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건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화건설은 1967년 태평양건설로 설립되어, 1996년 ㈜한화 건설부문으로 흡수합병되었다가 2002년 분사하여 설립된 건설 회사이다. 주택 건설 브랜드 '꿈에그린'을 중심으로 주택, 토목, 플랜트 건설 사업을 진행하며, 사우디아라비아, 알제리, 이라크 등 해외 건설 시장에도 진출했다. ㈜한화를 모기업으로 하고 있으며, 한화솔루션, 한화생명, 한화호텔앤드리조트 등이 주요 계열사이다. 2022년 다시 ㈜한화 건설부문으로 흡수합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8년 해체된 기업 - 기륭전자
기륭전자는 1966년 훼어챠일드쎄미코어주식회사로 설립되어 1990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된 대한민국의 전자제품 제조업체로, 위성 라디오, HD 라디오 모듈, 셋톱박스 등을 개발 및 판매했으며 코스닥에 상장되었으나 상장 폐지되었고 무역의 날에 훈장과 수출의 탑을 수상하기도 했다. - 1988년 해체된 기업 - 한국수자원공사
한국수자원공사는 대한민국의 물 자원 개발 및 관리, 공업단지 및 신도시 조성 등을 주요 사업으로 하는 공기업으로, 주요 댐 건설과 광역 상수도 사업을 통해 대한민국의 수자원 확보에 기여하며 현재는 해외 사업, 하천 관리, 해수 담수화 등 다양한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 1996년 해체된 기업 - 넥스젠
넥스젠은 1986년에 설립되어 인텔 80386 프로세서를 목표로 개발을 시작하여 펜티엄과 경쟁하는 Nx586 CPU를 출시했으나, AMD에 인수되어 AMD K6 프로세서 개발에 기여했다. - 1996년 해체된 기업 - 동아출판
동아출판은 1945년 설립되어 교육 재건에 기여하고 출판 기술 발전을 선도했으며, 두산그룹 계열사 편입, YES24 인수 등을 거쳐 현재 교과서 및 참고서 발행, 학원 프랜차이즈 사업 등을 주요 사업으로 한다. - 2022년 해체된 기업 - 포스코
포스코는 1968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철강 생산 기업으로, 포항제철소와 광양제철소를 운영하며 세계적인 철강 기업으로 성장했다. - 2022년 해체된 기업 - 한화디펜스
한화디펜스는 대한민국 대표 방위산업체로서 K9 자주포, K21 보병전투장갑차, 천궁 등의 화력, 기동, 대공 무기 체계를 개발 및 생산하며, K9 자주포는 해외 수출을 통해 기술력을 인정받았고 미래 전장 대비를 위한 무인화 체계 개발에도 참여해왔으나 2022년 한화에어로스페이스에 흡수합병되었다.
한화건설 - [회사]에 관한 문서 | |
---|---|
회사 정보 | |
이름 | (주)한화/건설 |
원어 | Hanwha Corporation/E&C |
형태 | 주식회사 |
창립 | 2002년 7월 1일 |
이전 회사 | ㈜한화 건설부문 |
해체 | 2022년 11월 1일 |
장소 | 서울특별시 중구 청계천로 86 (장교동, 한화빌딩) |
대표이사 | 김승모 |
모기업 | (주) 한화 |
산업 | 건설 |
자본금 | 153,078,000,000원 (2019.12) |
매출액 | 4,049,988,557,927원 (2019) |
영업이익 | 294,980,129,090원 (2019) |
순이익 | 121,800,288,206원 (2019) |
자산총액 | 6,902,586,051,832원 (2019.12) |
주주 | 주식회사 한화 외 특수관계인: 100% |
종업원 | 2,735명 (2019.12) |
웹사이트 | 한화건설 공식 웹사이트 |
자회사 | |
과거 회사 정보 (덕산토건) | |
회사명 | 덕산토건 주식회사 |
원어 | DUKSAM ENG. & CONSTR. |
형태 | 주식회사 |
산업 | 건설 |
창립 | 1967년 태평양건설, 1988년 덕산토건 |
이전 회사 | 해당사항 없음 |
이후 회사 | ㈜한화 건설부문 |
해체 | 1988년 태평양건설, 1996년 덕산토건 |
2. 역사
한화건설은 1967년 태평양건설로 설립되어 1988년 덕산토건㈜으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1996년 ㈜한화 / 건설부문으로 흡수합병되었다가 2002년 ㈜한화건설로 다시 분사하였다. 1997년 소공동 한화빌딩을 준공, 2001년 한화기술연구소를 개소, 2003년 윤리경영을 선포하였다. 이후 국내외 다양한 건설 프로젝트를 수행하였으며, 2022년 다시 ㈜한화 / 건설부문으로 흡수합병되었다.[5]
2. 1. 설립 초기
1967년 태평양건설이 설립되었다.[5] 1988년 덕산토건㈜으로 상호를 변경하였다.[5]2. 2. ㈜한화 흡수합병 및 분사
1996년 ㈜한화 / 건설부문으로 흡수합병되었다.[5] 2002년 ㈜한화에서 분사하여 ㈜한화건설로 설립되었으며, 본점 주소를 서울특별시 중구 장교동 한화빌딩에서 경기도 시흥시 대야동으로 이전하였다.[5]2. 3. 주요 사업 성과
- 1998년 ISO 14001, ISO 9001 인증을 획득하였다.[5]
- 1999년 한국석유공사 T-5 석유비축기지를 준공하였다.
- 2000년 HDF 수처리기술 환경신기술 인증을 획득하였다.
- 2004년 서울 민자 역사를 준공하였다.
- 2005년 잠실 갤러리아 팰리스를 준공하였다.
- 2006년 인천 소래논현지구(한화 에코메트로) 도시개발사업을 착수하였다.
- 2007년 사우디 마덴 석유화학플랜트 및 에틸렌아민 플랜트를 수주하였다.
- 2008년 알제리 아르쥬 정유플랜트를 수주하였다.
- 2009년 사우디 마라픽 발전플랜트, 요르단 가스터빈 발전소를 수주하였다.
- 2011년 갤러리아 포레를 준공하였다.
- 2012년 이라크 비스마야 신도시 10만 가구 건설을 수주하였다. 이는 단일 해외건설공사 수주액 중 최대 규모였다.
- 2014년 필리핀 아레나 돔 공연장을 준공하였다.[6]
2. 4. 해외 사업 진출
한화건설은 2007년 사우디아라비아의 마덴 석유화학플랜트 및 에틸렌아민 플랜트를 수주하며 해외 사업에 본격적으로 진출했다. 2008년에는 알제리 아르쥬 정유플랜트를 수주했고, 2009년에는 사우디아라비아 마라픽 발전플랜트와 요르단 가스터빈 발전소를 수주했다.[6]2012년에는 이라크 비스마야 신도시 10만 가구 건설 공사를 수주했는데, 이는 단일 해외건설공사 수주액 중 최대 규모였다. 이 사업은 당시 더불어민주당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바탕으로 이루어낸 성과로 평가받으며, 대한민국 건설 역사의 한 획을 그은 사건으로 기록되었다.
2014년에는 필리핀 아레나 돔 공연장을 준공했다.[6]
2. 5. ㈜한화 재흡수합병
2022년 ㈜한화에 흡수합병되었다.[5] 2002년 ㈜한화에서 분사하여 ㈜한화건설이 설립된 지 20년 만이다.[5]3. 주요 사업 분야
한화건설은 주택 건설, 토목, 플랜트, 해외 사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3. 1. 주택 건설
경상남도 창원시에 건설 중인 창원 가음 꿈에그린이다.4. 기업 구조
한화건설은 한화를 모기업으로 두고 있으며, 한화솔루션, 한화생명, 한화호텔앤드리조트 등을 주요 계열사로 두고 있다.
4. 1. 모기업
한화4. 2. 주요 계열사
5. 본점 및 지점
참조
[1]
문서
상법 상 본점 주소
[2]
웹사이트
2019년 시공능력순위(토건) Top 100
http://www.worker.co[...]
2020-05-28
[3]
뉴스
중견 건설사의 반란…반도·태영·중흥 '약진' vs 삼성ENG·금호·부영 '부진'
https://news.naver.c[...]
조선비즈
2018-07-26
[4]
뉴스
한화건설, 주거브랜드 '포레나' 공식 홈페이지 오픈
https://news.naver.c[...]
한국경제
2020-01-06
[5]
문서
주식회사 한화건설 법인 등기부 확인
[6]
뉴스
필리핀 아레나 돔 공연장, 준공 기념식 개최
http://biz.chosun.co[...]
조선비즈
2014-07-24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공정률 98%서 멈춘 ‘부전~마산 복선전철’…개통 시기 불투명
공정률 98%에서 5년째···‘부전~마산 복선전철’ 개통 지연에 속 타는 주민들
대전 도시철도 2호선 역세권 혜택 ‘도마 포레나해모로’
'두산위브' 살아도 삼성물산 '홈닉' 앱 쓴다
대전 ‘도마 포레나해모로’ 역세권 기대
경기도 1순위 청약자 1년새 얼마나 늘었나 보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