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혜민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혜민서는 조선 시대의 의료 기관으로, 1392년(태조 원년) 혜민고국으로 처음 설치되어 혜민국을 거쳐 1466년(세조 12년) 혜민서로 개칭되었다. 왕의 은택을 서민에게 베푸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나, 한양 부근의 민중에게만 혜택이 미치는 한계가 있었다. 제조, 주부, 의학교수 등의 관원과 의녀로 구성되었으며, 내의원, 전의감과 함께 삼의사로 불렸다. 1882년(고종 19년)에 폐지되었으며, 청사는 현재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3가에 위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의료 - 내의원
    조선 시대 왕실의 의약과 치료를 담당한 내의원은 태종 때 내약방으로 설치되어 세종 때 명칭이 확정되었으며, 어의를 비롯한 의관들이 왕과 왕족의 건강 관리, 왕실 음식 관리, 한의학 발전에 기여했다.
  • 1466년 설립 - 군기시
    군기시는 조선시대에 무기 제조와 관리를 담당한 관청으로, 병조판서나 병조참판이 도제조를 겸임하고 무장이 제조를 맡아 감독했으며, 다양한 기술자들이 소속되어 무기 제작을 담당했다.
  • 1466년 설립 - 왕령 프로이센
    왕령 프로이센은 1466년 폴란드 왕국을 군주로 하는 자치 지역으로, 1569년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에 통합되었다가 1772년 프로이센 왕국에 병합되었다.
  • 한국의 병원 - 대한의원
    대한의원은 1907년 대한제국 시기에 설립된 국립병원으로, 현재 서울대학교병원 의학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는 본관 건물은 붉은 벽돌과 화강암으로 지어진 고전주의 양식의 건물이며, 중앙의 시계탑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서양식 시계탑이자 유일하게 남은 100% 기계식 시계로서 역사적, 건축사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 한국의 병원 - 제중원
    제중원은 갑신정변 이후 서양 의학 도입 필요성에 따라 1885년 설립된 조선 최초의 서양식 국립병원으로, 의료 선교사들이 진료를 담당하고 의학당을 설립하여 의료 인력을 양성했으며, 이후 세브란스병원으로 이어져 한국 근대 의학 발전에 기여했지만, 후신을 두고 논란이 있다.
혜민서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이름 (한글)혜민서
이름 (한자)惠民署
이름 (로마자 표기)Hyeminseo
종류의료 기관
설립일1392년
해산일1882년
전신혜민국
후신없음
위치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3가
운영
주요 역할의약과 일반 서민의 치료 및 질병 관리
관할 부서예조
주요 직책제조(提調), 주부(主簿)
관련 기관
다른 의료 기관활인서

2. 제도

1392년(태조 원년), 고려의 제도를 계승하여 혜민고국이 설치되었다. 1414년(태종 14년)에 혜민국으로 이름을 고쳤고, 1466년(세조 12년)에 혜민서로 개칭되었다. 1882년(고종 19년)에 폐지되었다.[1]

2. 1. 역할

혜민서는 활인서와 함께 왕의 은택을 서민에게 베푼다는 취지의 기관이었지만, "혜택"이 미치는 것은 한양 부근의 민중뿐이라는 한계가 있었다. 혜민서와 활인서를 함께 "양의사"라고 칭하기도 했다.[1]

혜민서 외에도 내의원 (궁중의 의료 시설), 전의감 (의사의 선발·교육 및 약제의 관리 등)이라는 관서가 설치되어 있었다. 이 세 의료 관서를 합쳐서 "삼의사"라고 한다.[1]

2. 2. 구임원과 체아직

혜민서에는 타관이 겸임하는 제조 1명, 주부, 의학교수, 직장, 봉사, 의학훈도 각 1명과 찬봉 4명이 배치되었다. 그 중 채용 시험의 최고 득점자와 직장 이상의 관원 중 1명이 구임원이었으며, 그 외는 체아직이었다.

3. 구성

관위관직정원비고
종1품, 정2품, 종2품제조(提調)2명이 중 한 명은 다른 관직을 겸임
종6품주부(主簿)2명
종6품의학교수(醫學敎授)1명경국대전》에서는 한 명 더 증원
종7품직장(直長)1명
종8품봉사(奉事)1명
정9품의학훈도(醫學訓導)1명
종9품참봉(参奉)4명



이조의 서리 2명이 부속되었다. 《속육전》에서 혜민서의 서리는 서원으로 강등되어 1명이 되었다.

3. 1. 의녀

의녀는 31명이 있었다. 의녀는 팔도(八道)의 읍비(邑婢) 중에서 수려한 자를 선발했다.

4. 청사

혜민서 청사는 현재 주소 체계로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3가 65번지에 있었다. 을지로3가역 3번 출구 근처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