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등 정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항등 정리는 복소해석학의 기본 정리로, 연결 열린 집합에서 정의된 두 정칙 함수가 어떤 집합에서 일치하고, 이 집합이 정의역 내에서 극한점을 가지면, 두 함수는 정의역 전체에서 일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정리는 함수의 유일성을 보장하며, 해석적 함수의 성질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도구로 사용된다. 항등 정리는 정의역의 연결성, 영점 집합의 극한점 존재, 그리고 정칙 함수의 특성을 통해 증명되며, 정의역 조건, 극한점 조건, 실수 함수 등 다양한 예시를 통해 그 적용 범위와 한계를 보여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항등 정리 | |
---|---|
개요 | |
분야 | 수학 |
하위 분야 | 해석학 |
관련 개념 | 해석적 접속, 영 정리, 유일성 정리 |
설명 | |
내용 | 두 개의 해석 함수가 공통 영역에서 일치하면 전체 영역에서 동일함 |
중요성 | 해석 함수의 동작은 국소적 정보로부터 전체적으로 결정됨 |
2. 정의
항등 정리는 복소해석학에서 매우 중요한 정리로, 복소 평면 상의 연결 열린집합에서 정의된 두 정칙 함수가 특정 조건을 만족하면 서로 일치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4]
이를 증명하기 위해, 두 함수가 해석적이므로, 모든 에 대해 임을 보이는 것으로 충분하다. 만약 이것이 성립하지 않는다면, 를 만족하는 가장 작은 음이 아닌 정수를 이라고 하자. 정칙성에 의해, 의 어떤 열린 근방 U에서 다음의 테일러 급수 표현을 얻는다.
:
연속성에 의해, 는 주변의 작은 열린 원판 에서 0이 아니다. 그러나, 구멍 뚫린 집합 에서 이 된다. 이는 가 의 축적점이라는 가정에 모순된다.
와 가 동일한 테일러 전개를 갖는 집합은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가 공집합이 아니고, 열린 집합이자 닫힌 집합임을 보이면, 의 연결성에 의해 는 전체가 되고, 에서 임을 의미한다.
는 내의 를 중심으로 하는 원판 내에서 성립하며, 이들은 에서 동일한 테일러 급수를 가지므로, 이고, 는 공집합이 아니다.
와 가 에서 정칙적이므로, 모든 에 대해 에서의 와 의 테일러 급수는 0이 아닌 수렴 반지름을 갖는다. 따라서, 열린 원판 도 어떤 에 대해 에 속한다. 그러므로 는 열린 집합이다.
와 의 정칙성에 의해, 이들은 정칙 미분값을 가지므로, 모든 은 연속이다. 이는 가 모든 에 대해 닫힌 집합임을 의미한다. 는 닫힌 집합들의 교집합이므로 닫힌 집합이다.
특히, 연결 열린집합 에 정의된 정칙 함수 의 영점 집합은 전체이거나, 에서 극한점을 갖지 않는다.[4] 후자의 경우, 의 모든 영점은 영점 집합의 고립점이며, 특히 영점 집합은 가산 집합이다.
2. 1. 기본 정의
연결 열린집합 에 정의된 두 정칙 함수 가 주어졌고, 집합:
가 에서 극한점을 갖는다고 하자. '''항등 정리'''에 따르면, 임의의 에 대하여 이다.[4]
두 정칙 함수 와 가 영역 ''D''에서, ''D'' 내에 축적점 를 가지는 집합 S에서 일치하면, 는 를 중심으로 하는 내의 원판에서 성립한다.
항등 정리는 다음 두 가지 형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1)''' 연결 열린 영역 에서 정칙인 복소 함수 의 영점 집합이 에서 점 집적을 가지면 는 에서 항등적으로 0이다.
'''(2)''' 연결 열린 영역 에서 정칙인 복소 함수 가 에서 점 집적을 갖는 의 부분 집합 U 위에서 일치하면 영역 전체에서 일치한다. 여기서 U로서 예를 들어 열린 집합을 취할 수 있다.
2. 2. 동치 조건
정칙 함수가 영함수가 되는 조건과 관련된 동치 조건들은 다음과 같다.[2]:는 복소 평면의 비어 있지 않고, 연결된 열린 부분 집합이고, 에 대해 다음은 동등하다.
# 에서 이다.
# 집합 은 축적점 를 포함한다.
# 집합 은 비어 있지 않다. 여기서 이다.
- *(1 2)'''와 '''(1 3)'''는 자명하게 성립한다.
'''(3 1)'''의 경우, 의 연결성에 의해, 비어 있지 않은 부분 집합 가 클로즈드-오픈 집합임을 증명하면 충분하다. 정칙 함수는 무한히 미분 가능하므로, 가 닫힌 집합임은 명백하다. 열린 집합임을 보이기 위해, 를 고려하고, 를 포함하고, 가 를 중심으로 수렴하는 멱급수 전개를 갖는 열린 공 를 고려한다. 이므로, 이 급수의 모든 계수는 이며, 따라서 에서 이다. 따라서 의 모든 차 도함수는 에서 이고, 따라서 이다. 따라서 각 는 의 내부 안에 놓인다.
'''(2 3)'''을 증명하기 위해, 축적점 를 고정한다. 각 에 대해 임을 귀납법으로 증명한다. 를 주변의 의 멱급수 전개 의 수렴 반경보다 엄격하게 작은 값으로 둔다. 이제 을 고정하고, 모든 에 대해 라고 가정하면, 에 대해, 멱급수 전개를 조작하면 다음을 얻는다.
:
이 멱급수의 반경보다 작으므로, 멱급수 이 에서 연속이고 유계임을 쉽게 유도할 수 있다.
가 의 축적점이므로, 인 로 수렴하는 점의 수열이 존재한다. 에서 이고 각 이므로, 위의 식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이 에서 유계이므로, 이고, 따라서 이다. 귀납법에 의해 주장이 성립한다.
일치 정리는 다음 두 가지 형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1)''' 연결 열린 영역 에서 정칙인 복소 함수 의 영점 집합이 에서 점 집적을 가지면 는 에서 항등적으로 0이다.
'''(2)''' 연결 열린 영역 에서 정칙인 복소 함수 가 에서 점 집적을 갖는 의 부분 집합 U 위에서 일치하면 영역 전체에서 일치한다. 여기서 U로서 예를 들어 열린 집합을 취할 수 있다.
3. 증명
항등 정리의 증명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다.
연결 열린집합 에서 정의된 정칙 함수 를 생각하자. 의 영점 집합이 에 속하는 극한점 를 가진다고 가정한다. 이때, 다음 집합을 정의한다.
:
목표는 임을 보이는 것이다.
1. 가 공집합이 아님을 보이기귀류법을 사용하여 라고 가정하자. 그러면 다음을 만족하는 이 존재한다.
:
는 연속 함수이므로 이고, 따라서 이다. 인 을 잡으면, 임의의 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
여기서 새로운 정칙 함수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그러면 이고, 임의의 에 대해 이다. 을 충분히 작게 줄이면 가 에서 영점을 갖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는 에서 영점을 갖지 않는데, 이는 이 극한점이라는 가정에 모순된다. 따라서 이고, 는 공집합이 아니다.
2. 가 열린집합임을 보이기임의의 를 고정하고, 인 을 잡자. 는 에서 정칙이므로, 임의의 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
즉, 이므로 은 의 내부점이다. 따라서 는 열린집합이다.
3. 가 닫힌집합임을 보이기를 에서 의 극한점들의 집합이라고 하자. 임의의 를 고정하자. 은 연속 함수이므로, 임의의 에 대해 이다. 즉, 이다. 따라서 는 닫힌집합이다.
4. 결론는 의 열린닫힌집합이고 공집합이 아니다. 는 연결 집합이므로 이다. 따라서 임의의 에 대해 이다.
3. 1. 보조정리
두 정칙 함수 와 가 연결 열린집합 에서 정의되고, 안에 극한점(축적점) 를 갖는 집합 에서 일치한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를 중심으로 하는 내의 원판에서 가 성립한다.이를 증명하기 위해, 두 함수가 해석적이므로 모든 에 대해 임을 보이는 것으로 충분하다.
만약 이것이 성립하지 않는다면, 를 만족하는 가장 작은 음이 아닌 정수를 이라고 하자. 정칙성에 의해, 의 어떤 열린 근방 에서 다음의 테일러 급수 표현을 얻는다.
:
연속성에 의해, 는 주변의 작은 열린 원판 에서 0이 아니다. 그러나 구멍 뚫린 집합 에서 이 된다. 이는 가 의 극한점이라는 가정에 모순된다.
이 보조정리는 복소수 에 대해, 올 가 가 아닌 이상 이산적(따라서 가산) 집합임을 보여준다.[1]
을 의 영점의 집적점 중 하나라고 하면, 을 중심으로 하는 어떤 양의 반지름 의 열린 원판 상에서 는 항등적으로 0이다.[1]
는 에서 정칙이므로, 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이 테일러 전개가 가능하며, 그 수렴 반경은 0이 아니다. 수렴 반경보다 작은 양수 을 적당히 선택하여, 를 중심으로 한 열린 원판 이 에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이 열린 원판을 라고 한다.[1]
:
만약 이 존재한다면, 그중에서 가장 첨자 값이 작은 것을 으로 하고,
:
라고 놓으면,
:
가 된다. 위의 의 를 중심으로 한 테일러 전개의 수렴 반경은 와 같으며, 는 에서 정칙이고, 이다. 이면 이므로, 이외의 의 영점은 의 영점이며, 는 의 영점의 집적점이다. 는 에서 연속이므로, 를 충분히 작은 양수로 하면, 이면 이지만, 는 의 영점의 집적점이므로 를 만족하는 의 영점 이 존재해야 하므로 모순이다.[1]
따라서 모든 정수 에 대해 이며, 열린 원판 상에서 는 항등적으로 0이다.[1]
3. 2. 주요 증명
연결 열린집합 에 정의된 정칙 함수 의 영점의 집합에 에 속하는 극한점 가 있다고 하자. 그리고:
라고 하자. 그러면 임을 보일 수 있다.
우선 임을 보이자. 귀류법을 사용하여 라고 가정하면,
:
이 정의된다. 는 연속 함수이므로, 이고, 따라서 이다. 인 을 고정하면, 임의의 에 대하여,
:
이다. 즉, 정칙 함수 를
:
와 같이 정의할 경우,
:
이고, 임의의 에 대하여
:
이다. 따라서 을 충분히 작게 다시 정의하면 가 에서 영점을 갖지 않게 만들 수 있으며, 이 경우 는 에서 영점을 갖지 않는다. 이는 이 의 극한점인 데 모순된다.
이제 가 열린집합임을 보이자. 임의의 를 고정하고, 인 을 고정하자. 그러면, 는 에서 정칙 함수이므로, 임의의 에 대하여
:
이다. 즉, 이며, 따라서 은 의 내부점이다.
마지막으로 가 의 닫힌집합이라는 사실을 보이자. 임의의 를 고정하자. (여기서 는 에서의 극한점의 집합이다.) 그러면, 임의의 에 대하여, 이 연속 함수이므로 이다. 즉, 이다.
즉, 는 의 열린닫힌집합이며, 이다. 는 연결 집합이므로, 이다. 특히, 임의의 에 대하여, 이다.
3. 3. 상세 증명 (일본어 위키)
연결 열린집합 에 정의된 정칙 함수 의 영점의 집합이 에 속하는 극한점 를 갖는다고 하자. 또한,:
라고 하자. 그렇다면 임을 보이는 것으로 충분하다.
우선 임을 보이자. 를 보이는 것으로 충분하다. 귀류법을 사용하여 라고 하자. 그렇다면
:
이 정의된다. 는 연속 함수이므로, 이며, 따라서 이다. 인 을 고정하자. 그렇다면, 임의의 에 대하여,
:
이다. 즉, 정칙 함수 를
:
와 같이 정의할 경우,
:
이고, 임의의 에 대하여
:
이다. 따라서 을 충분히 작게 다시 정의할 경우 가 에서 영점을 갖지 않게 만들 수 있으며, 이 경우 는 에서 영점을 갖지 않는다. 이는 이 의 극한점인 데 모순된다.
이제 가 열린집합임을 보이자. 임의의 를 고정하고, 인 을 고정하자. 그렇다면, 는 에서 정칙 함수이므로, 임의의 에 대하여
:
이다. 즉, 이며, 따라서 은 의 내부점이다.
마지막으로 가 의 닫힌집합이라는 사실을 보이자. 임의의 를 고정하자. (여기서 는 에서의 극한점의 집합이다.) 그렇다면, 임의의 에 대하여, 이 연속 함수이므로 이다. 즉, 이다.
즉, 는 의 열린닫힌집합이며, 이다. 는 연결 집합이므로, 이다. 특히, 임의의 에 대하여, 이다.
4. 예시
항등 정리는 정의역이 연결 집합이 아니거나, 정의역 전체가 아닌 영점 집합이 정의역에 속하지 않는 극한점을 가질 경우, 또는 실수 매끄러운 함수에 대해서는 성립하지 않는다. 하지만, 항등 정리는 두 정칙 함수의 동일성에 관한 것이므로, 정칙 함수가 동일하게 0일 때는 간단하게 특징지을 수 있다.[2]
4. 1. 정의역 조건
항등 정리는 정의역이 연결 집합이 아닐 경우 성립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열린집합 가 두 연결 성분 를 가질 때, 다음 함수는 정칙 함수이다.:
:
이때 영점 집합 는 정의역 전체가 아니지만, 는 에서 의 모든 원소를 극한점으로 갖는다.[4]
4. 2. 극한점 조건
항등 정리는 정의역 전체가 아닌 영점 집합이 정의역에 속하지 않는 극한점을 가질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정칙 함수:
:
의 영점 집합
:
은 을 극한점으로 한다.[5]
4. 3. 실수 함수
항등 정리는 실수 매끄러운 함수에 대하여 성립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다음 함수를 보자.:
:
위 함수는 매끄러운 함수이나, 영점 0은 영점 집합
:
의 극한점이다.[5]
참조
[1]
서적
A Primer of Real Analytic Functions
Birkhäuser
[2]
서적
Lexikon der Mathematik
Springer Spektrum Verlag
[3]
서적
数学100の定理
日本評論社
[4]
서적
Real and Complex Analysis
http://www.mcgraw-hi[...]
McGraw-Hill
1987
[5]
서적
复变函数简明教程
北京大学出版社
2006-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