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울진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울진군은 경상북도 북동단에 위치하며 동해에 면한 군이다. 고구려 시대에는 우진야현으로 불렸으며, 남북국 시대에 울진으로 개칭되었다. 조선 시대에는 울진현과 평해군으로 나뉘어 울릉도를 관할했으며, 일제강점기에 평해군이 통합되어 현재의 울진군이 되었다. 1963년 경상북도에 편입되었으며, 2읍 8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산업은 농업, 임업, 수산업이며, 특히 리튬 광산이 위치해 있다. 교통은 국도와 철도가 있으며, 관광 자원으로는 성류굴, 백암온천, 망양정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울진군 - 평해읍
    평해읍은 경상북도 울진군에 속한 읍으로, 1980년 12월 1일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조선 시대에는 동해안의 주요 항구였고, 현재는 한국원자력마이스터고등학교가 위치하며, 국도 제7호선과 국도 제88호선이 지나가고, 울진 월송정과 평해향교 대성전 등의 명소가 있다.
  • 울진군 - 구주령
    경상북도 울진군과 영양군을 잇는 구주령은 국도 제88호선 상의 고개로, 정상에는 휴게소와 옥녀당 사당이 있으며, 특히 휴게소 일대에는 백악기 지질 구조가 대규모로 드러나 있고, 옥녀당에는 조선시대 옥녀의 죽음과 관련된 전설이 전해진다.
  • 경상북도의 군 - 칠곡군
    칠곡군은 경상북도에 위치한 군으로, 낙동강을 경계로 충적평야가 발달했으며, 1640년 칠곡도호부 설치 후 여러 번의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 3읍 5면으로 구성되어 있고, 섬유, 전자 관련 산업이 발달하였으며, 가산산성, 칠곡호국평화기념관 등의 관광지와 경부선, 중앙고속도로를 갖추고 있다.
  • 경상북도의 군 - 의성군
    의성군은 경상북도 중부에 위치하며, 신라 시대 조문국으로 불렸고 고려 시대에 의성이라는 이름을 얻었으며, 백악기 지질과 국가지질공원이 존재하고, 1914년 비안군과 용궁군 일부가 통합되었고, 대륙성 기후와 한지형 마늘 주산지, 그리고 대한민국 컬링의 중심지로 컬링훈련원이 있는 군이다.
  • 1914년 폐지 - 서빙고동
    서빙고동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의 법정동이며, 동빙고동, 주성동, 용산동6가와 함께 용산구의 중요 지역을 구성하고, 서빙고 부군당, 서빙고로, 서울서빙고초등학교, 서빙고역 등의 주요 시설이 위치하며 반포대교, 동작대교를 통해 다른 지역과 연결되고 경의·중앙선 서빙고역을 통해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다.
  • 1914년 폐지 - 담양군
    담양군은 다양한 농산물과 대나무 공예품으로 유명하며, 소쇄원과 죽녹원 등의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문화유적을 가진 관광지이며, 1읍 11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메타세쿼이아 가로수길과 같은 관광 명소가 있고 고속도로 등의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울진군
지도 정보
대한민국 경상북도 울진 위치
대한민국 내 위치
기본 정보
공식 명칭울진군
한자 표기蔚珍郡
로마자 표기Uljin-gun
McCune-Reischauer 표기Ulchin-gun
국가대한민국
지역영남
과거 지역관동 (1963년 이전)
방언경상 방언, 강원 방언
행정 구역
종류
하위 행정 구역2 , 8
면적
총 면적989.06 제곱킬로미터
인구
총 인구46,112 명
인구 밀도61.7 명/제곱킬로미터
인구 조사 기준일2024년 9월
정치 및 행정
정부 형태울진군
군수임광원
상징
울진군 엠블럼
울진군 엠블럼
울진군 기
울진군 기
군의 나무울진소나무
군의 꽃매화
군의 새갈매기
기타
웹사이트울진군 공식 웹사이트

2. 역사

울진군은 본래 고구려의 우진야현(于珍也縣)이었으며 남북국 시대 때 울진으로 개칭되었다.[28] 고려 시대에는 울진현과 평해군으로 나뉘어 있었다.[29] 조선 시대에는 울진현에 울진포영(浦營)을 설치하고 수군만호(水軍萬戶)를 두었으며, 평해군은 울릉도를 관할하였다.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강릉부 울진군·평해군으로 개편되었다가,[28] 1896년 8월 4일 강원도 울진군·평해군이 되었다.[29] 1914년 일제강점기평해군이 울진군에 통합되어 현재의 울진군이 되었다.[8] 1950년 한국 전쟁 중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의해 일시 점령되었다가 대한민국이 수복하였다.

1963년 1월 1일 강원도에서 경상북도로 편입되었다.[30][13]

2. 1. 주요 사건

3. 지리

경상북도의 북동단에 위치하며 동해에 면하고 있다. 군내는 거의 화강편마암 지형으로 되어 있으며 서쪽 군계를 태백산맥이 남으로 뻗어 있다. 그리하여 험준한 산악이 많고 동해를 향하여 급경사를 이루어, 해안에는 약간의 좁고 긴 해안평야가 있으며, 해안단구와 카르스트 지형이 곳곳에 발달하여 있다. 하천은 남쪽의 남대천과 북쪽의 왕피천이 각각 동해로 유입되나 물결이 빠르고 유로가 짧다. 1,000m가 넘는 높은 산으로 통고산(1,067m)·백암산(1,004m) 등이 있다. 면적 989.05km2, 인구 51,139명(2017. 8)이다.

동해에 면해 있다. 남북으로 길게 뻗어 있으며, 북쪽에는 울진읍, 남쪽에는 평해읍이 있다.

3. 1. 기후



울진군은 동해에 면하고 있어 바다의 영향을 크게 받아 겨울에도 온난하며, 때때로 푄 현상으로 기온이 올라간다.[34][35] 연평균 기온은 12.8°C, 1월 평균기온은 1.4°C, 8월 평균기온은 23.9°C이며,[34][35] 연평균 강수량은 1,182mm이다.[34][35] 최고 기온 극값은 37.8°C(2013년 8월 8일), 최저 기온 극값은 -14.1°C(1981년 2월 26일)이다.[34][35]

울진은 쾨펜 기후 분류 상 온난 습윤 기후(''Cfa'')의 더 서늘한 변형을 보인다.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C)6.57.911.817.221.123.326.827.524.120.114.58.917.5
평균 기온 (°C)1.43.06.912.116.319.423.123.920.015.19.33.612.8
평균 최저 기온 (°C)-2.9-1.62.17.111.816.020.321.116.310.44.4-1.08.7
강수량 (mm)48.936.956.076.470.5104.3203.0213.0181.297.361.033.21,181.7


3. 2. 지질

울진군은 영남 육괴의 북동부 끝 지역에 위치하여, 선캄브리아기 암석이 가장 넓게 분포하며, 남부 평해읍온정면 지역에는 경상 분지의 경상 누층군 퇴적암층이 소규모로 분포한다.[36] 선캄브리아기의 암석은 울진군 중부와 남부에 분포하는 원남층군을 기반으로 하여 그 위에 부정합으로 덮인 율리층군이 있고 이들을 관입한 화강편마암류가 있다.[37] 중생대에 관입한 화강암류는 소규모로만 분포한다.

울진군 지역에는 대규모의 단층은 지나지 않고 소규모의 단층들이 많이 분포하는데, 그중에는 제4기활동한 단층도 있고 한울원자력발전소 근처에 위치한 단층도 있다. 울진군 해역에는 후포 단층이 지난다.

후포 단층


'''울진 보암광산''', '''울진 리튬광산'''은 울진군 서면 왕피리 일대에 발달하는 리튬 광상이다. 변성퇴적암류로는 원남층(준편마암), 그 위에 정합으로 놓이는 동수곡층과 장군 석회암층, 율리층군과 이를 관입한 왕피리화강편마암으로 구성되며 리튬광상은 장군석회암층의 중앙부를 층리면에 나란하게 관입한 길이 약 1 km의 희유원소 페그마타이트(rare-element pegmatite) 및 그 연변부에 발달한 홍운모-엘바이트 영운암으로 구성된다. 리튬의 함량은 서부광체가 1130~1584 ppm, 본-부본광체(main-submain orebody)가 589~5280 ppm, 동부광체가 4474 ppm이다.[38]

울진군 서면 왕피리 일대에서는 1945~1963년에 180톤의 고품위 리튬 광석이 채굴되었으며,[39] 저품위 광체는 Li2O 평균함량이 1.69%, 고품위 광체는 3% 를 함유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선캄브리아기의 장군석회암내에 배태된 보암 리튬광상은 각력상으로 산출되는 리튬광체와 페그마타이트-반화강암 맥을 따라 산출되는 맥상 리튬광체로 이루어져 있다. 각력상 리튬광체와 맥상 리튬광체 모두 석영과 리튬 운모인 레피돌라이트(lepidolite)에 함유된다. 각력상 광석과 맥상 광석의 Li2O 함량은 각각 평균 4.70 wt.%와 1.88 wt.% 로 각력상 리튬광체가 더 많은 리튬을 함유하고 있다. 리튬 운모인 레피돌라이트에 대한 K-Ar 연령 측정 결과 각력상 리튬광석으로부터 분리한 레피돌라이트는 169.3~160.1 Ma, 맥상 리튬광석에서 분리한 레피돌라이트는 160.8~154.6 Ma 로 리튬 광화 작용은 주로 쥬라기 중기에서 말기 동안에 일어난 것을 알 수 있다.[40]

선캄브리아기 장군 석회암층에 발달하고 있는 울진 성류굴의 모습.

4. 행정 구역

울진군의 행정 구역은 2읍 8면(울진읍, 평해읍, 북면, 금강송면, 근남면, 매화면, 기성면, 온정면, 죽변면, 후포면)으로 구성되어 있다.[41] 1914년 4월 1일 평해군이 울진군에 편입되었다.[8] 울진군의 면적은 989.10km2이며, 2012년 말 기준으로 인구는 23,864세대, 52,681명이다. 1966년 117,602명을 기록한 이후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다 2015년부터 소폭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41]

울진군 행정구역도


읍면한자세대인구면적
울진읍蔚珍邑5,83314,66881.31
평해읍平海邑1,7193,31237.19
북면北面3,4777,245142.06
금강송면金剛松面8251,487298.29
근남면近南面1,5072,92457.83
매화면梅花面1,3222,406101.54
기성면箕城面1,6352,85698.56
온정면溫井面1,0631,934131.82
죽변면竹邊面3,7027,70918.34
후포면厚浦面3,8708,56222.16



울진군은 삼국 시대 고구려에 의해 현재의 울진에 우진야군(우이군), 현재의 평해에 근을어현이 설치되었다. 505년 신라의 영역이 되었고, 757년 12월 명주에 속해 울진군이 되었다. 940년 고려 왕조에 의해 울진현·평해현, 1413년 10월 조선 왕조에 의해 울진현과 평해군이 설치되었다. 1895년 5월 강릉부에 속했다가 1896년 8월 강원도에 속하게 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에 따라 평해군이 울진군에 통합되어 8면(삼화면·북면·근남면·원남면·서면·월송면·온정면·평해면)이 되었다.[8] 1917년 삼화면이 울진면으로 개칭되었고, 1953년 평해면과 울진면에 각각 후포출장소와 죽변출장소가 설치되었다. 1963년 강원도에서 경상북도로 소속이 변경되었으며,[13] 1979년 울진면, 1980년 평해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15][16] 1986년 울진읍 죽변출장소와 평해읍 후포출장소가 각각 죽변면, 후포면으로 승격하여 2읍 8면 체제가 되었다.[18] 2015년 서면이 금강송면, 원남면이 매화면으로 개칭되었다.[20]

2022년 3월 4일 대규모 산불이 발생하여 금강송 군락지가 소실되고, 강원도 삼척시로 번지는 피해가 발생했다.[21][22]

5. 인구

1966년 117,426명을 기록한 이후 울진군의 인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42] 2017년 기준 인구는 51,139명이다.[42]

연도총인구
1960년104,077명
1966년117,426명
1970년109,475명
1975년105,096명
1980년90,723명
1985년87,767명
1990년69,990명
1995년64,444명
2000년60,011명
2005년51,279명
2010년47,108명
2015년53,013명
2017년51,139명



2010년대에 들어서 감소세가 멈추고 2015년에는 소폭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기도 했다.[42]

6. 산업

, 보리, , 조, 누에고치, 양봉 등이 주요 농산물이다. 임야 면적은 84,719ha이며 그 중 87%가 성림지로 입목 축적이 많다. 특히 서부의 태백 산지에는 적송(赤松)의 미림(美林)이 많아 용재의 산출이 많으며 약초, 버섯 등도 많이 산출된다. 수산업의 중심지는 후포로서 꽁치·오징어·명태·정어리의 어획이 많고, 게·새우·전복 등도 많이 잡힌다.[2]

철광·금·은·납·텅스텐·몰리브덴·주석·구리·아연·흑연·석회암 등의 매장이 많으나 가행 광구는 200여 개의 광구 중 4개이다. 또한 리튬 광산이 있다.(울진군의 지질) 죽변과 후포에는 통조림 공업이 성하고, 누에고치 생산량은 적으나 울진군에 있어서는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현지 가공을 위해 제사 공장이 건설되었다.

울진 원자력발전소는 대한민국의 4개 원자력발전소 중 하나로, 북면에 위치해 있다. 이 발전소는 현재 6기의 원자로를 운영하고 있으며, 울진군과 그 지역의 주요 고용 창출원이다.[2] 군의 나무는 울진 소나무이다.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고포 미역, 울진대게, 송이 등[25]이 유명하다.

'''광업'''

울진군에는 철, 금, 은, 납, 텅스텐, 몰리브덴, 주석, 구리, 아연, 흑연, 석회암 등 다양한 광물이 매장되어 있으며, 200여 개의 광구 중 4개가 가행 중이다. 특히 울진군 서면 왕피리 일대에는 리튬 광산이 발달해 있다. 이 광산은 변성퇴적암류인 원남층(준편마암) 위에 정합으로 놓이는 동수곡층과 장군 석회암층, 율리층군과 이를 관입한 왕피리화강편마암으로 구성되며, 리튬광상은 장군석회암층의 중앙부를 층리면에 나란하게 관입한 길이 약 1 km의 희유원소 페그마타이트(rare-element pegmatite) 및 그 연변부에 발달한 홍운모-엘바이트 영운암으로 구성된다.

1945~1963년에 180톤의 고품위 리튬 광석이 채굴되었으며, 저품위 광체는 Li2O 평균함량이 1.69%, 고품위 광체는 3% 를 함유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각력상 리튬광체와 맥상 리튬광체 모두 석영과 리튬 운모인 레피돌라이트(lepidolite)에 함유된다. 각력상 광석과 맥상 광석의 Li2O 함량은 각각 평균 4.70 wt.%와 1.88 wt.% 로 각력상 리튬광체가 더 많은 리튬을 함유하고 있다. 리튬 운모인 레피돌라이트에 대한 K-Ar 연령 측정 결과 각력상 리튬광석으로부터 분리한 레피돌라이트는 169.3~160.1 Ma, 맥상 리튬광석에서 분리한 레피돌라이트는 160.8~154.6 Ma 로 리튬 광화 작용은 주로 쥬라기 중기에서 말기 동안에 일어난 것을 알 수 있다.

6. 1. 광업

울진군에는 철, 금, 은, 납, 텅스텐, 몰리브덴, 주석, 구리, 아연, 흑연, 석회암 등 다양한 광물이 매장되어 있으며, 200여 개의 광구 중 4개가 가행 중이다.[38][39][40] 특히 울진군 서면 왕피리 일대에는 리튬 광산이 발달해 있다. 이 광산은 변성퇴적암류인 원남층(준편마암) 위에 정합으로 놓이는 동수곡층과 장군 석회암층, 율리층군과 이를 관입한 왕피리화강편마암으로 구성되며, 리튬광상은 장군석회암층의 중앙부를 층리면에 나란하게 관입한 길이 약 1 km의 희유원소 페그마타이트(rare-element pegmatite) 및 그 연변부에 발달한 홍운모-엘바이트 영운암으로 구성된다.[38]

1945~1963년에 180톤의 고품위 리튬 광석이 채굴되었으며,[39] 저품위 광체는 Li2O 평균함량이 1.69%, 고품위 광체는 3% 를 함유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각력상 리튬광체와 맥상 리튬광체 모두 석영과 리튬 운모인 레피돌라이트(lepidolite)에 함유된다. 각력상 광석과 맥상 광석의 Li2O 함량은 각각 평균 4.70 wt.%와 1.88 wt.% 로 각력상 리튬광체가 더 많은 리튬을 함유하고 있다. 리튬 운모인 레피돌라이트에 대한 K-Ar 연령 측정 결과 각력상 리튬광석으로부터 분리한 레피돌라이트는 169.3~160.1 Ma, 맥상 리튬광석에서 분리한 레피돌라이트는 160.8~154.6 Ma 로 리튬 광화 작용은 주로 쥬라기 중기에서 말기 동안에 일어난 것을 알 수 있다.[40]

7. 교통

울진군은 고속도로가 없고 남북으로 관통하는 국도 제7호선 동서로 관통하는 국도 제36호선평해읍영양군을 연결하는 국도 제88호선이 있을 뿐이다. 국도 제7호선은 20년간의 확장 공사 끝에 모든 구간의 4차선 확장공사 및 직선화가 완료되었으며 제한속도도 80km/h로 향상되었다.경기/강원 구간의 경우 서울특별시까지의 소요시간이 4시간 전후로 앞당겨졌으며 국도 36호선은 봉화 현동과 울진간 확장계획이 있으나 최근 교통량수요 재조사로 인해 착공이 불투명하다. 추후 동해고속도로 영덕 ~ 삼척 구간이 개통되면. 울진군을 경유할 예정이다.

2021년 현재 울진군 관내에는 철도역이 존재하지 않으며, 가장 가까운 철도역은 봉화군과의 경계에 위치한 영동선양원역이다. 2024년동해선영덕역 - 삼척역 구간이 개통되며 이때 울진역이 생길 예정이다. 장기계획으로 영동선동해선을 연결하는 울진-분천선이 계획되어 있다.

울진공항은 건설되었지만, 저조한 사업성 때문에 개항되지 못하고 2010년에 울진비행교육훈련원으로 개장했다.

그리고 후포와 울릉도간에는 정기 항로가 있다. 2010년 기준으로 동해대로의 확장으로 인해 포항시 - 강릉시등 주요 항구도시들로 쉽게 갈수 있게 되었다.

8. 관광

울진군은 천혜의 자연경관과 다양한 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울진읍 남쪽은 왕피천 하구에 연결되어 비교적 넓은 평야지대이다. 이 지대는 해안단구가 발달되어 10m 이상의 언덕에서도 바다 생물의 화석이 나오곤 한다. 북쪽 죽변은 외항으로 어업협동조합과 큰 통조림 공장이 있으며 부근은 좋은 어업 기지이다. 울진에는 유원지로 이름난 연호정이 있고, 평해는 구읍이며 역시 관동팔경의 하나인 월송정이 있다. 평해 남쪽 후포는 어업으로 발달한 항구이다. 온정면에는 백암온천(수온 42 )이 있는데 유황질이다. 또 근남면에는 관동팔경의 하나인 망양정이 있다. 근남면 부근에는 석회암이 분포되어 지하 금강이라고 하는 성류굴(길이 470m)이 있는데 동룡굴 못지 않은 석회동이 발달하여 관광객이 많이 온다.


  • 울진 성류굴

성류굴근남면 구산리에 있는 동굴로 천연기념물 제155호. 탱천굴(撑天窟)·선유굴(仙遊窟)이라고도 한다. 주굴 길이 약 470m. 전체 길이 약 800m. 종유석·석순·석주 등이 다채로우며 왕피천이 흘러들어 지하호수를 형성해 경관이 특이하다.
덕구온천은 대한민국의 유일한 용출천(지상으로 온천수가 솟구치는 온천)이다.[43] 덕구온천스파월드에서 사용되는 물이 100% 온천수일 수밖에 없다는 것은 자연용출천에 가보면 금방 알 수 있다. 원탕에서는 41.8°C의 온천수가 하루 4,000t씩 자연용출 된다.[44]
백암온천은 천 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대표적인 온천이다.[43] 아토피 피부에 특히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백암온천은 유황천으로, 50m 지하에서 끌어올리는 53°C의 온천수는 백암온천지구에 있는 여섯 개의 숙박시설로 공급된다. 그 중 1977년에 성류장으로 시작한 성류파크관광호텔이 가장 역사가 깊다.[44]

8. 1. 자연

울진군은 다양한 자연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성류굴은 천연기념물 제155호로 지정된 석회동굴이다. 울진 금강송 군락지는 울진군을 대표하는 산림 자원이다. 덕구온천은 대한민국 유일의 용출천이며, 백암온천은 유황 온천으로 유명하다. 그 외에도 구수곡유원지, 나곡해양낚시공원, 엑스포공원, 통고산자연휴양림, 거일 1리 어촌 체험, 성류굴 온천, 울진 과학 체험, '폭풍 속으로' 드라마 촬영지, 백암온천 특구, 금강송 에코리움, 울진 금강송 문화센터, 한화 콘도미니엄, 캠퍼스, 울진 요트학교, 울진 해양 레포츠센터, 신선계곡, 망양정, 월송정, 울진 풍평 신라비, 연호정, 왕피천 등이 있다.

8. 2. 문화 유적

울진 봉평리 신라비는 국보 제242호로 죽변면 봉평리에 있다.

장양수 홍패는 국보 제181호로 울진읍 고성리에 있다. 고려 희종 원년(1205)에 진사시 병과에 급제한 장양수에게 내린 패지로써, 현존하는 한국 행정문서 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

망양정과 월송정은 관동팔경 중 하나이다.

그 외에도 부령사, 연호정, 성류굴, 왕피천, 울진 금강송 군락지, 백암온천, 덕구온천 등이 있다.

8. 3. 축제

울진의 축제는 이 지역의 농업과 해양 산업을 반영한다.

2005년2009년에 울진엑스포공원에서 3주 동안 울진세계친환경농업엑스포를 개최했다. 이 엑스포는 유기농 식품 산업의 세계적인 대표자들, 체험 활동, 라이브 음악 및 음식을 선보였다.

9. 교육

울진군에는 고등학교로는 한국원자력마이스터고등학교, 울진고등학교, 죽변고등학교, 평해정보고등학교, 후포고등학교가 있다. 중학교와 초등학교도 다수 존재한다.

10. 군사

대한민국 육군 예하의 해룡연대가 울진군에 주둔하고 있다.

11. 자매 도시

울진군은 대한민국 국내외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국내 자매 도시는 서울특별시 양천구, 서초구, 부산광역시 동구, 경기도 고양시, 충청남도 홍성군, 충청북도 충주시이다. 국외 자매 도시는 일본 시즈오카현 오마에자키시, 프랑스 리옹, 중국 지린성 장백조선족자치현이다.[6]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
[2] 웹사이트 ::: KOREA NUCLEAR ENERGY FOUNDATION ::: http://eng.knef.or.k[...]
[3]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4]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5]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http://www.kma.go.kr[...]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1
[6] 웹사이트 International Exchange http://www.clair.or.[...] Council of Local Authorities for International Relations (CLAIR) 2015-11-21
[7]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8] 법령 朝鮮総督府令第111号 1913-12-29
[9] 기타 現在の蔚珍邑
[10] 기타 現在の平海面
[11] 기타 現在の箕城面
[12] 법령 江原道令第4号 1914-08-12
[13] 법령 法律第1172号 서울특별시·도·군·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62-11-21
[14] 법령 郡条例第204号
[15] 법령 大統領令第9409号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79-04-07
[16] 법령 大統領令第10050号 경기도시흥군의왕읍등35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80-10-21
[17] 법령 大統領令第11027号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1983-01-10
[18] 법령 大統領令第11874号 경기도남양주군조안면등면설치와읍·면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86-03-27
[19] 법령 大統領令第14434号 시·군·자치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94-12-22
[20] 법령 蔚珍郡条例第2186号
[21] 뉴스 한국 동부의 대규모 산불, 산림 당국 “장기전에 대비” https://jp.yna.co.kr[...] 聯合ニュース 2022-03-08
[22] 뉴스 접근하기도 어려운 험준한 산에서 8일째 화재… 한국 동부 산불, 최대·최장 기간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22-03-12
[23] 웹사이트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울진(130)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24]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울진(130)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25] 웹사이트 울진군문화관광 http://www.uljin.go.[...] 2020-03-23
[26]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27]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28] 법령 칙령 제98호 지방제도의개정에관한안건
[29] 법령 칙령 제36호 지방제도와관제개정에관한안건
[30] 법령 법률 제1172호 서울특별시·도·군·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http://www.law.go.kr[...] 1962-11-21
[31] 법령 대통령령 제11027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http://www.law.go.kr[...] 1983-01-10
[32] 법령 봉화군 조례 제765호 1983-02-03
[33] 뉴스 하늘도 꽃밭도 마당도 세평, 승부역 http://www.kyongbuk.[...] 경북일보 2013-05-07
[34] 웹인용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울진(130) https://data.kma.go.[...] 기상청
[35] 웹인용 순위값 - 구역별조회 울진(130) https://data.kma.go.[...] 기상청
[36] 웹인용 5만 지질도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37] 웹인용 蔚珍 地質圖幅說明書 (울진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63-00-00
[38] 저널 Study on the Controlling Factors of Li-Bearing Pegmatite Intrusions for Mineral Exploration, Uljin, South Korea https://www.proquest[...] 2022-00-00
[39] 뉴스 '하얀 석유' 리튬, 국내 부존자원 가능성…지질硏 "울진·단양서 확인" https://v.daum.net/v[...] 2024-07-11
[40] 저널 Genesis of Boam lithium deposits in Wangpiri, Uljin (울진 왕피리 보암 리튬광상의 성인) 2014-08-00
[41] 웹사이트 울진군 읍면별 현황 http://www.uljin.go.[...]
[42] 웹사이트 KOSIS 국가통계포털
[43] 뉴스 [week&] 전통 온천, 워터파크, 스파 … 물이냐 놀이냐 둘 다냐 http://travel.joins.[...] 중앙일보사 2009-12-28
[44] 뉴스 (경북) 7번 국도 덕구·백암온천 ① http://myfriday.join[...] 중앙엔터테인먼트&스포츠 2010-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