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레이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레이저는 유도 방출을 통해 빛을 증폭하는 장치로, 1917년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이론적 토대 마련 이후, 1960년 시어도어 메이먼에 의해 최초로 작동하는 레이저가 개발되었다. 레이저는 활성 매질에 따라 고체, 기체, 액체, 반도체 레이저 등으로 분류되며, 높은 결맞음과 에너지 밀도를 특징으로 한다. 현재 레이저는 광디스크, 바코드 리더, 레이저 포인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산업, 의료, 통신, 군사, 과학 연구 등 현대 사회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다. 레이저의 잠재적 위험성으로 인해 안전 등급에 따라 분류되며, 사용 시 안전 규정을 준수해야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향성에너지 무기 - 지향성 에너지 무기
    지향성 에너지 무기는 전자기파, 입자 빔, 음파 에너지를 집중시켜 목표물을 타격하는 무기로, 레이저, 마이크로파 등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으나 인체 위해성 및 윤리적 문제, 국제법 위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 지향성에너지 무기 - 아이언 빔
    아이언 빔은 파이버 레이저로 공중 목표물을 파괴하는 지향성 에너지 무기로, 이스라엘 라파엘에서 개발 중이며 2025년 말 아이언 돔에 통합될 예정이다.
  • 양자광학 - 광자학
    광자학은 빛을 이용하여 통신 및 정보 처리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연구 분야로, 레이저 발명 이후 광통신을 넘어 다양한 분야로 확장되고 있으며 양자 광학 등 여러 학문과 연관되어 있다.
  • 양자광학 - 푸아송 잡음
    푸아송 잡음은 에너지 전달의 이산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으로, 독립적인 무작위 사건의 푸아송 분포로 설명되며, 전자공학 등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 레이저 - 엑시머 레이저
    엑시머 레이저는 비활성 기체와 할로겐 혼합물에서 전기 자극으로 생성된 엑시머 분자가 자외선을 방출하는 레이저로, 다양한 파장을 가지며 포토리소그래피, 시력 교정 수술, 피부 질환 치료, 과학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레이저 - 바코드
    바코드는 다양한 폭의 막대와 공백 조합으로 정보를 나타내는 기호로, 상품 식별, 재고 관리 등에 사용되며 1차원과 2차원 바코드가 존재하고 바코드 스캐너로 판독되어 산업 효율성을 높인다.
레이저
레이저
헬륨-네온 레이저 작동 방식
헬륨-네온 레이저 작동 방식
기본 정보
명칭레이저
영어 명칭laser
중국어 명칭激光
정의'방사선 유도 방출에 의한 빛 증폭'
약어LASER
영어 약어 풀이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특징
빛 방출 방식광학적 증폭
빔 특성단색광
간섭성
지향성
역사
발명 년도1958년 12월
노벨상 수상'2023년 아토초 레이저 개발 물리학자 노벨상 수상'
기술
광학적 공진기거울
레이저 매질기체
액체
고체
반도체
펌핑 방식광학 펌핑
전기 펌핑
화학 펌핑
응용 분야
산업재료 가공 (절단, 용접 등)
정밀 측정
광학 통신
의료레이저 수술
진단
군사레이저 유도 무기
거리 측정
군사 통신
과학분광학
레이저 냉각
핵융합 연구
일상 생활레이저 포인터
광 디스크 드라이브
레이저 프린터
바코드 스캐너
레이저 쇼
자동차 헤드라이트
디스플레이
조명
추가 정보
관련 용어메이저
광학
양자역학
전자기파
참고 문헌'Taylor, Nick (2000). Laser: The Inventor, The Nobel Laureate, and The Thirty-Year Patent War. Simon & Schuster. p. 66. ISBN 978-0684835150.'
'Ross T., Adam; Becker G., Daniel (2001). Proceedings of Laser Surgery: Advanced Characterization, Therapeutics, and Systems. SPIE. p. 396. ISBN 978-0-8194-3922-2.'
'December 1958: Invention of the Laser. aps.org.'
'Ning, Jinna; Zhang, Wenrui; Cao, Changqing; Feng, Zhejun; Zeng, Xiaodong; Wang, Ting; Wang, Rui; Song, Qi; Fan, Shuanglin (2019). "Collimation of laser diode beams for free space optical communications". Infrared Physics & Technology. Elsevier BV. 102: 102996. doi:10.1016/j.infrared.2019.102996. ISSN 1350-4495.'
'Castelvecchi, Davide; Sanderson, Katharine (October 3, 2023). "Physicists who built ultrafast 'attosecond' lasers win Nobel Prize". Nature. 622 (7982): 225–227. doi:10.1038/d41586-023-03047-w. PMID 37789199.'
'Semiconductor Sources: Laser plus phosphor emits white light without droop. Laser Focus World. November 7, 2013.'
'Laser Lighting: White-light lasers challenge LEDs in directional lighting applications. Laser Focus World. February 22, 2017.'
'How Laser-powered Headlights Work. howstuffworks.com. November 7, 2011.'
'Laser light for headlights: Latest trend in car lighting. OSRAM Automotive.'
'鈴木茂, 炭山嘉伸, 宅間哲雄, 鶴見清彦 (1983). "遺残再発結石に対する内視鏡的治療およびレザー応用". 日本消化器外科学会雑誌. 16 (4): 775–778. doi:10.5833/jjgs.16.775.'

2. 역사

1917년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은 전자기 방사선의 흡수, 자연 방출, 유도 방출에 대한 아인슈타인 계수 개념을 바탕으로 막스 플랑크의 방사 법칙을 새롭게 유도하여 레이저와 메이저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했다.[147][35] 이후 유도 방출 현상은 1928년 루돌프 발터 라덴부르크에 의해 확인되었고,[36][134] 1939년 발렌틴 아브라모비치 파브리칸트는 유도 방출을 이용한 단파장 증폭 가능성을 예측했다.[37][135] 1947년 윌리스 람과 로버트 레서포드는 수소 스펙트럼에서 유도 방출을 실제로 관측했으며,[36][134] 1950년 알프레드 카스트러는 광 펌핑 방법을 제안했다.[38][136]

최초로 유도 방출을 이용한 증폭 장치는 마이크로파 영역에서 작동했으며, "유도 방출에 의한 마이크로파 증폭"(microwave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이라는 의미로 ''메이저''라고 불렸다.[10] 1951년 조셉 웨버가 마이크로파 증폭기 아이디어를 제시했고,[39] 1953년 찰스 타운스와 대학원생 제임스 P. 고든, 허버트 J. 자이거는 최초의 메이저를 개발했다. 하지만 이 메이저는 연속 출력이 불가능했다.[41] 비슷한 시기 소련의 니콜라이 바소프알렉산드르 프로호로프는 독자적으로 양자 진동을 연구하여 다중 에너지 준위를 이용한 연속 출력 시스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1955년에는 레이저 펌핑의 주요 방법이 된 광 펌핑을 제안했다. 타운스, 바소프, 프로호로프는 메이저-레이저 원리 연구 공로로 1964년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가시광선 영역에서 유사한 장치가 개발되면서 처음에는 ''광학 메이저''(optical masers)로 불렸으나, '마이크로파' 대신 '빛(light)'을 넣어 ''레이저''(laser)라는 약어가 만들어졌다.[11][12][13] 오늘날에는 마이크로파보다 높은 주파수(약 300 GHz 이상)에서 작동하는 장치를 레이저(예: ''적외선 레이저'', ''자외선 레이저'', ''X선 레이저'', ''감마선 레이저''), 그 이하 주파수에서 작동하는 장치를 메이저라고 부른다.[14][15] "레이징하다"(to lase)라는 동사는 레이저 매질이 결맞는 빛을 방출하는 것을 의미하며,[16] 레이저가 작동 중일 때 "레이징하고 있다"(lasing)고 표현한다.[17] 레이저는 약어와 달리 스스로 빛을 생성하는 광 증폭기가 아닌 광학 발진기이다.[19]

알렉산드르 미하일로비치 프로호로프


찰스 H. 타운스


'''레이저 노트북:''' 고든 고울드가 레이저라는 약어를 만들고 레이저 제작 요소를 설명한 노트북 첫 페이지.


1957년 일본의 엔지니어 니시자와 준이치는 반도체 광 메이저 개념을 제안했고,[43] 같은 해 벨 연구소의 타운스와 아서 레너드 쇼울로는 가시광선 레이저 연구를 시작하여 1958년 특허를 출원하고 이론을 발표했다.[44] 한편, 컬럼비아 대학교 대학원생 고든 고울드는 1957년 독자적으로 레이저 아이디어를 기록하고 1959년 "LASER"라는 약어를 처음 사용하며 가능한 응용 분야를 제시했다.[49][20][138][139] 고울드는 1959년 4월 특허를 출원했으나 거절당했고, 벨 연구소가 1960년에 특허를 획득하면서 28년간의 소송이 이어졌다. 고울드는 1977년에 첫 특허를 인정받았고, 1987년에야 광 펌핑 및 가스 방전 레이저 장치에 대한 주요 특허 소송에서 승소했다.[50] 레이저 발명에 대한 공로는 여전히 논쟁의 여지가 있다.

1960년 5월 16일, 휴즈 연구소의 시어도어 H. 메이먼이 합성 루비 결정을 이용한 최초의 작동 레이저(펄스 방식)를 시연했다.[51][52][141][142] 같은 해 후반, 이란의 물리학자 알리 자반과 윌리엄 R. 베넷 주니어, 도널드 R. 헤리엇은 헬륨과 네온을 사용하여 적외선에서 연속 작동이 가능한 최초의 가스 레이저를 개발했다. 1962년에는 로버트 N. 홀이 갈륨 비화물을 이용한 최초의 반도체 레이저(근적외선 대역 850nm, 펄스, 액체 질소 냉각 필요)를 시연했고, 곧이어 닉 홀로냐크 주니어가 가시광선 방출이 가능한 최초의 반도체 레이저(펄스, 액체 질소 냉각 필요)를 시연했다. 1970년에는 소련의 조레스 알페로프와 벨 연구소의 하야시 이즈오, 모튼 패니시가 각각 독립적으로 이종접합 구조를 사용하여 상온에서 연속 작동하는 다이오드 레이저를 개발했다. 1985년에는 고강도 레이저 개발의 길을 연 칩드 펄스 증폭(Chirped Pulse Amplification; CPA) 기술이 제안되었다.[143]

2. 1. 한국의 레이저 개발사

(내용 없음 - 주어진 소스에는 '한국의 레이저 개발사'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3. 원리

레이저는 'radiation의 유도 방출에 의한 빛 증폭'(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eng)의 약자이다.[11][12][13] 이는 유도 방출이라는 물리 현상을 이용하여 을 증폭하는 장치 또는 그렇게 증폭된 빛 자체를 의미한다.

'''전형적인 레이저의 구성 요소:'''
1. 활성 레이저 매질 (이득 매질)
2. 레이저 펌핑 에너지
3. 고반사율 거울
4. 출력 커플러 (부분 반사 거울)
5. 레이저 빔


기본적으로 레이저는 세 가지 주요 요소로 구성된다.[27]

  • 활성 레이저 매질 (이득 매질, Gain medium): 빛을 증폭시키는 물질이다. 외부 에너지를 받으면 유도 방출을 통해 빛 에너지를 방출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진다. 매질의 종류(결정, 액체, 기체, 반도체[149])에 따라 방출되는 레이저 빛의 파장이 달라진다. 수천 종류의 레이저 매질이 확인되었다.
  • 펌핑 에너지원 (Pumping energy source): 활성 레이저 매질에 에너지를 공급하여 원자나 분자를 들뜬 상태로 만드는 역할을 한다. 제논 플래시 램프, 다른 레이저 빛, 전류 등이 사용된다. 펌핑을 통해 매질 내부에 반전 분포 상태를 만든다.
  • 광 공진기 (Optical resonator): 일반적으로 활성 레이저 매질 양 끝에 배치된 한 쌍의 거울로 구성된다. 빛을 거울 사이에서 반복적으로 왕복시키면서 활성 레이저 매질을 통과하게 하여 빛을 증폭시킨다. 거울 중 하나는 출력 커플러(Output coupler)라고 불리는 부분 반사 거울로, 증폭된 빛의 일부를 외부로 내보내 레이저 빔을 형성한다.


레이저 원리를 설명하는 애니메이션


원자의 에너지 준위와 빛의 상호작용: (위) 흡수, (중간) 자발 방출, (아래) 유도 방출


레이저의 작동 원리는 양자 역학적 에너지 준위와 빛의 상호작용에 기반한다. 물질을 구성하는 원자나 분자는 특정한 에너지 준위를 가진다.

1. 흡수 (Absorption): 외부에서 에너지가 공급되면(펌핑), 원자나 분자는 낮은 에너지 준위(바닥 상태)에서 높은 에너지 준위(들뜬 상태)로 이동한다. 이때 특정 파장의 빛(광자)을 흡수할 수 있다.

2. 자발 방출 (Spontaneous emission): 들뜬 상태의 원자나 분자는 불안정하여 스스로 에너지를 방출하고 낮은 에너지 준위로 돌아가려는 경향이 있다. 이때 방출되는 빛(광자)은 무작위적인 방향과 위상을 가지며, 일반적인 형광이나 백열등의 빛과 같다. 이를 '인코히런트(incoherent)'한 빛이라고 한다.

3. 유도 방출 (Stimulated emission): 들뜬 상태의 원자나 분자가 외부에서 들어온 특정 파장의 빛(광자)에 의해 자극받아, 동일한 파장, 위상, 진행 방향을 가진 빛(광자)을 추가로 방출하는 현상이다. 이 과정에서 빛이 증폭된다. 유도 방출된 빛은 원래의 빛과 동일한 특성을 가지므로 '코히런트(coherent)', 즉 가간섭성(可干涉的) 빛이다.[148]

레이저는 바로 이 유도 방출 현상을 핵심 원리로 사용한다. 펌핑을 통해 활성 레이저 매질 내에 들뜬 상태의 원자나 분자 수가 바닥 상태보다 많은 반전 분포 (Population inversion) 상태를 만든다. 이 상태에서 일부 원자가 자발 방출을 시작하면, 이 빛이 다른 들뜬 상태의 원자들을 자극하여 유도 방출을 연쇄적으로 일으킨다.

광 공진기는 이 유도 방출된 빛을 거울 사이에서 왕복시키면서 증폭을 극대화한다. 거울에 수직으로 입사하는 빛만이 반사되어 거울 사이를 왕복하며 유도 방출을 반복하고, 특정 파장의 빛만이 공진하며 강해진다. 다른 방향이나 파장의 빛은 소멸된다. 왕복하는 동안 빛은 활성 레이저 매질을 계속 통과하며 유도 방출을 통해 점점 더 강하게 증폭된다. 마지막으로, 부분 반사 거울(출력 커플러)을 통해 증폭된 빛의 일부가 강력하고 결맞는 레이저 빔으로 방출된다.

일반적으로 레이저는 단일 파장의 매우 좁은 광선을 생성하며, 이 경우 녹색 빛이다.


이렇게 생성된 레이저 광은 일반적인 빛(자연광, 전구 빛 등)과 구별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 단색성 (Monochromaticity): 거의 단일한 파장의 빛으로 구성되어 매우 선명한 색을 띤다. (물론 가시광선 영역 밖의 파장을 가진 레이저는 눈에 보이지 않는다.) 이는 레이저의 시간적 결맞음과 관련이 깊다.
  • 결맞음성 (Coherence): 빛의 위상이 일정하여 파동의 봉우리와 골짜기가 잘 정렬되어 있다. 시간적 결맞음과 공간적 결맞음으로 나뉜다.[26]
  • 시간적 결맞음 (Temporal coherence): 긴 거리에 걸쳐 위상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특성으로, 단색성을 나타낸다.
  • 공간적 결맞음 (Spatial coherence): 빔의 단면에서 위상이 균일한 특성으로, 빔이 멀리 퍼지지 않고 좁게 유지되는 직진성과 관련 있다.
  • 직진성 (Directionality): 빛이 거의 퍼지지 않고 일직선으로 멀리 나아간다. 이 때문에 레이저 빔을 매우 작은 점으로 집광하여 높은 에너지 밀도를 얻을 수 있다.


햇빛을 렌즈로 모아 종이를 태울 수 있지만, 레이저 광은 훨씬 더 작은 면적에 에너지를 집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1mW 출력의 레이저라도 단위 면적당 에너지 밀도는 태양 빛의 100만 배에 달할 수 있다.

최초로 유도 방출 원리를 이용한 장치는 마이크로파 영역에서 작동하는 메이저(MASER, Microwave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였다.[10] 이후 가시광선 영역에서 유사한 원리로 작동하는 장치가 개발되면서 '광학 메이저'로 불리다가 '레이저'(LASER)라는 이름이 정착되었다.[11][12][13] 현재는 마이크로파보다 높은 주파수(약 300 GHz 이상, 예: 적외선, 가시광선, 자외선, X선 레이저, 감마선 레이저)에서 작동하는 장치를 레이저, 마이크로파나 그 이하 무선 주파수에서 작동하는 장치를 메이저라고 부른다.[14][15]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은 1917년 논문 "''Zur Quantentheorie der Strahlung''"("복사의 양자 이론에 관하여")에서 흡수, 자발 방출, 유도 방출의 개념(아인슈타인 계수)을 제시하며 레이저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했고,[35] 1958년 찰스 타운스와 아서 쇼울로가 이론적 실현 가능성을 제시한 후, 1960년 5월 16일 시어도어 메이먼이 루비 결정을 이용하여 최초의 레이저 발진에 성공했다.

4. 특징

밤하늘을 향해 쏘아 올린 레이저 광선. 레이저의 높은 직진성을 보여준다.


레이저 광선은 일반적인 빛과 구별되는 몇 가지 중요한 특징을 가진다. 햇빛을 렌즈로 모으면 종이를 태울 수 있지만, 레이저 광은 훨씬 더 작은 점으로 집중시킬 수 있어 단위 면적당 에너지 밀도가 매우 높다. 예를 들어, 출력이 1mW에 불과한 레이저라도 태양빛의 100만 배에 달하는 에너지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작은 전구를 켤 정도의 미미한 출력이지만, 높은 에너지 밀도 덕분에 재료 가공이나 심지어 군사적 목적으로도 활용될 잠재력을 지닌다.[25] 1960년 T. H. 메이먼 박사가 레이저 빔으로 풍선을 터뜨리는 시연을 통해 이러한 레이저의 강력한 힘을 세상에 알렸다.

자연광(햇빛, 전구 빛 등)은 다양한 파장위상이 뒤섞인 빛이지만, 레이저 광은 기본적으로 단일 파장과 동위상의 빛으로 이루어져 있다. 빛의 파장은 색깔을 결정하므로, 단일 파장의 레이저 광은 매우 선명한 단색광의 특징을 보인다. 물론 가시광선 영역 밖의 파장을 가진 레이저는 눈에 보이지 않는다. 또한, 레이저 광은 위상이 가지런히 정렬되어 있어 마치 잘 다듬어진 물결과 같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레이저 광은 멀리까지 퍼지지 않고 거의 일직선으로 나아가는 높은 직진성을 가진다.

레이저 광을 특징짓는 가장 중요한 성질은 높은 결맞음(coherence)이다. 이는 빛이 얼마나 잘 정렬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척도로, 공간적 결맞음과 시간적 결맞음으로 나눌 수 있다.

  • 공간적 결맞음: 빛의 파면이 얼마나 균일한지를 나타낸다. 공간적 결맞음이 높은 레이저 광은 거의 완벽한 평면파나 구면파를 만들 수 있어, 멀리까지 퍼지지 않고 직진하거나 매우 작은 점으로 집광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특성은 레이저 포인터, 광디스크의 정보 판독, 정밀 가공, 광통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이론적으로는 일반 광원에 핀홀을 사용하여 공간적 결맞음을 만들 수도 있지만, 빛의 세기가 매우 약해 실용적이지 않다. 레이저는 실용적인 강도의 공간적 결맞는 빛을 쉽게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시간적 결맞음: 빛의 위상이 얼마나 오랫동안 일정하게 유지되는지를 나타낸다. 시간적 결맞음이 높으면 빛의 경로 차이가 큰 경우에도 간섭 현상을 뚜렷하게 관찰할 수 있다. 간섭이 일어나는 최대 경로 차이를 결맞음 길이, 시간 차이를 결맞음 시간이라고 한다. 시간적 결맞음은 빛의 단색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시간적 결맞음이 높을수록 단색성이 좋다. 잘 설계된 레이저는 나트륨 램프와 같은 기존의 단색 광원보다 훨씬 뛰어난 단색성을 보인다. 이러한 특성은 레이저 자이로나 레이저 냉각과 같이 간섭이나 단색성이 중요한 응용 분야에 필수적이다.[26]


레이저의 또 다른 중요한 특징은 매우 짧은 시간 동안 빛을 방출하는 펄스 형태로 만들 수 있다는 점이다. 나노초(10-9초)에서 펨토초(10-15초), 심지어 아토초(10-18초) 수준의 극도로 짧은 펄스 생성이 가능하다. 펄스 레이저는 짧은 시간 동안 에너지를 집중시켜 순간적으로 매우 높은 출력(피크 출력)을 얻을 수 있다. 이는 시간분해 분광법, 비선형 광학 연구, 레이저 가공, 레이저 핵융합 등 다양한 첨단 과학 기술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짧은 펄스폭을 가진 빛은 불확정성 원리에 따라 넓은 파장 범위(스펙트럼폭)를 가지는 특징도 있다.

빛의 세기가 시간에 따라 변하는 방식에 따라 레이저는 크게 두 종류로 나뉜다.

  • 펄스 레이저: 간헐적으로 짧고 강한 빛 펄스를 방출한다. 모드 동기나 Q 스위칭 같은 기술을 사용하여 매우 높은 순간 출력을 얻을 수 있다.
  • CW 레이저 (Continuous wave laser): 연속적으로 일정한 세기의 빛을 방출한다. 펄스 레이저보다 순간 출력은 낮지만, 시간적 결맞음이 높아 간섭 현상 관찰 등에 유리하다.


이러한 독특한 특징들 덕분에 레이저는 탄생 이후 불과 수십 년 만에 공업, 의료, 통신, 정보 저장, 계측, 과학 연구 등 수많은 분야에서 핵심 기술로 자리 잡았다.

5. 종류

시판 레이저의 파장. 서로 다른 레이저 선을 가진 레이저 종류는 파장 막대 위에 표시되고, 파장 범위 내에서 방출할 수 있는 레이저는 아래에 표시됩니다. 색상은 레이저 재료의 종류를 나타냅니다(자세한 내용은 그림 설명 참조).


레이저는 다양한 기준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가장 일반적인 분류 기준은 빛을 증폭시키는 증폭매질의 종류이다. 증폭 매질은 물질의 상태에 따라 고체, 액체, 기체, 플라스마 등이 될 수 있다.[29]

  • 고체 레이저: 결정이나 유리와 같은 고체 물질을 증폭 매질로 사용한다. 매질을 구성하는 원자의 일부를 다른 원소로 치환한 인공 결정이 주로 쓰인다. 대표적인 예로 루비 레이저, Nd:YAG 레이저, 티타늄-사파이어 레이저 등이 있다.
  • 기체 레이저: 기체를 증폭 매질로 사용한다. 작동 방식에 따라 중성 원자 레이저(헬륨-네온 레이저), 이온 레이저(아르곤 이온 레이저), 분자 레이저(이산화탄소 레이저), 엑시머 레이저 등으로 나뉜다.
  • 액체 레이저: 액체를 증폭 매질로 사용한다. 유기 염료를 유기 용매에 녹인 용액을 사용하는 색소 레이저가 대표적이며, 넓은 파장 범위에서 조절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 반도체 레이저: 반도체 다이오드 구조를 이용하여 레이저 빛을 생성한다. 레이저 다이오드(LD)라고도 불리며, 크기가 작고 저렴하여 레이저 포인터광 디스크 등에 널리 사용된다. VCSEL, 양자 캐스케이드 레이저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이 외에도 특수한 매질이나 원리를 이용하는 다음과 같은 레이저들이 있다.

  • 파이버 레이저: 희토류 원소가 첨가된 광섬유를 증폭 매질로 사용한다. 고출력, 고효율 구현이 용이하여 산업용 가공 및 광통신 분야에서 활용된다.
  • 자유 전자 레이저: 가속기를 통해 생성된 고속의 자유 전자 빔을 증폭 매질로 사용하여 매우 넓은 파장 범위에서 강력한 빛을 생성한다.
  • 화학 레이저: 화학 반응에서 발생하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레이저 빛을 생성한다. 매우 높은 출력을 낼 수 있어 군사적 목적 등으로 연구된다.


레이저는 발진하는 빛의 파장에 따라서도 분류할 수 있다.

대부분의 레이저는 사용하는 매질에 따라 발진 파장이 거의 정해져 있지만, 티타늄-사파이어 레이저나 자유 전자 레이저와 같이 넓은 파장 범위에서 조절 가능한 레이저도 있다.

5. 1. 고체 레이저

고체 레이저이온으로 도핑결정질 또는 유리 막대를 증폭매질로 사용하는 레이저이다.[29] 일반적으로 결정을 구성하는 원자의 일부가 다른 원소로 치환된 구조의 인공 결정이 사용된다.

최초로 작동한 레이저인 루비 레이저는 크롬으로 도핑된 강옥(루비) 결정을 사용했다. 네오디뮴(Nd)은 이트륨 알루미늄 가닛(Nd:YAG)을 비롯한 다양한 고체 레이저 결정에서 흔히 사용되는 도펀트이다. Nd:YAG 레이저는 파장 1064nm의 적외선 영역에서 높은 출력을 낼 수 있어 금속 등의 절단, 용접, 마킹이나 분광법, 염료 레이저 펌핑 등에 사용된다. 또한 비선형 광학 결정을 이용한 주파수 변환 과정을 통해 파장을 바꾸어, 532nm(녹색 가시광선), 355nm 및 266nm(자외선) 빛을 만들 수도 있다. 밝은 녹색 레이저 포인터는 주파수가 두 배로 변환된 다이오드 펌핑 고체(DPSS) 레이저를 사용한다.

이터븀(Yb), 홀뮴(Ho), 툴륨(Tm), 어븀(Er) 등도 고체 레이저의 도펀트로 사용된다.[68] 예를 들어, 홀뮴이 도핑된 YAG 결정(Ho:YAG 레이저)은 2097nm 파장의 적외선을 방출하며, 이 빛은 물이 포함된 조직에 잘 흡수되어 의료 분야(관절 표면 재생, 치아 부식 제거, 암 제거, 신장 및 담석 분쇄 등)에서 활용된다.

티타늄(Ti)이 도핑된 사파이어 결정(Ti:사파이어 레이저)은 넓은 파장 범위에서 조절 가능한(가변 레이저) 적외선 빛을 생성하여 분광법 등에 널리 쓰인다. 특히 모드 잠금 기술을 이용하여 매우 짧은 시간 동안 강력한 빛을 내는 초단 펄스 레이저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 유명하다.

고체 레이저의 여기(에너지 공급) 광원으로 레이저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것을 다이오드 펌핑 고체(DPSSL, Diode Pumped Solid State Laser) 레이저라고 부른다.

고체 레이저는 펌핑 에너지 중 레이저 빛으로 변환되지 않은 에너지가 열로 바뀌면서 증폭매질이 뜨거워지는 열적 제한 문제가 있다. 높은 열 광학 계수와 결합된 이 열은 열 렌즈 효과를 일으켜 레이저 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박막 디스크 레이저와 같은 기술이 개발되었는데, 이는 얇은 디스크 형태의 이득 매질을 사용하여 열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1kW 이상의 고출력을 가능하게 한다.[69]

5. 2. 기체 레이저

헬륨-네온 레이저 시연. 관 중앙을 통과하는 빛은 전기 방전이다. 이렇게 빛나는 플라스마는 레이저의 증폭매질이다. 레이저는 오른쪽 화면에 작고 강렬한 점을 생성한다. 점의 중앙이 흰색으로 보이는 것은 이미지가 과다 노출되었기 때문이다.


헬륨-네온 레이저의 스펙트럼. 실제 대역폭은 표시된 것보다 훨씬 좁다. 스펙트럼은 측정 장치에 의해 제한된다.


매질이 기체인 레이저를 기체 레이저라고 한다. 기체 레이저는 작동 원리에 따라 중성 원자 레이저(헬륨-네온 레이저), 이온 레이저(아르곤 이온 레이저), 분자 레이저(이산화탄소 레이저, 질소 레이저), 엑시머 레이저, 금속 증기 레이저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화학 레이저를 기체 레이저에 포함시키는 경우도 있다.

헬륨-네온 레이저(HeNe) 발명 이후, 다양한 기체 방전 현상을 이용하여 빛을 증폭하는 레이저들이 개발되었다. 주요 기체 레이저의 종류와 특징은 다음과 같다.

  • 헬륨-네온 레이저 (HeNe): 여러 파장에서 작동 가능하지만, 주로 633nm의 붉은색 빛을 내도록 설계된다. 비교적 저렴하고 높은 결맞음을 가지므로 광학 연구 및 교육용으로 널리 사용된다.
  • 이산화탄소(CO2) 레이저: 단일 공간 모드에서 수백 와트(W)의 고출력을 낼 수 있으며, 10.6μm의 적외선 영역에서 작동한다. 에너지 변환 효율이 30% 이상으로 매우 높아[62] 산업 현장에서 용접 및 절단 용도로 많이 쓰인다.
  • 아르곤 이온 레이저: 351nm에서 528.7nm 사이의 여러 파장에서 작동한다. 설계에 따라 특정 파장 또는 여러 파장의 빛을 동시에 출력할 수 있으며, 주로 458nm(파란색), 488nm(청록색), 514.5nm(녹색) 파장이 사용된다.
  • 질소 TEA 레이저: 대기압 횡방향 전기 방전(TEA) 방식을 사용하는 저렴한 기체 레이저로, 337.1nm의 자외선을 발생시킨다. 취미 활동가들이 직접 제작하기도 한다.[63]
  • 금속 증기 레이저: 금속 증기를 매질로 사용하며, 전자빔 등으로 여기시켜 레이저 빛을 발생시킨다. 심자외선 파장을 생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헬륨-은(HeAg, 224nm), 네온-구리(NeCu, 248nm), 헬륨-카드뮴 레이저(HeCd) 등이 있다. 다른 저압 기체 레이저처럼 발진 선폭이 3 GHz(0.5pm) 미만으로 매우 좁아[64] 형광 신호가 강한 시료의 라만 분광법 분석 등에 활용될 수 있다.


엑시머 레이저는 특수한 종류의 기체 레이저이다. 레이저 매질로 엑시머(excimer) 또는 엑시플렉스(exciplex)를 사용하며 전기 방전으로 구동된다. 엑시머/엑시플렉스는 분자를 구성하는 원자 중 하나 이상이 여기 상태에 있을 때만 일시적으로 존재하는 분자이다. 분자가 여기 에너지를 광자로 방출하면 원자 간 결합이 깨져 분자가 분해된다. 이 과정은 바닥 상태의 분자 수를 효과적으로 줄여 반전분포 형성을 용이하게 만든다. 현재 사용되는 엑시머는 대부분 비활성 기체 화합물이다. 비활성 기체는 일반적으로 화학 반응을 하지 않지만, 여기 상태에서는 일시적으로 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다. 엑시머 레이저는 주로 자외선 영역에서 작동하며, 반도체 포토리소그래피라식(LASIK) 수술 등에 널리 사용된다. 주요 엑시머 분자와 발진 파장은 ArF(193nm), KrCl(222nm), KrF(248nm), XeCl(308nm), XeF(351nm) 등이다.[67] 진공 자외선 영역의 157nm 파장을 내는 분자 플루오린 레이저(F2 레이저)도 엑시머 레이저로 분류되기도 하지만, 플루오린(F2)은 안정한 분자이므로 엄밀히는 엑시머 레이저가 아니다.

매질의 반전분포 없이 레이저를 작동시키는 기술은 1992년 나트륨 기체와 1995년 루비듐 기체에서 국제 공동 연구팀들에 의해 시연되었다.[65][66] 이는 외부 메이저(Maser)를 이용하여 원자의 특정 에너지 준위 간 전이를 유도하고, 양자 간섭 효과를 통해 매질이 특정 파장의 빛을 흡수하지 않도록 만드는 방식으로 구현되었다.

5. 3. 액체 레이저

로다민 6G(Rhodamine 6G)를 기반으로 한 테이블탑 염료 레이저의 모습


매질이 액체인 레이저를 액체 레이저라고 한다. 대표적으로 색소 레이저(dye laser)가 있으며, 이는 유기 염료 분자를 유기 용매(알코올 등)에 녹인 용액을 증폭 매질로 사용한다.

색소 레이저의 가장 큰 장점은 사용하는 염료의 종류나 공진기의 조정을 통해 발진하는 빛의 파장을 넓은 범위에서 자유롭고 연속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높은 파장 가변성(조율성) 덕분에 다양한 과학 연구나 분광학 분야에서 유용하게 활용된다. 또한, 색소 레이저는 수 펨토초 수준의 매우 짧은 지속 시간을 가지는 펄스를 생성할 수도 있다. 1970년대 이후 초단 펄스 레이저로 자주 사용되었으나, 점차 성능이 더 우수한 티탄 사파이어 레이저와 같은 고체 레이저로 대체되는 경향이 있다.

색소 레이저는 주로 액체 상태의 매질을 사용하지만, 염료를 고체 폴리머 등에 섞어 고체 염료 레이저 형태로 만들기도 한다.

버블 레이저는 기포를 광 공진기로 사용하는 독특한 형태의 색소 레이저이다. 기포 내부에서 빛이 벽을 따라 도는 속삭이는 회랑 모드를 이용하여, 주파수 빗 형태의 일정한 간격의 여러 파장으로 이루어진 빛을 만들어낸다. 이때 파장의 간격은 기포의 크기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어, 이를 이용해 매우 민감한 압력 센서로 활용할 수 있다.[78]

5. 4. 반도체 레이저

CD 또는 DVD 플레이어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5.6mm '밀폐형 캔' 상용 레이저 다이오드


반도체 레이저는 반도체를 매질로 사용하는 레이저로, 고체 레이저와 구별하여 레이저 다이오드(LD)라고도 부른다. 전기적으로 여기되는 다이오드의 일종으로, 인가된 전류에 의해 생성된 전자와 정공이 재결합하는 과정에서 광학적 이득을 얻는다.[29] 결정의 양쪽 끝 면에서의 반사를 통해 광 공진기를 형성하지만, 일부 설계에서는 공진기가 반도체 외부에 위치하기도 한다. 저렴하고 크기가 작다는 장점 덕분에 레이저 포인터, 광 디스크 읽기/쓰기 등 저출력이 필요한 분야에 주로 사용되며, 활용 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다.

상용 레이저 다이오드는 375nm부터 3500nm까지 넓은 파장 범위에서 빛을 방출한다.[72] 저출력 또는 중간 출력의 레이저 다이오드는 레이저 포인터, 레이저 프린터, CD/DVD 플레이어 등에 널리 사용된다. 또한, 높은 효율을 바탕으로 다른 종류의 레이저를 광학적으로 펌핑하는 데에도 자주 활용된다. 최대 20kW의 출력을 내는 고출력 산업용 레이저 다이오드는 산업 현장에서 절단 및 용접 작업에 사용된다.[73] 외부 공진기 반도체 레이저는 반도체 활성 매질을 더 큰 외부 공진기 내부에 배치한 구조이다. 이러한 장치는 우수한 빔 품질, 파장 조절이 가능한 좁은 선폭의 빛 또는 초단 레이저 펄스를 생성하여 고출력을 얻을 수 있다.

2012년, 니치아와 OSRAM은 기존의 다이오드 펌핑 고체 레이저와 경쟁할 수 있는 상용 고출력 녹색 레이저 다이오드(515nm/520nm)를 개발 및 제조했다.[74][75]

수직 공진기 표면 방출 레이저(VCSEL)는 빛의 방출 방향이 웨이퍼 표면에 수직인 반도체 레이저이다. VCSEL 소자는 일반적인 레이저 다이오드보다 더 원형에 가까운 출력 빔을 생성한다는 특징이 있다. 2005년 현재 850nm VCSEL이 널리 사용 가능하며, 1300nm VCSEL은 상용화되기 시작했고[76] 1550nm 소자는 연구 단계에 있다. VECSEL은 외부 공진기를 사용하는 VCSEL을 의미한다. 양자 캐스케이드 레이저는 여러 개의 양자 우물을 포함하는 구조 내에서 전자의 에너지 부대역(subband) 사이의 전이를 활성 전이로 이용하는 반도체 레이저이다.

실리콘 레이저의 개발은 광 컴퓨팅 분야에서 중요한 과제로 여겨진다. 실리콘은 집적 회로의 주요 재료이므로, 전자 부품과 실리콘 포토닉스 부품(광 상호 연결)을 동일한 칩 위에 제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실리콘은 고유한 특성 때문에 레이저 발진이 어려운 재료이다. 최근 연구팀들은 실리콘과 다른 반도체 재료(예: 인화 인듐 또는 갈륨 비소)를 결합하여 레이저 발진 재료를 만드는 방법을 통해 실리콘 레이저를 구현했다. 이러한 레이저를 하이브리드 실리콘 레이저라고 부른다. 최근에는 광 상호 연결을 위해 실리콘에 직접 단일 칩으로 통합된 나노선 레이저가 개발되어 칩 수준 응용의 길을 열었다.[77] 실리콘에서 광 상호 연결이 가능한 이러한 이종 구조 나노선 레이저는 최대 200GHz의 반복 주파수를 가진 위상 고정된 피코초 펄스 쌍을 방출하여 칩 상에서의 광 신호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59] 또 다른 유형으로는 라만 레이저가 있는데, 이는 라만 산란 현상을 이용하여 실리콘과 같은 재료에서 레이저를 생성하는 방식이다.

5. 5. 기타 레이저

라이덴 플라즈마 물리학 연구소(FOM Institute for Plasma Physics Rijnhuizen), 뉘웨헤인에 있는 자유전자레이저 FELIX


자유 전자 레이저(FEL, Free-electron laser)는 마이크로파에서부터 테라헤르츠파적외선, 가시광선 영역, 그리고 연X선까지 광범위하게 파장을 조절할 수 있는 강력하고 일관성 있는 방사선을 생성한다. 자유 전자 레이저는 어떤 종류의 레이저보다도 가장 넓은 주파수 범위를 가지며, 고출력 레이저 생성이 가능하여 기초 과학 연구, 산업, 의료 분야에서 활용 가능성이 높다. 자유 전자 레이저 빔은 다른 레이저처럼 일관성 있는 방사선과 같은 광학적 특성을 공유하지만, 작동 원리는 상당히 다르다. 결합된 원자 또는 분자 상태에 의존하는 기체, 액체, 고체 레이저와 달리, 자유 전자 레이저는 레이저 매질로 상대론적 전자빔을 사용하기 때문에 "자유 전자"라는 이름이 붙었다. 진공 중에서 광속에 가까운 자유 전자에 자기장을 가해 진로를 바꿀 때 발생하는 방사광을 이용한다.

화학 레이저는 화학 반응을 통해 에너지를 얻어 구동되는 레이저로, 많은 양의 에너지를 빠르게 방출할 수 있다. 이러한 매우 높은 출력 특성 때문에 특히 군사적 목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기체 흐름으로 공급되는 매우 높은 출력 수준의 연속파 화학 레이저가 개발되어 일부 산업 분야에도 응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플루오르화수소 레이저(파장 2700–2900 nm)와 플루오르화중수소 레이저(파장 3800 nm)는 수소 또는 중수소 기체와 삼플루오르화질소 중의 에틸렌 연소 생성물의 결합 반응을 이용한다. 산소-요오드 화학 레이저 또한 화학 레이저의 한 종류이다.

파이버 레이저(Fiber laser)는 빛이 단일 모드 광섬유전반사를 통해 유도되는 고체 레이저 또는 레이저 증폭기이다. 희토류 원소(주로 에르븀과 이터븀 이온)를 첨가하여 이득을 얻는 광섬유를 레이저 매질로 사용한다. 빛의 유도는 매우 긴 이득 영역을 가능하게 하고 우수한 냉각 조건을 제공한다. 섬유는 표면적 대 부피 비율이 높아 효율적인 냉각이 가능하며, 섬유의 도파관 특성은 빔의 열 왜곡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준다. 이러한 특징 덕분에 파이버 레이저는 고출력, 고효율, 소형화가 가능하며 비교적 저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대부분의 파이버 레이저는 이중 클래드 광섬유 구조로 설계된다. 이 구조는 섬유 코어, 내부 클래딩, 외부 클래딩의 세 층으로 이루어지며, 각 층의 굴절률을 조절하여 섬유 코어는 레이저 방출에 대해 단일 모드 섬유 역할을 하고, 외부 클래딩은 펌프 레이저에 대해 다중 모드 코어 역할을 하도록 만든다. 이를 통해 펌프 광이 활성 내부 코어 영역으로 많은 양의 전력을 전달하면서도 쉬운 발사 조건을 위한 높은 개구수(NA)를 유지할 수 있다.

파이버 레이저는 레이저 가공이나 광통신 용도로 널리 이용된다. 다만, 다른 광학 매체와 마찬가지로 특정 파장의 방사선에 노출될 때 광감소 현상의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재료의 열화와 레이저 기능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 이 현상은 종종 색 중심 형성과 관련이 있다.[70]
기타 연구 중인 레이저

  • 감마선 레이저: 원자핵의 이성체 상태 간 전이를 이용한 고에너지 레이저로, 1970년대 초부터 연구되었으나 아직 실현되지 않았다.[79][80][81][82] 초기 연구는 뫼스바우어 효과를 이용하거나[83][84] 다단계 펌핑 방식[85], 레이저로 구동되는 전자 구름을 이용하는 방법[86][87][88][89][90][91][92][93][94] 등이 제안되었다. 2007년에는 양전자 소멸을 이용한 감마선 레이저 구동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며, 이를 핵융합 점화에 활용할 수 있다는 제안도 있었다.[95]
  • X선 레이저: 핵폭발로 펌핑되는 우주 기반 X선 레이저가 대미사일 무기로 제안된 바 있다. 이는 일회용 무기 형태이다.[96][97]
  • 생체 레이저: 살아있는 세포를 이용해 레이저 광을 생성하는 연구도 진행되었다.[98][99] 녹색 형광 단백질을 생성하도록 유전적으로 조작된 세포를 이득 매질로 사용하고, 두 개의 거울 사이에 배치하여 레이저 공진기를 구성했다. 청색광을 비추면 세포는 강한 지향성을 가진 녹색 레이저 광을 방출했다.

6. 응용 분야

레이저는 미세한 다이오드 레이저(위)부터 관성 가둠 핵융합, 핵무기 연구 등에 사용되는 축구장 크기의 네오디뮴 유리 레이저(아래)까지 크기가 매우 다양하다.


레이저가 처음 발명되었을 때는 "문제를 찾고 있는 해결책"이라고 불리기도 했다.[102] 하지만 발명가 중 한 명인 고든 굴드는 이미 초기 연구 노트와 특허 출원에서 수많은 가능한 응용 분야를 제시했다.[103][104] 그 후 레이저는 우리 주변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기술이 되었고, 소비자 가전, 정보 기술, 과학, 의학, 산업, 법 집행, 오락, 군사 분야 등 현대 사회 거의 모든 부문에서 수천 가지의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특히 광섬유 통신은 대량의 데이터를 장거리로 전송하기 위해 파장 분할 다중화(WDM) 시스템에서 여러 레이저 빛을 동시에 사용하는 핵심 기술이다.[105][106][107]

레이저가 처음으로 널리 사용된 사례는 1974년에 도입된 슈퍼마켓 바코드 스캐너였다. 1978년에는 레이저를 사용한 최초의 성공적인 소비자 제품인 레이저디스크 플레이어가 등장했고, 1982년에는 콤팩트 디스크(CD) 플레이어가 상용화되면서 레이저 기술은 대중에게 더욱 친숙해졌다. 그 직후 레이저 프린터도 등장했다.

레이저의 주요 응용 분야는 다음과 같다.

  • 통신: 광섬유 통신 외에도 자유 공간 광 통신, 우주 레이저 통신 등에 사용된다. (자세한 내용은 통신 섹션 참조)
  • 의학: 레이저 수술, 치료, 진단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자세한 내용은 의료 섹션 참조)
  • 산업: 레이저 절단, 레이저 용접, 레이저 마킹, 3D 프린팅 등 정밀 가공 및 제조 공정에 필수적이다. (자세한 내용은 산업 섹션 참조)
  • 군사: 표적 지시, 미사일 유도, 미사일 방어, 라이더, 레이저 조준경 등에 사용된다. (자세한 내용은 군사 섹션 참조)
  • 법 집행: LIDAR를 이용한 과속 단속, 법의학 분야에서 지문 탐지 등에 활용된다.[108][109]
  • 연구: 분광학, 레이저 냉각, 라이더, 간섭계, 현미경 등 정밀 측정 및 실험에 중요한 도구이다. (자세한 내용은 과학 연구 섹션 참조)
  • 상업 제품 및 오락: 레이저 프린터, 바코드 스캐너, 레이저 포인터, 광 디스크 플레이어, 홀로그램, 레이저 조명 디스플레이 등에 널리 쓰인다. (자세한 내용은 기타 섹션 참조)
  • 정보 표시: 레이저 조명 디스플레이 기술을 이용해 경기장 바닥, 도로, 활주로 등에 정보를 투사할 수 있다.[110][111][112]


2004년 기준으로, 다이오드 레이저를 제외한 레이저 시장 규모는 약 13만 1천 대 판매, 21.9억달러에 달했다.[113] 같은 해 다이오드 레이저는 약 7억 3300만 개가 판매되었으며, 그 가치는 32억달러에 이르렀다.[114]

6. 1. 산업

레이저 광은 매우 좁은 면적에 에너지를 집중시킬 수 있어, 1mW 출력의 레이저라도 단위 면적당 에너지 밀도는 태양빛의 100만 배에 달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레이저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정밀 가공 도구로 활용된다.

산업적으로 레이저는 강력한 출력을 이용하여 금속, 플라스틱, 나무, 천 등 다양한 재료를 절단하거나 구멍 뚫기, 용접하며, 표면 열처리(담금질)를 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재료 표면에 그림이나 글씨를 새기는 마킹(조각)에도 활용된다. 레이저 가공은 작동 속도가 빠르고 초점을 정확히 맞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IC나 LSI와 같은 반도체 소자나 정밀 기기의 미세 가공에 매우 유용하다. 레이저의 높은 에너지 밀도는 가장 단단한 물질인 다이아몬드를 비롯하여 보석, 내열합금, 세라믹스 등 가공하기 어려운 재료도 다룰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시계 부품으로 사용되는 직경 1mm의 루비 베어링에 직경 0.05mm의 구멍을 1초에 10개 이상 뚫을 수 있다.

같은 레이저 가공 장비라도 출력을 조절하여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출력을 높여 연속적으로 조사하면 금속을 절단할 수 있고, 재료가 녹으면서도 증발하지 않을 정도로 출력을 줄이면 용접기로 사용할 수 있다. 출력을 더 낮추면 금속 표면의 열처리나 흠집 검사 등에도 활용 가능하다. 이 외에도 납땜, 와이어 스트리핑, 레이저 세척(녹 제거, 도막 제거) 등 다양한 공정에 적용된다.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는 노광 공정의 광원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3D 프린팅으로도 불리는 적층 제조 기술에서도 레이저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선택적 레이저 소결(SLS)이나 선택적 레이저 용융(SLM), 레이저 금속 증착(LMD) 등의 방식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분말 형태의 재료를 녹여 쌓아 올리는 방식으로 3차원 물체를 제작한다.

산업용 레이저는 실용성이 뛰어나지만, 아직 초기 비용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기술 발전으로 비용 문제가 해결된다면 기존의 공작기계를 대체하며 제조업의 소형화, 고효율화, 자동화 및 작업 공간 축소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산업 현장에서 커터나 드릴 대신 레이저 광선을 사용하는 것이 보편화될 날이 머지않았다.

산업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는 레이저로는 Nd:YAG 레이저와 같은 고체 레이저나 고출력 레이저 다이오드 등이 있다. Nd:YAG 레이저는 1064nm 파장의 적외선 빛을 내며, 금속 절단, 용접, 마킹 등에 널리 쓰인다. 고출력 산업용 레이저 다이오드는 최대 20kW 이상의 출력을 내며 절단 및 용접에 사용된다.[73]

6. 2. 의료

의학 분야에서 레이저는 안과 수술, 미용 목적의 수술 등 다양하게 활용된다.

잘 알려진 예로는 레이저 메스가 있다. 이는 레이저 광을 렌즈로 모아 한 점에 조사하여 강력한 에너지로 생체 조직을 순간적으로 증발, 기화시켜 절개하는 방식이다. 절개되는 부분의 조직은 순간적으로 1500℃ 이상까지 가열되어 증발한다. 출력을 100℃ 이하로 낮추면 조직이 응고되므로, 기존의 메스보다 출혈이 적어 출혈이 많은 부위의 수술에 유리하다.

최근에는 레이저의 열 효과 외에 광화학 반응을 이용한 치료법 개발이 활발하다. 특정 색소(HpD 등)를 체내에 주입하면 암세포에만 반응하는데,[150] 이때 해당 색소에 잘 흡수되는 파장의 레이저를 조사하면 암세포의 발육을 저지하고 사멸시키는 물질이 생성되어 을 치료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암 치료에 큰 기대를 모으고 있다.

치과 분야에서는 레이저를 치아에 조사하여 치통을 멎게 하거나 치료를 통증 없이 진행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또한 특정 레이저를 치아에 조사하면 치수(齒髓)의 반응으로 2차적인 석회화가 일어나는 현상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향후 충치 치료 방법을 크게 바꿀 가능성을 시사한다. 다만, 레이저를 이용한 무통 치료의 정확한 원리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레이저는 치료 외에 검사 목적으로도 활용되기 시작했으며, 이 분야에서도 획기적인 응용이 기대된다.

레이저를 이용한 의학적 활용은 다음과 같은 분야를 포함한다.

  • 레이저 수술: 특히 라식과 같은 시력 교정술에 널리 사용된다.
  • 레이저 치료: 광생물조절(Photobiomodulation) 치료, 신장 결석 치료 등.
  • 검사: 검안경 검사 등.
  • 미용 피부 치료: 여드름 치료, 셀룰라이트튼살 감소, 제모 등.


치료에도 레이저가 사용된다. 종양이나 전암성 병변을 축소하거나 파괴하는 데 쓰이며, 주로 체표면이나 내부 장기 점막에 있는 표재성 암 치료에 효과적이다. 기저 세포암과 자궁경부암, 음경암, 질암, 외음암, 비소세포폐암 등의 초기 단계 치료에 활용된다. 레이저 치료는 종종 수술, 항암화학요법, 방사선 치료와 병행된다. 레이저 유도 간질성 온열요법(LITT, Laser-induced interstitial thermotherapy) 또는 간질성 레이저 광응고(ILP, Interstitial laser photocoagulation)는 고열을 이용하여 암세포를 손상시키거나 사멸시켜 종양을 축소하는 방식이다. 레이저는 기존 수술법보다 정밀하며, 조직 손상, 통증, 출혈, 부기, 흉터가 적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시술을 위해 외과의의 전문적인 훈련이 필요하며 다른 치료법에 비해 비용이 더 많이 들 수 있다.[115][116]

구체적인 의료 분야별 활용 예시는 다음과 같다.

분야활용 예시설명
치과치과용 레이저충치 치료, 잇몸 치료, 미백 등
안과라식시력 교정 수술
안과광응고술초기 망막박리, 망막열공 치료
피부과·멜라닌 색소 제거미용 목적의 색소 병변 제거
이비인후과하비갑개 점막 소작술비염 치료 수술 (이산화탄소 레이저 사용)
이비인후과LAUP (구개수 연구개 성형술)수면무호흡증 및 코골이 개선 수술
이비인후과선택적 전정 파괴술중증도 어지럼증 개선 수술 (알곤 이온 레이저 사용)
외과 일반레이저 메스조직 절개 및 지혈



이처럼 레이저는 다양한 의료 분야에서 인류의 건강 증진에 기여하는 중요한 기술로 자리 잡고 있으며, 앞으로 더 많은 분야에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6. 3. 통신

레이저는 광통신 분야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기존의 전기 신호 대신 빛 신호를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과거의 통신 방식에 비해 훨씬 많은 양의 정보를 더 빠르게 전송하는 것을 가능하게 했다.[105][106][107]

특히 광섬유를 이용한 통신에서는 대량의 데이터를 장거리로 보내기 위해 고밀도 파장 분할 다중화(WDM) 시스템에서 여러 개의 레이저 빛을 동시에 활용한다.[105][106][107] 광섬유 통신 외에도 자유 공간 광 통신이나 우주 레이저 통신과 같은 차세대 통신 기술에도 레이저가 사용된다.

6. 4. 군사

레이저는 군사 분야에서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된다. 표적 마킹, 탄약 유도에 사용되어 정밀 타격 능력을 향상시키고, 미사일 방어 시스템이나 항공기 보호를 위한 전자광학 대응책(EOCM)에도 적용된다. 라이더 기술은 지형 측정이나 목표물 탐지에 활용되며, 레이저 조준경은 병사의 화기 조준을 돕는다.

화학 레이저와 같이 화학 반응을 통해 큰 에너지를 빠르게 방출할 수 있는 고출력 레이저는 군사적으로 주목받아 왔다. 직접적인 파괴력을 가진 레이저 무기는 아직 개발 초기 단계에 있지만, 미래 전장의 중요한 기술로 여겨지고 있다.[117][118][119] 한편, 레이저는 상대를 무력화시키는 비살상 무기로 사용될 가능성도 제기되는데, 특히 눈에 조사될 경우 심각한 시력 손상을 유발할 수 있어 국제적인 규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120]

6. 4. 1. 레이저 무기 (대한민국의 관점)

미국-이스라엘 합작의 전술 고에너지 무기(THEL)는 로켓과 포탄 요격에 사용되었다


레이저 무기는 레이저를 사용하여 목표물에 피해를 주는 유도 에너지 무기의 한 종류이다.[117] 하지만 이것이 실용적이고 고성능의 군사 무기로 배치될 수 있을지는 아직 확실하지 않다.[118][119] 레이저 무기 개발의 주요 난제 중 하나는 대기 중 열 블룸(thermal blooming) 현상으로, 이는 아직 완전히 해결되지 않은 문제이다. 안개, 연기, 먼지, 비, 눈, 스모그, 거품 또는 의도적으로 살포된 차폐 화학 물질 등은 이 문제를 더욱 악화시킨다.[120]

레이저 무기를 탑재한 개조된 보잉 747 항공기인 YAL-1. 2011년 12월 취소되었고 2014년 9월 폐기되었다.


레이저는 대상을 무력화시키는 비살상 무기로 사용될 수도 있다. 레이저를 눈에 직접 조준할 경우 일시적이거나 영구적인 시력 상실을 유발할 수 있다. 1와트 미만의 비교적 낮은 출력의 레이저조차 특정 조건에서는 즉각적이고 영구적인 시력 손상을 일으킬 수 있어, 치명적이지는 않지만 상대를 무력화시키는 무기가 될 잠재력을 지닌다. 그러나 레이저로 인한 실명이 가져오는 극심한 장애 때문에 이러한 레이저의 사용은 도덕적으로 논란이 되고 있으며, 실명 레이저 무기 의정서는 영구적인 실명을 유발하도록 설계된 무기의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일시적인 실명을 유발하도록 설계된 무기는 섬광탄으로 알려져 있으며, 군대나 법 집행 기관에서 사용되기도 한다.

전투에서 목표물을 직접 손상시키거나 파괴할 수 있는 레이저 무기는 아직 실험 단계에 머물러 있다. 예를 들어, 미국 해군은 약 1마일의 매우 짧은 교전 거리를 가진 30kW급 레이저 무기 시스템(LaWS)을 시험 운용한 바 있다. 이 시스템은 소형 UAV, 로켓 추진 수류탄, 그리고 가시거리 내의 모터보트헬리콥터 엔진 등을 대상으로 테스트되었다.[121][122] 이 무기는 "6개의 용접 레이저를 하나로 묶은 것"과 같다고 묘사되기도 했다. 또한, 60kW급 시스템인 HELIOS가 구축함급 함정에 탑재하기 위해 개발 중이다.[123]

6. 5. 과학 연구

레이저는 다양한 과학 연구 분야에서 중요한 도구로 활용된다. 레이저 빛은 단색성이 뛰어나고 직진성이 강하며, 높은 에너지를 집중시킬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여러 정밀 측정 및 실험에 필수적이다.

특히 분광학 분야에서는 레이저의 정확한 단일 파장을 이용하여 물질의 성분이나 구조를 분석하는 데 널리 사용된다. 또한, 펄스 레이저의 짧은 펄스 폭은 매우 짧은 시간 동안 일어나는 물리적 현상이나 화학 반응을 관찰하는 데 유용하다.

물리학 분야에서는 레이저 냉각 기술을 통해 원자를 극저온 상태로 냉각시켜 보스-아인슈타인 응축과 같은 양자 현상을 연구하거나, 원자시계의 정밀도를 높이는 데 기여한다. 라이다(LIDAR) 기술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거나 지형을 정밀하게 파악하는 데 사용되며, 측량이나 대기 과학, 고고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우주 탐사에서도 레이저는 행성 표면의 고도계지형 측정에 사용된다.

클레멘타인 임무에서 수행한 달 지형의 라이더 측정


메신저 우주선의 수성 레이저 고도계(MLA)


현미경 기술에서도 레이저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레이저 주사 현미경은 높은 해상도로 시료의 미세 구조를 관찰할 수 있게 해준다. 최근에는 살아있는 세포 자체를 레이저 매질로 사용하는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유전적으로 조작된 세포가 녹색 형광 단백질을 생성하고, 외부에서 빛을 쬐어주면 레이저 빛을 방출하는 방식이다.[98][99]

핵융합 연구에서도 레이저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고출력 레이저를 이용하여 연료 펠릿을 압축하고 가열하여 핵융합 반응을 일으키는 관성 가둠 핵융합 방식이 연구되고 있다. 양전자 소멸을 이용한 감마선 레이저 개발 연구도 진행 중이며, 이것이 실현된다면 핵융합 점화에 활용될 가능성도 제기되었다.[95] 원자핵의 이성체 상태를 이용한 감마선 레이저 개발 연구 역시 1970년대부터 지속되어 왔으나, 아직 실용화되지는 못했다.[79][80][81][82]

자유전자레이저(FEL)는 상대론적 전자빔을 이용하여 마이크로파에서 X선에 이르는 넓은 파장 범위의 강력하고 결맞는 빛을 생성할 수 있어, 다양한 기초 과학 연구에 활용된다.

이 외에도 레이저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과학 연구 및 응용 분야에서 사용된다.

  • 입자 크기 분석 (입도 분석)
  • 비파괴 검사
  • 레이저를 이용한 송전 연구
  • 우주선 추진 (레이저 추진)
  • 동위원소 분리 (레이저 우라늄 농축 포함)
  • 천문학 관측 보조 (레이저 가이드 별)
  • 양자 컴퓨팅 연구 (예: 교류 조셉슨 접합 마이크로파 레이저)[57][58]
  • 초정밀 측정 (예: 극도로 좁은 선폭을 가진 레이저 개발)[60][61]

6. 6. 기타

레이저는 콤팩트 디스크(CD), DVD, 블루레이 디스크와 같은 광디스크 장치에서 널리 사용된다. 또한, 상점의 바코드 리더나 발표 등에서 사용되는 레이저 포인터 역시 레이저 기술을 활용한 대표적인 예이다. 1974년 슈퍼마켓 바코드 스캐너에 처음 도입된 이후, 1978년 레이저디스크 플레이어, 1982년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 그리고 곧이어 레이저 프린터가 등장하면서 레이저는 점차 대중적인 기술로 자리 잡았다.

이 외에도 온도계, 홀로그램, 버블그램 등 다양한 상업 제품에 레이저가 사용되고 있으며, 레이저 조명 디스플레이나 레이저 턴테이블처럼 오락 분야에서도 활용된다. 레이저 조명 디스플레이 기술은 운동장, 도로, 활주로, 창고 바닥 등 넓은 표면에 정보를 투사하는 데 쓰이기도 한다.[110][111][112]

최근에는 일부 취미가들도 레이저 기술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들은 주로 3a등급 또는 3b등급 레이저를 사용하지만 (참조 레이저 안전), 일부는 직접 4등급 레이저를 제작하기도 한다.[124] 고장난 DVD 플레이어(빨간색 레이저), 블루레이 플레이어(보라색 레이저), 또는 CD/DVD 버너에서 고출력 레이저 다이오드를 추출하여 활용하는 경우도 있다.[125] 또한, 퇴역한 군사용 장비에서 얻은 잉여 레이저, 특히 펄스 루비 레이저나 YAG 레이저를 홀로그래피 제작을 위해 개조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7. 안전 기준 및 등급 분류



최초의 레이저가 개발될 때부터 잠재적 위험성은 인지되었다. 시어도어 메이먼은 최초의 레이저가 하나의 질레트 면도기 면도날을 태울 수 있을 정도의 출력을 가졌다고 설명했다.[130][131] 오늘날에는 수 밀리와트(mW) 정도의 낮은 출력을 가진 레이저라도 빔이 눈에 직접 들어오거나 반짝이는 표면에서 반사되어 눈에 들어올 경우 시력에 위험할 수 있다는 것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진다. 각막과 수정체가 초점을 잘 맞출 수 있는 파장에서 레이저 광선의 간섭성과 낮은 발산성은 눈이 망막의 매우 작은 지점에 빛을 집중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수 초 또는 그보다 짧은 시간 안에 국소적인 화상과 영구적인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레이저는 출력이 낮더라도 직접 눈으로 보면 실명의 위험이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레이저는 일반적으로 위험성을 나타내는 안전 등급 번호로 분류된다. 국제 기구인 국제전기표준회의(IEC)의 60825-1 「레이저 기기 및 그 사용자를 위한 안전 지침」에 따라 레이저 기기의 출력, 레이저 광선의 파장 등에 의한 등급 분류가 이루어지며, 등급별로 작업 환경 안전 관리 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대한민국에서는 주로 일본공업규격(JIS) C 6802 「레이저 제품의 안전 기준」을 기반으로 안전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주요 국가별 안전 기준'''


  • '''국제 기준'''
  • * IEC 60825-1: 레이저 기기 및 그 사용자를 위한 안전 지침
  • '''대한민국 (일본 기준 준용)'''
  • * JIS C 6802: [https://www.jisc.go.jp/app/jis/general/GnrJISNumberNameSearchList?show&jisStdNo=C6802 레이저 제품의 안전 기준]
  • '''미국 기준'''
  • * ANSI Z 136.1: 레이저에 관한 안전한 사용
  • * FDA 21CFR PART 1040.10 및 1040.11: 보호와 안전을 위한 방사선 규제법


'''레이저 등급 분류 (JIS C 6802 기반)'''

JIS C 6802(2005년 개정)를 기반으로 한 레이저 등급 분류는 다음과 같다.

  • 1등급: 합리적으로 예상 가능한 작동 상황에서 안전한 레이저이다. 어떤 광학계(렌즈나 망원경)로 집광해도 눈에 안전한 수준이며, 1등급임을 나타내는 라벨 부착 외에는 특별한 조치가 필요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CD 플레이어와 같이 광원이 외함에 포함된 경우가 많다.
  • 2등급: 가시광선(400~700nm)에만 규정되며, 눈의 보호는 눈깜빡임 반사와 같은 불쾌 반응에 의해 1등급과 같은 수준의 안전이 확보되는 레이저이다. 일반적으로 최대 1mW 출력의 레이저 포인터 등이 해당한다. 정상적인 사용 중에는 안전하지만, 의도적으로 빔을 응시해서는 안 된다. 일반인이 사용하는 레이저 포인터는 이 등급 이하의 제품 사용이 권장된다.
  • 1M등급: 302.5nm ~ 4000nm 파장 범위의 빛을 방출하며, 합리적으로 예상 가능한 작동 상황에서 안전한 레이저이다. 그러나 망원경이나 돋보기 같은 광학계로 들여다보면 위험할 수 있다. 광학 기기 없이 맨눈으로 보는 것은 안전하다.
  • 2M등급: 가시광선(400~700nm)에만 규정되며, 눈의 보호는 눈깜빡임 반사와 같은 불쾌 반응에 의해 안전이 확보되는 레이저이다. 그러나 망원경이나 돋보기 같은 광학계로 들여다보면 위험할 수 있다. 광학 기기 없이 맨눈으로 보는 것은 안전하다.
  • 3R등급: 직접적인 빔 관찰은 잠재적으로 위험하지만, 그 위험성은 3B등급 레이저보다 낮은 레이저이다. 일반적으로 최대 5mW 출력이며, 눈깜빡임 반사 시간 내에 눈 손상 위험은 적지만, 수 초 동안 빔을 응시하면 망막 손상 가능성이 있다. 제조업체 및 사용자에 대한 규제 조치가 3B등급 레이저에 비해 완화되어 있으며, 키(key) 스위치나 인터록(interlock) 부착 의무가 없다. (이전 IIIa 등급에 해당)
  • 3B등급: 직접 보는 것이 위험한 레이저이다. 연속 발진 레이저의 경우 5mW ~ 500mW 출력, 펄스 레이저의 경우 특정 에너지 밀도 이하인 것이 해당한다. 노출 시 즉각적인 눈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직접 보지 않으면 안전한 수준이지만, 확산된 반사광도 위험할 수 있다. 키 스위치나 인터록을 부착해야 하며, 사용 중 경고 표시등이 필요하다. 이 등급 이상의 레이저는 전문가의 관리 하에 사용해야 하며, 사용자는 특정 파장의 빛을 흡수하도록 설계된 안전 고글로 눈을 보호해야 한다.
  • 4등급: 500mW 이상의 출력을 가지며, 직접광뿐만 아니라 산란된 빛을 보는 것도 위험한 레이저이다. 피부에 닿으면 화상을 입히거나, 물체에 닿으면 화재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방출되는 빔은 반드시 차단하는 등의 조치가 필요하며, 키 스위치, 인터록 부착 및 사용 중 경고 표시등이 필수적이다. 많은 산업용 및 과학용 레이저가 이 등급에 속한다.


표시된 출력 기준은 주로 가시광선 연속파 레이저에 대한 것이며, 펄스 레이저나 비가시광선 파장의 레이저에는 다른 출력 한계가 적용될 수 있다.

약 1.4 마이크로미터(μm)보다 파장이 긴 적외선 레이저는 각막이 해당 파장의 빛을 흡수하여 망막 손상으로부터 보호하기 때문에 종종 '눈에 안전한(eye-safe)'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이 표시는 상대적으로 저출력 연속파 빔에만 적용되므로 오해의 소지가 있다. 이러한 파장의 고출력 또는 Q-스위치 레이저는 각막에 화상을 입혀 심각한 눈 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중간 출력 레이저조차도 눈에 상해를 입힐 수 있다.

참조

[1] 서적 Laser: The Inventor, The Nobel Laureate, and The Thirty-Year Patent War https://books.google[...] Simon & Schuster
[2] 서적 Proceedings of Laser Surgery: Advanced Characterization, Therapeutics, and Systems https://books.google[...] SPIE 2001-01-01 #날짜 정보가 부족하여 임의로 지정
[3] 웹사이트 December 1958: Invention of the Laser http://www.aps.org/p[...] 2022-01-27
[4] 논문 Collimation of laser diode beams for free space optical communications https://www.research[...] Elsevier BV
[5] 논문 Physicists who built ultrafast 'attosecond' lasers win Nobel Prize https://www.nature.c[...] 2024-11-14
[6] 웹사이트 Semiconductor Sources: Laser plus phosphor emits white light without droop https://www.laserfoc[...] 2013-11-07
[7] 웹사이트 Laser Lighting: White-light lasers challenge LEDs in directional lighting applications https://www.laserfoc[...] 2017-02-22
[8] 웹사이트 How Laser-powered Headlights Work https://auto.howstuf[...] 2011-11-07
[9] 웹사이트 Laser light for headlights: Latest trend in car lighting | OSRAM Automotive https://www.osram.co[...]
[10]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the History of Modern Scienc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03-03-27
[11] 서적 The History of the Laser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04-10-01
[12] 웹사이트 Inventor Beams Over Laser Patents : After 30 Years, Gordon Gould Gets Credit He Deserves https://www.latimes.[...] 1987-12-17
[13] 웹사이트 Gordon Gould, 85; Physicist Finally Got His Due for the Laser https://www.latimes.[...] 2005-09-21
[14] 서적 Military Laser Technology for Defense: Technology for Revolutionizing 21st Century Warfare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1-05-31
[15] 서적 Basics of Laser Physics: For Students of Science and Engineering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2-02-09
[16] 웹사이트 LASE https://www.collinsd[...]
[17] 웹사이트 LASING https://www.collinsd[...]
[18] 논문 Masers, Lasers and the Interstellar Medium
[19] 서적 Optics in Our Time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6-12-12
[20] 논문 Biographical Memoirs http://www.nap.edu/o[...]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21] 서적 Understanding Lasers: An Entry-Level Guide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8-12-27
[22] 웹사이트 UCSB Science Line http://scienceline.u[...]
[23] 논문 Taming the tiniest of lasers: Electrically pumped amplified spontaneous emission from nanocrystals https://linkinghub.e[...] 2023-08-02
[24] 웹사이트 anacronym https://www.wordsmit[...]
[25] 서적 Optics Addison-Wesley 1998-01-01 # 날짜 정보 부족으로 임의 설정
[26] 서적 Conceptual physics
[27] 서적 Lasers https://archive.org/[...] University Science Books
[28] 서적 Photonics Essentials, 2nd edition https://www.mheducat[...] McGraw-Hill 2010-01-01 #날짜 정보가 부족하여 임의로 지정
[29] 서적 Lasers https://archive.org/[...] University Science Books
[30] 간행물 Light and Its Uses W. H. Freeman 1974-06-01 #날짜 정보가 부족하여 임의로 지정
[31] 논문 Phase aspect in photon emission and absorption https://www.osapubli[...]
[32] 논문 Spectral coherence, Part I: Passive resonator linewidth, fundamental laser linewidth, and Schawlow-Townes approximation
[33] 논문 Coherent and incoherent states of the radiation field http://conf.kias.re.[...]
[34] 논문 Laser Optics: Fractal modes in unstable resonators 1999-11-01 #날짜 정보가 부족하여 임의로 지정
[35] 논문 Zur Quantentheorie der Strahlung
[36] 서적 Laser Materials Processing
[37] 웹사이트 Il rischio da laser: cosa è e come affrontarlo; analisi di un problema non così lontano da noi http://wwwold.unimib[...] University of Milano-Bicocca 2007-01-01
[38]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cs 1966 http://nobelprize.or[...] 2007-01-01
[39] 웹사이트 American Institute of Physics Oral History Interview with Joseph Weber https://www.aip.org/[...] 2015-05-04
[40] 서적 Masers and Lasers: An Historical Approach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16-03-15
[41] 웹사이트 Guide to Lasers https://hobarts.com/[...] 2017-04-24
[42] 서적 How the Laser Happened: Adventures of a Scientist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43] 논문 Extension of frequencies from maser to laser 2009-12
[44] 논문 Infrared and Optical Masers
[45] 웹사이트 Invention of the LASER https://www.inventio[...] 2024-11-01
[46] 웹사이트 Bell Labs https://www.inventio[...] 2024-11-01
[47] 웹사이트 The Back Page https://www.aps.org/[...] 2024-11-01
[48] 웹사이트 The Laser Turns 50 (images) https://www.cbsnews.[...] 2024-11-01
[49] 서적 The Ann Arbor Conference on Optical Pumping, the University of Michigan, 15 June through 18 June 1959
[50] 웹사이트 The Laser in America, 1950–1970 http://www.aip.org/h[...]
[51] 논문 Stimulated optical radiation in ruby
[52] 웹사이트 The first laser http://www.press.uch[...] University of Chicago 2008-05-15
[53] 서적 Beam: The Race to Make the Laser Oxford University Press
[54] 웹사이트 For The First Time, A Laser That Shines Pure White https://www.popsci.c[...] 2019-03-18
[55] 웹사이트 Researchers demonstrate the world's first white lasers https://phys.org/new[...]
[56] 웹사이트 Scientists Finally Created a White Laser—and It Could Light Your Home https://gizmodo.com/[...] 2015-07-30
[57] 웹사이트 Researchers demonstrate new type of laser https://phys.org/new[...] 2017-03-04
[58] 논문 Demonstration of an ac Josephson junction laser 2017-03-02
[59] 논문 Long-term mutual phase locking of picosecond pulse pairs generated by a semiconductor nanowire laser 2017-05-23
[60] 보도자료 The Physikalisch-Technische Bundesanstalt has developed a laser with a linewidth of only 10 mHz https://web.archive.[...] 2017-06-29
[61] 논문 1.5 μm Lasers with Sub-10 mHz Linewidth 2017-06-30
[62] 웹사이트 The Carbon Dioxide Laser http://www.phy.david[...] Davidson Physics 2014-08-17
[63] 웹사이트 The TEA Nitrogen Gas Laser http://www.technolog[...]
[64] 웹사이트 Deep UV Lasers http://www.photonsys[...] Photon Systems, Covina, Calif
[65] 논문 Lasing without inversion
[66] 서적 Ode to a quantum physicist: A festschrift in honor of Marlan O. Scully Elsevier
[67] 서적 Handbook of the Eurolaser Academy Springer
[68] 서적 Handbook of Optics, Third Edition Volume V: Atmospheric Optics, Modulators, Fiber Optics, X-Ray and Neutron Optics https://books.google[...] McGraw Hill Professional 2009-11-13
[69] 간행물 Yb:YAG thin disk laser with 1 kW output power Optical Society of America, Washington, D.C.
[70] 웹사이트 Photodarkening https://www.rp-photo[...]
[71] 논문 Ultraviolet photonic crystal laser 2004-10-25
[72] 웹사이트 Laser Diode Market http://www.hanel-pho[...] Hanel Photonics 2014-09-26
[73] 웹사이트 High-power direct-diode lasers for cutting and welding https://www.industri[...] 2018-08-11
[74] 웹사이트 LASER Diode http://www.nichia.co[...] 2014-03-18
[75] 웹사이트 Green Laser http://www.osram-os.[...] 2014-03-18
[76] 웹사이트 Picolight ships first 4-Gbit/s 1310-nm VCSEL transceivers http://lfw.pennnet.c[...] 2006-05-27
[77] 논문 Monolithically Integrated High-β Nanowire Lasers on Silicon 2016-01-13
[78] 논문 Bubble lasers can be sturdy and sensitive https://pubs.aip.org[...] American Institute of Physics 2024-04-02
[79] 논문 Approaches to the development of gamma-ray lasers
[80] 논문 Recent proposals for gamma-ray lasers
[81] 논문 Recoilless gamma-ray lasers https://zenodo.org/r[...] 2019-06-13
[82] 논문 Is the time ripe? Or must we wait so long for breakthroughs?
[83] 논문 On the feasibility of an impulsively driven gamma-ray laser
[84] 논문 Maximum density and capture rates of neutrons moderated from a pulsed source http://www.ans.org/p[...] 2016-01-13
[85] 논문 Two-stage pumping of three-level Mössbauer gamma-ray lasers
[86] 학회자료 Interlevel transfer mechanisms and their application to grasers 2018-11-27
[87] 학회자료 Possibility of grasing by laser-driven nuclear excitation
[88] 학회자료 Calculation of harmonic radiation and nuclear coupling arising from atoms in strong laser fields International Society for Optics and Photonics 1988-04-27
[89] 논문 Nuclear interlevel transfer driven by collective outer shell electron excitations American Institute of Physics
[90] 논문 Theorem relating spatial and temporal harmonics for nuclear interlevel transfer driven by collective electronic oscillation https://zenodo.org/r[...] 2019-09-08
[91] 논문 Primer on coupling collective electronic oscillations to nuclei http://www.iaea.org/[...] 2016-01-13
[92] 논문 Laser coupling to nuclei via collective electronic oscillations: A simple heuristic model study
[93] 학회자료 Discussion of the role of many-electron motions in multiphoton ionization and excit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94] 논문 A solvable approximate model for the response of atoms subjected to strong oscillatory electric fields https://zenodo.org/r[...] 2019-06-13
[95] 뉴스 Mirror particles form new matter http://news.bbc.co.u[...] 2008-05-22
[96] 논문 The history of the x-ray laser 2008-05
[97] 간행물 Advance made on high-energy laser 1981-02-23
[98] 뉴스 Laser is produced by a living cell https://www.bbc.co.u[...] 2011-06-13
[99] 논문 Single-cell biological lasers 2011-06-12
[100] 뉴스 Alien Light https://spie.org/new[...] 2021-02-09
[101] 논문 Discovery of Natural Gain Amplification in the 10-Micrometer Carbon Dioxide Laser Bands on Mars: A Natural Laser https://www.science.[...] 1981-04-03
[102] 서적 A Century of Nature: Twenty-One Discoveries that Changed Science and the World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03] 웹사이트 Laser inventor, Optics pioneer https://www.britanni[...] 2024-11-01
[104] 웹사이트 OSA Centennial Snapshots: The Fiber Optic Mania https://www.optica-o[...] 2024-11-01
[105] 학회자료 Channel separation using WDM technology in military applications IEEE
[106] 웹사이트 WDM optical communication https://www.science.[...]
[107] 웹사이트 Lights, data, action! https://media.defens[...] 2024-11-01
[108] 논문 Inherent fingerprint luminescence – detection by laser
[109] 논문 Visible and infrared luminescence in documents : excitation by laser
[110] 웹사이트 Laser Technology Enhances Experience for Sports Fans, Refs https://www.photonic[...] Photonics.com 2014-09-10
[111] 웹사이트 Front Lines https://fsmdirect.co[...] 2015-04-13
[112] 웹사이트 Football Tech That's More Than a Laser and Light Show https://www.nytimes.[...] 2022-04-20
[113] 간행물 Laser Marketplace 2005: Consumer applications boost laser sales 10% http://www.laserfocu[...] 2005-01-01
[114] 간행물 Diode-laser market grows at a slower rate http://www.laserfocu[...] 2005-02-01
[115] 웹사이트 Laser therapy for cancer: MedlinePlus Medical Encyclopedia https://medlineplus.[...] 2017-12-15
[116] 웹사이트 Lasers in Cancer Treatment https://www.cancer.g[...]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National Cancer Institute 2011-09-13
[117] 웹사이트 Directed Energy https://www.globalse[...]
[118] 웹사이트 Navy's new laser weapon: Hype or reality? https://thebulletin.[...] 2015-05-18
[119] 웹사이트 Laser Weapons Not Yet Ready for Missile Defense https://spectrum.iee[...] IEEE 2017-09-27
[120] 웹사이트 Here come the helicopters with weaponized lasers https://www.popsci.c[...] 2017-06-27
[121] 뉴스 Navy's New Laser Weapon Blasts Bad Guys From Air, Sea https://news.yahoo.c[...] 2013-04-09
[122] 웹사이트 The U.S. Army Plans to Field the Most Powerful Laser Weapon Yet https://www.popularm[...] 2019-08-07
[123] 웹사이트 When it comes to missile-killing lasers, the US Navy is ready to burn its ships https://www.defensen[...] 2019-05-28
[124] 웹사이트 PowerLabs CO2 LASER! http://www.powerlabs[...] 2006-06-21
[125] 웹사이트 Howto: Make a DVD burner into a high-powered laser http://planetstephan[...] 2015-04-06
[126] 웹사이트 Laser Diode Power Output Based on DVD-R/RW specs http://elabz.com/las[...] elabz.com 2011-04-10
[127] 웹사이트 How to select a surgical veterinary laser https://aesculight.c[...] 2014-01-23
[128] 간행물 Orchestrating the world's most powerful laser http://www.llnl.gov/[...] Lawrence Livermore National Laboratory 2006-05-27
[129] 웹사이트 Magurele Laser officially becomes the most powerful laser in the world https://business-rev[...] 2019-03-13
[130] 간행물 Three Smart Things About Lasers https://www.wired.co[...] 2011-12-27
[131] 웹사이트 Theodore Maiman, 79; harnessed light to build the world's first working laser https://www.latimes.[...] 2007-05-11
[132] 웹사이트 Can Lidars Zap Camera Chips? https://spectrum.iee[...] 2018-01-24
[133] 논문 遺残再発結石に対する内視鏡的治療およびレザー応用 https://doi.org/10.5[...] 日本消化器外科学会
[134] 서적 Laser Materials Processing
[135] 논문 Valentin Aleksandrovich Fabrikant (on the occasion of his 70th birthday) http://www.springerl[...]
[136]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cs 1966 https://www.nobelpri[...] 2007-01-01
[137] 서적 How the laser happened: adventures of a scientist https://books.google[...]
[138] 서적 The Ann Arbor Conference on Optical Pumping, the University of Michigan, 15 June through 18 June 1959
[139] 서적 Biographical Memoirs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40] 서적 Beam: The Race to Make the Laser Oxford University Press
[141] 저널 Stimulated optical radiation in ruby
[142] 웹사이트 The first laser http://www.press.uch[...] 시카고대학교 2008-05-15
[143] 논문
[144] 간행물 JIS C 6802:2014 용어 및 정의 3.37
[145] 웹사이트 한국물리학회 물리학용어집 https://www.kps.or.k[...]
[146] 웹사이트 대한화학회 화학술어집 https://new.kcsnet.o[...]
[147] 저널 Zur Quantentheorie der Strahlung
[148] 문서 코히런트(coherent)
[149] 문서 레이저 매질
[150] 문서 헤마토프로필린 유도체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