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광총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광총독은 1644년 청나라 순치제 때 설치되어 호북성과 호남성을 관할했으며, 무창에 총독부가 위치했다. 여러 차례 폐지 및 재설치를 거쳐, 1904년에는 호북순무를 겸임했다. 1911년 신해혁명으로 인해 위안스카이 등 여러 인물이 호광총독으로 임명되었으나 실제 취임하지는 못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나라의 호광총독 - 이홍장
청나라 말기의 정치가이자 군인이었던 이홍장은 태평천국의 난 진압에 기여하고 직례총독으로서 외교를 주도하며 군사력 강화에 힘썼으나, 청일 전쟁 패배와 부패 논란 등 역사적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그의 삶은 청나라 격변기와 근대화 노력의 한계를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는다. - 청나라의 호광총독 - 돤치루이
단기서는 중국 북양군벌 시대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북양무비학당 졸업 후 독일에서 군사학을 수학했고, 위안스카이의 심복으로 활동하며 여러 차례 국무총리를 역임했으나, 1920년 직환전쟁 패배 후 은퇴하고 1924년 임시집정을 거쳐 상하이에서 사망했다. - 청나라의 총독 - 양광총독
양광총독은 명나라와 청나라 시기에 광동과 광서를 관할하던 총독으로, 1734년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광동 무역 체제를 통해 유럽 상인과의 교역을 관리했다. - 청나라의 총독 - 직례총독
직례총독은 청나라 시대에 직례 지역을 관할하며 황하 관리, 치수, 통상, 외국 교섭 등을 담당했고 북양함대를 지휘하기도 했던 최고위 지방관직이었다. - 후난성의 역사 - 남당
남당은 오대십국 시대 강남을 중심으로 서지고(이병)가 건국하여 당을 계승했다는 명분으로 성립되었으나, 이경과 이유 시대에 문화적, 경제적 발전을 이루었음에도 후주와 송의 압력으로 쇠퇴하여 송에 멸망, 문화적 유산과 역사적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 - 후난성의 역사 - 강남도 (당)
강남도는 당나라 시대 중국 남부의 광대한 지역을 관할했던 행정구역으로, 733년 강남동도와 강남서도로 분할되었으며, 당나라 말기에는 절도사와 관찰사들이 등장하여 후대 봉건 체제에 영향을 미쳤다.
호광총독 | |
---|---|
호광총독 | |
![]() | |
관직 정보 | |
관할 지역 | 후베이성, 후난성 |
다른 명칭 | 총독후베이후난등처지방제독군무량향겸순무사 (總督湖北湖南等處地方提督軍務糧饟兼巡撫事) |
만주어 명칭 | 후구왕 니 우허리 카달라라 암반 (hūguwang ni uheri kadalara amban) |
설치 시기 | 순치제 시기 |
폐지 시기 | 신해혁명 이후 |
역할 및 권한 | |
주요 역할 | 후베이성과 후난성의 군사 및 행정 총괄 |
직속 상관 | 황제 |
직속 부하 | 후베이성, 후난성의 순무 |
겸직 | 병부상서, 우도어사 |
역사 | |
연혁 | 명나라 시기: 호광 지역은 여러 순무가 분할 통치 청나라 초: 호광총독 설치, 군사적 중요성 부각 강희제 시기: 총독부 이전, 권한 강화 옹정제 시기: 후베이, 후난, 광동, 광시 총독으로 분할 (일시적) 건륭제 시기: 후광총독 재설치, 현재의 관할 구역 확정 |
주요 업무 | |
군사 | 지역 군대 지휘 및 군사 작전 수행 |
행정 | 민정 관리, 세금 징수, 치안 유지 |
경제 | 농업 장려, 상업 진흥, 물가 관리 |
인사 | 지역 관리 임명 및 평가 |
외교 | 주변 지역과의 관계 관리 (필요시) |
2. 연혁
- 1644년(순치 원년) 호광총독이 설치되었다. 총독부는 무창에 설치되었으며, 호북성과 호남성을 관할했다.
- 1668년(강희 7년) 폐지되었다.
- 1670년(강희 9년) 다시 설치되었다.
- 1680년(강희 19년) 천호총독(川湖総督)으로 개칭되었으나, 같은 해에 호광총독으로 복귀하였다.
- 1687년(강희 26년) 호북호남총독으로 개칭되었다.
- 1904년(광서 30년) 이후 호광총독이 호북순무(湖北巡撫)를 겸임하게 되었다.
3. 역대 호광총독
# | 이름 | 초상화 | 임기 시작 | 임기 종료 | 비고 |
---|---|---|---|---|---|
100 | 장즈둥 張之洞 | ![]() | 1904년 | 1907년 8월 | 1904년(광서 30년)부터 호광총독이 호북순무를 겸임 |
101 | 자오얼쑨 趙爾巽 | ![]() | 1907년 8월 | 1908년 3월 | |
102 | 천쿠이룽 陳夔龍 | ![]() | 1908년 3월 | 1909년 10월 | |
루이청 瑞澂 | ![]() | 1909년 10월 | 1911년 10월 | 총독 대리 | |
위안스카이 袁世凱 | ![]() | 1911년 10월 14일 | 취임하지 않음 | ||
웨이광타오 魏光燾 | ![]() | 1911년 | 취임하지 않음 | ||
왕스전 王士珍 | ![]() | 1911년 11월 2일 | 취임하지 않음 | ||
돤즈구이 段芝貴 | ![]() | 1911년 11월 14일 | 취임하지 않음 | ||
돤치루이 段祺瑞 | ![]() | 1911년 11월 17일 | 취임하지 않음 |
3. 1. 호광총독 (1645년 ~ 1904년)
# | 이름 | 초상화 | 임기 시작 | 임기 종료 | 비고 |
---|---|---|---|---|---|
1 | 뤄슈진 羅繡錦 | 1645년 | 1652년 | 호광 및 쓰촨 총독 겸임 | |
2 | 쭈쩌위안 祖澤遠 | 1652년 | 1656년 | ||
3 | 훙청저우 洪承疇 | ![]() | 1653년 | 1658년 | 호광, 양광 및 윈구이 총독 겸임 |
4 | 후취안차이 胡全才 | 1656년 | 1656년 | ||
5 | 리쭈인 李祖蔭 | 1656년 | 1660년 | ||
6 | 장창겅 張長庚 | 1660년 | 1668년 | ||
7 | 류자오치 劉兆麒 | 1668년 | 1669년 | 촨후 총독 겸임 | |
8 | 차이위룽 蔡毓榮 | 1670년 | 1682년 | ||
9 | 둥웨이궈 董衛國 | 1682년 | 1684년 | ||
10 | 쉬궈샹 徐國相 | 1684년 | 1688년 | ||
11 | 딩스쿵 丁思孔 | 1688년 | 1694년 | ||
12 | 우톈 吳琠 | 1694년 | 1696년 | ||
13 | 리후이쭈 李輝祖 | 1696년 | 1699년 | ||
14 | 궈슈 郭琇 | 1699년 | 1703년 | ||
녠샤링 年遐齡 | 1701년 | 1704년 | 총독 대리 | ||
15 | 위청룽 喻成龍 | 1703년 | 1705년 | ||
16 | 스원성 石文晟 | 1705년 | 1707년 | ||
17 | 궈스룽 郭世隆 | 1707년 | 1710년 | ||
18 | 어하이 鄂海 | 1710년 | 1713년 | ||
19 | 얼룬터 額倫特 | 1713년 | 1716년 | ||
20 | 만피 滿丕 | 1716년 | 1722년 | ||
21 | 양쭝런 楊宗仁 | 1722년 | 1725년 | ||
22 | 리청룽 李成龍 | 1725년 | 1726년 | ||
23 | 이자오슝 宜兆熊 | 1726년 | 1726년 | ||
24 | 푸민 福敏 | 1726년 | 1727년 | ||
25 | 마이주 邁柱 | 1727년 | 1735년 | ||
26 | 장광쓰 張廣泗 | 1735년 | 1735년 | ||
27 | 스이즈 史貽直 | 1735년 | 1737년 | ||
28 | 더페이 德沛 | 1737년 | 1739년 | ||
29 | 반디 班第 | -- | 1739년 | 1740년 | |
30 | 나수투 那蘇圖 | 1740년 | 1741년 | ||
31 | 쑨자간 孫嘉淦 | 1741년 | 1743년 | ||
32 | 아얼사이 阿爾賽 | 1743년 | 1744년 | ||
33 | 어미다 鄂彌達 | 1744년 | 1746년 | ||
34 | 사일렁어 賽楞額 | 1746년 | 1748년 | ||
35 | 신주 新柱 | 1748년 | 1749년 | ||
36 | 융싱 永興 | 1749년 | 1750년 | ||
37 | 아리군 阿里袞 | ![]() | 1750년 | 1751년 | |
38 | 융창 永常 | 1751년 | 1753년 | ||
39 | 카이타이 開泰 | 1753년 | 1755년 | ||
40 | 숴서 碩色 | 1755년 | 1759년 | ||
41 | 쑤창 蘇昌 | 1759년 | 1761년 | ||
42 | 아이비다 愛必達 | 1761년 | 1763년 | ||
천훙모우 陳宏謀 | ![]() | 1763년 | 1763년 | 총독 대리 | |
43 | 리시야오 李侍堯 | ![]() | 1763년 | 1764년 | |
44 | 우다산 吳達善 | 1764년 | 1766년 | ||
45 | 류자오 劉藻 | 1766년 | 1766년 | ||
46 | 딩창 定長 | 1766년 | 1768년 | ||
가오진 高晉 | 1768년 | 1768년 | 총독 대리 | ||
47 | 우다산 吳達善 | 1768년 | 1771년 | ||
48 | 푸밍안 富明安 | 1771년 | 1772년 | ||
49 | 하이밍 海明 | 1772년 | 1772년 | ||
50 | 푸러훈 富勒渾 | 1772년 | 1773년 | ||
천후이쭈 陳輝祖 | 1772년 | 1773년 | 총독 대리 | ||
51 | 원서우 文綬 | 1773년 | 1776년 | ||
52 | 푸러훈 富勒渾 | 1776년 | 1777년 | ||
53 | 산바오 三寶 | 1777년 | 1779년 | ||
54 | 투스더 圖思德 | 1779년 | 1779년 | ||
55 | 푸러훈 富勒渾 | 1779년 | 1780년 | ||
56 | 수창 舒常 | 1780년 | 1784년 | ||
57 | 터청어 特成額 | 1784년 | 1786년 | ||
58 | 비위안 畢沅 | ![]() | 1786년 | 1786년 | |
59 | 리시야오 李侍堯 | -- | 1786년 | 1787년 | |
60 | 창칭 常青 | 1787년 | 1787년 | ||
61 | 수창 舒常 | 1787년 | 1788년 | ||
62 | 비위안 畢沅 | 1788년 | 1794년 | ||
63 | 푸닝 福寧 | 1794년 | 1795년 | ||
64 | 비위안 畢沅 | 1795년 | 1797년 | ||
65 | 러바오 勒保 | 1797년 | 1798년 | ||
66 | 징안 景安 | 1798년 | 1799년 | ||
67 | 웨이스부 倭什布 | 1799년 | 1800년 | ||
68 | 장성 姜晟 | ![]() | 1800년 | 1800년 | |
69 | 수린 書麟 | 1800년 | 1801년 | ||
70 | 웨이스부 倭什布 | 1801년 | 1801년 | ||
71 | 우슝광 吳熊光 | 1801년 | 1805년 | ||
72 | 바이링 百齡 | 1805년 | 1805년 | ||
73 | 취안바오 全保 | 1805년 | 1806년 | ||
74 | 왕즈이 汪志伊 | 1806년 | 1810년 | ||
75 | 마후이위 馬慧裕 | 1810년 | 1816년 | ||
76 | 쑨위팅 孫玉庭 | 1816년 | 1816년 | ||
77 | 루안위안 阮元 | 1816년 | 1817년 | ||
78 | 칭바오 慶保 | 1817년 | 1820년 | ||
79 | 장잉한 張映漢 | 1820년 | 1820년 | ||
80 | 천뤄린 陳若霖 | ![]() | 1820년 | 1822년 | |
81 | 리훙빈 李鴻賓 | 1822년 | 1826년 | ||
82 | 쑹푸 嵩孚 | 1826년 | 1830년 | ||
양이젱 楊懌曾 | 1830년 | 1830년 | 총독 대리 | ||
83 | 루쿤 盧坤 | 1830년 | 1832년 | ||
84 | 너얼징어 訥爾經額 | 1832년 | 1837년 | ||
85 | 린쩌쉬 林則徐 | ![]() | 1837년 2월 | 1838년 12월 | |
86 | 저우톈줴 周天爵 | 1838년 12월 | 1840년 12월 | ||
87 | 구이량 桂良 | 1839년 6월 | 1839년 12월 | ||
88 | 위타이 裕泰 | 1839년 12월 | 1851년 12월 | ||
89 | 청위차이 程矞采 | 1851년 12월 | 1852년 10월 | ||
쉬광진 徐廣縉 | 1852년 10월 | 1853년 2월 | 총독 대리 | ||
장량지 張亮基 | 1853년 2월 | 1853년 9월 | |||
90 | 우원룽 吳文鎔 | 1853년 9월 | 1854년 2월 | ||
91 | 타이융 台湧 | 1854년 3월 | 1854년 7월 | ||
92 | 양페이 楊霈 | 1854년 10월 | 1855년 6월 | ||
93 | 관원 官文 | 1855년 6월 | 1867년 2월 | ||
탄팅샹 譚廷襄 | 1866년 | 1866년 | 총독 대리 | ||
94 | 리훙장 李鴻章 | ![]() | 1867년 2월 | 1870년 8월 | |
리한장 李瀚章 | 1867년 | 1868년 | 총독 대리 | ||
궈보인 郭柏蔭 | 1868년 | 1869년 | 총독 대리 | ||
95 | 리한장 李瀚章 | 1870년 8월 | 1882년 4월 | ||
원퉁줴 翁同爵 | ![]() | 1875년 | 1876년 | 총독 대리 | |
96 | 투쭝잉 塗宗瀛 | 1882년 4월 | 1883년 6월 | ||
볜바오디 卞寶第 | 1883년 6월 | 1885년 4월 | 총독 대리 | ||
위루 裕祿 | ![]() | 1885년 4월 | 1889년 8월 | 총독 대리 | |
97 | 장즈둥 張之洞 | 1889년 8월 | 1894년 11월 | ||
98 | 탄지쉰 譚繼洵 | 1894년 11월 | 1896년 1월 | ||
99 | 장즈둥 張之洞 | 1896년 1월 | 1902년 11월 | ||
돤팡 端方 | ![]() | 1902년 11월 | 1904년 | 총독 대리 |
3. 2. 호광총독 겸 호북순무 (1904년 ~ 1911년)
1904년(광서 30년)부터 호광총독이 호북순무를 겸임하게 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