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직례총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직례총독은 청나라 시대에 직례 지역을 관할하던 최고위 지방관직이다. 1648년 처음 설치된 이후 여러 차례 폐지 및 부활을 거쳐 1723년 재설치되었으며, 1912년 청나라 멸망까지 유지되었다. 황하 관리 및 치수, 직례성 순무 겸임 등의 권한을 가졌으며, 1870년부터는 북양통상대신을 겸임하여 톈진, 잉커우, 옌타이 3개 항구의 통상 및 외국과의 교섭을 담당했다. 직례총독은 북양함대를 지휘하기도 했으며, 이홍장, 위안스카이 등 여러 주요 인물이 이 직책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나라의 총독 - 양광총독
    양광총독은 명나라와 청나라 시기에 광동과 광서를 관할하던 총독으로, 1734년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광동 무역 체제를 통해 유럽 상인과의 교역을 관리했다.
  • 청나라의 총독 - 호광총독
    호광총독은 청나라 때 호북성과 호남성을 관할하며 무창에 총독부가 위치했고, 여러 차례 폐지 및 재설치를 거쳐 호북순무를 겸임했으며, 신해혁명으로 인해 여러 인물이 임명되었으나 실제 취임하지는 못했다.
  • 톈진시의 역사 - 톈진 교안
    톈진 교안은 1870년 톈진에서 종교적 갈등, 유아 실종 소문, 프랑스 영사의 과격한 대응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 대규모 폭력 사태로, 반외세 감정 고조와 의화단 운동의 배경이 되었다.
  • 톈진시의 역사 - 2015년 톈진항 폭발 사고
    2015년 톈진항 폭발 사고는 톈진시 빈하이 신구의 창고에서 위험물 관리 부실과 미흡한 소방 대응으로 인해 발생한 대규모 폭발 및 화재 사고로, 인명 및 재산 피해, 환경 오염을 야기했다.
  • 산둥성의 역사 - 라이우시
    라이우시는 과거 산둥성 중부에 위치했던 지급시였으나 2019년 지난시에 병합되었고, 태산 동쪽 기슭에 위치하여 광물 자원이 풍부하며 파, 생강, 마늘 등의 특산물 생산지로 알려져 있다.
  • 산둥성의 역사 - 북서주
    북서주는 중국 역사 속 동진, 유송, 남제, 북위 시기에 설치되었던 행정 구역이며, 각 시기마다 설치, 개명, 폐지 과정을 거쳤다.
직례총독
정보
관할직례성, 산동성, 하남성
성립1644년
폐지1912년
다른 이름북양대신
역대 총독
초대사송
최후장진방

2. 연혁

청나라의 직례총독 지도


직례총독은 1649년 9월 30일 순치제 치세에 처음 설치되었으나 1658년 6월 1일에 폐지되었다. 1661년 11월 23일 강희제 치세에 다시 설치되었지만, 1669년 7월 28일에 다시 폐지되었다. 1724년 12월 14일 옹정제가 복원한 이후, 1912년 청나라 멸망까지 이 자리는 유지되었다.

1870년 이후, 직례총독은 북양통상대신(北洋通商大臣중국어) 직책을 겸임하였으며, 양강총독이 맡았던 남양통상대신(南洋通商大臣중국어)과 대칭되었다.

1649년부터 1912년까지 47명이 이 직책을 맡았다. 그중 주목할 만한 인물로는 당지유, 방관승, 증국번, 영록, 위안스카이 등이 있었다.

  • 1888년 (광서 14년), 직례총독 산하에 정식으로 북양함대(북양수사)가 발족했다.

2. 1. 초기 연혁 (1648년 ~ 1723년)


  • 1648년(순치 5년) 직례총독의 전신인 직례·산동·하남 삼성총독이 설치되었다. 총독부는 직례의 대명부에 설치되었다.
  • 1658년 (순치 15년), 직례총독은 직례순무로 강등되었다.
  • 1661년 (순치 18년), 직례총독이 부활했다. 총독부는 대명부에 그대로 유지되었다.
  • 1669년 (강희 8년), 직례총독이 폐지되었다.
  • 1723년 (옹정 원년), 직례총독이 다시 설치되었다.

2. 2. 직례총독의 권한 강화 (1723년 ~ 1870년)


  • 1723년 (옹정 원년), 직례총독이 재설치되었다.
  • 1749년 (건륭 14년), 직례총독의 관할에 황하의 관리와 치수가 추가되었다.
  • 1763년 (건륭 28년), 직례총독이 직례성 순무를 겸임하게 되었다.
  • 1854년 (함풍 3년), 톈진의 창루염(명산의 식염) 생산을 직례총독 직할로 했다.
  • 1870년 (동치 9년), 청나라는 해외 무역항인 톈진, 잉커우, 옌타이 3곳에서의 통상을 직례총독의 관리 하에 두고, 여러 외국과의 직접 교섭을 담당하게 했다. 외국과의 교섭권을 위해 흠차대신으로서 북양통상대신 직책도 부여했다. 이후 직례총독은 통상 톈진에서 지내고, 무역 비수기인 겨울이 되면 바오딩의 총독부로 돌아오는 생활을 했다.

2. 3. 북양통상대신 겸임과 대외 관계 (1870년 ~ 1912년)

1870년(동치 9년), 청나라는 해외 무역항인 톈진, 잉커우, 옌타이 3곳에서의 통상을 직례총독의 관리 하에 두고, 여러 외국과의 직접 교섭을 담당하게 했다. 외국과의 교섭권을 가진 흠차대신으로서 북양통상대신 직책도 겸임하게 되었다. 이후 직례총독은 보통 톈진에서 지내다가, 무역 비수기인 겨울이 되면 바오딩의 총독부로 돌아오는 생활을 했다. 1888년(광서 14년)에는 직례총독 산하에 정식으로 북양함대(북양수사)가 발족했다.

3. 역대 직례총독



직례총독은 1649년 9월 30일 순치제 치세에 처음 설치되었으나 1658년 6월 1일에 폐지되었다. 1661년 11월 23일 강희제 치세에 다시 설치되었지만, 1669년 7월 28일에 다시 폐지되었다. 옹정제가 1724년 12월 14일에 이를 복원한 이후, 1912년 청나라 멸망까지 이 자리는 유지되었다.

1870년 이후, 직례총독은 겸임으로 북양통상대신 직책을 맡았으며, 양강총독이 맡았던 남양통상대신과 대칭되었다.

1649년부터 1912년까지 47명이 이 직책을 맡았다. 그중 주목할 만한 인물로는 당지유, 방관승, 증국번, 영록, 원세개 등이 있었다.

#이름초상화임기 시작임기 종료비고
직례총독, 산동, 하남 총독
(1649–1658)
1장존인1649년 9월 30일1651년 11월재임 중 사망
2마광휘1651년 11월 29일1654년 4월 8일질병으로 사임
3이조음1654년 4월 16일1657년 2월 4일호광총독으로 전임
4장현석1657년 2월 24일1658년 6월 1일1658년 6월 29일 면직 및 파면
직례총독
(1661–1665)
5묘징1661년 11월 23일1665년 7월 4일면직
직례총독, 산동, 하남 총독
(1665–1669)
6주창좌1665년 7월 13일1667년 1월 8일면직
7백병정1667년 1월 27일1669년 7월 28일면직
직례총독
(1724–1912)
8이유균1724년 12월 14일1725년 9월 26일면직
채정1725년 9월 26일호부 대리
9이부1725년 10월 1일1727년 1월 16일공부 우시랑으로 전임
의조웅1727년 1월 16일1728년 6월 23일호광총독 대리
유사서1727년 1월 16일1729년 3월 8일예부 우시랑 대리
하세기1728년 6월 23일1729년 3월 4일이부 좌시랑 대리
양곤1729년 2월 24일1729년 7월 1일직례총독 대리
당집옥1729년 7월 1일1731년 10월 27일좌도어사 대리
유어의1731년 10월 27일1732년 9월 2일형부 대리
이위1732년 9월 2일1732년 9월직례총독 대리
10이위1732년 9월1738년 11월 29일질병으로 은퇴
당집옥1733년 2월 19일1733년 4월형부 대리
손가간1738년 11월 29일1738년 12월 6일이부 대리
11손가간1738년 12월 6일1741년 9월 26일호광총독으로 전임
12고빈1741년 9월 26일1745년 6월 19일이부로 승진
유어의1745년 2월 28일이부 대리
13나소도1745년 6월 19일1749년 8월 18일재임 중 사망
진대수1749년이부 대리 및 협찬대학사
14방관승1749년 8월 18일1768년 9월 25일질병으로 은퇴
악미달1755년 10월 30일형부 대리
양정장1768년 9월 25일1768년 9월 27일형부 대리
15양정장1768년 9월 27일1771년 11월 26일형부로 전임
16주원리1771년 11월 26일1779년 4월 27일면직
영렴1779년 4월 27일1779년 4월 29일호부 대리
17양경소1779년 4월 29일1780년 1월 27일재임 중 사망
18원수동1780년 1월 27일1782년 1월 13일효도를 위해 사임
주원리1780년 1월 27일직례총독 대리
영렴1782년 1월 13일대학사 대리
19정대진1782년 1월 13일1782년 11월 25일재임 중 사망
20원수동1782년 11월 25일1783년 6월 16일재임 중 사망
유용
1783년 6월 16일공부 대리
21유아1783년 6월 16일1790년 4월 10일병부 좌시랑으로 강등
22양간당1790년 4월 10일1798년 2월 20일형부로 승진
23호계당1798년 2월 20일1800년 11월 24일질병으로 사임
안검1800년 11월 24일직례 순무 대리
24강성
1800년 12월 5일1801년 7월 19일면직 및 체포
웅매1801년 7월 19일형부 좌시랑 대리
25진대문1801년 7월 20일1802년 5월 3일질병으로 사임
웅매1802년 5월 3일좌도어사 대리
안검1802년 5월 9일하남 순무 대리
26안검1802년 9월 27일1805년 7월 4일주사(主事)로 강등
웅매1805년 7월 4일공부 대리
27오웅광1805년 7월 4일1805년 12월 12일양광총독으로 전임
구행간1805년 11월 6일직례 순무 대리
구행간1805년 12월 12일직례 순무 대리 겸 병부 대리
진승은1806년 11월 8일형부 대리
온승혜1806년 11월 23일복건 순무 대리
28온승혜1807년 10월 16일1813년 11월 5일면직
장서1813년 10월 10일공부 대리
좌문녕1813년 12월 9일이부 좌시랑 대리
29나언성1813년 11월 5일1816년 7월 24일면직
30방수주1816년 7월 24일1822년 1월 29일질병으로 사임
장령1822년 1월 29일1822년 2월 18일섬간총독 대리
도지신1822년 2월 18일직례 순무 대리
송균1822년 1월 18일이부 대리
31안검1822년 1월 29일1823년 5월 15일창장시랑(倉場侍郎)으로 전임
32강유선1823년 5월 15일1825년 12월 7일내각으로 전임
33나언성1825년 12월 7일1831년 3월 25일면직
명산1827년 12월 22일1827년 12월 26일형부 대리
도지신1827년 12월 26일1829년 5월 18일직례 순무 대리
송균1829년 5월 21일예부 대리
왕정
1831년 3월 25일호부 대리
34기산1831년 3월 25일1837년 4월 14일효도를 위해 사임
목장아1837년 4월 14일대학사 대리
기산1837년 7월 25일1840년 9월 28일재임
납이경액1840년 9월 28일1841년 2월 26일섬간총독 대리
35납이경액1841년 2월 26일1853년 10월 6일면직
36계량1853년 10월 6일1857년 1월 21일동각대학사(東閣大學士)로 승진
담정상1857년 1월 21일1858년 4월 26일섬서 순무 대리
37담정상1858년 4월 26일1858년 7월 26일면직
서린
1858년 7월 26일예부 대리
38경기1858년 7월 26일1859년 3월 25일재임 중 사망
문욱1859년 3월 25일직례 순무 대리
39항복1859년 3월 25일1861년 2월 26일질병으로 사임
문욱1861년 2월 26일1863년 2월 14일산동 순무 대리
숭후
1863년 2월 14일1863년 4월 20일병부 좌시랑 대리
40유장우
1863년 2월 14일1867년 11월 29일면직
관문1867년 11월 29일1868년 9월 6일문화전대학사(文華殿大學士) 대리
41증국번
1868년 9월 6일1870년 8월 29일양강총독으로 전임
42이홍장
1870년 8월 29일1882년 4월 26일효도를 위해 사임
장수성1882년 4월 19일1883년 7월 13일양광총독 대리
이홍장1883년 7월 13일1884년 9월 23일직례총독 대리
43이홍장1884년 9월 23일1895년 8월 28일내각으로 전임
왕문소
1895년 2월 13일1895년 8월 28일운귀총독 대리
44왕문소1895년 8월 28일1898년 6월 23일호부로 승진
영록
1898년 6월 15일1898년 6월 23일대학사 대리
45영록1898년 6월 23일1898년 9월 25일수도로 소환
원세개
1898년 9월 25일부시랑 대리
46유록
1898년 9월 28일1900년 7월 27일재임 중 사망
정옹
1900년 8월 9일직례 순무 대리
47이홍장1900년 7월 8일1901년 11월 7일재임 중 사망
주복
1901년 11월 7일직례 순무 대리
원세개1901년 11월 7일1902년 6월 9일산동 순무 대리
48원세개1902년 6월 9일1907년 9월 4일외무부로 승진
오중희1902년 10월 18일직례 순무 대리
양사상1907년 9월 5일1908년 7월 23일산동 순무 대리
49양사상1908년 7월 23일1909년 6월 28일재임 중 사망
나동
1909년 6월 28일대학사외무부 협찬
50단방
1909년 6월 28일1910년 1월 23일면직
최영안1910년 1월 23일직례 순무 대리
51진규룡
1910년 1월 23일1912년 2월 3일질병으로 사임
장진방1912년 2월 3일직례총독 대리


3. 1. 직례총독 (순치 5년-15년)

1648년(순치 5년)에 설치된 직례·산동·하남 삼성총독이 직례총독의 전신이다. 당시 총독부는 직례의 대명부에 설치되었다. 1658년(순치 15년)에 직례총독은 직례순무로 강등되었다.

#이름초상화임기 시작임기 종료비고
1장존인1649년 9월 30일1651년 11월재임 중 사망
2마광휘1651년 11월 29일1654년 4월 8일질병으로 사임
3이조음1654년 4월 16일1657년 2월 4일호광총독으로 전임
4장현석1657년 2월 24일1658년 6월 1일1658년 6월 29일 면직 및 파면


3. 2. 직례총독 (순치 18년-강희 8년)

1661년 강희제 치세에 직례총독이 다시 설치되었다. 총독부는 기존의 대명부에 그대로 두었다.

1661년 ~ 1669년 직례 총독
#이름초상화임기 시작임기 종료비고
5묘징
苗澄
1661년 11월 23일1665년 7월 4일면직
직례총독, 산동, 하남 총독
(1665–1669)
6주창좌
朱昌祚
1665년 7월 13일1667년 1월 8일면직
7백병정
白秉貞
1667년 1월 27일1669년 7월 28일면직



1669년 (강희 8년), 직례총독은 폐지되었다.

3. 3. 직례총독 (옹정 원년-건륭 28년)

1723년(옹정 원년), 직례총독이 재설치되었다. 1749년(건륭 14년)에는 직례총독의 관할에 황하의 관리와 치수가 추가되었다. 1763년(건륭 28년)에는 직례총독이 직례성 순무를 겸임하게 되었다.

옹정 원년부터 건륭 28년까지 재임한 직례 총독은 다음과 같다.

이름임기 시작임기 종료비고
이유균1724년 12월 14일1725년 9월 26일면직
채정1725년 9월 26일호부 대리
이부1725년 10월 1일1727년 1월 16일공부 우시랑으로 전임
의조웅1727년 1월 16일1728년 6월 23일호광총독 대리
유사서1727년 1월 16일1729년 3월 8일예부 우시랑 대리
하세기1728년 6월 23일1729년 3월 4일이부 좌시랑 대리
양곤1729년 2월 24일1729년 7월 1일직례총독 대리
당집옥1729년 7월 1일1731년 10월 27일좌도어사 대리
유어의1731년 10월 27일1732년 9월 2일형부 대리
이위1732년 9월 2일1732년 9월직례총독 대리
이위1732년 9월1738년 11월 29일질병으로 은퇴
당집옥1733년 2월 19일1733년 4월형부 대리
손가간1738년 11월 29일1738년 12월 6일이부 대리
손가간1738년 12월 6일1741년 9월 26일호광총독으로 전임
고빈1741년 9월 26일1745년 6월 19일이부로 승진
유어의1745년 2월 28일이부 대리
나소도1745년 6월 19일1749년 8월 18일재임 중 사망
진대수1749년이부 대리 및 협찬대학사
방관승1749년 8월 18일1768년 9월 25일질병으로 은퇴
악미달1755년 10월 30일형부 대리


3. 4. 직례총독 겸 순무 (건륭 28년-동치 9년)

1763년(건륭 28년), 방관승이 직례총독으로 재직하면서 직례성 순무를 겸임하게 되었다. 이후 1870년(동치 9년)까지 이 직책은 계속 유지되었다.

이 시기 직례총독의 주요 변화는 다음과 같다.

  • 1763년(건륭 28년): 방관승이 직례총독으로 재직하면서 직례성 순무를 겸임.
  • 1854년(함풍 3년): 천진 길이 갈대 소금(명산 소금) 생산을 직례총독의 직할로 함.
  • 1870년(동치 9년): 청나라는 해외 무역항인 천진, 영구, 연대의 3개소에서 통상을 직례총독의 관리 하에 두고 외국과의 직접 협상을 담당시켰다. 외국과의 협상권을 가진 흠차대신으로 북양통상대신의 직책도 겸했다.


이 시기 직례총독을 역임한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이름재임 기간비고
방관승1763년 - 1768년
양정장1768년 - 1771년
주원리1771년 - 1779년
영렴1779년
양경소1779년
주원리1779년 - 1780년
원수동1780년 - 1781년
영렴1781년
정대진1781년 - 1782년
영렴1782년
원수동1782년 - 1783년
유용1783년
유아1783년 - 1790년
양긍당1790년 - 1798년
호계당1798년 - 1800년
안검1800년
강성1800년 - 1801년
웅매1801년
진대문1801년 - 1802년
웅매1802년
안검1802년 - 1805년
웅매1805년
오웅광1805년
구행간1805년 - 1806년
진승은1806년
온성혜1806년 - 1813년
장후1813년 - 1814년
나얀청1814년 - 1816년
탁진1816년
방수주1816년 - 1822년
장령1822년
도지신1822년
송균1822년
안검1822년 - 1823년
장유섬1823년 - 1825년
나얀청1825년 - 1827년
도지신1827년 - 1829년
송균1829년
나얀청1829년 - 1831년
왕정1831년
기선1831년 - 1837년
목장아1837년
기선1837년 - 1840년
눌이경액1840년 - 1853년
계량1853년 - 1856년
담정상1856년 - 1858년
서린1858년
경기1858년 - 1859년
문욱1859년
항복1859년 - 1861년
문욱1861년 - 1862년
숭후1862년 - 1863년
유장우1863년 - 1867년


3. 5. 직례총독 겸 북양통상대신 (동치 9년-민국 원년)

1870년(동치 9년), 청나라는 해외 무역항인 천진, 영구, 연대 3곳에서의 통상을 직례총독의 관리 하에 두고 외국과의 직접 협상을 담당시켰다. 이때부터 직례총독은 흠차대신(欽差大臣)으로서 북양통상대신 직책을 겸임하게 되었다. 이후 직례총독은 주로 천진에서 시간을 보내다가, 무역 비수기인 겨울에는 보정의 총독부로 돌아오는 생활을 했다. 1888년(광서 14년)에는 직례총독 산하에 공식적으로 북양함대(북양수사)가 발족되었다.

역대 직례총독 겸 북양통상대신 (1870년 ~ 1912년)
#이름초상화임기 시작임기 종료비고
40증국번
曾國藩
1868년 9월 6일1870년 8월 29일양강총독으로 전임
41이홍장
李鴻章
1870년 8월 29일1882년 4월 26일효도를 위해 사임
장수성
張樹聲
1882년 4월 19일1883년 7월 13일양광총독 대리
이홍장
李鴻章
--1883년 7월 13일1884년 9월 23일직례총독 대리
42이홍장
李鴻章
--1884년 9월 23일1895년 8월 28일내각으로 전임
왕문소
王文韶
1895년 2월 13일1895년 8월 28일운귀총독 대리
43왕문소
王文韶
--1895년 8월 28일1898년 6월 23일호부로 승진
영록
榮祿
1898년 6월 15일1898년 6월 23일대학사 대리
44영록
榮祿
1898년 6월 23일1898년 9월 25일수도로 소환
원세개
袁世凱
1898년 9월 25일부시랑 대리
45유록
裕祿
1898년 9월 28일1900년 7월 27일재임 중 사망
정옹
廷雍
1900년 8월 9일직례 순무 대리
46이홍장
李鴻章
--1900년 7월 8일1901년 11월 7일재임 중 사망
주복
周馥
1901년 11월 7일직례 순무 대리
원세개
袁世凱
--1901년 11월 7일1902년 6월 9일산동 순무 대리
47원세개
袁世凱
--1902년 6월 9일1907년 9월 4일외무부로 승진
오중희
吳重熹
1902년 10월 18일직례 순무 대리
양사상
楊士驤
1907년 9월 5일1908년 7월 23일산동 순무 대리
48양사상
楊士驤
1908년 7월 23일1909년 6월 28일재임 중 사망
나동
那桐
1909년 6월 28일대학사외무부 협찬
49단방
端方
1909년 6월 28일1910년 1월 23일면직
최영안
崔永安
1910년 1월 23일직례 순무 대리
50진규룡
陳夔龍
1910년 1월 23일1912년 2월 3일질병으로 사임
장진방
張鎮芳
1912년 2월 3일직례총독 대리


4. 평가 및 영향

1870년 이후, 직례총독은 양강총독이 맡았던 "남양통상대신"과 대칭되는 "북양통상대신" 직책을 겸임하였다.

1649년부터 1912년까지 총 47명이 직례총독을 역임했다. 그중 주목할 만한 인물로는 당지유, 방관승, 증국번, 영록, 위안스카이 등이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