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불화장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불화장품은 1989년 설립된 화장품 회사이다. 1990년대에는 공장 설립, 기술 연구소 인가, 방판 사업본부 설립 등을 통해 성장했으며, 1997년에는 SBS와 톱 탈렌트 선발대회를 공동 주최했다. 2000년대에는 뷰티 브랜드 '레오롬'을 출시하고 기술 개발에 힘썼으며, 2012년에는 제조/판매 법인을 분리하여 ㈜한불보떼를 설립했다. 2017년에는 잇츠스킨과 합병했다. 잇츠스킨을 비롯해 여러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화장품 회사 - 아모레퍼시픽
아모레퍼시픽은 윤독정 여사가 동백기름을 판매하며 시작하여 서성환 회장이 태평양화학공업사를 설립하면서 본격적인 사업을 시작, 연구 개발과 해외 시장 진출을 통해 성장하여 설화수, 라네즈 등 다양한 브랜드를 보유한 화장품 회사이다. - 대한민국의 화장품 회사 - LG생활건강
LG생활건강은 1947년 설립되어 2001년 LG화학에서 분사한 대한민국의 생활용품, 화장품, 음료 제조 및 판매 기업으로, 적극적인 M&A를 통해 사업을 확장하며 '후', '숨37°', '오휘' 등의 고급 화장품 브랜드와 '페리오', '엘라스틴' 등의 생활용품 브랜드를 보유하고 코카콜라 음료를 인수하여 음료 사업도 전개하고 있지만, 기업 문화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2017년 해체된 기업 - 서울메트로
서울메트로는 1981년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로 설립되어 2005년 사명을 변경한 서울특별시의 지하철 운영 기관으로, 서울 지하철 1~4호선과 9호선 일부 구간을 운영하며 서울 대중교통 시스템 발전에 기여했으나 2017년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와 통합되어 서울교통공사로 출범했다. - 2017년 해체된 기업 - 매일유업
매일유업은 1969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유제품 기업으로, 매일우유를 비롯한 다양한 유제품과 음료를 생산하며, 상하목장 등의 브랜드를 운영하고 외식 사업과 사회공헌 활동을 펼치고 있지만, 품질 관리 문제와 해외 시장 진출의 어려움도 겪었다. - 1989년 설립된 기업 - 기술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은 기술보증기금법에 따라 기술보증을 제공하기 위해 설립된 정부출연기관으로, 기술력 있는 중소기업의 자금 조달 지원 및 기술 혁신 촉진을 주요 역할로 한다. - 1989년 설립된 기업 - 시공사
1990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출판사 ㈜시공사는 인문, 사회, 문학, 예술, 아동 등 다양한 분야의 도서를 출판하며, 여러 임프린트 브랜드를 운영하고, 다양한 시리즈를 출간하며, 잡지 발행과 마블 공식 스토어 인수 등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한불화장품 - [회사]에 관한 문서 | |
---|---|
회사 정보 | |
이름 | 한불화장품 주식회사 |
원어 | HANBUL COSMETICS CO.,LTD. |
형태 | 주식회사 |
창립 | 1989년 2월 18일 |
창립자 | 임광정 |
이전 회사 | 해당사항 없음 |
이후 회사 | 잇츠한불 |
해체 | 2017년 5월 2일 |
국가 | 대한민국 |
장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 634 (논현동) |
사업 지역 | 대한민국 중국 대륙 일본 홍콩 타이완 |
대표 이사 | 임병철 |
산업 | 화장품 제조업 |
자본금 | 5,724,495,000원 (2015.12) |
매출액 | 325,413,407,335원 (2015) |
영업 이익 | 123,267,245,295원 (2015) |
순이익 | 80,353,398,972원 (2015) |
자산 총액 | 489,963,955,624원 (2015.12) |
주주 | 임병철: 55.61% 임성철: 15.31% 임진범: 29.08% |
모기업 | 해당사항 없음 |
종업원 | 180명 (2015.12) |
웹사이트 | https://itshanbul.com/ |
주요 자회사 |
2. 연혁
연도 | 내용 |
---|---|
1989년 2월 | 한불화장품㈜ 법인 설립[1] |
1991년 1월 | 임병철 사장, 대표이사 취임[1] |
1991년 10월 | 본사 사옥 이전[1] |
1992년 7월 | 군포공장 가동[1] |
1993년 2월 | 한불기술연구소 인가[1] |
1994년 3월 | 한불화장품㈜ 방판사업본부 설립[1] |
1996년 3월 | 음성공장 준공[1] |
1997년 3월 | SBS와 톱 탤런트 선발대회 공동 주최[1] |
1998년 11월 | 가치경영 최우수 기업상 수상[1] |
1999년 11월 | 한국능률협회 컨설팅 고객 만족 / 기초화장품 부문 1위 선정[1] |
2007년 12월 | 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과 뷰티 브랜드 ‘레오롬(Reorom)’ 업무협약 체결[1] |
2008년 11월 | ‘레오롬’ 브랜드 대한민국 Success Design 수상[1] |
2008년 11월 | ‘레오롬’ 브랜드 대한민국 우수상표 대상 무역협회장상 수상[1] |
2008년 11월 | ‘레오롬’ 브랜드 대한민국 브랜드 대상 지식경제부(현 산업통상자원부)장관상 수상[1] |
2009년 2월 | 임병철 대표이사 보건복지가족부(현 보건복지부) 장관상 수상[1] |
2009년 9월 | R&D 센터 CGMP 인증[1] |
2009년 12월 | ‘레오롬’ 브랜드 ‘2009 베스트 패키지 디자인 어워즈 코리아 대상’ 수상[1] |
2009년 12월 | ‘화이트포커스-LP’ 신소재, 지식경제부(현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주관 <제3회 신기술 인증(NET)> 획득[1] |
2012년 10월 | 한불화장품㈜ 제조/판매 법인 분리, ㈜한불보떼 설립[1] |
2015년 2월 | 환경선언문 선포 |
2015년 9월 | 임병철 회장 취임 |
2015년 11월 | 한불화장품 CI 변경 |
2015년 12월 | 한불 중국 법인 설립 |
2017년 5월 | 잇츠스킨과 합병[2] |
2. 1. 회사 설립 및 성장 (1989년 ~ 1999년)
1989년 2월, 한불화장품㈜ 법인이 설립되었다.[1] 1991년 1월, 임병철 사장이 대표이사로 취임하였고,[1] 같은 해 10월, 본사 사옥을 이전하였다.[1] 1992년 7월에는 군포공장을 가동하기 시작했으며,[1] 1993년 2월에는 한불기술연구소를 설립하여 인가를 받았다.[1]1994년 3월, 한불화장품㈜ 방판사업본부를 설립하였다.[1] 1996년 3월에는 음성공장을 준공하였다.[1] 1997년 3월, 방송국 SBS와 톱 탤런트 선발대회를 공동 주최하였다.[1] 1998년 11월에는 가치경영 최우수 기업상을 수상하였고,[1] 1999년 11월에는 한국능률협회 컨설팅에서 고객 만족 / 기초화장품 부문 1위로 선정되었다.[1]
2. 2. 브랜드 확장 및 기술 개발 (2000년대)
2000년대 한불화장품은 브랜드 확장과 기술 개발에 주력했다. 2007년 12월, 제주특별자치도 하이테크산업진흥원과 뷰티 브랜드 '레오롬(Reorom)'에 대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1] 2008년 11월에는 '레오롬' 브랜드로 대한민국 Success Design 상,[1] 대한민국 우수상표 대상 무역협회장상,[1] 대한민국 브랜드 대상 지식경제부(현 산업통상자원부)장관상을 수상했다.[1]2009년 2월, 임병철 대표이사가 보건복지가족부(현 보건복지부) 장관상을 수상했다.[1] 9월에는 R&D 센터가 CGMP 인증을 획득했다.[1] 12월에는 '레오롬' 브랜드가 '2009 베스트 패키지 디자인 어워즈 코리아 대상'을 수상했고,[1] '화이트포커스-LP' 신소재가 지식경제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가 주관하는 제3회 신기술 인증(NET)을 받았다.[1]
2. 3. 법인 분리 및 합병 (2010년대 ~ 현재)
2012년 10월, 한불화장품㈜은 제조/판매 법인을 분리하여 ㈜한불보떼를 설립하였다.[1] 2017년 5월, ㈜한불보떼는 잇츠스킨과 합병되었다.[2]3. 브랜드
- 잇츠스킨
- ICS
- 루이첼(LUICHEL)
- 바탕(VATANG)
- 이윰(yium)
- 스윗페이스(Sweet Face)
- 오버클래스 아이디
참조
[1]
문서
상법 상 본점 주소
[2]
뉴스
한국-한불화장품, 명암 엇갈린 '형제의 대결'
http://m.thebell.co.[...]
2015-04-10
[3]
뉴스
'한국화장품제조·한불화장품, 한국화장품·잇츠스킨' 올해는 완생(完生)될까
https://web.archive.[...]
포커스뉴스
2016-01-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