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해왕성 궤도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해왕성 궤도선은 2005년 NASA에 제안된 해왕성 탐사 계획으로, 해왕성 궤도 진입 후 과학적 조사를 수행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델타 IV 또는 아틀라스 V 로켓을 사용하고, 금성과 목성의 중력 어시스트를 활용하여 10.25년의 비행 시간을 계획했으며, 탐사선은 대기 탐사정을 방출하고 에어로캡처를 통해 궤도에 진입할 예정이었다. 방사성 동위원소 열전 발전기를 동력원으로 사용하고, 자외선부터 적외선까지 촬영하는 이미징 장치와 자기력계 등을 탑재할 계획이었다. 트리톤 착륙선과 대기 탐사정 투하도 제안되었지만, 2008년 NASA의 미래 미션 목록에서 삭제되었고, 2011년에는 천왕성 궤도선이 더 권장되었다. NASA, JPL, 칼텍이 개발을 지원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해왕성 탐사선 - 마리너 마크 II
    마리너 마크 II에 대한 정보가 현재 제공되지 않아 도입부를 작성할 수 없습니다.
  • 해왕성 탐사선 - 보이저 2호
    보이저 2호는 NASA의 그랜드 투어 계획으로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을 탐사하기 위해 발사되어 중력도움 기술로 외행성들을 탐사하고 태양계를 벗어나 성간 매질에서 탐사를 진행 중인 무인 우주 탐사선이다.
  • 목성 탐사선 - 보이저 1호
    보이저 1호는 1977년 발사된 미국의 무인 탐사선으로 목성, 토성 탐사 후 태양계를 벗어나 성간 공간을 탐험 중이며, 이오 화산 활동 발견 등의 과학적 성과를 거두었고, 지구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인공 물체로서 외계 생명체와의 소통을 위한 황금 레코드를 싣고 있다.
  • 목성 탐사선 - 뉴 허라이즌스
    뉴 허라이즌스는 NASA의 뉴 프런티어 계획 탐사선으로, 명왕성과 카이퍼 벨트를 탐사하며 명왕성의 표면, 지형, 대기 등을 조사하고 카이퍼 벨트 천체 아로코스의 근접 관측을 통해 초기 태양계 형성에 대한 과학적 자료를 제공했으며, 플루토늄-238을 동력원으로 2030년대까지 탐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 우주 개발에 관한 - 제미니 10호
    제미니 10호는 1966년 7월에 발사된 미국의 유인 우주 비행으로, 궤도상 랑데부, 도킹, 우주 유영, 과학 실험을 수행하고 70시간 10분간 비행 후 대서양에 착수했다.
  • 우주 개발에 관한 - 아제나 표적기
    아제나 표적기는 제미니 계획에서 사용된 우주 표적 비행체로, 록히드 항공이 제작한 아제나-D 로켓 상단과 맥도넬 항공의 도킹 어댑터로 구성되어 제미니 우주선과의 랑데부 및 도킹을 위한 목표물 역할을 했다.
해왕성 궤도선
개요
임무 유형궤도 탐사
관리 기관NASA
임무 세부 정보
접근 천체해왕성
목표 천체해왕성
승무원무인
발사 정보
발사일2016년 (계획)
발사체델타 IV 또는 아틀라스 V
발사장소(미정)
궤도 정보
궤도해왕성 궤도
탐사선 정보
탑재체트리톤 랜더 (제안)
관련 정보
소속 프로그램(미정)
이전 임무(없음)
이후 임무(미정)

2. 미션 개요 및 현황

해왕성 궤도선은 해왕성 궤도에 진입하여 과학적 조사를 수행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하는 미션이었다. 2005년 NASA에 제안되었으며, 델타 IV 또는 아틀라스 V 로켓을 사용하여 금성목성의 중력 도움을 받아 10.25년 후 해왕성에 도착할 예정이었다.

탐사선은 해왕성 도착 직전 두 개의 대기 탐사정을 방출하고, 에어로캡처를 통해 해왕성 궤도에 진입할 계획이었다. 탐사 기간은 3~5년으로 예정되었다.

그러나 2008년 NASA의 미래 미션 목록에서 제거되었다. 2010년 NASA 예산은 태양계 외곽 미션 자금을 EJSM에 할당했고, 카시니, 주노, 뉴 호라이즌스 등 진행 중인 미션에 나머지를 할당하여 해왕성은 대상에서 제외되었다[4]。2011년 NASA의 10개년 계획에서는 천왕성 또는 해왕성 미션 검토를 언급했지만, 실현 가능성 때문에 천왕성 궤도선을 권장했다[5]

3. 동력원

캘리포니아 공과대학은 방사성 동위원소 열전 발전기(RTG)를 사용하는 설계를 제안했다.[6] 탐사선은 갈릴레오, 카시니, 보이저 2호, 뉴 호라이즌스와 유사한 디자인이었다. 다른 제안으로는 원자력 스털링 엔진과 이온 추진을 사용하는 것이 있었지만, NASA의 개발 중단으로 실현되지 않았다.

3. 1. 태양 전지

초기에는 탐사선의 전력 공급을 위해 태양 전지를 사용하는 방안이 제안되었다. 그 패널은 질량 감소를 위해 공기로 부풀리는 방식이었다. 태양 전지 기술의 발전으로 해왕성 거리에서도 충분한 전력 확보가 가능했지만, 높은 가격이 채택을 어렵게 했다.[1] 또한 외태양계에서는 햇빛이 약하여 이온 추진 시스템에 충분한 전력을 공급할 수 없었기에, 전통적인 추력기를 사용했다.[1]

4. 탑재 장비

해왕성 궤도선에 제안된 탑재 장비는 다음과 같다.


  • 탐사선: 자외선부터 적외선까지의 파장으로 행성을 촬영하는 다중 스펙트럼 이미징 장치, 해왕성 자기장의 방향이 자전축과 일치하지 않는 원인을 규명하는 자기력계 등이 제안되었다.[1]
  • 트리톤 착륙선 (랜더): 1~2기의 소형 착륙선을 트리톤 표면에 보내 표면 및 내부 성분, 매우 희박한 질소 대기 등을 분석하는 방안이 검토되었다.[1] 보이저 2호가 발견한 질소 간헐천 지역 및 트리톤의 남북극 등이 착륙 후보지로 제안되었다.[1]
  • 대기 탐사정: 최소 2대의 대기 탐사정을 해왕성 대기로 투하하여 기상 현상을 조사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갈릴레오 탐사정과 마찬가지로, 행성 대기의 열과 압력으로 파괴되기 전 2~3시간 동안 관측이 이루어질 예정이었다.[1]

4. 1. 탐사선

탐사선에는 자외선부터 적외선까지의 파장으로 행성을 촬영하는 다중 스펙트럼 이미징 장치, 해왕성 자기장의 방향이 자전축과 일치하지 않는 원인을 규명하는 자기력계 등을 탑재하는 것이 제안되었다.[1]

4. 2. 트리톤 착륙선 (랜더)

NASA의 과학자들과 기술자들은 1~2기의 소형 착륙선을 트리톤 표면에 보내 표면 및 내부 성분, 매우 희박한 질소 대기 등을 분석하는 것을 검토했다.[1] 보이저 2호가 발견한 질소 간헐천 지역 및 트리톤의 남북극 등이 착륙 후보지로 제안되었다.[1] 하지만 이 미션은 제안 단계에서 끝나 최종 결정에는 이르지 못했다.[1] 착륙선의 수명은 동력원과 기기에 따라 수일에서 한 달로 예상되었다.[1] 칼텍은 미니 랜더를 탑재하여 트리톤을 탐사하는 계획을 세웠고, 미니 랜더 개발을 주관하였다.[2]

4. 3. 대기 탐사정

해왕성의 대기 탐사정과 함께 최소 2대의 대기 탐사정을 해왕성 대기로 투하하여 기상 현상을 조사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목성의 대기를 조사했던 갈릴레오 탐사정과 마찬가지로, 행성 대기의 열과 압력으로 파괴되기 전 2~3시간 동안 관측이 이루어질 예정이었다. 강하 중 데이터 전송을 통해 해왕성 대기에 대한 더욱 상세한 분석이 가능해진다.

5. 지원, 개발, 투자

해왕성 궤도선은 NASA JPL에서 칼텍과 함께 개발 및 지원, 투자할 예정이었다.

참조

[1] 웹사이트 Solar System Exploration: Missions: Solar System Strategic Exploration Plans http://solarsystem.n[...] NASA 2018-10-07
[2] 웹사이트 Neptune Orbiters Utilizing Solar and Radioisotope Electric Propulsion http://arc.aiaa.org/[...] American Institute of Aeronautics and Astronautics 2016-09-03
[3] 웹사이트 NEPtune Orbiter with Probes http://www.lpi.usra.[...] Outer Planets Assessment Group 2016-09-03
[4] 웹사이트 Planetary Science https://www.nasa.gov[...] NASA 2016-09-03
[5] 웹사이트 Vision and Voyages for Planetary Science in the Decade 2013-2022 https://solarsystem.[...] National Academies Press 2016-09-03
[6] 웹사이트 The Importance of Utilizing and Developing Radioisotope Electric Propulsion for Missions Beyond Saturn http://www.lpi.usra.[...] JPL/Caltech 2016-09-03
[7] 웹인용 HE CASE FOR A NEPTUNE ORBITER/MULTI-PROBE MISSION https://www.lpi.usra[...] 2018-08-19
[8] 웹인용 Vision and Voyages for Planetary Science in the Decade 2013–2022 https://solarsystem.[...] National Academies Press 2016-09-03
[9] 웹인용 Planetary Science https://www.nasa.gov[...] NASA 2016-09-03
[10] 웹인용 Vision and Voyages for Planetary Science in the Decade 2013–2022 https://solarsystem.[...] National Academies Press 2016-09-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