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해리 나이퀴스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해리 나이퀴스트는 스웨덴 출신의 미국의 전기 공학자이자 통신 이론가로, 열잡음, 피드백 증폭기, 정보 전송 이론 등 통신 분야에 기여했다. 노스다코타 대학교와 예일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았으며, 1917년부터 1954년 은퇴할 때까지 AT&T 연구소(벨 연구소)에서 근무하며 존슨-나이퀴스트 잡음, 나이퀴스트-섀넌 표본화 정리 등 통신 기술 발전에 중요한 이론을 정립했다. 1960년 IEEE 명예훈장과 스튜어트 발렌타인 메달, 1969년 미국 공학 아카데미 창립자 메달을 수상했으며, 나이퀴스트 레이트, 나이퀴스트 주파수 등 그의 이름을 딴 다양한 용어가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웨덴의 공학자 - 카를-헨릭 스반베리
    카를-헨릭 스반베리는 스웨덴의 기업인으로, 에릭슨 CEO, BP 이사회 의장 등을 역임했으며, 2023년 스웨덴 AI 위원회 의장으로 임명되었다.
  • 스웨덴의 컴퓨터 과학자 - 닉 보스트롬
    스웨덴 출신 철학자 닉 보스트롬은 옥스퍼드 대학교 인류미래연구소 소장으로, 존재 위험, 인간 향상 윤리, 시뮬레이션 가설, 초지능 위험성 등 연구와 저서 《초지능》을 통해 인공지능 발전과 잠재적 위험을 분석하며 트랜스휴머니즘 및 미래학 분야 주요 사상가로 평가받는다.
  • 스웨덴의 컴퓨터 과학자 - 다니엘 스텐베리
  • 텍사스주의 수학자 - 로버트 리 무어
    로버트 리 무어는 위상수학에 기여하고 "무어 방법"이라는 독창적인 교육 방법으로 많은 수학자를 양성한 미국의 수학자이자 대학교수였으나, 인종차별적인 행적으로 논란이 되어 그의 이름을 딴 건물의 명칭이 변경되었다.
  • 텍사스주의 수학자 - 아르에이치 빙
    아르에이치 빙은 3차원 다양체 이론과 기하학적 위상수학에 기여하고 빙형 위상수학을 사용했으며, 클라인 구 특징화 문제 해결 등 다양한 업적을 남긴 미국의 수학자이다.
해리 나이퀴스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해리 나이퀴스트
원어 이름Harry Nyquist
로마자 표기Haelri Naikwisteu
스웨덴어 이름Harry Theodor Nyqvist
스웨덴어 로마자 표기Haryu Teodoreu Nyukebiseuteu
출생일1889년 2월 7일
출생지스웨덴 베름란드주 닐스뷔
사망일1976년 4월 4일
사망지미국 텍사스주 할링전
국적스웨덴, 미국
분야전기공학, 통신이론
해리 나이퀴스트
학력 및 경력
근무지벨 연구소
모교예일 대학교
노스다코타 대학교
박사 지도교수Henry Andrews Bumstead
업적
주요 업적표본화 정리
나이퀴스트 레이트
존슨-나이퀴스트 잡음
나이퀴스트 안정성 판별법
나이퀴스트 ISI 판별법
나이퀴스트 플롯
나이퀴스트 주파수
나이퀴스트 필터
요동 소산 정리
수상
수상IEEE Medal of Honor (1960)
Stuart Ballantine Medal (1960)
루퍼스 올덴버거 메달 (1975)

2. 생애

해리 나이퀴스트는 1889년 스웨덴에서 태어나 1907년 미국으로 이민을 갔다. 이후 노스다코타 대학교예일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았으며, AT&T벨 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일했다. 1954년 은퇴 후에는 텍사스주로 이주하여 살다가 1976년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

1889년 스웨덴 베름란드주 닐스뷔(Nilsbysv)에서 아버지 라르스 욘손 뉘크비스트(Lars Jonsson Nyqvistsv)와 어머니 카트리나 에릭스도테르(Katrina Eriksdottersv) 사이에서 태어난 8명의 자녀 중 한 명으로 태어났다.[2] 1907년 미국으로 이민하였다.

2. 2. 교육

1912년노스다코타 대학교에 입학하여 1914년1915년에 각각 전기공학 학사 및 석사 학위를 받았다.[8][9] 1917년에는 예일 대학교에서 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2. 3. 경력

1917년부터 AT&T에 입사하여 연구부에서 일했다. 1934년에 이 부서는 벨 연구소로 개명되었고, 나이퀴스트는 1954년 은퇴할 때까지 벨 연구소에서 계속 근무했다.[3]

벨 연구소에서 그는 열잡음(존슨-나이퀴스트 잡음), 피드백 증폭기의 안정성 등을 연구했다. 정보 전송에 필요한 대역폭을 결정하는 이론을 발표했는데, 이는 나중에 클로드 섀넌정보 이론의 기초가 되었다.[8] 1927년에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로 샘플링하여 재현하려면 아날로그 신호 주파수의 2배가 필요하다는 나이퀴스트-섀넌 표본화 정리를 발표했다.[9]

나이퀴스트는 "열잡음, 데이터 전송 및 음의 피드백에 대한 정량적 이해에 대한 기본적인 공헌"으로 1960년에 IEEE 명예훈장을 받았다. 같은 해 10월에는 프랭클린 연구소의 스튜어트 발랜타인 메달을, 1969년에는 미국 공학 아카데미의 창립자 메달을 받았다.[3]

벨 연구소의 특허 변호사들은 어떤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보다 더 생산적인 이유를 알고 싶어했다. 많은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생산적인 직원들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던 유일한 점은 "가장 많은 특허를 보유한 직원들은 종종 해리 나이퀴스트라는 벨 연구소 전기 엔지니어와 점심이나 아침 식사를 함께 했다는 것"이었다. 나이퀴스트가 그들에게 구체적인 아이디어를 준 것은 아니었다. 오히려 한 과학자의 회상에 따르면, "그는 사람들을 이끌어내어 생각하게 했다."

2. 4. 은퇴와 사망

1954년에 벨 연구소에서 은퇴하였고, 텍사스주로 이사하였다. 1976년 4월 4일에 텍사스주 할링전에서 사망하였다.[2]

3. 업적

해리 나이퀴스트는 AT&T와 벨 전화 연구소에서 근무하며 통신 기술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IRE 명예훈장(1960년), 프랭클린 연구소의 스튜어트 발랜타인 메달(1960년), 미국 공학 아카데미의 창립자 메달(1969년)을 수상했다.[3]

나이퀴스트는 열잡음, 피드백 증폭기의 안정성, 전신, 팩시밀리, 텔레비전 등 다양한 통신 분야에 걸쳐 연구를 진행했다. 특히 정보 전송에 필요한 대역폭 요구 사항을 결정하는 이론적 연구는 클로드 섀넌정보 이론 발전의 기초가 되었다.

3. 1. 열잡음 연구

벨 연구소에서 엔지니어로 일하면서, 나이퀴스트는 열잡음("존슨-나이퀴스트 잡음영어")[4] 연구에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이 잡음은 벨 연구소에서 함께 열잡음을 연구했던 존 버튼 존슨의 이름을 따서 존슨-나이퀴스트 잡음이라고 불린다.[9]

3. 2. 피드백 증폭기 안정성 연구

벨 연구소의 엔지니어였던 나이퀴스트는 열잡음("존슨-나이퀴스트 잡음영어")[4], 피드백 증폭기의 안정성, 전신, 팩시밀리, 텔레비전 및 기타 중요한 통신 문제에 대한 중요한 연구를 수행했다. 1932년, 피드백 증폭기의 안정성에 관한 고전적인 논문을 발표했다.[5] 그의 나이퀴스트 안정성 판별법은 현재 피드백 제어 이론에 관한 많은 교과서에서 찾아볼 수 있다.

3. 3. 정보 전송 이론

벨 연구소의 엔지니어였던 나이퀴스트는 정보 전송에 필요한 대역폭 요구 사항을 결정하는 초기 이론적 연구를 수행했으며, 이는 클로드 섀넌정보 이론 발전의 기반이 되었다.[4]

나이퀴스트는 단위 시간당 전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는 독립적인 펄스의 수가 채널의 대역폭의 두 배로 제한된다는 것을 밝혀냈다. 그는 "전신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특정 요소"(1924)[6]와 "전신 전송 이론의 특정 주제"(1928)[7] 논문에서 이 결과를 발표했다. 이 규칙은 나이퀴스트-섀넌 표본화 정리로 알려진 것의 본질적으로 이중적인 것이다.

1927년, 나이퀴스트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샘플링하여 재현하는 데 아날로그 신호 주파수의 두 배가 필요하다는 것을 "Telegraph Transmission Theory"[9]에서 보였다. 이는 나이퀴스트-섀넌 표본화 정리로 불린다.

3. 4. 나이퀴스트-섀넌 표본화 정리

클로드 섀넌의 정보 이론 발전의 기반이 된 나이퀴스트의 초기 이론적 연구는 정보 전송에 필요한 대역폭 요구 사항을 결정하는 것이었다. 특히 나이퀴스트는 단위 시간당 전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는 독립적인 펄스의 수가 채널 대역폭의 두 배로 제한된다는 것을 밝혀냈다. 그는 "전신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특정 요소"(1924)[6]와 "전신 전송 이론의 특정 주제"(1928)[7] 논문에서 이 결과를 발표했다. 이 규칙은 현재 나이퀴스트-섀넌 표본화 정리로 알려진 것의 본질적으로 이중적인 것이다.[8]

1927년, 나이퀴스트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샘플링하여 재현하려면 아날로그 신호 주파수의 두 배가 필요하다는 것을 "Telegraph Transmission Theory"[9]에서 증명했다. 이는 나이퀴스트-섀넌 표본화 정리라고 불린다.

3. 5. 팩시밀리 개발 기여

허버트 이브스와 함께 1924년에 공개된 AT&T의 최초 팩시밀리 기계 개발에 기여했다.[5]

4. 수상 및 명예

1960년에 IRE 명예 훈장(IEEE 명예 훈장의 전신)과 프랭클린 연구소의 스튜어트 발렌타인 메달을 수상했다.[8][9]

4. 1. IEEE 명예훈장

1960년에 IRE 명예 훈장(IEEE 명예 훈장의 전신)과 스튜어트 발렌타인 메달을 받았다.[9]

4. 2. 스튜어트 발렌타인 메달

1960년에 프랭클린 연구소에서 스튜어트 발렌타인 메달을 수상했다. 정보 전송에 필요한 대역폭을 결정하는 이론을 발표하여, 훗날 클로드 섀넌이 발전시킨 정보 이론의 기초를 마련했기 때문이다.[8] 또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샘플링하여 재현하는 데 아날로그 신호 주파수의 2배가 필요하다는 것을 보였는데, 이는 나이퀴스트-섀넌 표본화 정리라고 불린다.[9]

5. 나이퀴스트의 이름을 딴 용어

다음은 해리 나이퀴스트의 이름을 딴 용어들이다.


  • 나이퀴스트 레이트: 샘플링 대상 신호 파형의 대역폭의 두 배에 해당하는 샘플링 레이트.
  • 나이퀴스트 주파수: 시스템의 샘플링 레이트의 절반.
  • 나이퀴스트 필터
  • 나이퀴스트 선도
  • 나이퀴스트 ISI 기준
  • 나이퀴스트(프로그래밍 언어)
  • 나이퀴스트 안정성 판별법

5. 1. 나이퀴스트 레이트

나이퀴스트 레이트는 샘플링 대상 신호 파형의 대역폭의 두 배에 해당하는 샘플링 레이트이다. 이 레이트 이상으로 신호를 샘플링하면 원래 파형을 정확하게 재구성할 수 있다.[1]

나이퀴스트 주파수는 시스템의 샘플링 레이트의 절반에 해당하는 값이다. 나이퀴스트 주파수보다 낮은 신호 주파수는 명확하게 표현된다.[2]

5. 2. 나이퀴스트 주파수

나이퀴스트 주파수는 시스템의 샘플링 레이트의 절반에 해당하는 값이다. 나이퀴스트 주파수보다 낮은 신호 주파수는 명확하게 표현된다.[2]

5. 3. 기타 용어


  • 나이퀴스트 레이트: 샘플링 대상 신호 파형의 대역폭의 두 배에 해당하는 샘플링 레이트이다. 이 레이트 이상으로 샘플링하면 파형을 정확하게 재구성할 수 있다.
  • 나이퀴스트 주파수: 시스템의 샘플링 레이트의 절반이다. 이 값보다 낮은 신호 주파수는 명확하게 표현된다.
  • 나이퀴스트 필터
  • 나이퀴스트 선도
  • 나이퀴스트 ISI 기준
  • 나이퀴스트 (프로그래밍 언어)
  • 나이퀴스트 안정성 판별법

참조

[1] 논문 Harry Nyquist 1976-06-01
[2] 서적 Sveriges befolkning 1900
[3] 웹사이트 Rufus Oldenburger Medal http://www.asme.org/[...] Americ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2013-02-21
[4] 논문 Thermal Agitation of Electric Charge in Conductors American Physical Society (APS) 1928-07-01
[5] 논문 Regeneration theory https://archive.org/[...]
[6] 논문 Certain factors affecting telegraph speed https://archive.org/[...]
[7] 논문 Certain Topics in Telegraph Transmission Theory https://web.archiv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8] 문서 Nyquist
[9] 문서 Nyquis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