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호토케고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토케고젠은 가가국 출신으로, 1160년 2월 23일에 태어나 시라뵤시로 활동하다가 출가하여 호온니가 된 인물이다. 다이라노 기요모리의 총애를 받았으나, 기오와의 관계, 그리고 세속적인 영화의 무상함을 깨닫고 출가하여 1180년 9월 9일에 사망했다. 그녀의 생애는 《헤이케 이야기》에 묘사되었으며, 다양한 전승과 관련 작품으로도 전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가국 사람 - 마에다 도시이에
    마에다 도시에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까지 활약한 일본의 무장이자 다이묘로, 오다 노부나가 휘하에서 이름을 알리고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천하 통일 사업에 참여하여 가가번을 기반으로 백만 석의 영지를 얻었으며, 도요토미 히데요리의 후견인으로서 도요토미 정권의 중신으로 활동했다.
  • 가가국 사람 - 미야케 세쓰레이
    미야케 세쓰레이는 메이지 시대부터 쇼와 시대에 걸쳐 활동한 일본의 사상가이자 저술가로, 《일본인》 잡지 창간, 《진선미 일본인》, 《위악추 일본인》 등의 저서를 통해 일본인의 정체성과 미의식에 대한 논의를 이끌었으며, 협력적 민족주의를 주창하며 아시아 연대와 서구 제국주의 반대를 주장하고 일본 문화의 정체성 확립을 추구했다.
  • 시라뵤시 - 시즈카 고젠
    시즈카 고젠은 가마쿠라 시대의 시라뵤시 무용가로, 미나모토노 요시츠네와의 비극적인 사랑과 겐페이 전쟁 후 파란만장한 삶, 그리고 가마쿠라에서 겪은 고난으로 인해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고 일본 각지에 관련 전설과 유적을 남겼다.
  • 시라뵤시 - 기오 (시라뵤시)
    기오(祇王)는 헤이안 시대 말 다이라노 기요모리의 총애를 받은 시라뵤시였으나, 다른 여성의 등장으로 사랑을 잃고 출가하여 기오지에서 생을 마감한 비극적인 인물이다.
  • 다이라노 기요모리 - 헤이지의 난
    헤이지의 난은 1160년 일본에서 발생한 내란으로, 후지와라 노 미치노리의 독단적인 정치와 미나모토 씨의 불만, 니조 친정파와 고시라카와 상황의 대립을 배경으로 후지와라 노 노부요리와 미나모토 노 요시토모의 반란으로 시작되었으나 다이라 노 키요모리의 반격으로 헤이케가 권력을 장악하며 겐페이 전쟁과 가마쿠라 시대의 도래에 영향을 미쳤다.
  • 다이라노 기요모리 - 다이라노 다다모리
    다이라노 다다모리는 헤이안 시대 후기의 무장으로, 시라카와 법황과 도바 상황을 섬기며 교토 치안 유지와 해적 토벌에 기여했으며, 아들 다이라노 기요모리가 헤이케 정권을 수립하는 기반을 마련했다.
호토케고젠
기본 정보
호토케고젠
호토케고젠
본명불명
다른 이름다카쿠라노 미치노리의 딸
도요타노 고쇼 (豊田 御所)
생몰년도1154년 ~ 1169년 (16세 사망)
출생지셋쓰국
사망지교토
직업시라뵤시
활동 시기헤이안 시대 말기
가족
아버지다이라노 쓰네토시 (? ~ 1179년)
양아버지다이라노 모리토시
연인다이라노 기요모리

2. 생애

호토케고젠은 1160년 2월 23일(에이랴쿠 원년 음력 1월 15일) 가가국 하라무라(현 고마쓰시 하라마치)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교토에서 파견된 탑지기 시라카와 효타이후였다. 어릴 때부터 불교를 믿었기 때문에 "호토케고젠"이라 불렸다.

1174년 교토로 상경하여 시라뵤시가 되었고, 1177년 출가하여 1180년 사망하였다.

2. 1. 시라뵤시 시절

조안 4년 (1174년)에 교토로 상경해, 숙부인 시라카와 효나이의 밑에서 시라뵤시가 되었다. 이후 교토에서 이름을 날리고, 당시 권력자였던 다이라노 기요모리의 저택에 불려갔다. 당시 시라뵤시 기오가 기요모리의 총애를 받고 있었기 때문에 쫓겨났지만, 기오의 권유로 키요모리 앞에서 다음과 같은 노래를 읊고 춤을 선보여 단숨에 총애를 받았다.



너를 처음 볼 때는 치요도 거치지 않을 것이다. 히메코마츠고젠의 연못인 카메오카에 학이야 기를 마시고 놀아라


2. 2. 출가와 죽음

1177년(안겐 3년/지쇼 원년) 키요모리의 곁을 떠나 출가하여 스스로를 호온니(報音尼)라 칭하고 사가노에 있는 오세이인(기오지)에 들어갔다. 오세이인에는 호토케고젠의 등장으로 키요모리를 떠난 기오와 여동생 기죠, 자매의 어머니가 있어, 함께 불문에 힘썼다.

당시 호토케고젠은 키요모리의 아이를 임신하고 있었으나, 비구니절에서의 출산을 꺼려 고향인 카가국으로 향했다. 그 도중, 하쿠야마 키나메리의 마을에서 키요모리의 아이를 낳았지만, 사산되었다. 1178년(지쇼 2년) 귀향하였고, 1180년 9월 9일(지쇼 4년 8월 18일)에 사망했다.

그녀의 죽음에 대해서는 그녀에게 홀린 남자의 아내들의 질투에 의한 살해설이나 자살설 등 여러 설이 있다. 묘소는 코마츠시 하라마치에 있다.

3. 《헤이케 이야기》에서의 묘사

《헤이케 이야기》에서는 시라뵤시였던 호토케고젠이 타이라노 키요모리의 총애를 받게 된 과정과 출가에 대한 이야기가 묘사되어 있다.

타이라노 키요모리는 기오(기왕)라는 시라뵤시를 총애했다. 기오가 키요모리를 섬긴 지 3년 후, 16세의 호토케고젠이 키요모리 앞에서 춤을 추고자 했다. 키요모리는 "기왕이 있는 곳에는 신이든 부처든 용납되지 않는다"며 불쾌해하며 내쫓으려 했으나, 기오의 간청으로 이마요를 부르며 춤을 추게 되었다.

키요모리는 호토케고젠에게 즉시 반했고, 기왕은 쫓겨났다. 기왕은 "싹이 트고 시드는 것도 같은 들판의 풀, 어느 것이 가을에 만나지 못하고 끝나겠는가"라는 노래를 미닫이에 적고 저택을 나왔다. 이후 굴욕을 참지 못하고 어머니 토지와 여동생 기녀와 함께 출가하여 왕생을 바라며 염불 수행을 했다.

어느 날 밤, 기왕에게 17세의 비구니가 된 호토케고젠이 찾아온다. 호토케고젠은 기왕의 노래로 인해 세상 영화의 덧없음을 깨닫고 출가했다고 한다. 기왕은 원한을 버리고 호토케고젠을 받아들였다. 네 사람은 왕생의 소원을 이루고 조코도의 과거장에 기록되었다.

3. 1. 기오와의 관계

조안 4년 (1174년), 시라뵤시였던 호토케고젠은 타이라노 키요모리의 부름을 받았다. 당시 키요모리는 기오를 총애하고 있었으나, 기오의 간청으로 호토케고젠은 키요모리 앞에서 노래와 춤을 선보일 수 있었다.

君をはじめてみる折は 千代も経ぬべし姫小松 御前の池なる亀岡に 鶴こそむれゐてあそぶめれ|기미오 하지메테 미루 오리와 지요모 헤누베시 히메코마쓰 오마에노 이케나루 가메오카니 쓰루코소 무레 이테 아소부메레|그대를 처음 볼 때는 천 년도 지나지 않으리. 히메코마쓰 앞 연못, 가메오카에는 학이 무리지어 노닐고 있네.일본어

위 노래에 맞춰 춤을 춘 호토케고젠은 단번에 키요모리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결국 기오는 키요모리의 곁을 떠나 출가했고, 훗날 호토케고젠 역시 기오를 따라 함께 불문에 귀의하여, 왕생의 소원을 이루었다고 한다.

3. 2. 무상(無常)의 상징

기왕도 참조

평가 이야기 일방본에 따르면, 헤이케의 수장인 타이라노 키요모리는 기왕(기오)이라는 시라뵤시를 총애했다. 기왕이 키요모리를 섬긴 지 3년 후, 16세의 호토케고젠이 키요모리 앞에서 춤을 추고 싶다고 청했으나, 키요모리는 불쾌하게 여겨 내쫓으려 했다. 그러나 기왕의 중재로 호토케고젠은 춤을 추게 되었고, 키요모리는 즉시 호토케고젠에게 반해 기왕을 내쫓았다.

기왕은 슬픔에 잠겨 저택을 떠났고, 이후 호토케고젠을 위로하기 위해 키요모리의 저택에 불려가 춤을 추는 굴욕을 겪었다. 결국 기왕은 어머니, 여동생과 함께 출가하여 염불 수행에 힘썼다.

어느 날 밤, 기왕에게 17세의 비구니가 된 호토케고젠이 찾아온다. 호토케고젠은 기왕이 남긴 노래를 통해 세상 영화의 덧없음을 깨닫고 키요모리의 총애를 버리고 출가를 선택했다고 한다. 기왕은 원한을 버리고 호토케고젠을 받아들였다. 네 사람은 이후 왕생의 소원을 이루고 조코도의 과거장에 기록되었다. 호토케고젠의 출가는 세속적 영화의 덧없음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으로 해석된다.

4. 전승

가가국에는 호토케고젠의 생애와 관련된 다양한 전승이 전해져 내려온다. 『헤이케 이야기』 이야기본 계열에는 호토케고젠이 가가국 출신이라는 기술이 있어, 가가국과 호토케고젠의 관련성은 오래전부터 알려져 왔다. 세아미가 지었다고 여겨지는 요곡 「부처의 언덕」은 가가국으로 돌아간 호토케고젠의 영혼이 여행 중인 승려에게 공양받는다는 이야기로, 세아미가 가가국의 전승을 접했을 가능성이 있다.

호토케고젠과 관련된 전승은 이시카와현 고마쓰시 하라마치를 중심으로 전해지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 출생 및 성장: 1160년 2월 23일(에이랴쿠 원년 음력 1월 15일) 코마츠시 하라마치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교토에서 파견된 탑지기였으며, 어린 시절부터 불교를 믿어 "호토케고젠"이라 불렸다.
  • 시라뵤시 시절: 1174년 교토로 상경하여 시라뵤시가 되었고, 타이라노 키요모리의 총애를 받았다.
  • 출가 및 귀향: 1177년 타이라노 키요모리의 곁을 떠나 출가하여 기오지(오조인)에 들어갔다. 이후 타이라노 키요모리의 아이를 가졌으나, 고향으로 돌아가던 중 아이를 사산하였다. 1178년 고향으로 돌아왔다.

4. 1. 하라무라의 전승

이시카와현 고마쓰시 하라마치는 과거 호토케노사토(仏の里)로 불렸으며, 건칠상인 호토케고젠 상이 전승되고 있다. 호에이 연간에 호토케노사토 주민들이 쓴 『호토케고젠 사적기』에는, 호토케고젠이 키요모리로부터 받은 아미타여래 목상을 가지고 고향으로 돌아와 선지식(善知識)으로 숭배받고 극락왕생을 했다는 기록이 있다.

4. 2. 죽음에 대한 전승

1180년 9월 9일(지쇼 4년 음력 8월 18일)에 사망했다. 그녀의 사망에는 그녀에게 홀린 남자의 아내들의 질투에 의한 살해설이나 자살설 등 여러 설이 있다. 묘소는 코마츠시 하라마치에 있다.

모리야마 게이는, 남자들이 연모했기 때문에 여자들의 질투를 사서 살해되었다는 전설이 있다는 기록을 남겼지만, 어떤 경로로 입수했는지는 불명이다.

5. 관련 작품

호토케고젠은 여러 예술 작품의 소재로 활용되었다.

종류작품명연도제작연기자
영화단노우라요마쿠라 합전기1977년닛카츠타지마 하루카
TV 드라마신 헤이케모노가타리1972년NHK대하드라마하세가와 스미코
TV 드라마눈의 꽃1982년TBS히로세 쥰코
TV 드라마다이라노 기요모리2012년NHK대하드라마키무라 타에
무대키요모리와 부츠고젠1916년마츠이 스마코


5. 1. 영화

단노우라요마쿠라 합전기(1977년, 닛카츠) - 타지마 하루카

5. 2. TV 드라마


  • 신 헤이케모노가타리 (1972년, NHK대하드라마) - 배우: 하세가와 스미코
  • 눈의 꽃 (1982년, TBS) - 배우: 히로세 쥰코
  • 다이라노 기요모리 (2012년, NHK대하드라마) - 배우: 키무라 타에

5. 3. 무대


  • 1916년, 키요모리와 부츠고젠 - 연: 마츠이 스마코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