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울원자력발전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울원자력발전소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울진군에 위치한 원자력 발전소이다. 8기의 원자력 발전 설비가 가동 중이며, 총 설비 용량은 8,700MW이다. 1, 2호기는 가압경수로, 3, 4, 5, 6호기는 OPR-1000형, 신한울 1, 2호기는 APR-1400형 원자로이며, 신한울 3, 4호기는 건설 예정이다. 2004년 이후 고장 및 사고로 인한 가동 중지 건수가 많았으며, 방사성 물질 검출 사례도 보고되었다. 발전소 주변에는 제4기에 활동한 마분동 단층과 검성동 단층이 있어 지진 발생 가능성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원자력 발전소 - 새울원자력발전소
대한민국에 위치한 새울원자력발전소는 신고리 3, 4호기를 통해 총 2,800MW의 전력을 생산하고 있으며, 신고리 5, 6호기가 건설 중으로 2024년과 2025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고 모든 발전기는 가압경수로를 사용한다. - 대한민국의 원자력 발전소 - 월성원자력발전소
월성원자력발전소는 대한민국의 에너지 자립을 위해 건설되었으며 CANDU-6 형식의 월성 1호기를 시작으로 총 4,100MW의 설비용량을 갖추었으나, 월성 1호기는 2019년 영구 정지되었다. - 울진군의 건축물 - 평해역
평해역은 2025년 1월 1일에 개통되어 동해선이 연결되고,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추었으며, 주변에 평해초등학교와 평해향교 대성전이 위치하고 후포역과 기성역이 인접해 있다. - 울진군의 건축물 - 매화역
2025년 1월 1일 개통 예정인 동해선 매화역은 1면 2선의 승강장 구조를 갖춘 철도역으로, 덕신해수욕장과 오산항 인근의 기성역과 울진역 사이에 위치하여 부전역과 강릉역 방면으로 연결될 예정이다. - 대한민국의 발전소 - 수력 발전
수력 발전은 물의 위치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으로, 수차와 발전기를 통해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며, 다양한 운용 방식이 존재하나 댐 건설로 인한 환경 문제 등의 과제도 안고 있는 탄소 중립 시대의 중요한 신재생 에너지원이다. - 대한민국의 발전소 - 팔당댐
팔당댐은 수도권 지역에 생활용수를 공급하고 전력을 생산하는 다목적 댐으로, 팔당호는 한때 유원지였으나 상수원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으며, 댐 관리교는 차량 통행이 일부 제한된다.
한울원자력발전소 |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한울원자력발전소 |
위치 | 경상북도 울진군 북면 |
상태 | 운영 중 |
소유자 | 한국수력원자력 |
운영자 | 한국수력원자력 |
냉각원 | 동해 |
웹사이트 | 한울원자력발전소 웹사이트 |
역사 | |
착공 (1호기) | 1983년 1월 26일 |
착공 (2호기) | 1983년 7월 5일 |
착공 (3호기) | 1993년 7월 21일 |
착공 (4호기) | 1993년 11월 1일 |
착공 (5호기) | 1999년 10월 1일 |
착공 (6호기) | 2000년 9월 29일 |
착공 (7호기) | 2012년 7월 10일 |
착공 (8호기) | 2013년 6월 19일 |
착공 (9호기) | 2024년 10월 30일 |
착공 (10호기) | 2024년 10월 30일 |
상업 운전 (1호기) | 1988년 9월 10일 |
상업 운전 (2호기) | 1989년 9월 30일 |
상업 운전 (3호기) | 1998년 8월 11일 |
상업 운전 (4호기) | 1999년 12월 31일 |
상업 운전 (5호기) | 2004년 7월 29일 |
상업 운전 (6호기) | 2005년 4월 22일 |
상업 운전 (7호기) | 2022년 6월 9일 |
상업 운전 (8호기) | 2023년 12월 21일 |
원자로 정보 | |
원자로 형식 | PWR |
원자로 공급사 | KEPCO/KHNP |
열출력 용량 (1호기) | 2785 MWth |
열출력 용량 (2호기) | 2775 MWth |
열출력 용량 (3, 4, 5호기) | 2825 MWth |
열출력 용량 (6호기) | 2815 MWth |
발전 설비 정보 | |
운영 중인 발전기 수 및 용량 | 1 x 968 MW, 1 x 969 MW, 2 x 997 MW, 1 x 999 MW, 1 x 998 MW, 2 x 1340 MW |
발전기 모델 | 2 x France CPI, 4 x OPR-1000, 2 x APR-1400 |
계획 중인 발전기 수 및 용량 | 2 x 1340 MW APR-1400 |
총 전기 용량 | 7268 MW |
설비 이용률 | 76.63% |
연간 발전량 (2016년) | 39,795 GW·h |
2. 발전설비 현황
wikitable
발전방식 | 발전원 | 설비용량 | 상업운전 개시일 | 원자로형 | 소계 (MW) | ||
---|---|---|---|---|---|---|---|
원자력 | 원자력 | 1호기 | 950MW | 1988년 9월 10일 | 가압경수로 (PWR) | 8,700 | |
2호기 | 950MW | 1989년 9월 30일 | |||||
3호기 | 1,000MW | 1998년 8월 11일 | OPR-1000 | ||||
4호기 | 1,000MW | 1999년 12월 31일 | |||||
5호기 | 1,000MW | 2004년 7월 29일 | |||||
6호기 | 1,000MW | 2005년 4월 22일 | |||||
신 1호기 | 1,400MW | 2022년 12월 7일 | APR-1400 | ||||
신 2호기 | 1,400MW | 2024년 4월 5일 | |||||
설비용량 총계 | 8,700MW | ||||||
원자력 | 원자력 | ||||||
신 3호기 | 1,400MW | 공사 예정 (2032년 10월 예정)[22] | APR-1400 | 2,800 | |||
신 4호기 | 1,400MW | 공사 예정 (2033년 10월 예정) | |||||
설비용량 총계 | 2,800MW | ||||||
2. 1. 가동 중인 원자로
한울원자력발전소에는 총 8기의 원자로가 가동 중이다. 1, 2호기는 프랑스 CPI 설계를 기반으로 한 950MW급 가압경수로이며, 각각 1988년 9월 10일과 1989년 9월 30일에 상업운전을 시작했다.[10][11] 3, 4, 5, 6호기는 OPR-1000형 1000MW급 가압경수로이며, 1998년 8월 11일, 1999년 12월 31일, 2004년 7월 29일, 2005년 4월 22일에 각각 상업운전을 시작했다.[12][13][14][15]이후 건설된 신한울 1, 2호기는 APR-1400형 1400MW급 가압경수로이며, 2022년 12월 7일과 2024년 4월 5일에 상업운전을 시작했다.[16][17][18] 가동 중인 8기 원자로의 설비용량 총계는 8,700MW이다.
발전방식 | 발전원 | 호기 | 설비용량 | 상업운전 개시일 | 원자로형 | 소계 (MW) | |
---|---|---|---|---|---|---|---|
원자력 | 원자력 | 1호기 | 950MW | 1988년 9월 10일 | 가압경수로 (PWR) | 8,700 | |
2호기 | 950MW | 1989년 9월 30일 | |||||
3호기 | 1,000MW | 1998년 8월 11일 | OPR-1000 | ||||
4호기 | 1,000MW | 1999년 12월 31일 | |||||
5호기 | 1,000MW | 2004년 7월 29일 | |||||
6호기 | 1,000MW | 2005년 4월 22일 | |||||
신 1호기 | 1,400MW | 2022년 12월 7일 | APR-1400 | ||||
신 2호기 | 1,400MW | 2024년 4월 5일 | |||||
설비용량 총계 | 8,700MW |
2. 2. 건설 예정인 원자로
신한울 3호기와 신한울 4호기는 각각 1,400MW 용량의 APR-1400 원자로로, 2032년 10월과 2033년 10월에 준공될 예정이다.[22] 두 원자로는 2024년 10월 30일에 건설이 시작될 예정이다.[19]3. 고장 및 사고
2004년 이후 고장 사고로 인한 가동 중지 건수가 21건으로, 전체 원자력 발전소 41건의 절반을 차지하여 2007년에 대한민국에서 최다 가동 중지 원자력 발전소로 기록되었으며, 직원의 조작 실수로 인한 고장, 정지 건도 총 8건 가운데 이곳이 5건을 차지하였다.[23]
2007년 1월 ~ 4월 사이 배수구 해조류(진지리)에서 인공 방사성핵종인 니오븀-95(95Nb)가 검출되었다.[23] 또한 방사성 은(Ag-110m)이 발전소 배수구에서 1992년 이후 20년째 발견되었다. 방사성 은은 원자로의 연료봉에 사용된 은이 방사화되어 만들어진 물질로, 원전의 중대사고 발생 시 흔히 발견되는 핵종이다.[24]
3. 1. 주요 고장 및 사고
2004년 이후 고장 사고로 인한 가동 중지 건수가 21건으로, 대한민국의 원자력 발전소 전체 가동 중지 41건의 절반을 차지하여 2007년에 대한민국에서 최다 가동 중지 원자력 발전소로 기록되었다.[23] 직원의 조작 실수로 인한 고장, 정지 건도 총 8건 가운데 한울원자력발전소가 5건을 차지하였다.[23]2007년 1월부터 4월 사이에는 배수구 해조류(진지리)에서 인공 방사성핵종인 niobium영어-95(95Nb)가 검출되었다.[23] 또한 방사성 은(Ag-110m)이 발전소 배수구에서 1992년 이후 20년째 발견되었다. 방사성 은은 원자로의 연료봉에 사용된 은이 방사화되어 만들어진 물질로, 원전의 중대사고 발생 시 흔히 발견되는 핵종이다.[24]
3. 2. 방사성 물질 검출
2004년 이후 고장 사고로 인한 가동 중지건수가 21건으로, 전체 원자력 발전소 41건의 절반을 차지하여 2007년에 대한민국에서 최다 가동 중지 원자력 발전소로 기록되었으며, 직원의 조작 실수로 인한 고장, 정지건도 총 8건 가운데 이곳이 5건을 차지하였다.[23]2007년 1월 ~ 4월 사이 배수구 해조류(진지리)에서 인공 방사성핵종인 니오븀-95(95Nb)가 검출되었다.[23] 또한 방사성 은(Ag-110m)이 발전소 배수구에서 1992년 이후 20년째 발견되었다. 방사성 은은 원자로의 연료봉에 사용된 은이 방사화되어 만들어진 물질로, 원전의 중대사고 발생 시 흔히 발견되는 핵종이다.[24]
4. 지질학적 위험 요소
한울원자력발전소 주변에서 제4기에 활동한 '''마분동 단층과 검성동 단층'''이 보고되었다.[25] 영남 지괴에 속하는 울진군 지역은 대부분 선캄브리아기의 암석으로 구성되어 있긴 하지만 제4기에 활동했음이 확인된 매화 단층을 포함 10개 이상의 단층이 확인된 곳이다. 2004년에는 해역에서 규모 5.2의 강한 지진이 발생한 적도 있다.
- '''마분동 단층'''은 한울원자력발전소가 위치한 울진군 북면 덕천리에 위치한 북서 주향의 단층이다. 평균적으로 북서 40-50°의 주향과 남서 70-80°의 경사를 보이는 주향 이동 단층으로 우수향 및 좌수향 운동 감각이 우세하나 경사 이동을 지시하는 단층조선도 관찰된다. ESR 연대측정 결과 F99 지점(N37°05'08.2", E129°22'30.4")에서 308±30ka에 최후기 단층 운동을 하였으며 F225 지점(N37°04'59.83", E129°23'15.50")에서는 407±69 ka, 648±147 ka 등 '''제4기에 최소 두 번 활동'''한 것으로 확인되었다.[21]
- '''검성동 단층'''은 울진군 북면 부구리를 중심으로 남-북 방향으로 발달하는 단층이다. 한울원자력발전소에서 서쪽으로 5 km 지점에 위치하며 ESR 연대측정 결과는 1,050±144 ka이므로 최후 운동 시기는 제4기 플라이스토세에 해당하는 약 105만년 전으로 해석된다.[21]
4. 1. 활성단층
한울원자력발전소 주변에서 제4기에 활동한 '''마분동 단층과 검성동 단층'''이 보고되었다.[25] 영남 지괴에 속하는 울진군 지역은 대부분 선캄브리아기의 암석으로 구성되어 있긴 하지만 제4기에 활동했음이 확인된 매화 단층을 포함 10개 이상의 단층이 확인된 곳이다. 2004년에는 해역에서 규모 5.2의 강한 지진이 발생한 적도 있다.마분동 단층은 북서 40-50°의 주향과 남서 70-80°의 경사를 보이는 주향 이동 단층으로, ESR 연대측정 결과 제4기에 최소 두 번 활동한 것으로 확인되었다.[21] 검성동 단층은 한울원자력발전소에서 서쪽으로 5 km 지점에 위치하며, ESR 연대측정 결과 최후 운동 시기는 제4기 플라이스토세에 해당하는 약 105만년 전으로 해석된다.[21]
4. 2. 지진 발생 가능성
한울원자력발전소 주변에서는 제4기에 활동한 마분동 단층과 검성동 단층이 보고되었다.[25] 울진군 지역은 대부분 선캄브리아기의 암석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제4기에 활동했음이 확인된 매화 단층을 포함 10개 이상의 단층이 확인된 곳이다. 2004년에는 해역에서 규모 5.2의 강한 지진이 발생하기도 했다.[25]마분동 단층은 북면 덕천리에 위치한 북서 주향의 단층이다. 평균적으로 북서 40-50°의 주향과 남서 70-80°의 경사를 보이는 주향 이동 단층으로 우수향 및 좌수향 운동 감각이 우세하나 경사 이동을 지시하는 단층조선도 관찰된다. ESR 연대측정 결과 제4기에 최소 두 번 활동한 것으로 확인되었다.[21]
검성동 단층은 울진군 북면 부구리를 중심으로 남-북 방향으로 발달하는 단층이다. 한울원자력발전소에서 서쪽으로 5 km 지점에 위치하며, ESR 연대측정 결과 최후 운동 시기는 제4기 플라이스토세에 해당하는 약 105만년 전으로 해석된다.[21]
5. 논란
5. 1. 윤석열 정부의 원전 확대 정책
5. 2. 비판적 시각
참조
[1]
웹사이트
Korea, Republic of
http://pris.iaea.org[...]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2012-05-05
[2]
웹사이트
Ulchin Nuclear Power Complex (울진 원자력발전소)
http://www.nti.org/f[...]
Nuclear Threat Initiative
2014-01-07
[3]
웹사이트
Korean nuclear plants renamed
http://www.world-nuc[...]
World Nuclear Association
2013-05-21
[4]
뉴스
Celebrations at South Korean groundbreaking
http://world-nuclear[...]
2012-05-08
[5]
웹사이트
Fuel loading completed at Shin Hanul 1 : New Nuclear – World Nuclear News
https://www.world-nu[...]
[6]
웹사이트
South Korean APR-1400 starts up : New Nuclear – World Nuclear News
https://www.world-nu[...]
[7]
웹사이트
Korean reactor starts supplying electricity : New Nuclear - World Nuclear News
https://www.world-nu[...]
2023-12-08
[8]
뉴스
S. Korea starts work on two new nuclear reactors
http://english.yonha[...]
2012-05-04
[9]
웹사이트
Construction permit granted for new Korean APR1400 units
https://world-nuclea[...]
2024-09-12
[10]
웹사이트
Ulchin-1
http://www.iaea.org/[...]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2012-05-05
[11]
웹사이트
Ulchin-2
http://www.iaea.org/[...]
IAEA
2012-05-05
[12]
웹사이트
Ulchin-3
http://www.iaea.org/[...]
IAEA
2012-05-05
[13]
웹사이트
Ulchin-4
http://www.iaea.org/[...]
IAEA
2012-05-05
[14]
웹사이트
Ulchin-5
http://www.iaea.org/[...]
IAEA
2012-05-05
[15]
웹사이트
Ulchin-6
http://www.iaea.org/[...]
IAEA
2012-05-05
[16]
웹사이트
Korean reactor starts supplying electricity : New Nuclear – World Nuclear News
https://www.world-nu[...]
2022-08-13
[17]
웹사이트
New nuclear in South Korea
http://www.world-nuc[...]
WNA
2012-07-31
[18]
웹사이트
Nuclear Power in South Korea
http://www.world-nuc[...]
World Nuclear Association
2012-04-01
[19]
웹사이트
South Korea breaks ground for two new reactors
https://www.world-nu[...]
2024-10-30
[20]
뉴스
『霊光原発→ハンビッ原発に改名』 毎日経済2013年5月8日付
http://news.naver.co[...]
[21]
뉴스
영광원전→한빛원전 개명
https://news.naver.c[...]
매일경제
2013-05-08
[22]
뉴스
신한울 3·4호기 건설 연인원 722만명 투입…지역경제 활력
https://www.yeongnam[...]
2023-11-20
[23]
웹인용
왜 울진原電만 이런일이?…가동중단 사고 최다
http://www.imaeil.co[...]
매일신문
2007-08-08
[24]
뉴스
방사성 銀, 울진 원전서 20년째 발견
http://news20.busan.[...]
부산일보
2011-04-04
[25]
웹인용
활성단층지도 및 지진위험지도 제작
http://www.ndmi.go.k[...]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