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자원공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수자원공사는 수자원 시설 건설 및 관리, 상하수도 건설 및 관리, 산업단지 및 신도시 조성, 해외 사업 등을 수행하는 대한민국의 공기업이다. 주요 사업으로 한강, 금강, 영산강, 섬진강, 낙동강 수계의 댐 건설 및 관리, 전국 광역 및 공업용수 공급, 지방 상수도 및 하수처리시설 수탁 운영, 산업단지 및 신도시 조성 등을 담당한다. 1967년 한국수자원개발공사로 창립되었으며, 1988년 현재의 한국수자원공사로 재창립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8년 해체된 기업 - 한화건설
1967년 태평양건설로 시작하여 한화에 흡수합병되었다가 분사 후 독립 법인으로 설립되었으나 2022년 다시 한화에 흡수합병된 한화건설은 국내외 건축, 토목, 플랜트 사업을 수행한 건설 회사이며 주요 프로젝트로는 한화빌딩, 갤러리아 포레, 이라크 비스마야 신도시 건설 등이 있다. - 1988년 해체된 기업 - 기륭전자
기륭전자는 1966년 훼어챠일드쎄미코어주식회사로 설립되어 1990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된 대한민국의 전자제품 제조업체로, 위성 라디오, HD 라디오 모듈, 셋톱박스 등을 개발 및 판매했으며 코스닥에 상장되었으나 상장 폐지되었고 무역의 날에 훈장과 수출의 탑을 수상하기도 했다. - 대한민국의 댐 - 장흥댐
전라남도 장흥군 탐진강에 위치한 장흥댐은 총 저수용량 1억 9100만 톤의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으로, 생·공업용수와 관개 및 하천유지용수를 공급하고 수력발전을 통해 전력을 생산한다. - 대한민국의 댐 - 영주댐
경상북도 영주시에 건설된 영주댐은 내성천의 녹조 심화와 지형 변화를 야기하며, 댐 건설로 평은면 중심 마을의 수몰과 문화재 이전이 있었고 댐 상류에는 유사조절지가 있다. - 공공기관 (환경부 소관) - 한국상하수도협회
한국상하수도협회는 수도법과 하수도법에 따라 설립되어 수도사업자와 공공하수도관리청 간 협력을 통해 수도사업 발전을 도모하며, 해외 전시 참관단 운영, 국제 교류, 단체 표준 인증 사업, 법정 의무 교육, 수돗물 홍보 협의회 등의 사업을 추진하는 협회장 중심의 단체이다. - 공공기관 (환경부 소관) - 국립생태원
국립생태원은 대한민국의 생태 연구 및 전시 기관으로, 생태계 조사, 연구, 평가와 교육 및 체험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국내외 연구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생태계 정보망 구축에 기여한다.
| 한국수자원공사 - [회사]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한국수자원공사 |
| 원어 |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
![]() | |
| 형태 | 준시장형 공기업 |
| 산업 | 수자원 |
| 창립 | 1967년 한국수자원개발공사 창립, 1988년 한국수자원공사 재창립 |
| 창립자 | 알 수 없음 |
| 이전 회사 | 한국수자원개발공사, 산업기지개발공사 |
| 이후 회사 | 산업기지개발공사 (1974년 2월 1일 ~ 1988년 6월 30일) |
| 해체 | 알 수 없음 |
| 시장 정보 | 비상장 |
| 국가 | 대한민국 |
| 위치 | 대전광역시 대덕구 신탄진로 200 (연축동) |
| 대표 | 윤석대 (사장) |
| 자본금 | 7,692,548,296,205원 (2016.12) |
| 매출액 | 3,618,084,599,554원 (2016.12) |
| 순이익 | -116,965,318,623원 (2016.12) |
| 자산 총액 | 20,299,400,000,000원 (2016.12) |
| 주주 | 대한민국 정부 92.1%, 한국산업은행 및 지자체: 7.9% |
| 서비스 | 수자원관리·개발, 생활용수공급사업 등 |
| 모기업 | 알 수 없음 |
| 직원 수 | 5,220명 (2017.3) |
| 웹사이트 | 한국수자원공사 웹사이트 |
| 영업 이익 | 364,099,428,162원 (2016.12) |
| 주요 자회사 | |
2. 주요 사업
한국수자원공사는 1967년 설립된 이후[1] 대한민국의 수자원 개발과 관리를 종합적으로 담당하고 있다. 주요 사업 분야는 다음과 같다.
- 수자원 시설 건설 및 관리: 한강, 금강, 영산강, 섬진강, 낙동강 등 주요 하천 유역의 댐과 하굿둑을 건설하고 관리한다.
- 상하수도 건설 및 관리: 전국에 생활 및 공업용수를 공급하고, 지방 상수도와 하수처리시설을 수탁 운영한다.
- 산업단지 및 신도시 조성: 안산, 시화 등지의 산업단지와 신도시 개발 사업을 완료했으며, 현재 여러 지역에서 새로운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 기타 사업: 해외 사업, 하천 관리, 국제 교육, 해수 담수화, 기초 조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1]
2. 1. 수자원 시설 건설 및 관리
한국수자원공사는 전국의 주요 수자원 시설을 건설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주요 댐과 하굿둑 건설 및 관리를 담당하고 있으며, 한강, 금강, 영산강, 섬진강, 낙동강 수계의 다목적댐, 홍수조절댐, 용수댐 등을 건설·관리하고 있다.2. 1. 1. 한강 수계
2. 1. 2. 금강·영산강·섬진강 수계
; 금강·영산강·섬진강 수계2. 1. 3. 낙동강 수계
| 구분 | 시설 |
|---|---|
| 다목적댐 | 군위댐, 김천부항댐, 안동댐, 임하댐, 합천댐, 남강댐, 밀양댐, 보현산댐, 성덕댐, 영주댐 |
| 용수댐 | 운문댐, 영천댐, 사연댐, 대암댐, 안계댐, 연초댐, 구천댐, 선암댐, 대곡댐, 감포댐 |
| 기타 | 낙동강하굿둑 |
2. 2. 상하수도 건설 및 관리
한국수자원공사는 전국 48개 광역 및 공업용수도 시설을 통해 하루 1,756만 톤의 생활 및 공업 용수를 공급하고 있다.[1] 2004년 논산시를 시작으로 총 22개 지자체의 지방 상수도를 수탁 운영하고 있으며,[1] 전국 12개 지자체와 59개소 하수처리시설을 수탁 운영하고 있다.[1]2. 3. 산업단지 및 신도시 조성
안산신도시(제1, 2단계), 시화지구 개발사업, 구미국가산업단지, 여수국가산업단지, 창원국가산업단지, 온산국가산업단지 조성 사업을 완료하였다. 시화MTV, 송산그린시티개발사업, 구미확장단지, 구미하이테크밸리, 부산에코델타시티, 부여 규암지구, 나주 노안지구 조성 사업은 현재 진행 중이다.2. 4. 기타 사업
한국수자원공사는 해외 사업, 하천 관리, 국제 교육, 해수 담수화, 기초 조사 등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1]3. 연혁
다음은 한국수자원공사의 주요 연혁이다.
- 1973년 6월 30일: 구미 공업단지 매립 공사 완공
- 1980년 12월 2일: 대청댐 준공[2]
- 1993년 11월 19일: 안산신도시 1단계 건설 사업 완료
- 2012년 5월 25일: 경인아라뱃길 개통
- 2014년 4월 9일: 파주시와 Smart Water City 협약 체결
- 2015년 4월 10일: 세계물포럼 기념센터 개관
- 2015년 4월 15일: 아시아물위원회(Asia Water Council) 창립
- 2016년 2월 25일: 보령댐 수상태양광 준공
- 2016년 4월 15일: 필리핀 불라칸 상수도사업 착공
3. 1. 1960년대
3. 2. 1970년대
1966년 8월 3일 한국수자원개발공사법이 제정 및 공포되었고, 1967년 11월 16일 한국수자원개발공사가 창립되었다.[2] 1973년 6월 30일 구미 공업단지 매립 공사가 완공되었으며, 같은 해 10월 15일에는 소양강댐이 준공되었다. 1973년 11월 19일 창원기계공업단지 조성사업이 착수되었다. 1974년 2월 1일 산업 기지 개발 공사로 확대 개편되었으며, 1976년 10월 28일 안동댐이 준공되었다.3. 3. 1980년대
- 1980년 12월 2일 대청댐 준공[2]
- 1985년 10월 17일 충주댐 준공[2]
- 1987년 11월 16일 낙동강 하구둑 준공[2]
- 1987년 12월 4일 한국수자원공사법 제정, 공포[2]
- 1988년 7월 1일 '''한국수자원공사''' 재창립[2]
- 1989년 12월 31일 합천댐 준공[2]
3. 4. 1990년대
1989년 12월 31일 합천댐이 준공되었다.[2] 1993년 11월 19일 안산신도시 1단계 건설 사업이 완료되었고,[2] 1996년 12월 13일에는 일산신도시 상수도 확장공사가 준공되었다.[2]3. 5. 2000년대
- 2000년 11월 2일 충주댐계통 광역상수도를 준공하였다.[2]
- 2003년 12월 30일 대청댐계통(2단계) 광역 상수도를 준공하였다.[2]
- 2003년 12월 30일 논산시 지방상수도 위수탁협약을 체결하였다.[2]
- 2004년 3월 18일 수돗물 분석 연구 센터를 준공하였다.[2]
- 2006년 3월 15일 CI 선포식을 실시하였다.[2]
- 2009년 6월 29일 안산신도시 2단계 건설사업을 완료하였다.[2]
3. 6. 2010년대
4. 조직
한국수자원공사는 이사회, 감사위원회, 상임감사위원, 감사실로 구성되어 있다. 이사회는 공사의 주요 의사결정을 담당하며, 상임감사위원은 감사 업무를 총괄한다.[1]
4. 1. 이사회 및 감사위원회
한국수자원공사의 이사회와 감사위원회는 각각 이사회, 감사위원회, 상임감사위원, 감사실로 구성되어 있다.4. 2. 한국수자원공사장
한국수자원공사에는 상임감사위원과 이사회가 있다.4. 3. 본부
한국수자원공사의 본부 조직은 다음과 같다.
4. 4. 부사장
한국수자원공사에는 부사장이 존재하지 않는다. 대신 상임감사위원이 존재하며 감사실을 소관한다.5. 역대 사장
| 대수 | 이름 | 임기 | 비고 |
|---|---|---|---|
| 초대 | 장창국 | 1967년 11월 ~ 1967년 12월 | 한국수자원개발공사 사장 |
| 2대 | 안경모 | 1967년 12월 ~ 1983년 1월 | |
| 3대 | 이희근 | 1983년 2월 ~ 1988년 6월 | |
| 4대 | 이상희 | 1988년 6월 ~ 1989년 3월 | 한국수자원공사 사장 |
| 5대 | 이태교 | 1989년 4월 ~ 1993년 3월 | |
| 6대 | 이윤식 | 1993년 4월 ~ 1995년 1월 | |
| 7대 | 이태형 | 1995년 1월 ~ 1996년 12월 | |
| 8대 | 임정규 | 1996년 12월 ~ 1998년 5월 | |
| 9대 | 최중근 | 1998년 5월 ~ 2001년 3월 | |
| 10대 | 고석구 | 2001년 3월 ~ 2005년 4월 | |
| 11대 | 곽결호 | 2005년 9월 ~ 2008년 4월 | |
| 12대 | 김건호 (직무대리: 김완규) | 2008년 7월 ~ 2013년 7월 | |
| 13대 | 최계운 (직무대리: 이학수) | 2013년 11월 ~ 2016년 5월 | |
| 14대 | 이학수 | 2016년 9월 ~ 2020년 2월 | |
| 15대 | 박재현 | 2020년 2월 ~ 2023년 2월 | |
| 16대 | 윤석대 | 2023년 6월 ~ |
참조
[1]
웹사이트
기록물 생산기관 변천정보 > 기관연혁 상세정보
http://theme.archive[...]
2018-04-05
[2]
웹인용
기록물 생산기관 변천정보 > 기관연혁 상세정보
http://theme.archive[...]
2018-04-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