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현대리바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현대리바트는 1977년 금강목재공업 주식회사로 설립되어, 1979년 리바트 브랜드를 런칭한 가구 회사이다. 1998년 현대리바트 주식회사로 사명을 변경하였으나, 현대그룹에서 분리되어 독자 경영 시기를 거쳤다. 2011년 현대백화점그룹에 인수되었으며, 2014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되었다. 현재 경기도 용인시에 본점을 두고 있으며, 가구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사무용 가구업체 - 퍼시스
    퍼시스는 조립과 해체가 쉬운 모듈형 사무용 가구를 자체 브랜드 'FURSYS'로 유통하며 대기업 및 공공기관에 기업 간 거래 방식으로 대량 공급하는 기업이다.
  • 현대백화점그룹 - 현대홈쇼핑
    현대홈쇼핑은 2001년 정몽근 회장이 유통 및 인터넷 사업 확장을 목표로 설립한 대한민국의 홈쇼핑 업체로, 2023년 케이블 방송 송출 중단, 2019년 주주 환원 요구 등의 변화를 겪으며 서울 강동구에 본사를, 충청북도 청주시에 지사를 두고 있다.
  • 현대백화점그룹 - HCN (방송사)
    HCN은 서울, 부산, 대구, 경북 등 여러 지역에 방송국을 운영하며 지역 특성에 맞는 케이블 방송 서비스와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대한민국의 기업이다.
  • 용인시의 기업 - LIG넥스원
    LIG넥스원은 1976년 금성정밀공업으로 설립되어 현재의 상호로 변경되었으며, 정밀 타격 무기, 어뢰, 감시 시스템 등을 개발 및 생산하는 대한민국의 방위산업체이다.
  • 용인시의 기업 - 삼성SDI
    삼성SDI는 1970년 삼성NEC로 설립되어 1999년 현재 사명으로 변경된 대한민국의 기업으로, 2차전지 사업 진출 후 전기차 배터리, ESS용 전지, 전자재료 등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했으며, 본사는 경기도 용인시에 위치한다.
현대리바트 - [회사]에 관한 문서
회사 정보
이름주식회사 현대리바트
원어Hyundai Livart Furniture Company Limited
형태주식회사
창립일1999년 6월 10일
이전 상호㈜리바트 (1999~2014)
상장일2005년 11월 22일
국가대한민국
장소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남사읍 경기동로 316
인물윤기철 (대표이사 사장)
산업제조판매업
대표 제품리바트(가정용가구)
리바트네오스(사무용가구)
리첸(프리미엄주방가구)
리바트키친(보급형주방가구)
일반상품 도소매
의류패션
금강산사업부문
자본금20,532,282,000원 (2020.12)
매출액1,384,629,640,359원 (2020)
영업이익37,196,471,514원 (2020)
순이익26,592,767,692원 (2020)
자산 총액803,314,893,273원 (2020.12)
주주주식회사 현대그린푸드: 41.2%
자회사주식회사 현대리바트M&S
종업원785명 (2020.12)
웹사이트현대리바트

2. 기업 연혁

연도주요 내용
1977년금강목재공업 주식회사 설립[1]
1979년리바트 브랜드 런칭[1]
1981년현대종합목재산업 주식회사로 사명 변경[1]
1982년용인공장 준공[1]
1984년리바트 쥬니어가구 시판[1]
1985년리바트 다이아나 시판[1]
1989년증권거래소 상장[1], 리바트 사무용마크 GD마크 획득[1]
1992년리바트 퀸테스 침대 시판[1]
1995년환경기술연구소 준공[1]
1998년현대리바트 주식회사로 사명 변경, 합판 사업 철수[1], 현대그룹의 현대알루미늄, 현대중기산업, 선일상선 등과 함께 퇴출 대상기업으로 지정[1], 고려산업개발 주식회사에 흡수 합병[1]
1999년친환경 전시장 개장, 베트남 공장 준공[1], 주식회사 리바트에 사업 양도, 현대그룹에서 분리[1], 종업원 지주회사 형태의 주식회사 리바트 설립[1], 고려산업개발 주식회사로부터 가구 부문 사업 양수, ISO9001 인증 획득
2000년리바트-우원 인테리어디자인연구소 설립, 쓰리에스(3S) 인증 획득, 선박 가구 생산 공장(경주공장) 준공, 경규한 대표이사 선임
2001년최대 주주 변동: 고려산업개발 주식회사, 지식 경영 체제 도입 선포, CI 변경, 신규 브랜드 런칭 (사무용 “리바트 네오스”, 주방용 “리바트 리첸”), 용인공장 및 생산 설비 취득, 지식경영시스템(KMS) 오픈
2002년SIX SIGMA 운동 추진, 중국사무소 설립, 네오스 조달청 신규 저장품 품목에 선정 (196개 품목)
2003년네오스 정보화 시스템 도입, 최대 주주 변동: 경규한, 리바트리첸 KS 대상 <최우수상> 수상 (한국표준협회(KSA) 선정)
2004년2004 대한민국 마케팅 대상 디자인 전사 부문 (한국능률협회컨설팅 선정), 가구 업계 최초 환경 마크 획득, 산업자원부 주관 디자인 경영 대상 대통령상 수상
2005년네오스 B.I 리뉴얼, 신혼 전문 브랜드 이즈마인 런칭, 무상증자 실시 24.83억, (주)네오스 자회사 설립, 안성공장 취득, 환경 경영 선포, 한국증권선물거래소 유가증권시장 상장
2006년계열 회사 설립 - 리바트서비스(주), 베트남 현지 법인 설립 - LIVART VINA CO.,LTD, 2006 국가 환경 경영 대상 산업자원부 장관상 수상, 시험 연구실 KOLAS (한국교정시험기관인정기구) 인정 획득
2007년가구 업계 최초 친환경 전시장 오픈, 베트남 공장 준공, 가구 업계 최초 LCA 적용 제품(의자) 개발, 2007 국가 환경 경영 대상 대통령상 수상, 우리사주 대상 최우수상(노동부장관상) 수상
2008년제42회 납세자의 날, 모범 납세자 기획재정부 장관상 수상, 베트남사무소 설치, 청정 생산 기반 전략 기술 개발 사업 - 국책 사업자 선정(지식경제부)
2009년리바트 광주종합전시장 오픈, 공정거래위원장상 수상, 계열 회사 설립 - (주)아이디스트
2010년소비자 웰빙 지수 6년 연속 1위, 리바트스타일샵 대전 전시장 오픈, 고객 불만 자율 관리 프로그램(CCMS) 인증
2011년리바트스타일샵 논현 전시장 오픈, 현대그린푸드 (현대백화점그룹 계열사)로 최대주주 변경[1]
2012년현대백화점그룹 계열사로 편입 (공정거래위원회)[1], 캐나다 현지법인 설립[1]
2013년경규한 대표이사 사임, 김화응 신임 대표이사 선임[1], 환경부와 3차 친환경구매 자발적 협약 체결[1]
2014년주식회사 리바트에서 주식회사 현대리바트로 사명 변경[1], 유해물질 제로경영 선언, 매트리스 전문 브랜드 “엔슬립” 런칭[1], “리바트키즈” 런칭[1]
2015년“리바트하움” 런칭[1]
2017년현대H&S 흡수합병[1]
2020년SWC(스마트워크센터) 준공[1]
2022년ISO영어45001 인증 취득[1]
2023년"마이스터컬렉션" 출시[1]
2024년2024국가브랜드대상 종합가구부문에서 7년 연속 1위[1]



현대백화점그룹 계열사로 편입된 후, 2012년 32억이던 영업이익이 2013년 128억으로 크게 증가하였다.[1]

2. 1. 현대그룹 시기 (1977년 ~ 1999년)

1977년 12월 '''금강목재공업 주식회사'''를 설립했다.[1] 1979년 10월 리바트 브랜드를 런칭했고,[1] 1981년 1월 '''현대종합목재산업 주식회사'''로 회사 이름을 변경했다.[1] 1982년 2월 용인공장을 준공했고,[1] 1984년 1월 리바트 쥬니어가구를, 1985년 5월 리바트 다이아나를 시판했다.[1] 1989년 7월 증권거래소에 상장되었고,[1] 같은 해 9월 리바트 사무용마크 GD마크를 획득했다.[1] 1992년 2월 리바트 퀸테스 침대를 시판했고,[1] 1995년 1월 환경기술연구소를 준공했다.[1]

1998년 1월 '''현대리바트 주식회사'''로 회사 이름을 변경했으나,[1] 같은 해 4월 합판 사업에서 철수했다.[1] 같은 해 6월, 현대그룹의 현대알루미늄, 현대중기산업, 선일상선 등과 함께 '''퇴출 대상기업'''으로 지정되었고,[1] 12월 '''현대리바트 주식회사'''는 '''고려산업개발 주식회사'''에 흡수 합병되었다.[1]

1999년 1월 친환경 전시장을 열었고,[1] 4월 베트남 공장을 준공했다.[1] 같은 해 7월, 주식회사 리바트에 사업을 양도하면서 현대그룹에서 분리되었다.[1]

2. 2. 독자 경영 시기 (1999년 ~ 2011년)

현대리바트한국어는 1999년 종업원 지주회사 형태로 분리된 후 독자적인 경영 활동을 시작했다.

연도주요 내용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 3. 현대백화점그룹 시기 (2011년 ~ 현재)


  • 2011년 12월: 현대그린푸드 (현대백화점그룹 계열사)로 최대주주가 변경되었다.[1]
  • 2012년 2월: 현대백화점그룹 계열사로 편입되었다. (공정거래위원회)[1]
  • 2012년 4월: 캐나다 현지법인을 설립하였다.[1]
  • 2013년 5월: 경규한 대표이사가 사임하고, 김화응이 신임 대표이사로 선임되었다.[1]
  • 2013년 8월: 환경부와 3차 친환경구매 자발적 협약을 맺었다.[1]
  • 2014년 3월: '''주식회사 리바트'''에서 '''주식회사 현대리바트'''로 사명을 변경하였다.[1]
  • 2014년 4월: 유해물질 제로경영을 선언하고, 매트리스 전문 브랜드 “엔슬립”을 런칭하였다.[1]
  • 2014년 9월: “리바트키즈”를 런칭하였다.[1]
  • 2015년 7월: “리바트하움”을 런칭하였다.[1]
  • 2017년 12월: 현대H&S를 흡수합병하였다.[1]
  • 2020년 6월: SWC(스마트워크센터)를 준공하였다.[1]
  • 2022년 4월: ISO영어45001 인증을 취득하였다.[1]
  • 2023년 10월: "마이스터컬렉션"을 출시하였다.[1]
  • 2024년 4월: 2024국가브랜드대상 종합가구부문에서 7년 연속 1위를 차지하였다.[1]


현대백화점그룹 계열사로 편입된 후, 2012년 32억 원이던 영업이익이 2013년 128억 원으로 크게 증가하였다.[1]

3. 본점 및 지점 현황

현대리바트의 본점은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남사읍 경기동로 316에 위치하고 있다. 서울사무소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 압구정로 201에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