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중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중원은 1885년 고종에 의해 설립된 한국 최초의 서양식 병원이다. 갑신정변 당시 부상당한 민영익을 호러스 뉴턴 알렌이 치료한 것을 계기로 서양 의료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설립되었다. 제중원은 의료 활동과 의료 교육을 수행했으며, 미국 북장로회 선교부에 운영이 위탁된 후 세브란스병원으로 발전했다. 현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이 제중원의 정통성을 두고 논쟁을 벌이고 있으며, 2010년에는 제중원의 역사를 다룬 드라마가 방영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85년 설립된 병원 - 세브란스병원
세브란스병원은 1885년 광혜원으로 시작하여 루이스 헨리 세브란스의 기부로 세브란스 기념병원으로 개칭되었고, 현재 신촌을 중심으로 여러 병원을 운영하며 송도세브란스병원을 건설하고 있다. - 1885년 설립된 병원 - 연세대학교 의료원
연세대학교 의료원은 1885년 광혜원으로 시작하여 한국 최초의 서양식 병원인 세브란스병원을 설립, 의학 발전과 의료 인력 양성에 기여하며, 산하 병원을 통해 의료 서비스 제공과 사회적 기여 활동을 수행하는 대한민국 의료기관이다. - 한국의 병원 - 혜민서
혜민서는 조선시대 백성들의 질병 치료와 의료 지원을 담당했던 관청으로, 혜민고국에서 혜민국을 거쳐 혜민서로 이름이 바뀌었으며, 의생 양성과 약재 관리 업무를 수행하다 고종 때 폐지되었다. - 한국의 병원 - 대한의원
대한의원은 1907년 대한제국 시기에 설립된 국립병원으로, 현재 서울대학교병원 의학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는 본관 건물은 붉은 벽돌과 화강암으로 지어진 고전주의 양식의 건물이며, 중앙의 시계탑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서양식 시계탑이자 유일하게 남은 100% 기계식 시계로서 역사적, 건축사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제중원 | |
---|---|
제중원 | |
기본 정보 | |
이미지 크기 | 225 |
국가 | 대한민국 |
개원 | 1885년 |
명칭 | |
한글 | 제중원 |
한자 | 濟衆院 |
기타 | |
다른 뜻 | 광혜원(진천군에 위치한 원(院)) 제중원 (드라마)(조선 시대 한성의 의원) |
2. 설립 배경과 과정
갑신정변 당시 호러스 뉴턴 알렌은 명성황후의 조카 민영익을 치료하면서 서양 의술의 장점을 보여주었다. 이는 서양 문물과 함께 서양 의료의 필요성을 탐색하던 조선 정부에 큰 영향을 주었다.[8]
알렌은 미국 장로교 선교사이자 의사로, 마이애미 대학교에서 의학을 공부했다. 1884년 갑신정변 당시 민영익이 칼에 찔려 중상을 입자, 파울 게오르크 폰 묄렌도르프는 알렌에게 의료 지원을 요청했다. 당시 한국에 알려지지 않았던 알렌의 현대 의술 덕분에 민영익은 세 달 만에 회복했다.
고종은 서양 의학에 관심을 갖게 되어 알렌을 자신의 주치의로 임명했다. 이후 알렌과 고종은 1885년 2월 29일 조선 최초의 서양식 병원인 광혜원(廣惠院|광혜원한국어)을 서울 재동에 설립했다.[1]
2. 1. 갑신정변과 서양 의술의 도입
갑신정변 당시 호러스 뉴턴 알렌은 부상을 입은 민영익을 서양 의술로 치료하여 고종의 신임을 얻었다.[8] 고종과 조선 정부는 서양 의료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알렌에게 병원 설립을 허가했다.2. 2. 제중원 설립
갑신정변 당시 부상을 입은 민영익을 치료한 호러스 뉴턴 알렌은 조선 정부에 서양식 병원의 필요성을 건의하였다.[8] 고종의 승인을 거쳐, 1885년 4월 갑신정변으로 역적이 된 홍영식(洪英植)의 집(한성부의 재동(齋洞)으로, 지금의 헌법재판소 자리이다.)에서 조선 최초로 정부가 세운 서양식 병원인 제중원(濟衆院)을 개원하게 된다.조선 정부와 알렌은 이 곳에 진찰실, 수술실, 대기실 등을 갖추었다.[9] 제중원은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오늘날의 외교부)에 소속되어 있었으며,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의 독판(오늘날의 장관) 또는 협판(오늘날의 차관)이 제중원 당상(濟衆院堂上)이 되어 제중원의 전반적인 운영을 지휘, 감독하였고, 알렌 등 미국북장로회 선교부 의사들은 환자를 진료하였다. 이후 1886년 10~11월경 제중원은 구리개(지금의 을지로 입구 하나은행 본점 자리에서 명동성당 방향 일대)로 자리를 옮겼다.
3. 운영 및 역할
알렌이 제중원의 초대 의사로 부임한 이후, 여러 의료 선교사들이 제중원을 찾아오는 환자들을 진료했다.[10] 1886년에 작성된 보고서에 따르면, 제중원은 첫 1년 동안 10,460명의 환자를 진료했다. 주요 질환으로는 말라리아, 소화 불량, 피부병, 매독 등이 있었다.[10]
1886년 3월 26일 제중원의학당을 설립하여 서양 의학 교육을 시작했으나, 1890년경 중단되었다.[11] 이후 올리버 R. 에비슨이 의학 교육을 재개하여 1900년 9월 제중원의학교를 정식으로 설립하고,[12] 1908년 6월 3일 세브란스의학교에서 첫 졸업생을 배출했다.[13]
1894년 여러 사건들을 거치면서 조선 정부는 미국 북장로회에 제중원의 운영권을 넘겼다. 에비슨은 세브란스의 기부금을 받아 숭례문 밖에 세브란스병원을 신축하여 1904년 완공했다. 1905년에는 대한제국 정부와 약정을 맺고 기존 건물과 땅을 반환받았다.[15] 1904년 9월 3일 제중원은 "세브란스 병원"으로 이름을 바꾸었으며, 이 과정에서 세브란스는 4.5만달러를 기증했다.
3. 1. 의료 활동
알렌이 제중원의 초대 의사로 부임했으며, 그 후 윌리엄 스크랜턴, 존 헤론, 로버트 A. 하디, 찰스 캐드월러더 빈턴, 올리버 R. 에이비슨, 맥라렌,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 등의 의료 선교사들이 차례로 부임하여 제중원을 찾아오는 환자들을 진료했다.[10]
1886년 알렌과 헤론이 미국 북장로회 해외 선교 본부에 제출하기 위해 작성한 《조선정부병원 제1차년도 보고서》에 따르면, 제중원은 개원 이래 첫 1년 동안 10,460명의 환자를 진료했다. 양반층은 주로 왕진을 요청했으며, 지방에서 진료를 받으러 오는 환자들도 적지 않았다. 치료받은 환자들의 주요 질환은 말라리아가 가장 많았다. 소화 불량, 각종 피부병, 성병(매독)도 많은 편이었다. 그 밖에 결핵, 나병, 기생충병, 각기병 등이 있었다.[10]
3. 2. 의료 교육
1886년 3월 26일 국립 서양 의학 교육 기관인 제중원의학당을 설립하고, 선발된 학생 16명에게 서양 의학 교육을 시작했다.[11] 그러나 1890년경 조선 정부의 재정난과 알렌의 외교관 전직으로 학생들의 이탈하여 제중원 의학당의 의학 교육은 중단되었다.미국 북장로회와 에비슨이 국립병원 제중원을 위탁 운영하기 시작한 후, 에비슨은 개인적으로 의학도들을 모아 의학 교육을 시작하였다. 정확한 재개 시점은 알 수 없으나, 연세대학교 학적부에 따르면, 박서양이 1900년 8월 30일에 입학하였고, 박서양이 2학년일 때 5학년이었던 전병세의 경우를 대입하면, 최소한 1897년부터 제중원에서 의학 교육이 재개되었다고 추측한다.[11]
1899년 안식년을 맞은 에비슨이 미국의 대부호 L. H. 세브란스로부터 교육에 필요한 자금을 마련하여 1900년 9월 제중원의학교를 정식으로 설립하고,[12] 보다 본격적으로 의학 교육을 시작했다. 임상 각과 의학 서적을 번역하고 각 과목을 강의하여 학생들이 내과·외과 진찰부터 수술에 이르기까지 철저한 훈련을 받도록 하였다. 그 결과 박서양 등 7명의 학생은 8년 이상의 의학 교육을 마치고, 1908년 6월 3일, 제중원의학교에서 이름을 바꾼 세브란스의학교를 제1회로 졸업하였다.[13] 이후 1911년에 6명의 2회 졸업생, 1913년에 5명의 3회 졸업생을 배출했다.
3. 3. 운영권 이관과 세브란스병원으로의 발전
1894년 동학농민운동, 청일전쟁, 갑오개혁 등 큰 사건들이 연이어 일어났다. 특히 1894년 7월 23일 새벽, 일본군이 경복궁을 점령하면서 고종은 연금 상태에 놓였고, 조선 정부는 일본의 영향력 아래 놓이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고종과 조선 정부는 의료 선교사 에비슨의 요청을 받아들여 미국 북장로회에 제중원의 운영권을 넘겼다.에비슨은 운영권을 이관받은 후 진료 공간을 넓힐 필요성을 느꼈다. 1899년 에비슨은 미국 사업가 세브란스로부터 많은 기부금을 받아 숭례문 밖 복숭아골(지금의 서울역 앞 연세재단 빌딩 자리)에 세브란스병원을 새로 지어 1904년 완공했다. 약 1년 후인 1905년 4월, 미국북장로회 선교부는 대한제국 정부와 “제중원 반환에 관한 약정서”[15]를 맺고 기존 건물과 땅을 완전히 돌려주었다.
1900년 에비슨은 뉴욕에서 열린 선교회 회의에서 연설을 하게 되었는데, 이때 청중 가운데 스탠더드 오일과 관련된 클리블랜드 출신의 미국 사업가이자 자선가인 루이스 세버런스가 있었다. 세버런스는 제중원에 4.5만달러를 기증했고, 이를 통해 숭례문 앞에 새로운 병원이 건립되었다. 1904년 9월 3일 제중원은 "세브란스 병원"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같은 해, 세브란스 병원 의학교와 부속 간호학교가 설립되었다. 세버런스 사후 그의 아들 존 세버런스는 병원에 12만달러을 추가로 기증했다.
4. 명칭 변경
1885년 3월 12일, 고종은 광혜원을 제중원(濟衆院)으로 개칭하였다.[1] 1904년 9월 3일, 루이스 세버런스의 기부로 숭례문 앞에 새로운 병원이 건립되면서 "세브란스 병원"으로 이름을 바꾸었다.[2]
일제 강점기인 1942년, 병원과 의학교의 이름은 "아사히 의학교"로 강제 변경되었다. 1945년 광복 이후, "세브란스 병원"이라는 이름을 되찾았고, 1947년 의학교는 "세브란스 의과대학"으로 승격되었다. 1957년 1월 5일, 세브란스 의과대학은 연희대학교와 통합되어 연세대학교가 되었다.
5. 제중원 원장
6. 역사적 의의와 논란
제중원은 한국 최초의 서양식 병원이자 의학교였다. 하지만 한국 사회에 자리 잡는 과정은 순탄치 않았다. 당시 구세대는 외국인 의료진을 의사로 믿지 않았고, 서양 의학의 효과에 대해서도 회의적이었다. 그러나 병원 원장들의 노력으로 제중원은 가장 유명한 병원 중 하나가 되었고, 결국 주민들의 신뢰를 얻게 되었다.
6. 1. 한국 근대 의료의 선구자
제중원은 한국 최초의 서양식 병원이자 의학교였다. 하지만 제중원이 한국 사회에 자리 잡는 과정은 순탄치 않았다. 당시 한국의 구세대는 외국인 의료진을 의사로 믿지 않았다. 이러한 의구심 때문에 서양 의학의 효과에 대해서도 회의적인 시각이 많았다. 그러나 병원 원장들의 리더십과 노력 덕분에 제중원은 당시 가장 유명한 병원 중 하나가 되었고, 결국 지역 주민들의 신뢰를 얻게 되었다.6. 2. 정통성 논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연세대학교 의료원)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서울대학교병원)은 모두 자신이 제중원의 후신이라고 주장하며, 그 권위를 인정받고 있다. 서울대학교 측은 제중원이 고종 황제가 설립한 국립기관이었다는 점을 강조하고, 연세대학교 측은 제중원 운영이 북장로회 선교회에 의해 이루어졌다는 점을 핵심 근거로 내세운다.[1]제중원은 한국 최초의 서양식 병원이자 의학교였다. 하지만 제중원이 한국 사회에 정착하는 과정은 쉽지 않았다. 당시 한국의 구세대는 외국인 의료진을 의사로 신뢰하지 않았고, 서양 의학의 효과에 대해서도 회의적인 시각이 많았다. 그러나 병원 원장들의 리더십과 노력 덕분에 제중원은 당시 가장 유명한 병원 중 하나가 되었고, 결국 지역 주민들의 신뢰를 얻게 되었다.[1]
7. 대중문화
2010년 SBS에서 방영된 박용우, 한혜진, 연정훈 주연의 36부작 드라마 제중원은 제중원의 초기와 최초의 의학도들의 이야기를 다룬다.[4]
참조
[1]
웹사이트
The home of modern medicine in Korea
http://koreajoongang[...]
2011-04-25
[2]
웹사이트
Avison of Korea
http://home.cogeco.c[...]
2000-11-29
[3]
웹사이트
Heroes in their adopted country
http://koreajoongang[...]
2010-01-21
[4]
웹사이트
Historical drama concocts formula for success
http://koreajoongang[...]
2010-01-14
[5]
뉴스
日人 편찬 '부산부립병원사'서 밝혀져 '부산의료원, 국내 最古 병원'
http://www.kookje.co[...]
국제신문
2003-06-17
[6]
간행물
고종실록 1885년 4월 26일
http://sillok.histor[...]
1885-04-26
[7]
웹사이트
광혜원의 개원과 제중원으로의 개칭과정
https://storage.isev[...]
2020-09-28
[8]
서적
알렌의 일기
단국대학교 출판부
[9]
보고서
조선정부병원(제중원) 제1차년도 보고서(First Annual Report of the Korean Government Hospital, Seoul)
[10]
저널
제중원
[11]
저널
제중원에서의 초기 의학교육(1885-1908)
http://medhist.kams.[...]
2015-04-18
[12]
웹인용
한말 미국계 의료선교를 통한 서양의학의 수용
http://db.history.go[...]
국사편찬위원회
[13]
저널
의학교육의 현대화 과정
http://medhist.kams.[...]
2015-04-18
[14]
편지
알렌이 엘린우드에게 보낸 1894년 8월 26일자 및 11월 20일자 편지
1894-08-26, 1894-11-20
[15]
서적
제중원 반환에 관한 약정서
http://kyujanggak.sn[...]
19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