적, 정치적 지도자로서의 역할

사무엘은 이스라엘 역사에서 종교적 지도자인 제사장과 정치적, 군사적 지도자인 사사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 중요한 인물이었다.[61] 그는 실로의 제사장 엘리 밑에서 성장하며 어릴 때부터 하나님의 부름을 받아 예언자로 인정받았다.

사무엘이 활동하던 말기에, 이스라엘 백성들은 주변 민족들처럼 왕을 세워 다스려 줄 것을 요구했다. 사무엘은 왕정이 가져올 폐단을 지적하며 이를 경고했지만, 백성들의 강력한 요구를 받아들여야 했다. 결국 사무엘은 하나님의 지시에 따라 베냐민 사람 사울이스라엘의 초대 왕으로 세웠다.

그러나 사울 왕은 아말렉과의 전투에서 "아말렉 사람을 멸하라"는 하나님의 명령을 온전히 따르지 않았다. 그는 전리품 중 좋은 것들을 남겨두는 등 불순종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에 실망한 사무엘은 하나님의 뜻에 따라 사울을 대신할 새로운 지도자를 찾아 나섰고, 비밀리에 베들레헴으로 가서 이새의 막내아들인 다윗에게 기름을 부어 다음 왕으로 선택했다. 이 사건은 이스라엘 왕권이 사울 가문에서 다윗 가문으로 넘어가는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6. 2. 왕정 설립과 권력 견제

사무엘이 늙자 그의 두 아들 요엘과 아비야가 브엘세바에서 재판관으로 활동했으나, 뇌물을 받고 재판을 왜곡하는 등 악행을 저질렀다.[69] 이에 불만을 품은 이스라엘 장로들은 사무엘에게 나아가 다른 민족들처럼 자신들을 다스릴 왕을 세워달라고 요구했다.[69]

사무엘은 백성들의 왕 요구를 탐탁지 않게 여겼다. 그는 하나님께 기도했고, 하나님은 백성들이 사무엘이 아닌 하나님 자신을 왕으로 인정하지 않고 버린 것이라고 말씀하시며, 왕정의 위험성을 경고하되 백성들의 요구를 들어주라고 지시했다. 사무엘은 백성들에게 왕이 세워지면 그들의 아들딸들이 군역이나 징용으로 끌려가고, 농작물과 가축의 십분의 일을 세금으로 바쳐야 하며, 결국 왕의 노예와 같은 처지가 될 수 있다고 강력히 경고했다. 그는 "그날 너희가 스스로 택한 왕 때문에 부르짖을 것이나, 주께서는 응답하지 않으실 것"이라고 예언했다. (사무엘상 8:17-18)

그러나 백성들은 사무엘의 경고를 받아들이지 않고, "아닙니다! 우리에게는 왕이 있어야 합니다. 우리도 다른 모든 민족처럼 되어, 우리의 왕이 우리를 다스리며, 우리 앞에 나아가 우리의 싸움을 싸워야 합니다." (사무엘상 8:19-20) 라고 주장하며 왕을 세워줄 것을 고집했다.

결국 사무엘은 하나님의 명령에 따라 베냐민 지파 출신의 사울을 이스라엘의 초대 왕으로 지명했다. 사무엘은 사울의 머리에 기름을 붓고 그가 하나님의 백성을 다스리고 블레셋을 비롯한 주변 적들로부터 구원할 지도자임을 선포했다. (사무엘상 9:16, 10:1) 이후 모든 백성이 모인 자리에서 제비뽑기를 통해 사울이 왕으로 공식 선출되었다. (사무엘상 10:21)

왕정이 수립된 후에도 사무엘의 역할은 끝나지 않았다. 그는 백성들에게 과거 하나님께서 어떻게 그들을 구원해 오셨는지 상기시키며, 미래에도 오직 하나님만이 진정한 구원자임을 강조했다. 또한 자신의 영적 권위를 보여주고 백성들에게 하나님의 능력을 깨닫게 하기 위해, 을 수확하는 건기에 우레와 를 내리는 기적을 행했다. 이를 본 백성들은 하나님과 사무엘을 매우 두려워하게 되었다. (사무엘상 12:17-18) 이는 왕이 세워졌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하나님의 권위가 최우선이며, 사무엘이 그 대리인으로서 왕과 백성을 감독하고 경고하는 역할을 수행함을 보여준다.

사무엘은 사울 왕이 하나님의 뜻에 따라 통치하도록 이끌었지만, 동시에 그의 권력을 견제하는 역할도 수행했다. 대표적으로 사울이 아말렉 사람을 완전히 멸하라는 하나님의 명령을 어기고 전리품을 남기자, 사무엘은 사울을 엄중히 꾸짖고 하나님께서 그를 버리셨음을 선언했다. 나아가 사무엘은 하나님의 새로운 지시에 따라 비밀리에 다윗에게 기름을 부어 차기 왕으로 세웠다. 이는 왕이라 할지라도 하나님의 명령 위에 설 수 없으며, 언제든 폐위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왕정 하에서도 예언자를 통한 하나님의 통치가 계속됨을 시사한다.

6. 3. 정의와 공의 실현

사무엘은 이스라엘의 종교적 지도자인 제사장이자 정치적 지도자인 사사로서 활동했다.[61] 사사는 당시 백성들의 지도자로서 재판을 포함한 여러 역할을 수행했다. 말년에 백성들이 왕정을 요구하자, 사무엘은 왕정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반대했으나, 결국 하나님의 뜻을 받아들여 사울이스라엘의 첫 번째 으로 세웠다. 그러나 사울 왕이 하나님의 명령, 특히 아말렉 사람을 완전히 멸하라는 지시를 따르지 않자, 사무엘은 이를 하나님의 뜻에 어긋나는 불의한 행동으로 보았다. 이에 사무엘은 하나님의 지시에 따라 비밀리에 다윗에게 기름을 부어 그를 이스라엘의 다음 지도자로 선택했다. 이는 기존 왕의 잘못된 행동에 대해 하나님의 공의를 기준으로 새로운 지도자를 세우려 한 행동으로 볼 수 있다.

참조

[1] 논문 The Philistines in the Bible: A Reflection of the Late Monarchic Period?
[2] 웹사이트 Book of Mormon Pronunciation Guide https://www.churchof[...] 2012-02-25
[3] 서적 The Tiberian Pronunciation Tradition of Biblical Hebrew, Volume 1 Open Book Publishers
[4] 웹사이트 Prophet Samuel http://oca.org/saint[...] 2018-02-14
[5] 문서 Elkanah http://www.jewishenc[...] Jewish Encyclopedia
[6] 문서 Elkanah http://biblehub.com/[...] Jewish Encyclopedia
[7] 문서 Elkanah http://www.jewishenc[...] Jewish Encyclopedia
[8] 서적 The Collegeville Bible Commentary: Old Testament https://books.google[...] Liturgical Press
[9] 웹사이트 Samuel the Prophet http://www.chabad.or[...] 2018-02-14
[10] 성경 1 Samuel 1:20
[11] 웹사이트 Hebrew Concordance: śā·mū -- 14 Occurrences https://biblehub.com[...]
[12] 웹사이트 Strong's Hebrew: 410. אֵל (el) -- God, in pl. gods https://biblehub.com[...]
[13] 웹사이트 Akkadian Dictionary: Šiāmu/Šâmu https://www.assyrian[...]
[14] 웹사이트 I Samuel 1:20 https://www.sefaria.[...]
[15] 웹사이트 Radak on Genesis 5:29:1 https://www.sefaria.[...]
[16] 웹사이트 Strong's Hebrew: 7592. שָׁאַל (shaal) -- to ask, inquire https://biblehub.com[...]
[17] 웹사이트 Hebrew Concordance: šā·'ūl -- 2 Occurrences https://biblehub.com[...]
[18] 웹사이트 Book 5 Chapter 10 Section 4 http://www.sacred-te[...] Sacred Texts 2011-10-07
[19] 성경 1 Samuel 3:9
[20] 성경 1 Samuel 3:20
[21] 웹사이트 Ellicott's Commentary for English Readers on 1 Samuel 3 http://biblehub.com/[...] 2017-04-21
[22] 서적 Eerdmans Dictionary of the Bible https://books.google[...] Amsterdam University Press
[23] 서적 The Bible's Prophets: An Introduction for Christians and Jews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Publishers 2013-12-10
[24] 문서 Sub-heading in New International Version
[25] 문서 Sub-heading in New King James Version
[26] 성경 1 Kings 11:5, 33
[27] 성경 2 Kings 23:13
[28] 서적 The Bible Unearthed
[29] 성경 Deuteronomy 25:17–19
[30] 서적 Complete Jewish Bible: An English Version of the Tanakh and B'rit Hadashah Jewish New Testament Publications
[31] 성경 1 Samuel 25:1
[32] 학술지 Muslim Shrines in Palestine
[33] 뉴스 Israel's national parks gear up for weekend tours - Israel News - Jerusalem Post https://www.jpost.co[...] 2019-10-23
[34] 웹사이트 Endor, the Witch of https://www.jewishen[...]
[35] 성경 1 Samuel 19:18ff
[36] 서적 The Unity of the Bible: Exploring the Beauty and Structure of the Bible https://books.google[...] Paulist Press 2003-10-14
[37] 서적 Jewish Encyclopedia 1906
[38] 성경
[39] 성경
[40] 서적 A Brief Introduction to the Old Testament: the Hebrew Bible in its Context Oxford 2009
[41] 성경
[42] 성경
[43] 탈무드 Berakot 31b, Ta'anit 5b, Exodus Rashi 14:4
[44] 성경
[45] 탈무드 Zebahim 32a
[46] 탈무드 Berakot 31b
[47] 탈무드 Berakot 10b, Nedarim 38a, Ta'anit 5b
[48] 탈무드 Bikkurim 6b
[49] 웹사이트 St. Samuel—Blessed with the Spirit of God https://www.ncregist[...] 2024-01-22
[50] 서적 All the Messianic Prophecies of the Bible https://books.google[...] Zondervan 1988-10-14
[51] 서적 The Holy Qur'an: Text, Translation and Commentary
[52] 웹사이트 Search Samuel https://quran.com/se[...] 2023-09-11
[53] 코란
[54] 웹사이트 Some Answered Questions {{!}} Bahá'í Reference Library https://www.bahai.or[...] 2022-04-19
[55] 서적 Encyclopedia of Television Film Directors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09-06-05
[56] 웹사이트 David, My David https://forward.com/[...] 2009-03-26
[57] 웹사이트 ABC's 'Of Kings and Prophets': The bloody parts of the Bible https://www.bostongl[...] The Boston Globe
[58] 웹사이트 Mohammad Bakri as Samuel – Of Kings and Prophets http://abc.go.com/sh[...]
[59] 웹사이트 s:サムエル記上(口語訳)#3:20
[60] 서적 レクラム版 聖書人名小事典
[61] 웹사이트 s:サムエル記上(口語訳)#1:10, [...]
[62] 웹사이트 s:サムエル記上(口語訳)#1:19-2[...]
[63] 웹사이트 s:サムエル記上(口語訳)#2:21
[64] 웹사이트 s:歴代志上(口語訳)#6:27-28
[65] 웹사이트 s:歴代志上(口語訳)#6:33,34
[66] 웹사이트 s:サムエル記上(口語訳)#1:1
[67] 웹사이트 s:歴代志上(口語訳)#第6章
[68] 서적 東洋書林 1996
[69] 웹사이트 s:サムエル記上(口語訳)#8:1-5
[70] 웹사이트 s:サムエル記上(口語訳)#15:24
[71] 문서 사무엘의 족보에 대한 논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