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적 특이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술적 특이점은 기술 발전이 가속화되어 인간의 지능을 초월하는 시점을 의미하며, 19세기부터 유사한 아이디어가 제시되었다. 존 폰 노이만이 이 용어를 처음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스타니스와프 울람, I. J. 굿, 베르너 빈지, 레이 솔로모노프 등이 이 개념을 발전시켰다. 레이 커즈와일은 수확 가속의 법칙을 통해 기술 발전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고 설명하며, 2045년경 기술적 특이점이 발생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특이점주의자들은 유전 공학, 나노 기술, 로봇 공학, 인공지능 등의 기술 혁명을 통해 특이점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주장하며, 인공지능, 인간 지능 확장, 데이터베이스 활용, 유전자 기술 발전을 주요 쟁점으로 꼽는다. 기술적 특이점은 무어의 법칙과 트리즈를 기반으로 논의되며, 긍정적인 영향으로 인체의 한계 극복, 경제 성장 가속화 등을 기대하지만, 비판적으로는 과장된 주장, 기술 실패율, 강한 인공지능의 불가능성, 멜서스주의적 관점, 종교적 입장, 기술 실패율 등을 지적받는다. 한국 사회에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기술인 인공지능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공 일반 지능의 실존적 위험 - 인공지능 규제
인공지능 규제는 인공지능 기술 발전으로 인한 사회적, 윤리적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법적, 정책적 움직임이며, 국가별로 인식 차이를 보이며 완전 자율 무기 규제 등 다양한 쟁점을 포함한다. - 인공 일반 지능의 실존적 위험 - AI 안전
AI 안전은 인공지능 시스템의 부정적 결과를 줄이기 위한 연구 및 정책 분야로, 시스템 강건성 확보, 가치 정렬, 사이버 보안, 제도 개선 등을 포함하며 현재와 미래의 위험을 관리하기 위한 국제 협력과 거버넌스를 강조한다. - 사회문화적 진화 - 근대화
근대화는 18세기 후반 영국의 산업혁명을 기점으로 시작되어, 과학기술 발전에 기반한 생산력 향상과 환경 통제 능력 증대를 특징으로 하며, 네덜란드의 독립과 번영, 영국 의회 정치와 산업혁명, 미국 독립 혁명과 프랑스 혁명 등 다양한 사건들을 통해 나타났다. - 사회문화적 진화 - 세계화
세계화는 상품, 서비스, 정보, 자본, 사람들의 국경을 초월한 흐름과 상호연결 증대를 의미하는 복합적인 현상으로, 경제, 문화, 정치적 측면에서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영향에 대한 논쟁을 야기하며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국제적 협력이 요구된다. - 미래학 - 무어의 법칙
무어의 법칙은 집적회로의 성능이 일정 기간마다 두 배로 증가한다는 경험적 관찰로, 반도체 산업 발전을 이끄는 지표였으나, 최근 성장 둔화에도 불구하고 기술 혁신을 통해 성능 향상이 지속되며 기술 혁신 과정 자체를 의미하는 개념으로 진화하고 있다. - 미래학 - 트랜스휴머니즘
트랜스휴머니즘은 과학기술을 활용하여 인간의 신체적, 정신적 능력을 향상시키고 인간 조건을 개선하려는 지적, 문화 운동으로, 수명 연장, 질병 극복, 인지능력 향상 등을 목표로 하며, 사회적, 윤리적 논쟁과 함께 20세기 후반부터 국제적 조직을 중심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기술적 특이점 | |
---|---|
기술적 특이점 | |
개요 | |
정의 | 기술 발전이 제어 불가능하고 불가역적이 되는 시점. 이 시점 이후에는 인간 문명에 대한 이해를 넘어선 변화가 발생한다고 가정한다. |
관련 개념 | 가속적 변화 지능 폭발 트랜스휴머니즘 인공지능 미래학 특이점 (수학) |
특징 | |
기술 성장 가속화 | 기술 발전 속도가 급격하게 빨라지는 시점. |
예측 불가능성 | 특이점 이후의 변화는 인간의 현재 지식과 경험으로는 예측하기 어렵다. |
비가역성 | 기술 발전의 흐름은 되돌릴 수 없으며, 한 번 특이점에 도달하면 이전 상태로 복귀하기 어렵다. |
잠재적 위험 | 기술 발전으로 인해 인간이 통제 불가능한 존재가 등장하거나, 예상치 못한 재앙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
논쟁점 | 특이점의 발생 시기, 가능성, 영향 등에 대해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분분하다. |
주요 주장 | |
레이 커즈와일 | 특이점은 기술 발전의 자연스러운 결과이며, 2045년경에 발생할 것으로 예측한다. 나노 기술, 생명 공학, 인공 지능 등이 결합하여 인간의 지능을 뛰어넘는 초지능이 탄생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인간은 기술과 융합하여 수명을 늘리고, 질병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
버너 빈지 | 특이점은 인간의 역사를 바꿀 엄청난 사건이며, 기술적 진보가 급격하게 가속화되는 시기라고 주장한다. 특이점 이후의 세계는 인간의 이해 범위를 벗어날 것이며, 인간은 기술에 의해 대체되거나 진화할 것이라고 예측한다. |
비판적 관점 | |
회의론 | 특이점은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며, 과장된 예측이라는 비판이 있다. |
기술적 한계 | 현재의 기술 발전 속도로는 특이점에 도달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주장이 있다. |
윤리적 문제 | 특이점 이후의 사회는 인간의 존엄성과 가치를 위협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
안전 문제 | 인공 지능이 인간을 통제 불가능하게 되어 재앙이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이 있다. |
기술적 특이점의 의미 | |
기술 발전의 가속화 | 기술 발전의 속도가 급격하게 빨라지는 현상. |
불가역적인 변화 | 한 번 특이점에 도달하면 기술 발전의 흐름은 되돌릴 수 없게 된다. |
예측 불가능한 미래 | 특이점 이후의 세계는 인간의 현재 지식과 경험으로는 예측하기 어렵다. |
인간 문명의 변혁 | 특이점은 인간의 삶, 사회, 문화 등 모든 측면에 엄청난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
윤리적, 철학적 문제 | 특이점은 인공 지능의 윤리, 인간의 정체성, 미래 사회의 모습 등 다양한 윤리적, 철학적 문제를 제기한다. |
기술적 특이점의 발생 조건 | |
인공지능의 발전 | 인간의 지능을 뛰어넘는 인공지능의 개발. |
생명공학의 발전 | 인간의 수명 연장 및 질병 치료 기술의 발전. |
나노 기술의 발전 | 물질 조작 및 생산 기술의 발전. |
로봇 기술의 발전 | 인간과 유사하거나 능가하는 로봇의 개발. |
정보 기술의 발전 | 데이터 처리 및 통신 기술의 발전. |
기술적 특이점의 잠재적 영향 | |
긍정적 영향 | 인간의 수명 연장 및 건강 개선 질병 및 빈곤 퇴치 새로운 에너지 및 자원 개발 우주 탐사 및 식민지 개척 지적 능력 및 창의력 향상 |
부정적 영향 | 인공지능의 통제 불능 실업률 증가 및 경제 불평등 심화 인간의 존엄성 및 가치 상실 사회적 혼란 및 갈등 증가 환경 파괴 및 자원 고갈 |
기술적 특이점에 대한 주요 인물 | |
레이 커즈와일 | 미래학자, 발명가, 작가. 특이점 개념을 대중화함. |
버너 빈지 | 컴퓨터 과학자, 작가. 특이점 개념을 처음으로 제시함. |
이언 스튜어트 | 수학자, 작가. 특이점 개념에 대한 비판적 관점을 제시함. |
스티븐 호킹 | 물리학자. 인공지능의 위험성을 경고함. |
일론 머스크 | 사업가, 혁신가. 인공지능 개발에 대한 우려를 표명함. |
빌 게이츠 | 기업가, 자선가. 인공지능의 윤리적 문제에 관심을 보임. |
추가 정보 | |
관련 서적 | 특이점이 온다(레이 커즈와일 저) The Technological Singularity(머레이 섀너핸 저) |
관련 논문 | The Coming Technological Singularity(버너 빈지) |
관련 뉴스 | 인공지능에 대한 과학자들의 경고 스티븐 호킹: 인공지능은 인류의 종말을 초래할 수 있다 |
참고 자료 | IBM 기술 특이점 정의 특이점 정의 모음 Singularity Hypotheses: A Scientific and Philosophical Assessment |
2. 배경과 역사
특이점이라는 단어는 어떤 기준이나 기존 해석이 적용되지 않는 지점을 뜻하며, 기술적 특이점은 문명 자체의 특이점으로 볼 수 있다. 기술적 특이점을 지지하는 미래학자, 과학자, 철학자들(특이점주의자)은 인공지능 발전과 함께 특이점이 나타날 것이라고 기대한다. 계산기 발전과 함께 시작된 특이점에 대한 기대는 수확 가속의 법칙(기술적 진화가 생물학적 진화의 뒤를 이음)이나 무어의 법칙 등에 대한 확신으로 확산되었다.
미래학자 버너 빈지는 '초지능이 만들어지면 인간은 미래 발전 속도를 예견하지 못할 것'이라 주장했다. 그는 초지능의 기술 창조 능력이 기하급수적으로 빨라져 인간 인지 능력을 벗어나기에, 현재 인간이 미래 기술적 특이점을 예측하기 어렵다고 보았다.[224][223][225]
기술적 특이점 용어는 버너 빈지로부터 만들어졌지만, 일부 SF 작가들은 이 용어를 나노 기술 등 새로운 기술로 야기된 급진적 변화를 나타내는 광범위한 단어로 사용했다. 그러나 특이점 지지자들은 버너 빈지를 비롯한 다른 미래학자들이 기술적 특이점과 초지능을 분리해서 사용하지 않더라도 단순한 변화는 기술적 특이점과 같지 않다고 본다.[224]
1965년 어빙 존 굿[226]은 논문에서 지능 폭발 개념을 언급하며, 기술적 특이점이 현대와 같이 지능 폭발 개념까지 포함하게 되었다. 미국 생물학자 파울 에리히는 2008년 논문에서 기술 진보가 가속화되어도 인간 두뇌가 근본적으로 진화하지 않으면 가속 속도가 제한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한다.[227] 따라서 특이점주의자들은 인간 지능을 통한 기술 창조로서의 특이점뿐 아니라 지능 폭발 개념으로서의 특이점도 주장한다. 이들은 컴퓨터나 다른 기술력 발전으로 인류보다 더 지능적인 기계를 만들 수 있다고 예측한다. 초지능이 만들어지면 인간 지능 확장이나 인공지능 발명도 가능해지므로, 결국 초지능의 창의성은 재귀적 자기계발을 통해 기하급수적 기술 발전으로 이어진다.[228][229][230]
2. 1. 초기 개념
1847년 Primitive Expounder 잡지[232]의 편집장이었던 리차드 손튼은 기계식 계산기의 발명을 보고 자신의 책에 "그런 기계(계산기)는 두뇌를 쓰지 않고 버튼을 누르는 것만으로 문제의 답을 도출해낸다. 이것이 학교에 들어온다면 계산 없는 인간이 만들어지는 폐해가 일어날 것이다. 설상가상으로 이 기계가 발전해서 인간이 이 결함을 바로잡는 방안을 생각할 수도 없는 채로 인지의 이해를 넘은 개념을 만들어 낸다면!"이라는 문장을 남겼다.1938년 미국의 건축가 겸 미래공학자 리처드 풀러는 화학, 보건 및 전반적인 산업 영역에서 점점 더 적은 노력을 통해 큰 효율성을 낼 수 있는 기술이 생길 것이라는 예측을 ‘단명화'라는 개념을 통해 소개했다.
1951년 앨런 튜링은 "생각하는 기계가 발명될 수 있다면 인간의 지능을 금세 따라잡을 수 있을 것이다. …(중략)… 그 시기가 온다면 새뮤얼 버틀러가 그의 소설 에레혼에서 쓴 것과 같이 기계가 권력을 쥐게 될 것이다."라며 인간의 지적 능력을 능가하는 기계의 발명 가능성을 언급했다.
1958년 존 폰 노이만은 수학자 스타니스와프 울람과의 대화에서 "기술의 끊임없이 가속화되는 발전과 인간 삶의 방식 변화는 인류 역사에서 필수적인 특이점에 접근하는 것처럼 보이며, 그 이후로는 우리가 알고 있는 인간의 일은 계속될 수 없다"고 언급하며, 인류 역사의 구조를 단절시킬 수 있는 사건으로 처음 특이점을 언급했다. 이후 1965년 어빙 존 굿은 "인공지능은 인간의 지능을 초월할 수 있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이러한 인공지능의 발전은 스스로의 지적 능력의 일부가 되므로 결국 과학의 급속한 발전을 이루어 낼 것이며 결국 인공지능은 인간이 만들어낸 마지막 발명품이 될 것이다."라며, 인간의 개입 없이 다음 세대를 설계하는 지능형 기계에 의해 초래될 ‘지능 폭발’에 대해 언급했다.[226] 이 주장은 인공지능을 통한 특이점의 개념을 구체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2. 2. 지능 폭발 개념의 등장
1965년, 아이작 아시모프는 기계 지능의 재귀적 자기 개선에 의한 "지능 폭발"을 가정하는 논문을 썼다.[106][107] 그는 초지능 기계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굿은 이 논문에서 인간의 개입 없이 다음 세대를 설계하는 지능형 기계에 의한 '지능 폭발'을 언급했으며, 이는 인공지능을 통한 특이점 개념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
2. 3. 대중화
1983년 1월, 오미 잡지에 수학자 겸 작가 버너 빈지는 어빙 존 굿의 지능 폭발 개념을 대서특필하여, 창조하는 지능적 기계의 발명이라는 특이점 개념을 최초로 대중화했다.[226]1984년, SF 작가 새뮤얼 딜라이니는 그의 SF 소설에서 문화적 푸가라는 플룻 장치를 사용했다. 이 소설은 미래 사회를 배경으로, 기술과 문화가 복잡해지는 전환기 속에서 이러한 전환을 이해하지 못하고 보수적인 안정을 추구하려는 등장인물들의 삶이 특이점의 영향으로 파괴되는 장면을 묘사한다.
1988년, 컴퓨터 공학자 한스 모라벡은 저서 《마음의 아이들》에서 무어의 법칙을 미래의 인공적 삶을 예측하는 방향으로 일반화했다.
1993년, 버너 빈지는 논문 《다가오는 기술적 특이점》을 발표했다.[233] 이 논문은 당시 인터넷 확산과 함께 널리 퍼져나가 특이점 개념을 대중화하는 데 기여했다.
2. 4. 특이점주의의 등장과 발전
특이점주의는 미래학자, 과학자, 철학자들이 기술적 특이점을 지지하며,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유전공학, 인공지능의 발전과 함께 특이점이 도래할 것이라고 믿는 사상이다. 이들은 수확 가속의 법칙이나 무어의 법칙 등을 근거로 기술 발전이 가속화될 것이라고 확신한다.
레이 커즈와일은 특이점주의자를 특이점을 정확히 이해하고 그 영향력을 고려하는 사람으로 정의하며, 특이점에 대한 현실적인 고찰과 능동적인 대처를 강조한다. 예를 들어 트랜스휴머니즘이 도래할 세상에 대비하여 현재의 신체를 이해하고 트랜스휴머니즘의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2009년, 레이 커즈와일, 피터 디아만디스 등은 캘리포니아주 마운틴 뷰에 싱귤래러티 대학교를 설립하여 특이점에 대비한 지도자 양성을 목표로 했다. 이 대학은 구글 등의 지원을 받아 컴퓨터 공학, 생명 공학 등의 교육을 제공한다.
3. 주요 쟁점
특이점이라는 단어는 일반적으로 어떤 기준이나 기존 해석이 적용되지 않는 지점을 뜻한다. 기술적 특이점은 문명 자체에서의 특이점이라고 볼 수 있다. 기술적 특이점을 지지하는 미래학자, 과학자, 철학자들(이들은 통칭 특이점주의자라고 불린다)은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유전공학, 인공지능의 발전과 함께 특이점이 나타날 것이라고 기대한다. 계산기의 발전과 함께 도래한 특이점에 대한 기대는 수확 가속의 법칙(기술적 진화가 생물학적 진화의 뒤를 이음으로써 진화의 가속적 속도가 유지되는 것)이나 무어의 법칙, 트리즈의 기술 진보 법칙에 대한 확신을 가지고 더욱 확산되었다.
버너 빈지나 레이 커즈와일과 같은 미래학자들은 초지능의 기술적 창조 능력이 기하급수적으로 빨라져 인간의 인지 능력 범위를 벗어나기 때문에 그 의도나 능력을 상상하거나 짐작하기 어렵다고 주장한다. 이 때문에 현재 인간이 미래 기술적 특이점을 예측하기는 어렵거나 불가능하다고 본다.[224][223][225]
기술적 특이점이라는 용어는 '초지능을 만들어 낼 수 있다면 인간은 더 이상 미래의 발전 속도를 예견하지 못할 것'이라고 주장한 버너 빈지로부터 만들어졌다. 이후 몇몇 SF 작가들은 기술적 특이점이라는 단어를 나노 기술과 같은 새로운 기술에 의해 야기된 급진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광범위한 단어로 사용해왔다. 그러나 특이점 지지자들에 의하면 버너 빈지를 비롯한 다른 유명한 미래학자들이 기술적 특이점과 초지능을 분리해서 사용하지 않더라도 단순한 변화는 기술적 특이점과 같지 않다고 본다.[224]
기술적 특이점이 현대와 같이 지능 폭발의 개념까지 포함하게 된 것은 1965년 어빙 존 굿[226]이 그의 논문에서 언급한 이후이다. 미국의 생물학자 파울 에리히는 2008년 그의 논문에서 기술 진보가 가속화되더라도 인간의 두뇌가 근본적으로 진화하지 않는다면 가속의 속도가 제한될 수 밖에 없다는 점을 지적한다.[227] 따라서 특이점 주의자들은 인간 지능을 통한 기술의 창조로서의 특이점 뿐만이 아닌 지능 폭발 개념으로서의 특이점을 주장하고 있다. 그들은 컴퓨터나 다른 기술력의 발전을 이용해 궁극적으로 인류보다 더 지능적인 기계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예측한다. 만약 초지능이 만들어진다면 인간의 지능 확장이나 인공지능의 발명 또한 가능해진다고 볼 수 있으므로, 결국 초지능의 창의성은 재귀적인 자기계발을 통해 기하급수적인 기술 발전으로 이어진다.[228][229][230]
인공지능은 이러한 주장에서 가장 큰 지지를 얻는 기술 혁명의 한 부분이다. 특이점주의자들은 기본적으로 강한 인공지능 입장을 지지하며 적절하게 프로그램화된 기계가 실제로 인지적인 정신 상태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235] 특이점 주의자들이 설명하는 강 인공지능은 로봇 공학과 긴밀한 관계에 있다. 이러한 인공지능 기술은 뇌 역분석을 기반으로 인간의 뇌를 부호화-패턴화할 수 있다는 믿음에 기반한다. 컴퓨터 공학자 한스 모라벡은 인공지능 연구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의 진화가 1990년부터 매년 2배씩 증가했다는 사실을 토대로 인공지능의 도래가 멀지 않았다는 사실을 구체화했다.[236]
강한 인공지능의 현실성에 대한 철학적 반박들과 그에 대한 비판에 맞서 특이점주의자들은 수많은 기술 패러다임이 비현실적인 공상에서 시작했다는 점을 지적한다. 그들에 따르면 나노기술 또한 처음 나노에 대한 개념이 도입되었을 당시에는 생소한 개념이었으며 수많은 비판을 마주했다고 주장한다. 인공지능을 연구하는 공학자, 과학자들은 이미 뇌 역학과 대뇌 시뮬레이션을 통해 인간의 계산 능력을 선회하는 지능을 기계가 가졌다고 설명하며 몇십 년 안에 튜링 테스트를 통과할 수 있는 강력한 인공지능이 개발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3. 1. 특이점이 이루어지는 방향
특이점주의자들은 GNR 혁명, 즉 유전공학, 나노기술, 로봇공학 및 인공지능의 발전을 통해 특이점이 이루어진다고 주장한다.[234] 이들은 유전공학을 통해 생명체의 작동 원리를 이해하고, 나노기술을 통해 이를 자유롭게 조작하며, 로봇공학과 인공지능을 통해 인간을 초월하는 지능을 구현할 수 있다고 본다. 버너 빈지는 특이점이 인공지능 기술의 진보, 인간 지능의 확장, 그리고 데이터베이스의 중첩을 통해 시작될 것이라고 예측했다.3. 1. 1. 인공지능 기술의 진보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은 기술적 특이점 도래에 있어 가장 큰 요인으로 꼽힌다. 특히, 뇌 역분석을 통해 인간 뇌의 작동 방식을 부호화하고 패턴화할 수 있다는 믿음이 이러한 기대를 뒷받침한다.[224][223][225]특이점 지지자들은 인공지능의 발전이 특이점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예측한다. 1965년 어빙 존 굿[226]은 그의 논문에서 인간의 지능을 초월하는 초지능이 발명되면, 이는 재귀적인 자기계발을 통해 기하급수적인 기술 발전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언급하였다. 1983년 버너 빈지는 어빙 존 굿의 지능 폭발 개념을 대중화하여, 지능적 기계의 발명이 특이점의 시대를 가져올 것이라고 주장했다.[233]
컴퓨터 공학자 한스 모라벡은 1988년 그의 저서에서 무어의 법칙을 일반화하여 미래의 인공적 삶을 예측했다. 그는 2030~2040년 안에 로봇이 새로운 인공생명으로 진화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1993년 버너 빈지는 논문에서 특이점이 발생할 수 있는 4가지 가설(인공지능의 발명, 데이터베이스의 활용, 인간 지능의 확장,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개발)을 제시했다.[233]
2009년 레이 커즈와일 등은 캘리포니아주 마운틴 뷰에 설립된 NASA의 연구 센터를 기초로 싱귤래러티 대학을 설립하여 특이점에 대비하고 기술 발전을 촉진하는 지도자 양성을 목표로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3. 1. 2. 인간 지능의 확장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인공신경망 등 유전공학과 뇌 과학 기술의 발전을 통해 인간 지능 확장이 가능할 것이라고 예측된다.[234] 폴 앨릭(Paul R. Ehrlich)에 따르면, 기술 발전은 수천 년 동안 크게 변하지 않은 인간 두뇌의 기본적인 지능에 의해 제한되어 왔다.[10] 그러나 컴퓨터 및 기타 기술의 성능 향상으로 인간보다 훨씬 더 지능적인 기계를 만들 수 있게 될지도 모른다.[11] 인간 지능 증강을 통해 초인적인 지능이 발명된다면, 인간의 문제 해결 능력과 발명 능력을 이론적으로 엄청나게 향상시킬 것이다.[12][13]인간 지능 증강을 위한 방법으로는 생물공학, 유전공학, 스마트 약물, AI 조수, 직접적인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마음 업로딩 등이 추측된다.[26]
3. 1. 3. 데이터베이스의 이용
데이터베이스의 축적과 인공지능의 결합이 특이점의 기반이 될 수 있다는 주장이 있다. 1993년 버너 빈지는 특이점이 발생할 수 있는 4가지 가설 중 하나로 데이터베이스의 활용을 제시했다.[233]3. 1. 4. 유전자 기술
특이점 주의자들은 유전 공학을 통해 생물학의 원리를 파악하여, 유전공학 기술 발전이 특이점을 가져올 것이라고 예측한다.[234] 레이 커즈와일은 생명공학 및 유전공학 기술을 이용해 나노기술을 활용, 인체의 장기를 보강하고 교체하는 단계까지 나아갈 수 있다고 주장한다.[242]3. 2. 트리즈-무어의 법칙
트리즈-무어의 법칙은 특이점주의자들이 기술적 특이점에 대한 논의에서 빠뜨리지 않고 언급하는 도표이다.[232] 특이점 주의자들은 무어의 법칙을 기반으로 한 특정 기술의 개발은 점차 그 한계 속도를 갖는다고 인정하면서도, 기술적 특이점이 이루어지는 기술 근간은 포괄적인 기술 전반에서 이루어질 것이라고 예측한다. 레이 커즈와일은 그의 저서에서 집적회로와 트랜지스터의 압축률이 이제 한계에 다다른 것을 설명하며 수확 가속의 법칙이라는 새로운 가설을 발표했다. 그의 도표에 따르면 개별 동물이 도구를 사용하거나 만들어내는 기술은 가속적으로 이루어지다가 이내 소멸하지만, 전체적인 기술 발전은 결과적으로 급격한 가속을 보인다.[232]3. 3. 영향
특이점은 어떤 기준이나 기존 해석이 적용되지 않는 지점을 뜻하며, 기술적 특이점은 문명 자체의 특이점이라 할 수 있다. 미래학자, 과학자, 철학자(특이점주의자)들은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유전공학, 인공지능 등의 발전으로 특이점이 올 것이라 기대하며, 수확 가속의 법칙, 무어의 법칙, 기술 진보 법칙을 근거로 든다.[224][223][225]버너 빈지, 레이 커즈와일 등은 초지능의 기술 창조 능력이 기하급수적으로 빨라져 인간 인지 범위를 벗어나므로, 미래 기술 특이점 예측이 어렵거나 불가능하다고 주장한다.[224] 일부 SF 작가들은 '기술적 특이점'을 나노 기술 등 새로운 기술로 인한 급격한 변화를 나타내는 광범위한 용어로 사용하지만, 특이점 지지자들은 단순 변화와 기술적 특이점을 구분한다.[224]
1965년 어빙 존 굿[226]은 논문에서 지능 폭발 개념을 언급하며 기술적 특이점 개념을 구체화했다. 파울 에리히는 기술 진보가 가속화되어도 인간 두뇌의 근본적 진화 없이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한다.[227] 특이점주의자들은 지능 폭발 개념의 특이점을 주장하며, 컴퓨터 등으로 인류보다 지능적인 기계를 만들 수 있다고 예측한다. 초지능은 인간 지능 확장, 인공지능 발명을 가능케 하여 재귀적 자기계발을 통해 기하급수적 기술 발전을 이끈다.[228][229][230]
미래학자 레이 커즈와일은 특이점을 믿는 사람들을 특이점주의자로 칭하며, 이들은 트랜스휴머니즘 도래에 맞춰 현재 신체의 가변성을 이해하고 트랜스휴머니즘 문제에 능동적으로 대처한다고 설명한다. 2008년 실리콘 밸리에 설립된 싱귤래러티 대학교는 급속한 기술적 특이점에 대응할 경영, 기술 지도자를 양성한다.
기술적 특이점 개념은 1847년 리차드 손튼이 기계식 계산기 발명을 언급하며 처음 등장했다. 1938년 리처드 풀러는 '단명화' 개념으로 기술 발전을 예측했고, 1951년 앨런 튜링은 인간 지능을 능가하는 기계 발명 가능성을 언급했다. 1958년 폰 노이만은 수학자 스타니와프 울람과 특이점 도래를 논쟁했고, 1965년 어빙 존 굿은 지능형 기계에 의한 '지능 폭발'을 언급했다.[226]
1983년 제럴드 호킨스는 저서에서 특이점 관념을 명확히 하고, 인류 역사 5단계를 제시하며 다음 단계가 2021~2053년 안에 온다고 추정했다. 같은 해 버너 빈지는 어빙 존 굿의 개념을 대중화했고, 1984년 SF 작가 새뮤얼 딜라이니는 소설에서 기술적 특이점 영향을, 1992년 버너 빈지는 소설에서 특이점 이전 인간의 위기를 묘사했다.
1988년 한스 모라벡은 무어의 법칙을 일반화해 2030~2040년 로봇의 인공생명 진화를 예측했고, 1993년 버너 빈지는 논문에서 특이점 발생 4가지 가설(인공지능, 데이터베이스, 인간 지능 확장, 인간-기계 인터페이스)을 제시했다. 2009년 레이 커즈와일 등은 싱귤래러티 대학을 설립해 특이점 대비 지도자 양성을 목표로 한다.
특이점주의자들은 GNR 혁명(유전 공학, 나노 기술, 로봇 공학, 인공지능)[234]과 강한 인공지능[235]을 통해 특이점이 온다고 주장한다. 한스 모라벡은 1990년부터 매년 2배씩 증가한 기술 진화를 근거로 인공지능 도래가 멀지 않았다고 구체화했다.[236] 강한 인공지능 반박에 대해, 특이점주의자들은 많은 패러다임이 비현실적 공상에서 시작했음을 지적하며, 인공지능 연구자들이 이미 인간 능력 선회 지능을 가진 기계를 설명하고, 수십 년 내 튜링 테스트 통과 인공지능 개발을 주장한다.
폴 앨릭(Paul R. Ehrlich)은 인간 두뇌의 한계로 기술 발전이 제한된다고 지적했지만,[10] 컴퓨터 등 기술 발전으로 더 지능적인 기계가 가능할 수 있다.[11] 초인적 지능 발명은 인간 능력 향상(시드 AI)[12][13]을 통해 재귀적 자기 개선, 가속화되어 인간 인지 능력을 초월할 것으로 추측된다. 아이작 아시모프(I. J. Good)는 초지능이 지능 폭발을 일으킨다고 추측했고,[106][107] 유한 시간 내 컴퓨팅 성능 무한대 버전도 있다.[112]
일부는 과거 추세, 기술 향상 간격 단축을 근거로 특이점 불가피성을 주장한다. 스타니스와프 울람은 존 폰 노이만과 가속 변화에 대한 대화를 전한다. 쿠르츠와일은 기술 발전이 "가속 수익 법칙"을 따른다고 주장하며, 패러다임 전환이 잦아져 "인류 역사에 균열을 일으키는 빠르고 심오한 기술 변화"로 이어진다고 예측한다.[36] 그는 특이점이 2045년경 발생한다고 믿는다.[121]
분자 나노기술, 유전 공학 관련 위험은 특이점 옹호자와 비판자 모두에게 주요 문제이며, 빌 조이의 ''와이어드'' 기사 주제였다.[141][116] 과거 기술 발전은 경제 성장률에 극적 변화를 가져왔고, 초지능 등장은 경제 규모를 분기/매주 2배 증가시킬 수 있다.[62]
"기술적 특이점"은 변화가 갑작스럽고 예측 어렵다는 생각을 반영하며,[63][138] 지능 폭발의 유익/해악, 존재적 위협 여부는 불분명하다.[131][136] AI가 주요 위험 요인이므로, 여러 기관에서 AI 목표를 인간 가치와 일치시키는 기술 이론을 추구한다. 스티븐 호킹은 AI 개발이 인류 최대 사건이자 마지막 사건일 수 있다며, 대비 노력을 제안했다.[64]
는 AI가 인간 우호적일 진화적 동기가 없다고 주장하고, 안데르스 샌드버그는 반론을 언급한다.[68] 휴고 드 가리스는 인공 지능이 자원 접근을 위해 인류를 제거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40][69][70] 는 초지능을 인류 멸종 가능 원인으로 제시한다. 엘리에저 유드코프스키는 비우호적 AI가 더 쉽게 만들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는 AI 위험 회피 설계를 제안한다.[73]
일부는 현재 변화 속도가 이미 특이점에 부합한다고 주장하며, 기술, 생물, 사회 융합 진화의 주요 전환점에 와 있다고 한다. 디지털 기술은 인간 사회에 필수적이며, 2016년 ''Trends in Ecology & Evolution'' 논문은 "인간은 이미 생물-기술 융합을 받아들인다"고 주장한다. 이전 진화의 주요 전환점은 정보 저장/복제 혁신으로 생명을 변화시켰고, 현재 생물권은 유사 전환점 초래 기술(인간)을 만들었다.
인간 제작 디지털 정보는 생물권 정보와 유사 규모이며, 1980년대 이후 약 2.5년마다 2배 증가, 2014년 약 5 제타바이트(5 바이트)에 달했다.[76] 지구 모든 인간 게놈은 약 1 바이트, 2014년 디지털 영역은 500배 많은 정보를 저장했다. 디지털 저장 용량 증가율(연 30~38%)[34] 유지 시 약 110년 안에 모든 세포 DNA 정보량에 필적, 150년 내 생물권 정보량 2배 증가를 의미한다.[77]
2009년 에릭 호르비츠는 로봇 자율성, 위험 논의 회의를 주재했고,[78] 자의식은 불가능하나 다른 위험이 존재한다고 지적했다.[78] 프랭크 S. 로빈슨은 인간 수준 지능 기계가 과학, 기술 문제를 더 우수하게 해결하고, 데이터 직접 공유로 초지능 글로벌 네트워크를 초래할 것이라 예측한다.[79]
에릭 드렉슬러는 1986년 세포 내 작동 생체 기계 사용 세포 수리 장치 가능성을 이론화했고,[109] 리처드 파인만에 따르면 앨버트 히브스가 의료 용도 아이디어를 제안했다.[88] 모라벡은 1988년 인간 마음을 로봇에 "업로드"해 준불멸 달성, 시간 주관적 경험 가속화로 주관적 불멸 감각을 예측한다.[111] 쿠르츠와일은 2005년 의학 발전으로 기대 수명 무한대를 제안하고, 체세포 유전자 치료를 언급한다.[89] 제이런 레니어는 "디지털 승천" 불멸 형태를 주장한다.[90]
2007년 미국 의회 합동경제위원회는 나노기술 미래 보고서에서 기술적 특이점 가능성을 포함했다.[101][102][103] 버락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은 2016년 ''Wired'' 인터뷰에서 특이점을 언급했다.[104]
기술적 특이점 유사 개념은 19세기부터 존재했고, 버너 빈지, 레이 커즈와일의 주장으로 주목받았다. 이들은 과학기술 발전이 생물학적 한계를 넘어 가속화된다고 예측했고, 커즈와일은 "가속수확체감의 법칙"을 제시했다. AGI 아닌 인간 개량 포스트휴먼 등장은 인류의 진화 순간으로 간주될 수 있다. AGI, 포스트휴먼 모두 실현될 수 있다.
특이점 발생 시 AI(혹은 포스트휴먼)의 자기 강화로 기술 발전 초가속화, 인류 문명 극변으로 이전 역사 중요성이 0으로 보일 수 있다.[146] 특이점 발생 가능성은 찬반론이 있고, 발생 방법, 사회적 영향, 이상적 형태 등이 논의된다. AI 개발/운용 집단 간 경제 불평등 심화 예측에 기본소득 도입이 논의된다.[147][148] 2010년대 후반 딥러닝 응용으로 일반 인지 개념이 되었고, 2045년 문제로도 불린다.
가속수확체감의 법칙 기반 지수 함수적 기술 발전은 특이점 이전에도 사회를 변화시킨다. 프리-싱귤래리티 움직임 증거로 2014년 제레미 리프킨의 『한계비용 제로 사회』, 2015년 UN 지속가능한개발을위한2030의제 채택 지속가능발전목표(SDGs)가 제시된다.
기술적 특이점 영향 예시로 전자 회로와 생물 동작 속도 차이가 있다. 전자 회로는 100만 배 이상 빠르고 안정적이며, 전자 회로 구현 두뇌(포스트휴먼)는 높은 지능을 얻는다. 기능 변경/확장이 용이한 전자 회로 두뇌는 스스로 개량해 폭발적 "진화"하고, 생물학적 특징/환경 적응력도 강화된다. 유전공학, 나노기술, 로봇공학 진화가 현저해진다.
전자 회로 두뇌 진화는 연구개발을 가속화시켜 인간 상상 초월 수준의 사회 문제 해결을 돕는다. 레이 커즈와일에 따르면 나노기술 활용 지능은 인간 두뇌의 1조 배의 1조 배나 유능하다.[154] 기술적 특이점 이전 문명 기능은 0에 가깝게 보인다. 2010년대에는 초지능이 먼 미래 같지만, 특이점 이후 기술 진화 고려 시 21세기 후반 1000달러 이하 구매 가능 가격대로 초지능 실현 연산 능력이 추측된다. 기술적 특이점 사회 영향은 SF 초월, 인간 상상 불가 규모이다.
2014년 PEZY Computing 대표 사이토 겐쇼는 슈퍼컴퓨터 성능 향상, 엑사스케일 컴퓨팅 실현으로 대규모 시뮬레이션, 사회 문제 해결, 프리-싱귤래리티(사회적 특이점) 명확화를 예측했다. 이후 막대한 컴퓨팅 자원 기반 특화 AI로 '무노동-불로불사' 선택이 가능해진다.[153][171]
사이토 겐쇼는 2014년 저서에서 슈퍼컴퓨터 '경' 100배 성능(1엑사플롭스) 차세대 슈퍼컴퓨터 실용화/보급으로 2025년까지 프리-싱귤래리티 발생, GNR 혁명 시작, 육체-기술 융합, VR, 핵융합 에너지, 무상 의식주, 불로불사 실현(2020년부터 시장 영향)을 예측했다.[153][154][155] 2016년 프리-싱귤래리티 원년으로 여기며,[156] 수많은 천재가 인류 문명을 고도화시킬 것이라 예측했다.[157] 노동 해방, 창작 전념, 인터넷 집단 지성으로 예술/가치관 창출, 문명 문제 해결을 예상했다.(2017년 사기죄 혐의 체포,[158] 2020년 징역 5년 실형).[159])
마츠다 타쿠야와 코바야시 히데아키는 미래 인류를 '동물원 동물', '큰 저택 고양이'로 칭했고,[160] 일본 트랜스휴머니스트 협회는 마이크로칩 이식자를 모집했다.[161] 1995년부터 루가노 스위스 인공지능 연구소(IDSIA) 연구원, LSTM 이론 창안자 중 한 명은 2018년 인터뷰에서 인간-기계 융합, 우주 공간 AI 적응 가능성, "고전적 인간" 지배 문명 종말, 포스트휴먼 등장을 지지한다.[162]
기술적 특이점 유사 아이디어는 19세기 중반까지 거슬러 올라가지만,[163][164] 존 폰 노이만이 처음 사용했다.[165] 1958년 스타니스와프 울람은 노이만과 대화를 언급했다.[166]
1965년 I. J. 굿은 초지능이 세상을 바꿀 특이점 시나리오를 그렸다. 제럴드 S. 호킨스는 『우주로의 마음 도약』에서 "마음 도약" 개념, 인류사 5가지 "마음 도약", "새로운 세계관", 기술(조각상, 필기, 수학, 인쇄, 망원경, 로켓, 컴퓨터, 라디오, TV)을 제시했다. 베르너 빈지는 특이점 개념을 널리 알렸고, 1993년 에세이에서 "30년 내 초인적 지능 창조, 인간 시대 종말"을 언급했다. 빈지는 초인적 지능이 자신을 만든 인간보다 빠르게 정신 강화, 자기 개선 지능 피드백 루프가 단기간 엄청난 기술 진보를 예측한다. 빈지는 초인적 지능 창조 방법 4가지(AI, 거대 컴퓨터 네트워크 '각성',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생명공학)를 제시했다.[167]

레이 커즈와일은 역사 연구 결과 기술 진보 지수 함수적 성장, 특이점 임박 "가속 수확체감의 법칙"을 주장했다. 무어의 법칙 바탕, 집적 회로 이전 기술도 같은 법칙을 따른다고 했다. 예측에 따르면 기술 한계 시 새 기술 탄생, 패러다임 전환 일반화, "기술 혁신 가속화, 인류 역사 단절"이다.(커즈와일, 2001년) 21세기 말(2045년) 특이점 발생 확신, 완만한 변화이다.
커즈와일 이전 사회학자, 인류학자(루이스 H. 모건, 레슬리 화이트, 게르하르트 렌스키 등)는 기술 진보를 문명 발전 원동력으로 하는 사회 이론 구축, 기술 이정표, 에너지 제어, 정보량으로 문명 발전 정도 측정했다. 1970년대 후반 앨빈 토플러(『미래 충격』), 다니엘 벨, 존 네이스비츠는 탈산업 사회를 논하며, 특이점/이후 사회 사상과 가깝다. 산업 사회 종말, 서비스/정보 대체 예상했다.
현실 동향은 예측보다 빠르다. 2014년 록히드 마틴사 연구팀은 초소형 핵융합로 10년 후(2024년) 실현 발표, 테슬라 CEO 일론 머스크는 2017년 뇌-AI 연결 연구 벤처 뉴럴링크 설립했다.[170] 2017년 보도에 따르면 일본 산업계는 특이점 이전 시대 이후 기계 경영 순수 기계화 경제 이행(제4차 산업혁명), 구체 대책 시행 시작했다.[171]
3. 3. 1. 긍정적 영향
특이점주의자들은 특이점을 통해 인간의 기억력, 대뇌 처리 속도, 노화 및 질병과 같은 신체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242] 이들은 생명공학과 유전공학 기술을 활용하여 인체의 장기를 보강하고 교체하는 단계까지 나아갈 수 있다고 본다.[242]특이점주의자들은 인간의 생물학적 육체가 유지 및 관리가 까다롭고 비효율적이며, 인간의 지능은 대체로 창의적이지 못하고 보편적이라고 생각한다.[244] 인간은 살아가면서 많은 신체적 위험을 감수해야 하며, 이러한 노력은 시간과 유전병 앞에서 무력해진다.[244] 따라서 이들은 특이점을 통해 생물학적 몸과 지능의 한계를 극복하고, 트랜스 휴먼이라 불리는 '''포스트 휴먼''' 시대를 맞이할 수 있다고 기대한다.
MIT 인공지능연구소 소장 로드니 브룩스는 "기계는 좀 더 인간 같아질 것이고, 인간은 좀 더 기계와 같게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243]
4. 비판
특이점 개념에 대한 가장 큰 비판은 과장된 주장과 실현 가능성에 대한 의문이다.[251] 현재 인공지능은 양적으로는 활약하고 있지만, 질적으로 어려운 고도 산업에서는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 특이점주의자들이 주장하는 강한 인공지능은 인식론적 입장에서 비판받을 수 있다. 신학자들의 '창조자적 기계' 비판, 무어의 법칙을 비롯한 기술 성장 그래프의 한계에 대한 통계학자들의 예측도 특이점 개념을 반박한다. 하버드 대학교 인지과학자 스티븐 핀커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버너 빈지 등은 초지능 없이는 진정한 특이점으로 간주할 수 없다고 명시한다. 폴 앨런, 제프 호킨스, 존 헨리 홀랜드, 제이런 레이니어, 스티븐 핑커, 시어도어 모디스, 고든 무어 등 저명한 기술 전문가와 학자들은 기술적 특이점의 타당성에 대해 논쟁을 벌인다.[133]
마틴 포드는 특이점 발생 전 대부분의 일상적인 일자리가 자동화되어 대량 실업과 소비 수요 급락을 야기, 특이점 관련 기술 투자 유인을 파괴할 것이라는 "기술 역설"을 제기한다.[143]
더글러스 호프스태터는 레이 커즈와일의 과학적 엄격성 부족, 기술의 지수적 경향이 물리학 법칙과 다르다는 점, 지수 곡선에 "무릎"이 없다는 점을 우려한다.[53] 제이런 레이니어는 기술이 자율적인 과정이 아니며, 특이점 개념 수용이 잘못된 데이터와 정치를 기념하는 것이라고 비판한다.[55]
경제학자 로버트 J. 고든은 경제 성장이 1970년경 둔화되었고 2007년-2008년 금융 위기 이후 더욱 둔화되었으며, 경제 데이터는 아이작 굿이 상상한 특이점 도래 흔적을 보이지 않는다고 지적한다.[56] 다니엘 데닛은 특이점이 말도 안 되며, AI 도구에 대한 과도한 의존이 위험 중 하나라고 말한다.[57]
일부 비평가들은 커즈와일의 차트에 대해 로그-로그 차트의 직선 편향성, 선택 편향 문제를 제기한다.[135] 케빈 켈리는 커즈와일 차트 구성 방식상 어떤 날짜에 구성하든 특이점이 "지금"을 가리킨다고 주장한다.[58]
4. 1. 멜서스주의자들의 비판
Thomas Malthus|토머스 맬서스영어가 18세기 그의 저서 「인구론」에서 비판한 바와 같이 멜서스주의자들은 특이점주의자들이 낙관적인 미래 발전을 믿는 것은 착각에 불과하다고 비판한다. 그들은 인구 증가를 미덕으로 본 18세기 당시의 통념이 19세기 인구 급증으로 빈곤의 가속화를 이끈 것과 같이 정보 엔트로피는 항상 증가하므로 특이점주의자들이 기대하는 폭발적인 급성장은 이루어질 수 없을 것이라고 설명한다. 다시 말해 특이점주의자들이 설명하는 기술적 특이점으로의 성장을 뒷받침하기 위한 자원은 과도기에 다다를수록 부족해질 것이고, 결과적으로 사상의 지평선으로 넘어가기 위한 과도기 단계에는 자원의 부족으로 인해 성장이 멈추는 특이점의 역설이 발생할 것이라고 예측한다.4. 2. 종교적 입장에서의 비판
신학자 겸 철학자 윌리엄 뎀스키는 저서 「지적 설계」에서 인간의 지능과 기계를 동일시하는 태도에 대해 다음과 같이 반박한다. "인간은 열망을 가지고 있다. 인간은 자유, 영생, 아름다운 전망을 갈망한다. 인간은 신 안에 거하지 않는 한 안식을 취하지 못한다. 유물론자들이 당면하는 문제는 이런 열망들을 물질로 대체할 수 없다는 점이다."[252] 윌리엄 뎀스키와 같은 신학자들은 인간의 역량을 설명하려면 영적인 무언가가 필요하며, 그것은 객관적인 방법으로는 침투할 수 없는 영역이라고 주장한다.신학자들은 종교적인 차원에서 특이점주의자들이 기술적 특이점에서 필수적인 요인이라고 설명하는 지능 폭발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보인다. 그들은 기계가 새로운 기계를 창조한다는 창발성을 부정할 뿐만 아니라, 인간이나 과학이 창조와 관련된 신적 영역을 침범할 수 없다고 주장하며 트랜스휴머니즘, 인공생명을 비롯한 인공 창조물을 비판한다.[252]
4. 3. 기술 실패율에서의 비판
제이론 라니어와 토머스 S. 레이 등은 기술 실패율이 높다는 점을 지적하며, 이것이 기하급수적 성장에 장애가 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들은 컴퓨터가 점점 복잡해짐에 따라 예상치 못한 사고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고 말한다.4. 4. 강한 인공지능을 통한 특이점 비판
특이점주의자들이 특이점으로 접어드는 가장 큰 요인이 될 것이라고 주장하는 강한 인공지능은 인식론적 입장에서 비판받을 수 있다. 존 설과 휴버트 드라이퓌스는 인간의 두뇌와 기계의 두뇌는 본질적으로 다르며 이 둘이 같다고 판단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강한 인공지능에 대한 문제는 과연 인간의 지능이 계산기와 동일한 과정을 거치는지에 대한 의문점을 낳으며, 수많은 철학적 논쟁을 불러일으켰다.4. 4. 1. 존 설의 중국어 방 논변
존 설은 튜링 테스트로 기계의 인공지능 여부를 판정할 수 없다는 중국어 방 논변을 통해 강한 인공지능을 비판한다.[254]중국어 방은 1980년대 이후 인공지능의 본성, 범위, 한계에 대한 논의에서 자주 언급되는 사고실험이다. 존 설은 이 논변을 통해 '인간의 마음과 두뇌의 관계가 컴퓨터의 프로그램과 하드웨어의 관계와 같다'는 강한 인공지능의 기본 사상이 근본적으로 오류라고 주장한다.[254]
중국어 방 논변은 다음과 같다. 중국어를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이 방 안에 갇혀 있다. 방 안에는 중국어 문자가 적힌 카드와 중국어 질문에 답하도록 구성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있다. 방에 중국어 질문을 입력하면, 중국어 답변이 출력된다. 프로그램이 뛰어나서 진짜 중국인이 대답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방 안의 사람이나 시스템 구성 요소는 중국어를 이해하지 못한다. 따라서 프로그램된 컴퓨터는 중국어를 이해하지 못하며, 이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순전히 형식적(구문론적)인 반면 인간의 마음은 의미론적 내용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254]
존 설은 중국어 방 사고실험을 통해 형식적 컴퓨터 프로그램을 작동하는 것만으로는 중국어를 이해할 수 없음을 보여준다. 이는 디지털 컴퓨터 프로그램이 아무리 발달해도 인간의 마음과 같이 될 수 없음을 의미하며, 따라서 강한 인공지능은 잘못된 것이라고 주장한다.[254]
존 설의 중국어 방 논변은 1950년대 이래로 인공지능 분야에서 지능 판가름의 기준으로 널리 채용되어 온 튜링 테스트에 대한 반증 논변으로 간주된다. 튜링 테스트는 행동주의를 바탕으로 생각하는 컴퓨터의 출현이 가능하다는 강한 인공지능을 지지하지만, 존 설은 디지털 컴퓨터가 형식적, 구문론적이기 때문에 기술 발전과 관계없이 지능의 의미론적 내용을 처리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4. 4. 2. 드라이퓌스의 인공지능 비판
철학자 허버트 드라이퓌스(Hubert Dreyfus)[197]는 현행 인공지능 연구에 근본적인 결함이 있으며, 기존의 방법을 고수해서는 강한 인공 지능은 실현 불가능하다고 주장한다.[198]5. 한국 사회에의 시사점
인공지능이 인류의 지능을 초월하는 전환점으로 표현되는 기술적 특이점은 한국 사회에 다양한 기회와 위협을 동시에 제시한다. 기술 발전의 혜택을 모든 사회 구성원이 누릴 수 있도록 사회적 논의와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
2014년, PEZY Computing 대표 사이토 겐쇼(齊藤元章)는 슈퍼컴퓨터의 성능 향상으로 엑사스케일 컴퓨팅이 실현되면 여러 사회 문제가 해결되고, 프리-싱귤래리티(전 특이점 또는 사회적 특이점)라는 사회적 변화가 나타날 것이라고 예측했다.[153][171] 그는 프리-싱귤래리티 이후에는 막대한 컴퓨팅 자원을 기반으로 하는 특화형 AI에 의해 인류 대부분이 ‘무노동-불로불사(不老不死)’를 선택할 수도 있게 된다고 전망했다.[153][171]
사이토 겐쇼는 저서 『엑사스케일의 충격(エクサスケールの衝撃)』에서 슈퍼컴퓨터 '경'의 약 100배 성능(1엑사플롭스)을 가진 차세대 슈퍼컴퓨터의 실용화 및 보급에 따라 2025년까지 프리-싱귤래리티가 일어날 것이라고 예측했다.[153][154] 그는 프리-싱귤래리티에서 ‘GNR 혁명(GNR革命)’이 시작되어 육체와 기술의 융합, 현실을 초월하는 VR, 핵융합로에 의한 무한한 에너지, 무상의 의식주, 불로불사 등이 실현될 것이라고 주장했다.[155]
2018년, JAL(일본항공)은 NEC와 협력하여 AI 지원 여객 시스템을 도입, 약 50년간의 인간 경험 기반 운영을 폐지하고 빈 좌석을 줄여 수익률을 높였다.[177] 이는 AI가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치는 사례로, 미래 학습 방식의 변화를 예고한다.[178]
2021년, 구글 연구자들은 기계 학습을 활용하여 AI용 칩 설계 시간을 단축하고 성능을 향상시켰다.[179] 2022년에는 AI 이미지 생성 붐이 일어났고,[180] Deepmind의 AlphaTensor는 행렬 곱셈 알고리즘을 개선했다.[181][182]
2022년, ChatGPT가 공개되어 인간다운 답변으로 주목받았다.[183][184] 오치아이 요이치는 AI 기술 발전 속도를 고려할 때 2025년에 기술적 특이점이 올 수 있다고 예측했다.[185]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은 이토 요지 MIT 미디어랩 소장과의 대담에서 AI가 일자리를 대체함에 따라 가치 있는 일에 대한 적절한 보상에 대해 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220] 그는 AI 발전이 생산성 향상과 부의 창출을 가져오지만, 일자리 감소, 불평등 심화, 임금 하락을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기술적 특이점보다 일자리 감소를 우려하며, 기본소득 도입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국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기술인 인공지능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참조
[1]
뉴스
Are the robots about to rise? Google's new director of engineering thinks so…
https://www.theguard[...]
2022-05-08
[2]
웹사이트
Collection of sources defining "singularity"
http://www.singulari[...]
2019-04-17
[3]
서적
Singularity Hypotheses: A Scientific and Philosophical Assessment
https://cds.cern.ch/[...]
Springer
[4]
간행물
The Coming Technological Singularity: How to Survive in the Post-Human Era
http://mindstalk.net[...]
NASA Publication CP-10129
[5]
논문
The Coming Technological Singularity: How to Survive in the Post-Human Era
https://edoras.sdsu.[...]
1993
[6]
서적
The Technological Singularity
https://books.google[...]
MIT Press
2015-08-07
[7]
웹사이트
What is the Techological Singularity?
https://www.ibm.com/[...]
2024-11-14
[8]
뉴스
Top scientists call for caution over artificial intelligence
https://www.telegrap[...]
2015-01-13
[9]
뉴스
Hawking: AI could end human race
https://www.bbc.com/[...]
BBC
2017-11-11
[10]
웹사이트
Paul Ehrlich: The Dominant Animal: Human Evolution and the Environment – The Long Now
https://longnow.org/[...]
2023-06-14
[11]
웹사이트
Businessweek – Bloomberg
https://bloomberg.co[...]
2023-06-14
[12]
서적
Analysis of types of self-improving software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13]
서적
General Intelligence and Seed AI-Creating Complete Minds Capable of Open-Ended Self-Improvement
[14]
서적
Science Fiction and Philosophy: From Time Travel to Superintelligence
https://onlinelibrar[...]
Wiley
2016
[15]
서적
The Technological Singularity
Springer Berlin Heidelberg
[16]
서적
Science Fiction and Philosophy
John Wiley & Sons, Inc
[17]
서적
The Biointelligence Explosion
http://link.springer[...]
Springer Berlin Heidelberg
2022-01-16
[18]
서적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 Exploration
Vernon Press
[19]
서적
The Age of Em
https://ageofem.com/
Oxford University Press
2016
[20]
웹사이트
List of Analyses of Time to Human-Level AI
https://aiimpacts.or[...]
2023-06-14
[21]
서적
The Singularity Is Near
Penguin Group
[22]
서적
The singularity is nearer: when we merge with Al
https://www.worldcat[...]
Viking
2024
[23]
서적
Robot: Mere Machine to Transcendent Mind
https://philpapers.o[...]
Oxford University Press USA
1998
[24]
뉴스
The Doomsday Invention
https://www.newyorke[...]
2015-11-16
[25]
서적
Future progress in artificial intelligence: A survey of expert opinion
http://philpapers.or[...]
Springer Berlin
[26]
웹사이트
What is the Singularity? | Singularity Institute for Artificial Intelligence
http://singinst.org/[...]
Singinst.org
2011-09-09
[27]
웹사이트
Some Skepticism
https://mason.gmu.ed[...]
2020-04-08
[28]
웹사이트
Presenting a philosophical analysis of the possibility of a technological singularity or "intelligence explosion" resulting from recursively self-improving AI
http://www.fhi.ox.ac[...]
[29]
웹사이트
ITRS
http://www.itrs.net/[...]
2011-09-09
[30]
웹사이트
Implications of a Software-Limited Singularity
https://intelligence[...]
[31]
논문
When Will AI Exceed Human Performance? Evidence from AI Experts
2017-05-24
[32]
웹사이트
Mac OS X 10.6 Snow Leopard: the Ars Technica review
https://arstechnica.[...]
2011-09-09
[33]
서적
Robot: Mere Machine to Transcendent Mind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34]
논문
The World's Technological Capacity to Store, Communicate, and Compute Information
https://www.science.[...]
[35]
서적
The 21st Century Singularity and Global Futures
https://link.springe[...]
2020
[36]
논문
The Law of Accelerating Returns
http://lifeboat.com/[...]
Lifeboat Foundation
2007-08-07
[37]
웹사이트
Power of Intelligence
http://yudkowsky.net[...]
Yudkowsky
2011-09-09
[38]
웹사이트
"The Basic AI Drives." 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 2008 proceedings of the First AGI Conference, Vol. 171.
http://selfawaresyst[...]
IOS
2010-08-20
[39]
웹사이트
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 Now Is the Time
http://www.kurzweila[...]
KurzweilAI
2011-09-09
[40]
웹사이트
Omohundro, Stephen M., "The Nature of Self-Improving Artificial Intelligence." Self-Aware Systems. 21 Jan. 2008. Web. 07 Jan. 2010.
http://selfawaresyst[...]
2010-08-20
[41]
서적
Our Final Invention
St. Martin's Press
[42]
웹사이트
Max More and Ray Kurzweil on the Singularity
http://www.kurzweila[...]
KurzweilAI
2011-09-09
[43]
웹사이트
Concise Summary | Singularity Institute for Artificial Intelligence
http://singinst.org/[...]
Singinst.org
2011-09-09
[44]
웹사이트
The Future of Human Evolution
http://www.nickbostr[...]
2010-08-20
[45]
논문
Implications of a Software-Limited Singularity
http://intelligence.[...]
2014-05-17
[46]
서적
Singularity Hypotheses: A Scientific and Philosophical Assessment
Springer
2018-08-28
[47]
뉴스
What Your Computer Can’t Know
The New York Review of Books
2014-10-09
[48]
서적
The 21st Century Singularity and Global Futures
Springer
2020-01-03
[49]
서적
Singularity Hypothesis
http://www.growth-dy[...]
Springer
2012
[50]
간행물
The Limits of Complexity and Change
http://www.growth-dy[...]
2003-05-01
[51]
논문
Links between entropy, complexity, and the technological singularity
https://www.scienced[...]
2022-03-01
[52]
논문
New millennium AI and the convergence of history
[53]
Youtube
Trying to Muse Rationally About the Singularity Scenario
https://www.youtube.[...]
2006
[54]
뉴스
Opinion 'Human Beings Are Soon Going to Be Eclipsed'
https://www.nytimes.[...]
2023-08-02
[55]
웹사이트
Who Owns the Future?
http://www.epubbud.c[...]
2016-03-02
[56]
뉴스
Why Growth Will Fall
The New York Review of Books
2016-08-18
[57]
뉴스
Daniel Dennett: 'I begrudge every hour I have to spend worrying about politics'
https://www.theguard[...]
2017-02-12
[58]
웹사이트
The Singularity Is Always Near
https://kk.org/thete[...]
2023-06-14
[59]
뉴스
That Singularity Sensation
http://www.boston.co[...]
2005-02-24
[60]
잡지
On the Road to Immortality
http://www.nybooks.c[...]
2013-03-19
[61]
뉴스
Silicon Valley Confronts the Idea That the 'Singularity' Is Here
https://www.nytimes.[...]
2023-06-11
[62]
논문
Economics Of The Singularity
https://www.spectrum[...]
2009-07-25
[63]
서적
Artificial Intelligence as a Positive and Negative Factor in Global Risk
http://singinst.org/[...]
Oxford University Press
[64]
뉴스
Stephen Hawking: 'Transcendence looks at the implications of artificial intelligence – but are we taking AI seriously enough?'
https://www.independ[...]
2014-05-05
[65]
서적
Ethical Issues in Advanced Artificial Intelligence
http://www.nickbostr[...]
[66]
문서
Artificial Intelligence as a Positive and Negative Factor in Global Risk
http://singinst.org/[...]
2011-07-18
[67]
웹사이트
The Stamp Collecting Device
http://www.singinst.[...]
Singularity Institute
2007-06-11
[68]
웹사이트
Why we should fear the Paperclipper
http://www.aleph.se/[...]
2023-06-14
[69]
웹사이트
Omohundro, Stephen M., "The Basic AI Drives." 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 2008 proceedings of the First AGI Conference, eds. Pei Wang, Ben Goertzel, and Stan Franklin. Vol. 171. Amsterdam: IOS, 2008.
http://selfawaresyst[...]
2010-08-20
[70]
뉴스
The Coming Artilect War
https://www.forbes.c[...]
2023-06-14
[71]
웹사이트
Coherent Extrapolated Volition
http://singinst.org/[...]
2004-05-01
[72]
논문
Model-Based Utility Functions
[73]
간행물
Avoiding Unintended AI Behaviors
http://agi-conferenc[...]
Joscha Bach, Ben Goertzel and Matthew Ikle
[74]
논문
The Technology of Mind and a New Social Contract
http://jetpress.org/[...]
2013-01-05
[75]
간행물
Decision Support for Safe AI Design
http://agi-conferenc[...]
Joscha Bach, Ben Goertzel and Matthew Ikle
[76]
웹사이트
Information Quantity
http://www.martinhil[...]
[77]
논문
Information in the Biosphere: Biological and Digital Worlds
http://escholarship.[...]
2016-05-24
[78]
뉴스
Scientists Worry Machines May Outsmart Man
https://www.nytimes.[...]
2009-07-26
[79]
간행물
The Human Future: Upgrade or Replacement?
https://thehumanist.[...]
2020-05-01
[80]
논문
Artificial intelligence as a positive and negative factor in global risk
Global catastrophic risks
[81]
논문
Five ethical imperatives and their implications for human-AGI interaction
[82]
논문
Responses to catastrophic AGI risk: a survey
[83]
웹사이트
The Singularity Is Further Than It Appears
http://www.antipope.[...]
2014-05-16
[84]
웹사이트
Why AIs Won't Ascend in the Blink of an Eye – Some Math
http://www.antipope.[...]
2014-05-16
[85]
논문
Engineering Utopia
http://www.agiri.org[...]
2014-05-16
[86]
뉴스
Superintelligence — Semi-hard Takeoff Scenarios
http://hplusmagazine[...]
2014-09-26
[87]
웹사이트
Singularity Meets Economy
http://hanson.gmu.ed[...]
2014-11-10
[88]
웹사이트
There's Plenty of Room at the Bottom
http://www.its.calte[...]
1959-12-01
[89]
서적
The Singularity Is Near
[90]
서적
You Are Not a Gadget: A Manifesto
https://archive.org/[...]
Alfred A. Knopf
[91]
논문
Nicolas de Condorcet and the First Intelligence Explosion Hypothesis
[92]
간행물
The Last Evolution
https://www.gutenber[...]
Project Gutenberg
1932-08-01
[93]
문서
Intelligent machines: How to get there from here and What to do afterwards
https://frc.ri.cmu.e[...]
[94]
문서
Today's Computers, Intelligent Machines and Our Future
https://www.frc.ri.c[...]
[95]
서적
Marooned in Realtime
https://books.google[...]
Macmillan
2004-10-01
[96]
뉴스
Time and Time Again
https://www.washingt[...]
2021-07-06
[97]
서적
Threats and Other Promises
https://books.google[...]
Baen
1988
[98]
웹사이트
Will Robots Inherit the Earth?
https://web.media.mi[...]
2023-06-14
[99]
논문
Colonizing the galaxies
https://www.research[...]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100]
논문
An overview of models of technological singularity
Roadmaps to AGI and the Future of AGI Workshop
[101]
서적
Encyclopedia of Nanoscience and Society
https://books.google[...]
SAGE Publications
2016-11-04
[102]
웹사이트
Nanotechnology: The Future is Coming Sooner Than You Think
http://www.thenewatl[...]
Joint Economic Committee United States Congress
2012-04-29
[103]
웹사이트
Congress and the Singularity
http://crnano.typepa[...]
2016-11-04
[104]
간행물
Barack Obama Talks AI, Robo Cars, and the Future of the World
https://www.wired.co[...]
2016-11-04
[105]
논문
Tribute to John von Neumann
https://www.ams.org/[...]
2018-11-07
[106]
논문
Speculations Concerning the First Ultraintelligent Machine
http://www.aeiveos.c[...]
2001-05-27
[107]
논문
Speculations Concerning the First Ultraintelligent Machine
http://www.stat.vt.e[...]
2012-05-01
[108]
논문
The Time Scale of Artificial Intelligence: Reflections on Social Effects
http://world.std.com[...]
[109]
서적
Engines of Creation
[110]
서적
The Collapse of Complex Societies
http://monoskop.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06-07
[111]
서적
Mind Children
[112]
웹사이트
Staring into the Singularity
http://www.yudkowsky[...]
2008-10-21
[113]
서적
Brief Answers to the Big Questions
Bantam Books
2018
[114]
서적
The Age of Spiritual Machines
https://books.google[...]
Viking
2021-02-15
[115]
논문
A Brief History of Intellectual Discussion of Accelerating Change
https://www.accelera[...]
[116]
간행물
Why The Future Doesn't Need Us
https://www.wired.co[...]
Viking Adult
2000-04-00
[117]
서적
Mind Over Machine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118]
논문
Forecasting the Growth of Complexity and Change
http://www.growth-dy[...]
2021-02-15
[119]
서적
The Singularity Is Near
Penguin Group
[120]
서적
The Singularity Is Near
Penguin Group
[121]
서적
The Singularity Is Near
Penguin Group
[122]
서적
The Singularity Is Near
Penguin Group
[123]
서적
The Singularity Is Near
Penguin Group
[124]
논문
A Possible Declining Trend for Worldwide Innovation
http://81.47.175.201[...]
2015-03-22
[125]
방송
Episode dated 23 August 2006
[126]
논문
The Singularity Myth
http://www.growth-dy[...]
2021-02-15
[127]
뉴스
Intel pledges 80 cores in five years
http://news.cnet.com[...]
2006-09-26
[128]
웹사이트
The Singularity: Three Major Schools
http://yudkowsky.net[...]
2018-10-01
[129]
서적
Rapture for the Geeks: When AI Outsmarts IQ
https://books.google[...]
[130]
서적
Rapture for the Geeks: When AI Outsmarts IQ
https://books.google[...]
[131]
보고서
Global Catastrophic Risks Survey (2008) Technical Report 2008/1
http://www.fhi.ox.ac[...]
Future of Humanity Institute
2011-05-16
[132]
웹사이트
Tech Luminaries Address Singularity
https://spectrum.iee[...]
2008-06-01
[133]
웹사이트
Who's Who In The Singularity
https://spectrum.iee[...]
2008-06-01
[134]
논문
An overview of models of technological singularity
http://agi-conf.org/[...]
2011-07-24
[135]
블로그
Singularly Silly Singularity
http://scienceblogs.[...]
2009-02-28
[136]
웹사이트
Existential Risks: Analyzing Human Extinction Scenarios and Related Hazards
http://www.nickbostr[...]
2002
[137]
웹사이트
Singularity University
http://singularityu.[...]
2021-02-15
[138]
웹사이트
The Uncertain Future
http://www.theuncert[...]
[139]
서적
The Lights in the Tunnel: Automation, Accelerating Technology and the Economy of the Future
http://www.thelights[...]
Acculant Publishing
2010-09-06
[140]
웹사이트
Singularity: Nanotech or AI?
http://www.hplusmaga[...]
Hplusmagazine.com
[141]
논문
The Singularity: A Philosophical Analysis
https://consc.net/pa[...]
2010
[142]
웹사이트
Paul Allen: The Singularity Isn't Near
https://www.technolo[...]
2011-10-12
[143]
뉴스
Armies of Expensive Lawyers, Replaced by Cheaper Software
https://www.nytimes.[...]
2011-03-04
[144]
논문
汎用人工知能が技術的特異点を巻き起こす
https://cir.nii.ac.j[...]
2015
[145]
웹사이트
シンギュラリティ|大塚商会
https://mypage.otsuk[...]
2024-09-08
[146]
서적
Singularity hypotheses: A Scientific and Philosophical Assessment
Springer
2012
[147]
웹사이트
人工知能が経済格差と貧困を激化する
http://www.newsweekj[...]
2016-10-26
[148]
논문
シンギュラリティは近い 世界の課題をテクノロジで克服するには
https://doi.org/10.1[...]
特定非営利活動法人 グローバルビジネスリサーチセンター
2017
[149]
서적
ポスト・ヒューマン誕生 - コンピュータが人類の知性を超えるとき
NHK出版
2007
[150]
Youtube
2017/03/17 平木敬教授 最終講義「計算機を創る」
https://www.youtube.[...]
[151]
웹사이트
シンギュラリティとは?2045年問題や社会への影響について解説|Udemy メディア
https://udemy.beness[...]
2024-08-16
[152]
웹사이트
映画『トランセンデンス』公開記念 WIREDスペシャルページ「2045年、人類はトランセンデンスする?」
http://wired.jp/spec[...]
[153]
웹사이트
プレシンギュラリティ到来まで「あと5年」-シンギュラリティ-#09
https://web.archive.[...]
[154]
문서
エクサスケールの衝撃 次世代スーパーコンピュータが壮大な新世界の扉を開く
[155]
웹사이트
【経営者様・経営幹部様向】時代を先取る経営トップセミナー(東京開催) 開催概要:開催日時 2017年04月20日、プレシンギュラリティ(社会的特異点)と経営環境の激変
https://seminar.jp.f[...]
[156]
문서
http://www.nira.or.j[...]
[157]
서적
エクサスケールの衝撃
PHP研究所
2014
[158]
뉴스
「スパコン」ベンチャー社長逮捕 助成金詐取容疑
https://web.archive.[...]
2017-12-05
[159]
뉴스
スパコン助成金詐取 前社長に懲役5年判決、東京地裁
https://web.archive.[...]
2020-03-25
[160]
웹사이트
https://hillslife.jp[...]
[161]
웹사이트
https://www.asahi.co[...]
[162]
웹사이트
「人間は既にサイボーグのような存在」 スイスAI研究所シュミットフーバー氏に聞くAIの未来
https://www.swissinf[...]
[163]
서적
The Expounder of Primitive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164]
논문
Intelligent Machinery, A Heretical Theory
[165]
서적
The Technological Singularity
MIT Press
2015
[166]
논문
Tribute to John von Neumann
1958
[167]
웹사이트
The Coming Technological Singularity
https://www-rohan.sd[...]
2008-03-14
[168]
문서
리스트はカール・セーガン、ポール・D・ボイヤー、ブリタニカ百科事典、アメリカ自然史博物館、アリゾナ大学他。レイ・カーツワイル編集。
[169]
서적
ポスト・ヒューマン誕生 - コンピュータが人類の知性を超えるとき
NHK出版
2007
[170]
뉴스
テスラCEOが新会社、脳とコンピューター融合へ
http://jp.wsj.com/ar[...]
2017-03-28
[171]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172]
문서
[173]
서적
2045年問題
[174]
웹사이트
「マース=ガロー・ポイント」: 七左衛門のメモ帳
http://memo7.sblo.jp[...]
[175]
웹사이트
http://wba-initiativ[...]
[176]
Slideshare
全脳アーキテクチャ勉強会 第1回(山川)
https://www.slidesha[...]
2013-12-22
[177]
뉴스
JAL、想定超すAI効果 新システムで一転増益も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電子版
2018-08-31
[178]
웹사이트
今起きているのは「計算」の大革命。コンピューター教育を変えるかもしれない「計算パラダイム」の考え方とは
https://www.gizmodo.[...]
2019-12-24
[179]
웹사이트
計算機科学:人工知能がコンピューターチップの設計をスピードアップ
http://www.natureasi[...]
2021-06-10
[180]
웹사이트
「これは世界を変える」 画像生成AIブームの火付け役が見いだした、その可能性
https://signal.diamo[...]
2022-09-07
[181]
웹사이트
最強将棋AIが新境地へ、DeepMindのAI「AlphaTensor」が50年以上停滞していた行列乗算アルゴリズムの改良に成功
https://gigazine.net[...]
2022-10-06
[182]
트윗
この前DeepMindが出した行列掛け算アルゴリズムを解くAIに対抗して人間がもっと速いアルゴリズムを作ってきたwww
2022-11-30
[183]
웹사이트
超話題の人工知能ChatGPTに“小説”や“詩”を書いてもらい、“プログラム”は実行してみた
https://ascii.jp/ele[...]
2023-04-02
[184]
웹사이트
AI「ChatGPT」とは プログラミング 小説執筆 学校の宿題もできるの? {{!}} NHK {{!}} News Up
https://www3.nhk.or.[...]
2023-04-02
[185]
Youtube
【落合陽一のシンギュラリティ論】シンギュラリティは2025年に来る/ディフュージョンモデルの衝撃/知的ホワイトカラーが没落する/最新版デジタルネイチャー/音楽と論文が数秒でできる
https://www.youtube.[...]
2023-04-02
[186]
웹사이트
(3ページ目)落合陽一、ハラリは「夢想的で危険」東浩紀が斬る“シンギュラリティ”論に潜む“選民思想”
https://bunshun.jp/a[...]
2024-08-16
[187]
웹사이트
世界的に遅れているAI開発--原因はデータ不足?
https://japan.zdnet.[...]
2018-11-05
[188]
웹사이트
ディープラーニングはすでに限界に達しているのではないか?【前編】 {{!}} 人工知能ニュースメディア AINOW
https://ainow.ai/201[...]
2019-02-17
[189]
웹사이트
2026年までにAIのトレーニングに使うデータが枯渇する「データ不足問題」とは? - GIGAZINE
https://gigazine.net[...]
2023-11-08
[190]
웹사이트
AIの進歩は頭打ちに? このままでは「膨大な計算量」が壁になるという研究結果が意味すること
https://wired.jp/202[...]
2020-07-28
[191]
웹사이트
AIのエネルギー消費に関する雑感(その1) – NPO法人 国際環境経済研究所|International Environment and Economy Institute
https://ieei.or.jp/2[...]
2023-11-28
[192]
웹사이트
AIのエネルギー消費に関する雑感(その2) – NPO法人 国際環境経済研究所|International Environment and Economy Institute
https://ieei.or.jp/2[...]
2023-11-28
[193]
뉴스
グーグル出身者ら設立の「サカナAI」、NTTが出資…日本発で海外巨大ITに対抗
https://www.yomiuri.[...]
2024-01-24
[194]
웹사이트
人間より有能なAIの存在は「幻想」に過ぎない
https://toyokeizai.n[...]
2016-08-29
[195]
웹사이트
講談社選書メチエ AI原論―神の支配と人間の自由
https://www.kinokuni[...]
2023-12-02
[196]
웹사이트
人間より有能なAIの存在は「幻想」に過ぎない
https://toyokeizai.n[...]
2016-08-29
[197]
서적
純粋人工知能批判--コンピュータは思考を獲得できるか
[198]
논문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future
2003-08
[199]
웹사이트
http://longbets.org/[...]
[200]
웹사이트
Ray Kurzweil does not understand the brain
http://scienceblogs.[...]
2010-08-17
[201]
서적
崩壊するエネルギー文明:再点検
宣伝会議
[202]
서적
After Progress: Reason and Religion at the End of the Industrial Age
New Society Publishers
[203]
웹사이트
http://memo7.sblo.jp[...]
[204]
서적
The Lights in the Tunnel: Automation, Accelerating Technology and the Economy of the Future
http://www.thelights[...]
Acculant Publishing
[205]
뉴스
Armies of Expensive Lawyers, Replaced by Cheaper Software
http://www.nytimes.c[...]
The New York Times
2011-03-04
[206]
웹사이트
Joseph.A.Tainterの『崩壊』に関する考察
http://mogaku.moo.jp[...]
2016-04-10
[207]
서적
The Collapse of Complex Societies
http://monoskop.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8]
웹사이트
Measuring Innovation in an Accelerating World: Review of "A Possible Declining Trend for Worldwide Innovation," Heubner, TF&SC 2005
https://accelerating[...]
2024-01-12
[209]
웹사이트
Tech Luminaries Address Singularity - IEEE Spectrum
http://spectrum.ieee[...]
Spectrum.ieee.org
2011-09-09
[210]
웹사이트
http://memo7.sblo.jp[...]
[211]
논문
The Consciousness Conundrum
http://spectrum.ieee[...]
2008-12-17
[212]
서적
Apocalypse
quercusbooks
[213]
뉴스
2014年12月3日付 英フィナンシャル・タイムズ紙
英フィナンシャル・タイムズ紙
2014-12-03
[214]
웹사이트
日本経済新聞
https://www.nikkei.c[...]
[215]
웹사이트
http://gizmodo.com/e[...]
[216]
Youtube
https://www.youtube.[...]
[217]
웹사이트
robots will overtake human intelligence within 100 years, warns Stephen Hawking
http://www.techtimes[...]
[218]
웹사이트
Transcending Complacency on Superintelligent Machines
https://www.huffpost[...]
[219]
웹사이트
機械が人間の知性を超える日をどのように迎えるべきか?――AIとBI 井上智洋
https://synodos.jp/o[...]
2014-12-16
[220]
웹사이트
バラク・オバマが伊藤穰一に語った未来への希望と懸念すべきいくつかのこと
http://wired.jp/spec[...]
[221]
서적
人工知能はこうして創られる
https://www.amazon.c[...]
Amazon
[222]
서적
ポスト・ヒューマン誕生 コンピュータが人類の知性を超えるとき
https://www.amazon.c[...]
Amazon
[223]
서적
특이점이 온다 The Singularity is near
김영사
[224]
논문
The Coming Technological Singularity: How to Survive in the Post-Human Era
http://www-rohan.sds[...]
NASA Publication CP-10129
[225]
웹인용
What is the Singularity? | Singularity Institute for Artificial Intelligence
http://singinst.org/[...]
Singinst.org
2011-09-09
[226]
논문
Speculations Concerning the First Ultraintelligent Machine
http://www.stat.vt.e[...]
Advances in Computers
[227]
웹사이트
The Dominant Animal: Human Evolution and the Environment
http://www.longnow.o[...]
[228]
논문
Speculations Concerning the First Ultraintelligent Machine
Advances in Computers (Academic Press)
[229]
논문
Speculations Concerning the First Ultraintelligent Machine
Advances in Computers
[230]
웹인용
The Human Importance of the Intelligence Explosion
http://www.accelerat[...]
2015-07-30
[231]
서적
특이점이 온다 The Singularity is near
김영사
[232]
서적
특이점이 온다 The Singularity is near
김영사
[233]
뉴스
'기계가 사람보다 영리한 세상'
부산일보
2006-11-10
[234]
서적
특이점이 온다 The Singularity is near
김영사
[235]
서적
소크라테스에서 포스트모더니즘까지
열린책들
[236]
서적
언제가 되면 컴퓨터 하드웨어가 인간을 따라잡을 것인가?
[237]
서적
특이점이 온다 The Singularity is near
길음사
[238]
서적
특이점이 온다 the singularity is near
길음사
[239]
서적
특이점이 온다 The Singularity is near
김영사
[240]
서적
특이점이 온다 The Singularity is near
김영사
[241]
서적
포스트 휴먼과의 만남
궁리 출판
[242]
서적
특이점이 온다 The Singularity is near
김영사
[243]
서적
로봇 만들기
바다 출판사
[244]
논문
뒤죽박죽인 신체들: 성형수술에서 정신 업로드까지
인간과 기계: 기술, 문화, 예술에서의 포스트 휴머니즘 국제 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2012-06-01
[245]
서적
뇌 속의 인간, 인간 속의 뇌
신경인문학 연구회
[246]
논문
인간 존업성과 인간 향상의 윤리
인간과 기계: 기술, 문화, 예술에서의 포스트 휴머니즘 국제 학술대회
2012-06-01
[247]
서적
The Engines of Creation: The Coming Era of Nanotechnology
Anchor Books
1986
[248]
서적
Nanosystems: Molecular Machinery, Manufacturing, and Computation
John Wiley & Sons, Inc
1992
[249]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foresight[...]
2012-06-06
[250]
서적
역사의 종말과 최후의 인간
한마음사
1992
[251]
웹인용
[일반] [레딧] 지금 당장 가장 중요한 규칙: 죽지 마세요
https://gall.dcinsid[...]
2024-02-12
[252]
뉴스
신의 영역 넘나드는 생명공학의 변질
아주경제
2010-10-07
[253]
논문
Kurzweil's Turing Fallacy
[254]
서적
The Rediscovery of the mind
MIT Press
1992
[255]
서적
인공지능의 철학
고려대 출판부
1993
[256]
논문
'컴퓨터가 할 수 있는 것'에 대한 지식사회학적 고찰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0
[257]
서적
인공지능의 철학
고려대 출판부
1993
[258]
문서
(제목 없음)
인터넷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