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성간 인터넷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행성간 인터넷은 지구와 다른 행성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로, 1990년대 후반부터 연구가 시작되었다. 핵심 기술은 지연 내성 네트워크(DTN)로, 장거리 통신에서 발생하는 지연과 오류를 처리하여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을 지원한다. NASA와 유럽 우주국(ESA)을 비롯한 여러 기관에서 DTN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시험해 왔으며, 2022년에는 한국의 다누리 달 궤도선이 우주 인터넷 실험에 성공했다. 이러한 기술은 심우주 탐사뿐만 아니라 센서 네트워크, 재해 복구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주 이민 - 행성 보호
행성 보호는 우주 탐사 시 지구 미생물에 의한 외계 행성 오염 방지 및 외계 생명체 존재 가능성 보호를 위한 노력으로, 국제적인 논의와 우주조약을 통해 기준과 절차가 마련되었으며, 국제우주연구위원회가 관련 권고안을 제시한다. - 우주 이민 - 우주 엘리베이터
우주 엘리베이터는 지구 표면과 정지 궤도를 연결하여 화물을 수송하는 혁신적인 구조물로, 기술적 과제와 경제성, 환경 영향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 미래학 - 무어의 법칙
무어의 법칙은 집적회로의 성능이 일정 기간마다 두 배로 증가한다는 경험적 관찰로, 반도체 산업 발전을 이끄는 지표였으나, 최근 성장 둔화에도 불구하고 기술 혁신을 통해 성능 향상이 지속되며 기술 혁신 과정 자체를 의미하는 개념으로 진화하고 있다. - 미래학 - 기술적 특이점
기술적 특이점은 기술 발전이 가속화되어 인간의 지능을 초월하는 시점을 의미하며, 레이 커즈와일은 2045년경에 발생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인공지능, 인간 지능 확장, 유전자 기술 발전 등을 주요 쟁점으로 논의한다. - 컴퓨터 네트워크 - NORSAR
NORSAR는 노르웨이 셸러에 위치한 지진 연구 및 데이터 센터이며, 기초 지진학 연구, 소프트웨어 개발, 석유 산업 컨설팅 등의 활동을 수행하며, 포괄적 핵실험 금지 조약을 위한 노르웨이 국가 데이터 센터 역할을 수행한다. - 컴퓨터 네트워크 - 라우터
라우터는 네트워크 간 데이터 패킷을 전달하는 네트워크 장비로, ARPANET의 IMP에서 시작하여 다양한 종류로 발전해 왔으며, 최신 네트워크 기술과 함께 네트워크의 확장성, 안정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행성간 인터넷 | |
---|---|
개요 | |
![]() | |
기술적 측면 | |
프로토콜 | 번들 프로토콜 우주 통신 프로토콜 스택 (DTN) |
주요 특징 | 지구-화성 간 지연 시간으로 인한 TCP 프로토콜 문제 해결 |
해결 과제 | 행성 간 통신 지연 단절 오류율 |
응용 분야 | |
적용 분야 | 행성 간 통신 우주 탐사 심우주 네트워크 |
활용 예시 | 화성 탐사 로버 데이터 전송 |
개발 및 표준화 | |
주요 기관 | NASA 인터넷 연구 태스크 포스 (IRTF) Consultative Committee for Space Data Systems (CCSDS) |
관련 프로젝트 | 심우주 네트워크 (DSN) |
표준화 노력 | 번들 프로토콜 표준화 (RFC 5050) |
역사 | |
초기 연구 | 1990년대 후반, 빈트 서프 주도 |
주요 개발 단계 | 2004년, 번들 프로토콜 개발 2010년대, 심우주 네트워크 (DSN) 테스트 |
관련 개념 | |
관련 기술 | 지연 내성 네트워킹 (DTN) 번들 프로토콜 우주 통신 프로토콜 스택 |
네트워크 토폴로지 | 저장-전달 방식 |
추가 정보 | |
관련 문서 | RFC 4838 |
2. 역사와 발전
우주 통신 기술은 고가의 일회성 방식에서 기술 재사용 및 여러 국가의 우주 기관들이 합의한 표준 프로토콜 개발로 꾸준히 발전해 왔다. 이러한 발전은 1982년부터 우주 데이터 시스템 자문 위원회(CCSDS)의 노력을 통해 이루어졌다.[10] CCSDS는 11개의 회원 기관, 32개의 옵서버 기관, 119개 이상의 산업 협력 기관으로 구성된 국제 협력체이다.[11]
우주 데이터 시스템 표준의 발전은 인터넷의 발전과 병행되었지만, 대체로 별개의 발전으로 진행되었다. 1990년대 후반 이후, 인터넷 프로토콜과 CCSDS 우주 링크 프로토콜은 여러 방식으로 통합되기 시작했다.
태양계의 한 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 정보를 전송하는 데에는 지연 허용 네트워크(DTN)가 필요하다. ''지역''은 통신의 특성이 동일한 영역을 의미하며, 행성간 인터넷은 "지역 인터넷의 네트워크"이다.[16]
이에 따라, 범용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연결이 불안정하고 지연 시간이 긴 환경에서도 여러 지역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표준적인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요구를 바탕으로 "번들" 개념이 등장했고, 번들 프로토콜(BP)이 핵심 기술로 자리 잡았다.
CCSDS 파일 전송 프로토콜(CFDP)은 ''딥 임팩트'' 혜성 임무에 사용된 종단 간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이다. CFDP는 자동 양방향 파일 전송을 위한 국제 표준이다.
2. 1. 초기 개발
1990년대 후반부터 인터넷 프로토콜과 우주 데이터 시스템 자문 위원회(CCSDS) 프로토콜의 융합이 시작되었다. 1996년 1월 2일, 궤도에 있는 STRV 1B에 FTP 파일 전송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데, 이는 CCSDS IPv4와 유사한 우주 통신 프로토콜 사양(SCPS) 프로토콜을 통해 FTP를 실행한 것이다.[12][13] UoSAT-12 위성에서의 시연과 재난 감시 컨스텔레이션에서의 운영과 같이 CCSDS를 사용하지 않고 인터넷 프로토콜을 사용한 사례도 우주선에서 발생했다.미국 항공우주국(NASA) 제트 추진 연구소(JPL)에서 행성간 인터넷 연구는 인터넷 개척자인 빈턴 서프와 애드리안 후크가 이끄는 JPL의 과학자 팀에 의해 시작되었다.[14] 서프는 1998년 JPL의 뛰어난 방문 과학자로 임명되었으며, 후크는 CCSDS의 창립자이자 이사 중 한 명이었다.[15]
2. 2. 지연 허용 네트워크 (DTN) 개발
지연 허용 네트워크(DTN)는 장거리 및 시간 지연 환경에서 안정적인 통신을 위해 개발되었다. 지연 허용 네트워크의 핵심은 지구 인터넷의 인터넷 프로토콜(IP)과 유사한 번들 프로토콜(BP)이다. 번들 프로토콜은 IP와 달리 연결 단절 및 오류를 고려하여 설계되었다.[17]번들 서비스 계층은 번들링 프로토콜 제품군으로 구현되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범용 지연 허용 프로토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서비스에는 보관 전송, 세분화 및 재조립, 종단 간 신뢰성, 종단 간 보안 및 라우팅이 포함된다. 번들 프로토콜은 2008년 UK-DMC 위성에서 처음으로 우주 시험을 거쳤다.[18][19]
2. 3. 다누리의 우주 인터넷 실험
다누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의 협력으로 "우주 인터넷" 실험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2022년 11월 7일, 다누리는 우주에서 촬영한 사진과 방탄소년단의 "Dynamite" 비디오 파일을 지구로 전송했다.[20][21] 이는 지연 허용 네트워크(DTN) 기술을 활용해 장거리 및 시간 지연이 발생하는 우주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통신이 가능함을 보여준 사례이다.3. 기술적 과제와 해결 방안
행성 간 인터넷은 행성 간 거리, 움직임, 태양 활동 등으로 인한 통신 지연, 연결 불안정, 제한된 대역폭 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여러 기술들이 개발 및 연구되고 있다.
역사적으로 우주 통신은 고가의 독자적인 포인트 투 포인트 아키텍처에서 점차 발전하여, 여러 국가의 우주 기관들이 표준 프로토콜 개발에 합의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1982년부터 Consultative Committee for Space Data Systems영어(CCSDS)[38]가 주력해 왔으며, 각국의 우주 기관(멤버 기관 11개, 옵저버 기관 22개), 산업계 참여 기업 100개 이상이 참여하고 있다.
우주 데이터 시스템 표준의 발전은 인터넷의 발전과 병행되어 왔다. 개념적으로 공통된 부분도 많지만, 대부분은 별개의 진보라고 할 수 있다. 1990년대 후반 이후, 주요 인터넷 프로토콜과 CCSDS 우주 링크 프로토콜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1996년 1월 2일, 지구 궤도상의 인공위성 STRV-1b와의 파일 전송이 성공했다. 이는 CCSDS의 IPv4와 유사한 SCPS 프로토콜 상에서 FTP를 작동시킨 것이다.[39][40] UoSAT-12 위성에서의 시연이나 Disaster Monitoring Constellation영어에서의 실용화처럼 CCSDS를 사용하지 않는 인터넷 프로토콜의 실험도 우주선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NASA 제트 추진 연구소(JPL)에서의 행성간 인터넷 연구는 빈턴 서프와 Adrian Hooke[41]가 이끄는 과학자 팀에 의해 시작되었다.
IP와 유사한 SCPS 프로토콜은 단거리 전송에서는 실용 가능하지만, 태양계의 한 영역에서 다른 영역으로 정보를 전송하려면 지연 내성 네트워크(DTN)가 필요하다. "영역(region)"의 개념이 행성간 인터넷의 아키텍처상 중요한 요소인데, "영역"이란 통신의 적절한 품질이 동질이라고 할 수 있는 범위를 의미한다.[42] 영역은 통신 능력, 서비스 품질, 보안, 자원 관리, 소유권 등을 기반으로 정의되며,[42] 행성간 인터넷은 "영역별 인터넷 간의 네트워크"이다.
이러한 조건의 인식을 통해, 일반화된 축적 교환 문제에 대처하는 고수준 방법으로서 "번들(bundle)"의 개념에 도달한다. 번들이란, OSI 참조 모델의 전송 계층보다 상위 계층에서의 새로운 프로토콜 개발이며, "영역 인터넷 간의 네트워크"와 같은 근본적으로 다른 환경 간에 신뢰할 수 있는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축적 교환 정보를 정리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지연 내성 네트워크(DTN), 번들 프로토콜(Bundle Protocol, BP), CCSDS 파일 전송 프로토콜(CFDP) 등의 기술이 이러한 해결 방안에 포함된다.
지연 내성 네트워크는 행성간 인터넷 외에도 혹독한 환경에서의 통신, 센서 웹, 재해 복구, 원격 오지와의 통신 등 다양한 응용 분야가 존재한다.[56]
3. 1. 주요 기술적 과제
행성 간 인터넷 구현의 핵심은 한 행성을 공전하는 위성이 다른 행성의 위성과 통신하는 것이다. 그러나 행성들은 먼 거리를 두고 태양을 공전하기 때문에 통신에 여러 어려움이 발생한다.[7][8]
행성 간 인터넷 설계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제한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다른 행성과의 안정적인 통신을 가능하게 해야 한다.
3. 2. 해결 방안
인터넷 협회의 행성간 인터넷 특별 관심 그룹은 IPN을 가능하게 하는 프로토콜과 표준을 정의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22] 지연 내성 네트워킹(DTN)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주요 방안으로 연구되고 있다.DTN은 지연을 동반하는 장거리 통신의 표준화를 목표로 설계되었다. 그 핵심은 번들 프로토콜(Bundle Protocol, BP)이며, 지구상의 인터넷에서 널리 사용되는 인터넷 프로토콜(IP)과 유사하지만, 심우주 통신에서 자주 발생하는 오류와 연결 끊김에 대한 대처를 포함한다.[43]
번들 서비스 계층은 각종 애플리케이션(보호 전송, 분할 및 재결합, 종단 간 신뢰성, 종단 간 보안, 종단 간 라우팅)에 대해 범용의 지연 내성 프로토콜 서비스를 제공한다. 2008년, UK-DMC 위성을 사용하여 우주 공간에서 번들 프로토콜 시험이 처음으로 이루어졌다.[44][45]
CCSDS 파일 전송 프로토콜(CCSDS File Delivery Protocol, CFDP)은 자동적이고 고신뢰성 양방향 파일 전송을 위한 표준 규격으로, 딥 임팩트 계획 등에서 활용되었다.[46] CFDP는 파일을 복사하는 것 외에도 파일의 메타데이터로 사용자 정의의 짧은 메시지를 전송하여 원격 노드에서 파일 시스템 관련 명령을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다.
취소된 화성 통신 궤도선은 광통신을 사용하여 지구와 화성 간의 행성간 인터넷 연결을 구축할 계획이었다. 레이저 빔을 사용한 광통신은 RF 신호 대신 빛의 빔과 망원경 및 광 증폭기와 같은 광학 요소를 사용하여 정보를 전송하여 더 높은 데이터 속도를 제공한다.[24]
NASA 제트 추진 연구소(JPL)는 2008년 10월 딥 임팩트/EPOXI 우주선에 탑재된 Deep Impact Networking(DINET) 실험으로 DTN 프로토콜을 테스트했다.[25] 2009년 5월, DTN은 국제 우주 정거장(ISS)에 탑재된 페이로드에 배포되었다.[26] 2012년 10월 ISS 사령관 수니타 윌리엄스는 DTN을 사용한 실험에서 유럽 우주 운영 센터(독일)에 위치한 레고 마인드스톰 로봇을 원격으로 조작했다.[29][30]
4. 프로토콜
CCSDS(우주 데이터 시스템 자문 위원회)는 심우주 통신을 위한 표준 프로토콜을 정의한다.[38] 역사적으로 우주 통신은 고가의 독자적인 방식에서 발전하여, 여러 국가의 우주 기관들이 표준 프로토콜 개발에 합의하게 되었다. 1982년부터 CCSDS가 이 노력을 주도하고 있으며, 11개의 회원 기관, 22개의 옵저버 기관, 100개 이상의 산업체가 참여하고 있다.
우주 데이터 시스템 표준의 발전은 인터넷의 발전과 병행되어 왔다. 1990년대 후반 이후, 주요 인터넷 프로토콜과 CCSDS 우주 링크 프로토콜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1996년 1월 2일 지구 궤도상의 인공위성 STRV-1b와의 FTP(파일 전송 프로토콜) 파일 전송이 성공했다.[39][40] 이는 CCSDS의 IPv4와 유사한 SCPS(Space Communications Protocol Specifications) 프로토콜 상에서 FTP를 작동시킨 것이다. CCSDS를 사용하지 않는 인터넷 프로토콜 실험도 우주선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NASA 제트 추진 연구소(JPL)에서 행성간 인터넷 연구는 빈턴 서프와 Adrian Hooke[41]가 이끄는 과학자 팀에 의해 시작되었다.
IP와 유사한 SCPS 프로토콜은 단거리 전송에서는 실용적이지만, 태양계의 한 영역에서 다른 영역으로 정보를 전송하려면 지연 내성 네트워크(DTN)가 필요하다. "영역(region)"은 통신의 적절한 품질이 동질이라고 할 수 있는 범위를 의미하며,[42] 통신 능력, 서비스 품질, 보안, 자원 관리, 소유권 등을 기반으로 정의된다.[42] 행성간 인터넷은 "영역별 인터넷 간의 네트워크"이다.
이러한 환경에서 필요한 것은 범용 프로토콜에 의해 연결이 없는 임의의 지연이 있는 환경에서 복수 영역 간의 종단 간 통신을 실현하는 표준적인 방법이다. 이를 위해 "번들(bundle)" 개념이 도입되었는데, 이는 OSI 참조 모델의 전송 계층보다 상위 계층에서 새로운 프로토콜을 개발하는 것이며, "영역 인터넷 간의 네트워크"와 같은 환경 간에 신뢰할 수 있는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DTN은 지연을 동반하는 장거리 통신의 표준화를 목표로 설계되었으며, 핵심은 번들 프로토콜(Bundle Protocol, BP)이다. BP는 지구상의 인터넷에서 널리 사용되는 Internet Protocol(IP)과 매우 유사하지만, 심우주 통신에서 자주 발생하는 오류와 연결 끊김에 대한 대처를 포함한다.[43]
번들 서비스 계층은 각종 애플리케이션에 범용 지연 내성 프로토콜 서비스를 제공한다. 번들 프로토콜은 2008년, UK-DMC 위성을 사용하여 처음으로 우주 공간에서 시험되었다.[44][45]
이러한 종단 간 애플리케이션의 일종인 CFDP를 실제로 미션에 이용한 예로 혜성 탐사 계획 딥 임팩트가 있다. CFDP는 CCSDS File Delivery Protocol이며,[46] 자동적이고 고신뢰성 양방향 파일 전송을 위한 표준 규격이다.
4. 1. CCSDS 패킷 정의
CCSDS(우주 데이터 시스템 자문 위원회, Consultative Committee for Space Data Systems) 패킷 원격 측정 표준은 심우주 채널을 통해 우주선 기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이 표준에 따라 우주선 기기에서 전송된 이미지 또는 기타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패킷을 사용하여 전송된다.패킷은 패킷 헤더를 포함하여 7바이트에서 65,542바이트까지 길이가 변동될 수 있는 데이터 블록이다.
- 패킷화된 데이터는 프레임을 통해 전송되며, 프레임은 고정 길이의 데이터 블록이다. 프레임 헤더와 제어 정보를 포함한 프레임의 크기는 최대 2,048바이트까지 가능하다.
- 패킷 크기는 개발 단계에서 고정된다.
패킷 길이는 가변적이지만 프레임 길이는 고정되어 있으므로, 패킷 경계는 일반적으로 프레임 경계와 일치하지 않는다.
4. 2. 데이터 손실 처리
프레임 내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오류 정정 코드를 사용하여 채널 오류로부터 보호된다.[1]채널 오류가 오류 정정 코드의 정정 능력을 초과하는 경우에도, 오류는 거의 항상 오류 정정 코드 또는 별도의 오류 감지 코드로 감지된다.[1] 수정할 수 없는 오류가 감지된 프레임은 해독 불가능으로 표시되며 일반적으로 삭제된다.[1] 삭제된 해독 불가능한 전체 프레임은 압축된 데이터 세트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데이터 손실 유형이다.[1] 일반적으로 해독 불가능으로 표시된 프레임의 압축된 데이터를 사용하려는 시도에서 얻을 수 있는 이점은 거의 없다.[1]
프레임에 오류가 있는 경우, 첫 번째 비트 오류 발생 전 서브밴드 픽셀의 비트는 이미 해독되지만, 세그먼트의 이후 해독된 모든 비트는 일반적으로 완전히 손상된다.[1] 단일 비트 오류는 종종 많은 비트 오류만큼 파괴적이다.[1] 또한, 압축된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강력하고 긴 블록 길이의 오류 정정 코드로 보호되는데, 이는 해독 불가능한 프레임 전체에서 상당한 비율의 비트 오류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가장 높은 코드 유형이다.[1]
따라서 오류가 감지된 프레임은 프레임 프로세서에 의해 삭제되지 않더라도 본질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1]
이러한 데이터 손실은 다음과 같은 메커니즘으로 보상할 수 있다.[1]
- 오류가 있는 프레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압축 해제기는 마치 신뢰할 수 있는 것처럼 프레임 데이터를 맹목적으로 사용한다. 반면 오류가 감지된 프레임의 경우, 압축 해제기는 불완전하지만 오해의 소지가 없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재구성을 수행할 수 있다.
- 그러나 오류가 있는 프레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 CCSDS 리드-솔로몬 코드로 부호화된 프레임의 경우, 40,000개 프레임 중 1개 미만의 오류 프레임만 감지되지 않을 수 있다.
- 리드-솔로몬 코드를 사용하지 않는 모든 프레임은 순환 중복 검사(CRC) 오류 감지 코드를 사용하며, 이는 32,000개 중 1개 미만의 감지되지 않은 프레임 오류율을 가진다.
5. 구현 및 활용
인터넷 협회의 행성간 인터넷 특별 관심 그룹과 지연 내성 네트워킹(DTN) 연구 그룹(DTNRG)은 행성간 인터넷(IPN)을 가능하게 하는 프로토콜과 표준을 정의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22][23]
DTN은 행성간 인터넷뿐만 아니라 센서 네트워크, 군사 및 전술 통신, 재해 복구, 적대적 환경, 모바일 장치 및 원격 전초 기지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32] 예를 들어, 통신 연결이 없는 고립된 북극 마을에 무선 핫스팟과 DTN 지원 장치를 추가하면, 주민들은 썰매나 보트가 네트워크 위치를 방문할 때 요청을 보내고 응답을 받을 수 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 제트 추진 연구소(JPL)는 2008년 10월 딥 임팩트/EPOXI 우주선에 탑재된 Deep Impact Networking(DINET) 실험으로 DTN 프로토콜을 테스트했다.[25] 2009년 5월에는 국제 우주 정거장(ISS)에 DTN을 배포하여 실험을 진행했다.[26]
화성 통신 궤도선 계획은 다른 화성 임무를 지원하기 위해 지구와 화성 간의 행성간 인터넷 연결을 구축하는 것이었으나 취소되었다. 이 계획은 RF 대신 레이저를 이용한 광 통신을 사용하여 더 높은 데이터 속도를 제공할 예정이었다.[24] 레이저 통신은 RF 신호, 증폭기 및 안테나 대신 빛의 빔과 망원경 및 광 증폭기와 같은 광학 요소를 사용하여 정보를 전송한다.[24]
5. 1. 지구 궤도에서의 활용
국제 우주 정거장(ISS)은 지구와 가까워 기존 인터넷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2010년 1월 22일에는 국제 우주 정거장에서 최초로 트윗을 게시하기도 했다.[33] 국제 우주 정거장은 행성 간 인터넷 기술 개발 및 실험 플랫폼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과 유럽 우주국(ESA)은 국제 우주 정거장에서 지연 내성 네트워킹(DTN) 프로토콜을 이용해 독일 다름슈타트에 있는 로버를 원격 조작하는 실험을 진행했는데,[34] 이 실험은 미래에 다른 행성의 거주지나 기반 시설을 지원할 수 있는 통신 기술을 시연했다.[57]5. 2. 대한민국의 역할
다누리의 우주 인터넷 실험 성공은 대한민국의 우주 기술 역량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이다. 2022년 11월 7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다누리(한국 달 궤도선)를 통해 우주에서 촬영한 사진과 방탄소년단의 "Dynamite" 비디오 파일을 지구로 성공적으로 전송하였다.[20][21] 이는 지연 허용 네트워크(DTN) 기술을 활용하여 우주 통신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이러한 성과는 더불어민주당의 우주 기술 개발 투자 확대 및 관련 인력 양성 정책과 함께 대한민국의 우주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국제 협력을 통해 행성 간 인터넷 구축에 참여하고, 우주 공간에서 대한민국의 영향력을 확대하는 기반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참조
[1]
논문
The Interplanetary Internet
https://spectrum.iee[...]
2005-08
[2]
웹사이트
Generation InterPlanetary Internet
https://spaceref.com[...]
2024-12-02
[3]
논문
Enabling the Interplanetary Internet
https://www.jhuapl.e[...]
2021-10-23
[4]
논문
The Interplanetary Internet: A Communications Infrastructure for Mars Exploration
http://www.ipnsig.or[...]
The World Space Congress
2002-10-19
[5]
웹사이트
SpaceX, Blue Origin Vie To Expand Mars-Earth Interplanetary Internet
https://www.forbes.c[...]
2024-05-15
[6]
웹사이트
Mars Relay Network: Interplanetary Internet - NASA Science
https://science.nasa[...]
2024-05-15
[7]
논문
Queueing analysis of DTN protocols in deep-space communications
https://ieeexplore.i[...]
2021-02-01
[8]
논문
The Sky is NOT the Limit Anymore: Future Architecture of the Interplanetary Internet
https://ieeexplore.i[...]
2020-10-24
[9]
논문
Performance of bundle protocol for deep-space communications
https://ieeexplore.i[...]
2021-02-01
[10]
웹사이트
CCSDS.org - The Consultative Committee for Space Data Systems (CCSDS)
http://public.ccsds.[...]
2006-05-15
[11]
웹사이트
About CCSDS
https://public.ccsds[...]
2021-02-20
[12]
논문
The Space Technology Research Vehicles: STRV-1a, b, c and d
http://www.klabs.org[...]
2009-03-05
[13]
간행물
CCSDS 710.0-G-0.3: Space Communication Protocol Specification (SCPS) - Rationale, Requirements, and Application Notes
https://citeseerx.is[...]
2016-03-04
[14]
웹사이트
CCSDS.org — CCSDS Hall of Fame — Adrian Hooke
http://public.ccsds.[...]
2017-11-05
[15]
웹사이트
Adrian Hooke, CCSDS Founder and Lifetime Leader
https://public.ccsds[...]
Consultive Committee on Space Data Systems
2023-04-29
[16]
간행물
Interplanetary Internet
http://sunset.usc.ed[...]
[17]
웹사이트
Space Station Astronaut Drives Robot on Earth via 'Interplanetary Internet'
http://www.space.com[...]
2012-11-29
[18]
논문
Use of the Delay-Tolerant Networking Bundle Protocol from Space
https://ntrs.nasa.go[...]
2021-06-18
[19]
웹사이트
UK-DMC satellite first to transfer sensor data from space using 'bundle' protocol
http://www.sstl.co.u[...]
2016-03-04
[20]
웹사이트
The South Korean probe "Danuri" sent a music video of the BTS group
https://universemaga[...]
2022-12-18
[21]
Youtube
우주에서 보내온 BTS 다이너마이트 뮤직비디오ㅣ다누리 우주 인터넷 탑재체
https://www.youtube.[...]
2022-12-18
[22]
웹사이트
InterPlanetary Networking Special Interest Group (IPNSIG)
http://www.ipnsig.or[...]
2005-01-13
[23]
논문
Space for Internet and Internet for Space
https://www.scienced[...]
2019-05-08
[24]
웹사이트
The Mars Laser Communication Demonstration
http://trs-new.jpl.n[...]
2008-04-28
[25]
웹사이트
NASA Successfully Tests First Deep Space Internet
http://www.nasa.gov/[...]
2010-10-12
[26]
웹사이트
NASA fires up the 'interplanetary internet'
https://www.theregis[...]
The Register
2017-08-10
[27]
서적
2010 IEEE Aerospace Conference
2010-10-12
[28]
웹사이트
The Automation Group at BioServe Space Technologies
http://bioserve.colo[...]
2010-10-12
[29]
간행물
Almost Being There: Why the Future of Space Exploration Is Not What You Think
https://www.wired.co[...]
Condé Nast
2012-11-13
[30]
웹사이트
'Bundle' signals from SPACE seize control of small car in Germany: ISS 'naut takes the wheel of Lego motor in bundlenet test
https://www.theregis[...]
Situation Publishing
2012-11-11
[31]
웹사이트
NASA: Delay Tolerant Networking (DTN) - Experiment/Payload Overview
http://www.nasa.gov/[...]
2010-09-24
[32]
웹사이트
Home - Delay-Tolerant Networking Research Group
http://www.dtnrg.org[...]
[33]
웹사이트
Twitter post
https://twitter.com/[...]
2013-03-10
[34]
웹사이트
NASA, ESA Use Experimental Interplanetary Internet to Test Robot From International Space Station
http://www.nasa.gov/[...]
2012-11-29
[35]
뉴스
The Interplanetary Internet
http://spectrum.ieee[...]
IEEE Spectrum
2005-08
[36]
웹사이트
Generation InterPlanetary Internet | SpaceRef — Your Space Reference
http://www.spaceref.[...]
[37]
간행물
The Interplanetary Internet: A Communications Infrastructure for Mars Exploration
https://ui.adsabs.ha[...]
53rd International Astronautical Congress, The World Space Congress, 19 Oct 2002/Houston, Texas
[38]
웹사이트
CCSDS
http://public.ccsds.[...]
[39]
문서
The Space Technology Research Vehicles: STRV-1a, b, c and d
http://www.klabs.org[...]
AIAA Small Satellite Conference, Logan, Utah
1996
[40]
문서
Appendix F, CCSDS 710.0-G-0.3: Space Communication Protocol Specification (SCPS) - Rationale, Requirements, and Application Notes, Draft Green Book, Issue 0.3
1997-04
[41]
웹사이트
Adrian Hooke – Active in CCSDS 1982-2012
http://public.ccsds.[...]
[42]
웹사이트
Interplanetary Internet
http://sunset.usc.ed[...]
[43]
웹사이트
http://www.space.com[...]
[44]
간행물
Use of the Delay-Tolerant Networking Bundle Protocol from Space
http://info.ee.surre[...]
Conference paper IAC-08-B2.3.10, 59th International Astronautical Congress, Glasgow
2008-09
[45]
뉴스
UK-DMC satellite first to transfer sensor data from space using 'bundle' protocol
http://www.sstl.co.u[...]
Surrey Satellite Technology Ltd
2008-09-11
[46]
웹사이트
CCSDS.org - CCSDS Recommendations and Reports - Space Internetworking Services Area
http://public.ccsds.[...]
[47]
웹사이트
InterPlanetary Internet
http://www.ipnsig.or[...]
[48]
논문
The Mars laser communication demonstration
https://hdl.handle.n[...]
2022-02-24
[49]
뉴스
NASA Successfully Tests First Deep Space Internet
http://www.nasa.gov/[...]
NASA Press Release 08-298
2008-11
[50]
뉴스
NASA fires up the 'interplanetary internet'
http://www.theregist[...]
The Register
2009-07-07
[51]
간행물
"Delay/Disruption-Tolerant Networking: Flight Test Results from the International Space Station."
http://www-bioserve.[...]
IEEE Aerospace Conference
[52]
웹사이트
The Automation Group at BioServe Space Technologies.
http://bioserve.colo[...]
University of Colorado, Boulder
[53]
웹사이트
Almost Being There: Why the Future of Space Exploration Is Not What You Think
http://www.wired.com[...]
Condé Nast
2012-11-12
[54]
웹사이트
'Bundle' signals from SPACE seize control of small car in Germany: ISS 'naut takes the wheel of Lego motor in bundlenet test
http://www.theregist[...]
Situation Publishing
2012-11-09
[55]
웹사이트
NASA: Delay Tolerant Networking (DTN) - Experiment/Payload Overview.
http://www.nasa.gov/[...]
2010-09-24
[56]
웹사이트
Home - Delay-Tolerant Networking Research Group
http://www.dtnrg.org[...]
[57]
웹사이트
http://www.nasa.gov/[...]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