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양대학교 총학생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양대학교 총학생회는 한양대학교 학생들의 요구를 수렴하고, 학교 관련 행사를 주관하는 단체이다. 1990년대 후반까지 학생운동의 중심지 역할을 했으며, 2001년 이전까지 운동권 계열이 총학생회를 이끌었다. 이후 비운동권 총학생회인 '소리없는 99%의 명예혁명 (소명)'이 당선되었고, '체인지 포유', '한양을 말하다, SAY' 등 다양한 총학생회가 활동했다. 주요 활동으로는 학생 복지, 축제 및 문화 행사 개최, 등록금 협상 및 정책 참여 등이 있으며, 회계 부정 사건으로 인해 비상대책위원회가 구성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양대학교 총학생회 - 한양대학교 제36대 체인지 포유 총학생회 학생회비 배임 및 횡령사건
    2008년 한양대학교 총학생회 '체인지 포유'의 공약 불이행 및 학생회비 횡령 의혹으로 시작된 이 사건은 비상대책위원회 결성, 회계 부정 의혹 제기, 총학생회 탄핵 및 직무 정지, 그리고 총학생회장의 사퇴 및 횡령 금액 반납으로 이어졌으나, 이후에도 후속 조치 미흡 및 자료 공개 거부 등 논란이 지속되었다.
  • 대한민국의 학생 단체 - 서울대학교 총학생회
    서울대학교 총학생회는 서울대학교 학사과정 재학생으로 구성된 최고 의사결정기구이며, 학생들의 직접 선거로 선출된 총학생회장과 부총학생회장이 전체학생총회, 총투표 등 의결 기구를 통해 학생 운동 및 사회 문제, 학생 복지 증진을 위한 활동을 해 왔다.
  • 대한민국의 학생 단체 - 고려대학교 총학생회
    고려대학교 총학생회는 학생들의 자치기구로서 권익 보호와 학교 발전에 기여하며, 과거 학생운동의 중심으로서 반정부 활동을 주도했고 민주화 이후에도 사회적 이슈에 적극 참여하는 단체이다.
  • 교육에 관한 - 경희대학교 중앙박물관
    경희대학교 중앙박물관 문서는 박물관의 기원과 초기 발전, 한국 사회에서의 발전, 현황, 주요 쟁점, 영향과 전망 등을 다룬다.
  • 교육에 관한 - 울산대학교
    울산대학교는 1969년 울산공과대학으로 설립되어 1985년 종합대학으로 승격된 사립 대학으로, 공업단지 발전을 위한 기술 인력 양성을 목적으로 현대그룹의 지원을 받아 설립되었으며, 현재 11개의 단과대학과 6개의 대학원을 운영하며 다양한 분야의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제공하고 산학협력에도 힘쓰고 있다.
한양대학교 총학생회
기본 정보
명칭한양대학교 총학생회
영문 명칭Hanyang University Student Council
조직
총학생회장총학생회장이 존재함
부총학생회장부총학생회장이 존재함
산하 기관각 단과대학 학생회
동아리 연합회
총여학생회 (존재했다가 폐지)
주요 사업학생들의 권익 보호
학교 정책에 대한 의견 개진
학생 문화 행사 기획 및 진행
사회 참여 활동
역사
설립한양대학교 개교와 함께 설립
주요 활동 연혁1980년대: 민주화 운동 참여
1990년대: 학생 자치 확대
2000년대 이후: 학생 복지 증진 및 사회 참여 강화
특징
역할학생들의 대표 기구로서의 역할
학교와의 소통 창구 역할
선거 방식직접 선거를 통해 선출
참여모든 학부생 및 대학원생 참여 가능
관련 정보
관련 단체전국대학학생회협의회 (참여 및 연대)
웹사이트한양대학교 공식 웹사이트

2. 역사

한양대학교는 총학생회를 중심으로 1990년대 후반까지 '학생운동의 성지'라 불릴 만큼 학생운동과 대한민국의 민주화에 공헌하였다.[3]

한양대학교 총학생회 변천사
기간2001년 이전2002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
조직명운동권 계열소명체인지 포유체인지 포유
정상화운영위원회[4]
SAY터미네이터리얼플랜HTogather클래스 업Solution한마디



2001년 이전까지는 운동권 계열이 총학생회를 주도했다.

2. 1. 2000년대 이후

2000년대 이후 한양대학교 총학생회는 다양한 변화를 겪었다. 2002년 신진수를 중심으로 한 비운동권 총학생회 '소리없는 99%의 명예혁명(소명)'이 처음으로 당선되었다. 소명 총학생회는 비운동권 총학생회 연합을 출범시키고,[5] 한총련 시위 방식이 과격하다는 이유로 한총련을 탈퇴하였다.[3][6]

2006년 소명 총학생회는 분열되었고,[7] 2008년 SAY(Same As You)로 이어졌다. 2007년 한총련 계열 '체인지 포유'가 당선되었으나, 2008년 회계 부정으로 자진 사퇴하였다.[8] 2009년 '한양을 말하다, SAY'가 당선되어 학생 복지 및 사회 공헌 활동을 하고,[9][10] 회계 투명성을 위한 노력을 했다.[11]

2. 1. 1. 소리없는 99%의 명예혁명 (소명)

약칭 '소명'은 신진수를 중심으로 한 선거본부 및 총학생회를 가리킨다. 2002년 최초로 당선된 비운동권 총학생회로, 같은 해 서울 경기지역 14개 대학 총학생회와 함께 비운동권 총학생회 연합을 출범시켰다.[5] 2003년에는 한총련 시위 방식이 과격하다는 이유로[3] 한총련을 정식으로 탈퇴하였다.[6] 2006년 34대 소명 총학생회(2006년)가 '포유'와 '한타스틱'으로 분열된 후,[7] 2008년 33대 소명 총학생회(2005년) 집행부를 중심으로 새롭게 건설된 SAY(Same As You)로 그 맥을 이었다.

2. 1. 2. 체인지 포유

체인지 포유는 한양대학교의 한총련 계열 선거본부 및 총학생회이다. 주요 구성원이나 인맥은 운동권으로 표방되는 한총련, 민주노동당 등과 밀접하나, 기존의 한양대학교 운동권과는 달리 과격한 정치 행동을 삼가고 학생 복지와 관련한 공약도 내세웠다.[8] 2007년 부정선거 의혹 속에 첫 당선자를 배출했으며, 2008년 회계 부정으로 인한 자진 사퇴 전까지 학생회를 운영하고 있었다.[8]

2. 1. 3. 한양을 말하다, SAY

2009년 일반 학우들과 같다는 것을 표방하며 당선된 학생회이다. 학생 복지 및 학교 위상과 관련된 공약을 다수 내걸어 당선되었다.[9] 학생회 간부들의 장학금을 환원하여 제3세계 아동을 살리는 데 기부하는 등 사회 공헌 활동을 하였다.[10] 박종경 졸업생의 문제 제기에 따라 임기 말 외부 회계 감사를 시행하고, 투명 회계 운용을 위해 정식 회계 프로그램을 구입하여 설치하기도 했다.[11]

3. 주요 활동

한양대학교 총학생회는 학생들의 요구 수렴 및 건의, 학교 관련 학생 중심 행사 주관 및 추진, 등록금 협상[12], 학교 관련 정책 참여, 기타 공약 이행 등의 활동을 한다.[12]

3. 1. 학생 복지

한양대학교 총학생회는 학생 복지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업무를 수행한다.

  • 학생들의 요구를 듣고 학교 측에 건의한다.[12]
  • 학교 관련 학생 중심 행사를 주관하고 추진한다.[12]
  • 라치오스 / 별망제 (봄 축제)
  • 애한제 / 밀물제 (가을 축제)
  • MBC FM4U 공개방송
  • 등록금 협상에 참여한다.[12]
  • 학교 관련 정책 결정 과정에 참여한다.[12]
  • 기타 공약 이행을 위해 노력한다.[12]

3. 2. 축제 및 문화 행사

한양대학교 총학생회는 주로 다음과 같은 축제 및 문화 행사를 주관한다.[12]

  • 라치오스/별망제 (봄 축제)
  • 애한제/밀물제 (가을 축제)
  • MBC FM4U 공개방송

3. 3. 등록금 협상 및 정책 참여

한양대학교 총학생회는 등록금 협상[12] 및 학교 관련 정책에 참여한다.

4. 사건/사고

체인지 포유에서 약 1400만의 배임 및 횡령을 한 사건이 있었다. 이 사건은 처음에는 회계부정과 관련이 없는 공약 위반 문제에서 시작되었으나, 이후 비상대책위원회가 구성되어 문제를 제기하면서 회계부정이 드러났고, 결국 2008년 5월 총학생회는 총사퇴하였다.[8]

4. 1. 체인지 포유 총학생회 학생회비 배임 및 횡령 사건

체인지 포유에서 약 1400만의 배임 및 횡령을 한 사건이다. 사건의 발단은 회계부정과는 거리가 먼 공약위반이었다. 이후 결성된 비상대책위원회의 문제제기에 따라 회계부정이 드러났으며, 2008년 5월 총사퇴를 하였다.[8]

5. 관련 단체


  • 소명: 약칭 '소명'은 신진수를 중심으로 한 선거본부 및 총학생회였다. 2002년 최초로 당선된 비운동권 총학생회로, 같은 해 서울 경기지역 14개 대학 총학생회와 함께 비운동권 총학생회 연합을 출범시켰다.[5] 2003년에는 한총련 시위 방식이 과격하다는 것을 이유로 한총련을 정식 탈퇴하였다.[3],[6] 2006년 조직 분열[7]을 겪은 뒤, 2008년 33대 소명 총학생회(2005년) 집행부를 중심으로 새롭게 건설된 SAY(Same As You)로 그 맥이 이어졌다.
  • 체인지 포유: 한양대학교의 한총련 계열 선거본부 및 총학생회였다. 주요 구성원이나 인맥은 운동권으로 표방되는 한총련, 민주노동당 등과 밀접했으나, 기존의 한양대학교 운동권과는 달리 과격한 정치 행동을 삼가고 학생 복지와 관련한 공약을 내세웠다. 2007년 부정선거 의혹 속에 첫 당선자를 배출했으며, 2008년 회계 부정으로 자진 사퇴[8]하기 전까지 학생회를 운영했다.

5. 1. 비상대책위원회 (2008)

2008년 Change4U 총학생회의 공약 불이행을 계기로 한양대학교 서울 자유게시판에서 경제금융대학 박종경 학생 및 4학년이 주축이 되어 결성한 단체이다. 이들은 총학생회 운영 전반에 대한 문제점을 제기하다 회계부정 사실을 밝혀내 총학생회의 총사퇴를 유도했다.[8] 이후 정상화운영위원회 출범에 따라 비상대책위원회는 해체되었다.

5. 2. 정상화운영위원회 (2008)

2008년 'Change4U' 총학생회의 총사퇴로 인한 업무 공백을 메우기 위해 출범한 단체이다. 당시 정보통신대학 회장이었던 김준호 학생을 위원장으로 하여 각 단과대학 회장들로 구성되었다. 총학생회 업무 대행과 회계 부정 사후 처리 등의 업무를 하였으며, 공인회계사 관련 자격증을 보유한 정보기술경영학과 황인용 학생을 주축으로 회계 감사를 실시하였다. 2009년 '한양을 말하다, SAY' 선거운동본부의 당선과 함께 해체되었다.

5. 3. 2기 비상대책위원회 (2018)

2017년 총학생회 선거 과정에서 총학생회장 후보와 낙선운동 대표 간의 공방이 계속되어 논란이 되었고, 총학생회 선거에서 개표 득표율이 50%를 넘지 못해 투표가 무산되었다. 2018년 3월 선거도 무산되어 학기 중 비상대책위원회가 성립되었다.

참조

[1] 문서
[2] 웹인용 한양대학교 연혁 http://www.hanyang.a[...] 2009-09-15
[3] 뉴스 "`학생운동 메카" 한양대,한총련 탈퇴 고민 http://media.daum.ne[...] 연합뉴스 2003-08-14
[4] 문서
[5] 뉴스 비운동권 총학생회연합 첫 출범 http://media.daum.ne[...] 연합뉴스 2002-04-10
[6] 뉴스 한양대 총학 “한총련 탈퇴” http://media.daum.ne[...] 한겨레 2003-10-27
[7] 뉴스 위대한 그들에게 차마 못 했던 이야기 01 - 특명! 총학생회, 정치에서 손을 떼어라? 한양대학교 교지 2009년 가을호 (69호) Moment of Truth 2009-09-22
[8] 뉴스 한양대 학생회, 회비 운용 논란에 총사퇴 http://news.kukinews[...] 국민일보 2009-03-08
[9] 뉴스 서울 배움터 보궐 선거일정 본격 돌입 http://www.hynews.ac[...] 한양대학보 2009-03-22
[10] 뉴스 《테마기획》"어린 생명 살리려고"…국경 넘은 사랑 http://news.sbs.co.k[...] SBS 2009-11-26
[11] 뉴스 총학 회계 또 다시 논란 http://www.hynews.ac[...] 한양대학보 2009-12-30
[12] 뉴스 한 과목만 수강하는데도 수백만 원 내라고?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9-01-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