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호러스 호턴 언더우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러스 호턴 언더우드는 1890년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1912년 한국에 선교사로 입국하여 경신학교, 연희전문학교에서 강의했으며, 1928년 연희전문학교 부교장, 1934년 교장이 되었다. 연희전문학교 교장 재직 시 신사참배를 옹호하는 등 친일 행적을 보였으며, 미군정 시기에는 고문과 검열국 총무 등을 역임했다. 1951년 부산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로교 선교사 - 펄 S. 벅
    펄 S. 벅은 중국에서 어린 시절을 보내며 중국과 동양을 배경으로 한 소설들을 발표하여 퓰리처상과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소설가이자 작가이며, 펄벅재단을 설립하여 여성 인권, 인종 간 입양, 혼혈아 문제 등 사회 문제에도 관심을 갖고 활동했고 한국과의 인연도 깊다.
  • 장로교 선교사 -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는 연세대학교 설립자이자 미국의 장로교 선교사로, 1885년 한국에 입국하여 새문안교회와 경신학교를 설립하고 YMCA 창설, 성서 번역, 한국어 연구, 독립운동 지원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으며, 그의 가족 또한 한국에서 교육 및 의료 사업에 헌신하였다.
  • 미국의 기독교 선교사 - 호머 헐버트
    호머 헐버트는 미국의 교육자이자 선교사이자 언론인이자 역사학자이자 독립운동가로서, 육영공원 교사로 한국과 인연을 맺은 후 한글 연구 및 보급, 한국 역사와 문화 알리기, 고종의 외교 특사 활동, 헤이그 특사 파견 지원 등 대한제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했으며 대한민국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받았다.
  • 미국의 기독교 선교사 - 펄 S. 벅
    펄 S. 벅은 중국에서 어린 시절을 보내며 중국과 동양을 배경으로 한 소설들을 발표하여 퓰리처상과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소설가이자 작가이며, 펄벅재단을 설립하여 여성 인권, 인종 간 입양, 혼혈아 문제 등 사회 문제에도 관심을 갖고 활동했고 한국과의 인연도 깊다.
  • 한국에서 활동한 기독교 선교사 - 호머 헐버트
    호머 헐버트는 미국의 교육자이자 선교사이자 언론인이자 역사학자이자 독립운동가로서, 육영공원 교사로 한국과 인연을 맺은 후 한글 연구 및 보급, 한국 역사와 문화 알리기, 고종의 외교 특사 활동, 헤이그 특사 파견 지원 등 대한제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했으며 대한민국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받았다.
  • 한국에서 활동한 기독교 선교사 -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는 연세대학교 설립자이자 미국의 장로교 선교사로, 1885년 한국에 입국하여 새문안교회와 경신학교를 설립하고 YMCA 창설, 성서 번역, 한국어 연구, 독립운동 지원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으며, 그의 가족 또한 한국에서 교육 및 의료 사업에 헌신하였다.
호러스 호턴 언더우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원한경
원어명元漢慶
Horace Horton Underwood
출생일1890년 9월 6일
출생지조선 한성부 정동방
(現 대한민국 서울 중구 정동)
사망지경상남도 부산
직책前 미군정청 군정장관실 민간고문관
임기1946년 5월 31일 ~ 1946년 8월 26일
학력미국 뉴욕 대학교 대학원
경력교수 겸 기독교 선교사
종교개신교(장로회)
총독안재홍 (미군정청 민정장관)
장관존 리드 하지 (미군정청 군정장관)
정당무소속
자녀원득한(장남), 원재한(차남), 원일한(3남)
부모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아버지)
웹사이트두산백과: 원한경
영어 이름Horace Horton Underwood
한국어 이름원한경
군 복무
복무미국 육군
참전제1차 세계 대전
복무 기간1913년 ~ 1921년
지휘분대장
근무미국 육군 예하 보병여단
계급예비역 미국 육군 중사
묘소
원한경 교수를 비롯한 양화진 언더우드 일가의 묘
원한경 교수를 비롯한
양화진 언더우드 일가의 묘

2. 학력

언더우드는 1907년 뉴저지주 보든 타운 군사학원에 입교하였고, 1913년 뉴욕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받았다. 1918년 뉴욕 화이트 성서대학원에서 신학석사, 1924년과 1925년에는 뉴욕대학교 대학원에서 각각 신학석사와 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34년 오하이오주 마운트대학교에서 명예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2. 1. 정규 학력

연도학교학위
1907년뉴저지주 보든 타운 군사학원입교
1913년뉴욕대학교학사
1918년뉴욕 화이트 성서대학원신학석사
1924년뉴욕대학교 대학원신학석사
1925년뉴욕대학교 대학원신학박사


2. 2. 명예 학위


  • 1934년: 오하이오주 마운트대학교에서 명예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3. 경력

4. 가족 관계

관계이름
부친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
모친릴리어스 호턴 언더우드 (1851~1921)


5. 비판 및 논란

호러스 호턴 언더우드는 일제강점기 친일 행적과 해방 이후 미군정 협력 논란으로 비판받았다.

5. 1. 친일 행적

호러스 호턴 언더우드는 1934년 연희전문학교 교장으로 재직하던 시절, 기독교계가 '신사참배를 결의한 일은 잘된 일'이라며 친일을 부추겼다.[1]

5. 2. 미군정 협력 논란

언더우드는 1945년 해방 이후 미군정 시기에 미군정장관 고문(1946년), 미군정청 검열국 총무 및 연희대학교 명예총장(1946년), 미군정청 문교부장 고문(1947년) 등을 역임하며 미군정에 협력하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