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헤이마에이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헤이마에이섬은 아이슬란드 남부 해안에 위치한 섬으로, 1973년 엘드펠 화산 폭발로 유명하다. 이 섬은 900년경 헤르욜푸르 바르다르손이 정착했으며, 1627년 오스만 제국의 습격을 받기도 했다. 1973년 1월 엘드펠 화산 폭발로 섬의 면적이 증가하고 마을의 절반이 파괴되었지만, 주민들의 노력으로 재건되었다. 현재 약 4,500명의 인구가 거주하며, 어업이 주요 산업이다. 헤이마에이섬은 영화, 음악, 문학 작품에 등장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3년 자연재해 - 1973년 태풍
    1973년 태풍은 서태평양에서 21개의 태풍을 포함한 25개의 열대 저기압이 발생했고, 1,011명 이상의 사망자와 700만 달러 이상의 피해를 발생시킨 해이다.
  • 1973년 아이슬란드 - 엘드펠
    1973년 아이슬란드 헤이마에이 섬에서 발생한 엘드펠 화산 폭발은 섬의 지형 변화, 주택 파괴, 주민 대피 등의 피해를 야기했으나, 용암을 이용한 땅의 창출과 지열 난방 시스템 구축으로 지속 가능한 발전의 사례가 되었다.
  • 아이슬란드의 섬 - 비데이섬
    아이슬란드 레이캬비크 연안에 위치한 비데이섬은 과거 수도원이 있었고 현재는 레스토랑, '이매진 피스 타워', 조각 작품 등이 있는 관광지로 개발되어 페리, 승마 학교, 하이킹 코스 등의 편의 시설을 제공한다.
  • 아이슬란드의 섬 - 베스트만나에이야르 제도
    베스트만나에이야르 제도는 아이슬란드 남부 해안의 화산섬들로, 굴곡진 역사와 어업 기반 경제, 독특한 해안 경관, 해양 생태계, 그리고 북극 쇠오리 구조 문화로 알려진 관광 명소이다.
헤이마에이섬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베스트만나에이야르 군도 지형도
기본 정보
이름헤이마에이
위치아이슬란드
군도베스트만나에이야르
총 섬 수15
면적13.4 km2
해안선 길이4 nmi
최고점헤이마클레투르
해발 고도200m
국가아이슬란드
인구4,500명
로마자 표기Heimaey
2009년 2월 헤이마에이 섬의 항공 사진
2009년 2월 헤이마에이 섬의 항공 사진 (북동쪽 방향)
지리
기타

2. 역사

헤이마에이섬의 역사는 초기 정착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이후 여러 중요한 사건들을 겪었다. 특히 1627년 오스만 제국령 바르바리 해안 해적들의 습격은 섬에 큰 상처를 남겼다. 근대에 들어서는 1973년 엘드펠 화산 폭발이 섬의 지형과 주민들의 삶에 극적인 변화를 가져온 주요 사건으로 기록된다.[12] 이 사건은 거주 구역 바로 앞에서 발생한 극적인 화산 폭발이라는 점에서 "현대의 폼페이"라고 불리기도 하며[12], 하와이의 킬라우에아 화산과 함께 잘 알려져 있다. 분화가 끝난 후, 섬 주민들의 끈질긴 복구 노력 덕분에 헤이마에이섬은 점차 원래의 모습을 되찾았다.

2. 1. 초기 정착

전통에 따르면, 헤이마에이섬에 처음 정착한 사람은 헤르욜푸르 바르다르손이었다고 전해진다. 《토지대장》 Landnáma|란드나마is에는 그가 900년경 Herjólfsdalur|헤르욜프스달루르is(문자 그대로 '헤르욜프의 계곡')에 농장을 지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하지만 1971년 헤르욜프스달루르에서 진행된 고고학적 발굴 조사에서는 이 기록보다 약 100년 앞선 시기의 정착 흔적을 보여주는 고대 유적이 발견되었다.[2]

2. 2. 오스만 제국의 습격

1627년, 오스만 제국의 지배 아래 있던 바르바리 해안에서 온 아랍 해적선 세 척이 아이슬란드 남부 해안과 외딴 섬의 여러 마을을 습격했다.[3] 해적들은 그린다비크와 헤이마에이섬을 공격했다. 그린다비크에서는 마을 사람들이 레이캬네스 용암 지대로 피신하여 숨을 수 있었지만, 헤이마에이섬은 지리적으로 고립되어 있어 방어에 취약했고 큰 피해를 입었다.

이 습격에서 살아남은 사람들의 많은 영웅적인 이야기가 전해지는데, 그중 구드리두르 시모나르도티르의 이야기가 특히 유명하다. '티르캬-구다'(Tyrkja-Gudda|티르캬-구다is)라는 별명으로 더 잘 알려진 그녀는 헤이마에이섬의 스타카게르디에 있는 자신의 집에서 해적들에게 납치되어 알제리의 노예 시장으로 팔려갔다. 이후 덴마크의 크리스티안 4세 국왕의 도움으로 덴마크로 돌아올 수 있었고, 그곳에서 시인 할그림뮈르 페투르손에게 재교육을 받은 후 그와 결혼했다. 레이캬비크에 있는 유명한 할그림스키르캬 루터교 교회는 할그림뮈르 페투르손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2. 3. 1973년 엘드펠 화산 폭발

헤이마에이 섬의 엘드펠 화산 폭발로 인한 변화를 보여주는 스케치


1973년 1월 23일 오전 1시, 헤이마에이섬 동쪽의 교회 부속 농장 근처에서 화산 폭발이 시작되었다. 땅이 흔들리며 균열이 생겨났고, 이 균열은 곧 1600m 길이로 커지면서 스코리아용암을 분출하기 시작했다. 용암은 공중으로 높이 솟구쳤고, 화산재는 바다로 날아갔다. 처음의 열하 분출은 점차 하나의 화구로 집중되어, 이후 엘드펠이라 불리게 될 새로운 화산을 형성했다.

상황은 점차 악화되었다. 바람의 방향이 바뀌면서 50만 세제곱미터에 달하는 화산재가 마을을 덮쳤고, 용암류는 시속 수 미터의 속도로 마을 중심부와 섬 경제의 핵심인 어항을 향해 흘러내렸다. 용암류는 항구를 완전히 파괴할 위험에 처해 있었다.

엘드펠 화산(좌측)의 모습


폭발이 시작된 밤, 섬 주민 5,000명 대부분은 때마침 부두에 정박해 있던 거의 모든 어선을 이용해 섬을 빠져나와 본토로 긴급히 대피했다. 당시 아이슬란드영국과 제2차 대구 전쟁 중이었으나, 아이슬란드 해안 경비대는 분쟁 행위를 즉시 중단하고 모든 역량을 동원하여 주민 구조와 지원에 나섰다.[9]

항구를 지키기 위한 필사적인 노력이 이어졌다. 섬 주민들과 구조대는 소방 펌프 등을 이용해 총 600만ton의 차가운 바닷물을 용암류에 쏟아부었다. 이 작업으로 용암의 일부가 굳어지고 흐름의 방향이 바뀌면서 항구를 지켜낼 수 있었다.[4][9]

화산 폭발은 약 6개월 후인 7월 3일에 마침내 멈췄다. 이 폭발로 인해 마을 가옥의 약 1/3이 용암에 삼켜지거나 화산재에 묻혀 파괴되었고, 섬의 면적은 11.2km2에서 13.44km2로 늘어났다. 안타깝게도 약국에 침입해 약을 훔치려던 남성 1명이 유독 가스 흡입으로 질식사하는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5][6][10][11]

이 사건은 거주 지역 바로 앞에서 발생한 극적인 화산 폭발이라는 점에서 "현대의 폼페이"라고 불리기도 하며[12], 하와이의 킬라우에아 화산과 함께 잘 알려져 있다. 폭발의 과정과 결과는 존 맥피의 저서 ''자연의 통제''에도 자세히 묘사되어 있다.[6] 분화가 끝난 후, 섬 주민들의 끈질긴 복구 노력 덕분에 헤이마에이섬은 점차 원래의 모습을 되찾았다.

3. 현대

헤이마에이 섬에는 약 4,500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으며, 매년 여름이면 약 8백만 마리의 바다오리가 서식하는 중요한 생태 지역이다.[7] 이 외에도 수백만 마리의 다른 새들이 번식과 먹이 활동을 위해 섬을 찾는다. 섬 주민 대부분은 어업에 종사하며, 연례 축제 기간에는 전통적으로 축제나 가정에서 소비하기 위해 소수의 바다오리를 잡는 것이 허용된다.

섬은 아이슬란드 본토와 페리 및 베스트만나에이야르 공항을 통해 연결된다.

1973년 1월 23일, 섬 동쪽에서 열하 분출이 발생하여 스코리아용암을 분출하며 새로운 화산인 에르트페들을 형성했다. 용암류는 마을과 섬 경제의 중심인 어항을 위협했지만, 주민들이 바닷물을 뿌려 용암을 식히는 필사적인 노력 덕분에 어항을 지킬 수 있었다.[9] 이 재난으로 모든 주민이 아이슬란드 본토로 대피해야 했으며, 당시 영국과의 제2차 대구 전쟁 중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이슬란드 해안 경비대는 구조 활동에 집중했다. 안타깝게도 유독 가스 흡입으로 인한 사망자 1명이 발생했으며, 가옥의 약 3분의 1이 용암에 파괴되는 큰 피해를 입었다.[10][11] 이 사건은 "현대의 폼페이"라고 불리기도 하며[12], 하와이의 킬라우에아 화산과 더불어 주거 지역 바로 옆에서 발생한 분화로 기록되었다.

분화는 약 6개월 후인 7월 3일에 멈췄고, 이후 섬 주민들의 노력으로 섬은 복구되어 현재의 생활 모습을 되찾았다.

3. 1. 교통

아이슬란드의 수도 레이캬비크에서 항공편으로 30분이 소요된다. 또는 토르라우크스회픈에서 선박편으로 1시간 45분이 걸린다.

4. 대중문화 속 헤이마에이

헤이마에이섬은 그 독특한 자연환경과 역사적 사건, 특히 1973년 엘드펠 화산 폭발을 배경으로 다양한 영화, 음악, 문학 작품에서 다루어졌다. 이러한 작품들은 섬의 극적인 역사와 아름다운 풍경을 소재로 삼아 이야기를 펼쳐나간다.

4. 1. 영화


  • 크리스 마커의 영화 ''태양 없이''의 마지막 장면 중 일부는 1973년의 화산 폭발로 인해 깊고 검은 화산재에 서서히 묻히는 헤이마에이섬의 흰색 집들을 보여준다. 배경은 붉은 용암이 강철 회색 바다로 흘러 들어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 영화 ''프리 윌리''에 등장하는 고래 케이코는 실제로 석방되기 전 마지막 거처로 헤이마에이섬의 클레츠비크 만으로 옮겨졌다.

4. 2. 음악

미국의 프로그레시브 메탈 밴드 마스토돈은 자신들의 노래 "아일랜드"에서 헤이마에이 섬을 언급했다. 노래 가사 중 "용암 여신, 얼음과 불, 가라앉고, 바다 간헐천, 굴포스, 헤이마에이 73"이라는 부분은 1973년에 있었던 엘드펠 화산의 분화를 가리킨다.

또한, 1973년 그린란드의 록 밴드 수메는 자신들의 앨범 ''Sumut''에 헤이마에이 섬을 위한 노래인 Heimaey erĸaivdlugo|헤이마에이를 위한 송가kal를 수록했다.

4. 3. 문학


  • 이르사 시귀르다르도티르의 소설 ''재에서 먼지까지''(2007년 원작, 2011년 영어 번역)는 헤이마에이 섬을 주요 배경으로 한다. 이 소설은 아이슬란드를 무대로 한 세 번째 살인 미스터리 작품으로, 1973년 엘드펠 화산 폭발 사건과 그로부터 30년이 지난 후 화산재에 묻혔던 집을 발굴하면서 발견된 것들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펼쳐진다.
  • 브루스 맥밀란의 사진 그림책 ''퍼핀의 밤''(1995) 역시 헤이마에이 섬을 배경으로 한다. 이 책은 8월 밤에 첫 비행을 하다가 실수로 마을에 내려앉은 어린 퍼핀들을 아이들이 구조하여 다음 날 바다로 돌려보내는 헤이마에이 섬의 전통적인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by urban nuclei, sex and age 1 January 2001-2022 https://px.hagstofa.[...] 2022-06-22
[2] 웹사이트 About Westman Islands http://www.visitwest[...] 2012-12-21
[3] 서적 Pirates of Barbary: Corsairs, Conquests and Captivity in the Seventeenth-Century Mediterranean https://books.google[...] Penguin 2012-12-21
[4] 웹사이트 Man Against Volcano: The Eruption of Heimay, Vestmannaeyjar, Iceland (2nd Edition) http://pubs.usgs.gov[...] 2016-05-14
[5] 웹사이트 Which Way The Wind Blows - The Reykjavik Grapevine http://grapevine.is/[...] 2014-09-26
[6] 서적 The Control of Nature Farrar, Straus and Giroux
[7] 서적 Iceland Lonely Planet
[8] 문서 アイスランド地名小辞典 帝国書院
[9] 서적 アイスランド ダイヤモンド・ビッグ社 2009-11-13
[10] 서적 地震と火山の島国 極北アイスランドで考えたこと 岩波書店
[11] 서적 燃える島 アイスランド紀行 徳間書店
[12] 서적 アイスランド・グリーンランド・北極を知るための65章 明石書店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