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호에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에이는 1704년부터 1711년까지 사용된 일본의 연호이다. 구당서의 구절에서 유래했으며, 1704년 겐로쿠 지진으로 인해 개원되었다. 이 시기에는 1707년 호에이 대지진, 후지산의 호에이 대분화, 교토 대화재 등 자연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했다. 또한, 류큐 사절단의 에도 방문, 5대 쇼군 도쿠가와 쓰나요시의 사망 등 정치, 사회적으로도 중요한 사건들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도 시대 - 폐번치현
    폐번치현은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이 봉건적인 번 제도를 해체하고 현 제도를 도입하여 중앙 집권화와 재정 안정을 목표로 실시한 개혁으로, 1871년 칙령을 통해 260여 개의 번을 3부 302현으로 개편하고 중앙 정부에서 파견된 현령을 임명하여 현재 일본 행정 구역 체계의 기반이 되었다.
  • 에도 시대 - 사가번
    사가번은 히젠국을 지배하며 사가성을 번청으로 둔 번으로, 나베시마 나오시게가 실권을 장악한 후 성립되었고, 에도 시대 나가사키 경비 부담 대신 산킨코타이 단축 특혜를 받았으며, 막말에는 나베시마 나오마사의 주도로 근대화를 추진, 메이지 유신에는 삿초토히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많은 인재를 배출했다.
  • 일본의 연호 - 다이쇼 시대
    다이쇼 시대는 1912년부터 1926년까지 일본의 연호로,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국제 연맹 이사국 진출, 국내 사회 변화, 민주주의 사상 발전 등을 특징으로 하며, 1920년대 후반 세계 경제 불황의 영향을 받았다.
  • 일본의 연호 - 쇼와 시대
    쇼와 시대는 1926년부터 1989년까지 이어진 일본의 연호로, 히로히토 천황의 치세 동안 일본 제국의 군국주의, 태평양 전쟁, 패전 후 민주화와 경제 성장을 겪었으며, 쇼와 천황의 사망으로 헤이세이 시대로 전환되었다.
호에이
개요
시대일본의 시대
지속 기간1704년 ~ 1711년
이전 시대겐로쿠
다음 시대쇼토쿠
천황히가시야마 천황과 나카미카도 천황
사건
호에이 지진1707년 10월 28일
후지 산 분화1707년 12월 16일
일본 연호
시작겐로쿠 17년 2월 30일
종료쇼토쿠 원년 4월 25일
서력
시작1704년
종료1711년

2. 연호의 유래

'호에이'(宝永)라는 연호는 구당서에 나오는 "祚惟、暉光日新"(보조유영, 휘광일신) 구절에서 따왔다.

이 연호는 이전 겐로쿠 개원 때 레이겐 상황이 사용하길 원했으나, 당시 막부가 받아들이지 않았던 이름이다. 겐로쿠 17년(1704년) 전년 11월 22일에 발생한 겐로쿠 대지진을 계기로 연호를 바꾸기로 결정했는데, 새 연호를 정하는 과정에서 조정이 제안한 안과 막부가 희망하는 안이 서로 맞지 않자, 대안으로 과거 레이겐 상황이 제안했던 '호에이'가 채택되었다고 전해진다.

이전 조쿄, 겐로쿠 개원 때 조정이 최종 후보로 올린 2개의 안이 모두 막부에 의해 거절되어 다시 제출해야 했던 경험 때문에, 이번에는 최종 후보를 7개로 늘려 막부에 제출했다. 하지만 이 7개 안 역시 모두 거절당했다. 결국 조정은 후보로 거론되었던 22개의 안을 다시 제출했고, 막부는 이 중에서 '호에이'를 선택하여 상황을 마무리 지었다.[7] 이는 당시 연호 결정 과정에서 막부의 영향력이 강했음을 보여준다.

연호 개원은 겐로쿠 17년 음력 3월 13일(그레고리력 1704년 4월 16일)에 이루어졌으나, 교토 시내에 새로운 연호가 공식적으로 알려진 것은 개원 후 24일이 지난 음력 4월 7일이었다. 당시 연호 시행 절차는 에도의 막부가 개원을 결정하고 고지하면, 에도 성에서 공문을 전달하고, 이것이 다시 교토 쇼시다이를 거쳐 교토 시내에 포고되는 방식이었다. 이 때문에 고노에 모토히로는 연호 시행이 늦어지는 것에 대해 한탄하기도 했다. 포고 전까지 교토 주민들은 새 연호를 사용하는 것이 금지되었다.[8]

'호에이' 연호는 호에이 8년 음력 4월 25일(그레고리력 1711년 6월 11일)까지 사용되었고, 이후 쇼토쿠로 개원되었다.

3. 호에이 시대의 주요 사건

겐로쿠 16년(1703년) 발생한 겐로쿠 대지진의 여파로 1704년 연호가 '호에이'(宝永)로 바뀌었다. 호에이 시대는 1711년까지 이어졌으며, 이 시기에는 대규모 자연재해와 정치, 경제, 사회적 변화가 잇따랐다.


  • '''호에이 원년 (1704년)'''
  • 4월 24일(음력): 우고국무쓰국에서 지진이 발생하였다.
  • '''호에이 2년 (1705년)'''
  • 교토를 중심으로 오카게마이리가 크게 유행하였다.
  • 10월 6일(음력): 도쿠가와 요시무네기슈번의 제5대 번주가 되었다.
  • 12월: 기리시마 산과 사쿠라지마가 분화하였다.
  • '''호에이 3년 (1706년)'''
  • 1월 11일(음력): 야나기사와 요시야스가 오로지격으로 승격되었다.
  • 7월 9일(음력): 새로운 은화인 보자은의 통용이 시작되었다.
  • 10월 16일(음력): 아사마 산이 분화하였다.
  • '''호에이 4년 (1707년)'''
  • 아카후쿠모치가 창업하였다.
  • 7월 12일(음력): 젠코지 본당이 재건되었다.
  • 10월 4일(음력, 양력 1707년 10월 28일): 호에이 대지진이 발생하였다.[3]
  • 10월 13일(음력): 어음 및 번찰 사용 금지령이 내려졌다.
  • 11월 23일(음력, 양력 1707년 12월 16일): 후지산이 대규모 분화(호에이 대분화)를 일으켰다.[4]
  • '''호에이 5년 (1708년)'''
  • 윤1월 7일(음력): 호에이 대분화 복구를 위한 증세 목적으로 '제국 고역금령'이 공포되었다.
  • 3월 8일(음력, 양력 1708년 4월 28일): 교토에서 호에이 대화재가 발생하였다.[5]
  • 4월 1일(음력, 양력 1708년 5월 20일): 새로운 동전인 호에이 통보의 통용이 시작되었다.[5]
  • 8월 29일(음력, 양력 1708년 10월 12일): 이탈리아인 선교사 조반니 바티스타 시도티가 야쿠섬에 상륙했다가 체포되었다.
  • 11월: 아사마 산이 다시 분화하였다.
  • '''호에이 6년 (1709년)'''
  • 1월 4일(음력): 아소 산이 분화하였다.
  • 1월 10일(음력): 제5대 쇼군 도쿠가와 쓰나요시가 사망하였다.[5]
  • 1월 17일(음력): 호에이 통보의 통용이 정지되었다.
  • 1월 20일(음력): 생물 애호령이 폐지되었다.
  • 3월 14일(음력): 이와키 산과 미야케 섬이 같은 날 분화하였다.
  • 3월 21일(음력): 나라도다이지 대불전이 재건되었다.
  • 5월 1일(음력): 도쿠가와 이에노부가 제6대 쇼군으로 취임하였다.[5]
  • '''호에이 7년 (1710년)'''
  • 3월~4월(음력): 새로운 은화(호에이 영자 정은, 호에이 셋 보물 정은)와 금화(호에이 소판)가 주조되거나 통용되기 시작했다.
  • 6월 11일(음력, 양력 1710년 7월 7일) ~ 이듬해 2월 4일(음력, 양력 1711년 3월 22일): 에도 시대 최대 규모의 류큐 사절단이 에도를 방문하였다.[6]
  • 3월 15일(음력): 아사마 산이 다시 분화하였다.
  • 12월 17일(음력, 양력 1710년 1월 16일): 히가시야마 천황이 사망하였다.[5]
  • '''호에이 8년 (1711년)'''
  • 2월 26일(음력): 아사마 산이 다시 분화하였다.

3. 1. 자연재해

호에이 시대는 유난히 자연재해가 잦았던 시기로 기록된다.

  • '''호에이 원년 (1704년)'''
  • * 4월 24일: 우고무쓰 지방에서 지진이 발생하여 노시로(현재의 노시로시 주변)에 큰 피해를 주었다.

  • '''호에이 2년 (1705년)'''
  • * 12월 15일: 기리시마 산의 다카치호노미네 오하치(御鉢)가 분화했다.
  • * 12월: 사쿠라지마가 분화했다.

  • '''호에이 3년 (1706년)'''
  • * 10월 16일: 아사마 산이 분화했다.

  • '''호에이 4년 (1707년)'''
  • * 10월 4일 (양력 10월 28일): 엔슈 앞바다와 기슈 앞바다에서 호에이 대지진이 발생했다.[3] 이 지진은 도카이, 난카이, 도난카이 지진이 연동된 난카이 해곡 거대지진으로 추정되며, 규모는 M8.4에서 9.3에 달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이는 역사상 일본 최대 규모의 지진 중 하나로 기록된다. 특히 오사카는 이 지진으로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3]
  • * 11월 23일 (양력 12월 16일): 호에이 대지진 발생 49일 후, 후지 산이 역사상 마지막 대분화인 호에이 대분화를 일으켰다.[4] 이 분화로 후지 산에 새로운 봉우리인 호에이 산이 생겨났으며, 화산재는 이즈, 가이, 사가미, 무사시 등 광범위한 지역에 비처럼 내렸고 에도(현 도쿄)에서도 수 센티미터가 쌓였다.[4]

  • '''호에이 5년 (1708년)'''
  • * 3월 8일 (양력 4월 28일): 교토에서 호에이 대화재가 발생하여 궁궐을 포함한 1만 351채의 건물이 소실되는 큰 피해를 입었다.[5]
  • * 11월 18일, 28일: 아사마 산이 다시 분화했다.

  • '''호에이 6년 (1709년)'''
  • * 1월 4일: 아소 산이 분화했다.
  • * 3월 14일: 이와키 산과 미야케 섬이 같은 날 분화했다.

  • '''호에이 7년 (1710년)'''
  • * 3월 15일: 아사마 산이 분화했다.

  • '''호에이 8년 (1711년)'''
  • * 2월 26일: 아사마 산이 또다시 분화했다.

3. 2. 사회/문화


  • '''호에이 2년 (1705년)'''
  • * 교토를 중심으로 이세 신궁으로의 집단 참배 운동인 오카게마이리(お蔭参り)가 크게 유행하였다.
  • * 12월 15일(음력): 기리시마 산의 다카치호노미네 봉우리 오하치가 분화하였다.
  • * 12월(음력): 사쿠라지마가 분화하였다.

  • '''호에이 3년 (1706년)'''
  • * 7월 9일(음력): 새로운 은화인 보에이 두 개의 보물 정은( 宝永二ツ宝丁銀일본어 )의 통용이 시작되었다.
  • * 10월 16일(음력): 아사마 산이 분화하였다.

  • '''호에이 4년 (1707년)'''
  • * 아카후쿠모치가 이 해에 창업하였다.
  • * 7월 12일(음력): 젠코지 본당이 재건되었다.
  • * 10월 4일(음력, 양력 1707년 10월 28일): 기나이, 도카이도, 난카이도를 중심으로 호에이 대지진 (추정 규모 M8.4~9.3)이 발생하여 큰 피해와 함께 쓰나미가 발생했다.[3] 이는 도카이 지진, 난카이 지진, 도난카이 지진이 연동된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오사카는 이 지진으로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3]
  • * 11월 23일(음력, 양력 1707년 12월 16일): 후지산이 마지막 대규모 분화인 호에이 대분화를 일으켰다.[4] 이 분화로 호에이 산(宝永山)이 새로 생겨났으며, 에도를 포함한 이즈국, 가이국, 사가미국, 무사시국 등 넓은 지역에 화산재가 비처럼 내렸다.[4]
  • * 10월 13일(음력): 어음 사용 금지령이 내려지고, 각 번에서 발행하던 번찰(藩札)의 발행을 금지하며 50일 이내에 정화(正貨)로 교환하도록 명령하였다.

  • '''호에이 5년 (1708년)'''
  • * 윤1월 7일(음력): 호에이 대분화로 인한 재해 복구 비용 마련을 위해 '제국 고쿠다카 금령'(諸国高役金令)을 공포하여, 고쿠다카 100곡당 금 2을 징수하였다.
  • * 3월 8일(음력, 양력 1708년 4월 28일): 교토에서 호에이 대화재가 발생하여 황거를 포함한 1만 채 이상의 건물이 소실되었다.[5]
  • * 4월 1일(음력, 양력 1708년 5월 20일): 에도 막부는 '호에이' 연호가 새겨진 새로운 동전인 호에이 통보( 宝永通宝일본어 )를 발행하여 유통시켰다.[5]
  • * 8월 29일(음력, 양력 1708년 10월 12일): 이탈리아인 선교사 조반니 바티스타 시도티가 야쿠섬에 상륙했으나 곧 체포되었다.
  • * 11월 18일, 28일(음력): 아사마 산이 다시 분화하였다.

  • '''호에이 6년 (1709년)'''
  • * 1월 4일(음력): 아소 산이 분화하였다.
  • * 1월 17일(음력): 호에이 통보가 유통에 불편하다는 이유로 통용이 정지되었다.
  • * 1월 20일(음력): 5대 쇼군 도쿠가와 쓰나요시가 사망한 지 열흘 만에 생물 애호령(生類憐れみの令)이 폐지되었다. (쓰나요시 사망과 관련하여, 후계자 문제 등으로 그의 아내가 쓰나요시를 살해하고 자결했다는 설이 있다.[5])
  • * 3월 14일(음력): 이와키 산과 미야케 섬이 같은 날 분화하였다.
  • * 3월 21일(음력): 나라도다이지 대불전이 재건되었다.
  • * 5월 1일(음력): 도쿠가와 이에노부가 제6대 쇼군으로 취임하였다.[5]

  • '''호에이 7년 (1710년)'''
  • * 3월 6일(음력): 새로운 은화인 호에이 영자 정은( 宝永永字丁銀일본어 )의 주조가 시작되었다.
  • * 4월 2일(음력): 또 다른 은화인 호에이 셋 보물 정은( 宝永三ツ宝丁銀일본어 )의 주조가 시작되었다.
  • * 4월 15일(음력): 새로운 금화인 호에이 소판( 乾字金일본어, 건자금)의 통용이 시작되었다.
  • * 6월 11일(음력, 양력 1710년 7월 7일) ~ 쇼토쿠 원년 2월 4일(음력, 양력 1711년 3월 22일): 류큐 왕국에서 에도 막부에 사절단을 파견하였다. 이 류큐 사절단은 총 168명으로 에도 시대 최대 규모였다.[6]
  • * 3월 15일(음력): 아사마 산이 다시 분화하였다.

  • '''호에이 8년 (1711년)'''
  • * 2월 26일(음력): 아사마 산이 다시 분화하였다.

3. 3. 정치/경제

겐로쿠 17년(1704년 4월 16일), 전년 11월에 발생한 겐로쿠 대지진의 여파로 연호를 '호에이'(宝永)로 개원하였다. '호에이'는 '번영의 영원함'을 뜻하며, 이전 겐로쿠 개원 시 레이겐 상황이 희망했으나 막부가 거절했던 연호이기도 하다. 이번 개원 과정에서 조정이 제시한 안과 막부의 희망이 일치하지 않자, 대안으로 채택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호에이 시대는 1711년 6월 11일(쇼토쿠로 개원)까지 이어졌다.

호에이 시대는 대규모 자연재해와 그에 따른 정치·경제적 변화가 두드러진 시기였다.

  • 자연재해와 사회 변화:
  • 1704년 (호에이 1년): 개원의 직접적인 계기가 된 겐로쿠 대지진 외에도, 4월 24일(음력) 우고국무쓰국에서 지진이 발생하여 노시로(현 노시로시) 지역이 큰 피해를 입었다.
  • 1707년 (호에이 4년): 10월 4일(음력), 기이반도 앞바다에서 난카이 해구 거대 지진 중 하나로 추정되는 호에이 대지진(추정 규모 M 8.4~9.3)이 발생했다. 이 지진으로 기나이, 도카이도, 난카이도 지역이 큰 피해를 입었으며, 특히 오사카는 막대한 타격을 받았다.[3] 지진 발생 49일 후인 11월 23일(음력)에는 후지산이 대규모로 분화(보에이 대분화)하여 호에이 산이 형성되었다. 화산재는 에도까지 날아와 수 센티미터가 쌓일 정도였다.[4]
  • 1708년 (호에이 5년): 3월 8일(음력), 교토에서 보에이 대화재가 발생하여 황거를 포함한 1만여 채의 건물이 소실되었다.[5]
  • 잦은 재해는 민생에 큰 고통을 안겨주었으며, 막부 재정에도 큰 부담으로 작용했다. 이 외에도 기리시마 산(1705년), 사쿠라지마(1705년), 아사마 산(1706년, 1708년, 1710년, 1711년), 아소 산(1709년), 이와키 산(1709년), 미야케 섬(1709년) 등 각지에서 화산 분화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사회 불안을 가중시켰다.

  • 경제 정책과 혼란:
  • 막부는 재해 복구 비용 마련과 재정난 타개를 위해 여러 경제 정책을 시행했으나, 이는 종종 혼란을 야기했다.
  • 화폐 발행 및 개혁:



잦은 화폐 개주(改鋳, 화폐를 새로 만듦)와 통용 정지는 시장에 혼란을 야기하고 화폐 가치에 대한 불신을 키웠다. 특히 호에이 통보는 발행된 지 1년도 채 되지 않아 유통상의 문제로 통용이 정지되었다.

  • 증세: 1708년(호에이 5년) 윤1월 7일(음력), 막부는 '제국 고역금령'(諸国高役金令)을 공포하여 보에이 대분화 복구 자금 명목으로 고쿠다카 100석당 금 2을 징수했다. 이는 재해로 어려움을 겪던 백성들에게 추가적인 부담을 안겨주었다.

  • 정치 및 외교:
  • 1705년 (호에이 2년): 10월 6일(음력), 도쿠가와 요시무네기슈번의 제5대 번주가 되었다.
  • 1706년 (호에이 3년): 1월 11일(음력), 야나기사와 요시야스가 오로지격으로 승격되었다.
  • 1708년 (호에이 5년): 8월 29일(음력), 이탈리아인 선교사 조반니 시도티가 야쿠시마에 상륙했다가 체포되었다. 이는 당시 막부의 쇄국 정책과 기독교 탄압 기조를 보여주는 사건이다.
  • 1709년 (호에이 6년):
  • 1월 10일(음력), 제5대 쇼군 도쿠가와 쓰나요시가 사망했다.[5] 그의 사후 열흘 만인 1월 20일(음력), 악명 높았던 생물 애호령이 폐지되었다.
  • 쓰나요시의 조카인 도쿠가와 이에노부가 제6대 쇼군으로 내정되었으며(2월 3일 의견 청취), 5월 1일(음력) 쇼군 선하를 받았다.[5] 이에노부는 쇼군 교체에 따른 재정 문제 해결을 위해 오기와라 시게히데와 아라이 하쿠세키 등에게 자문을 구했다.
  • 1710년 (호에이 7년): 6월 11일(음력)부터 다음 해 2월 4일(음력)까지 168명으로 구성된 대규모 류큐 사절단이 에도를 방문했다.[6] 이는 당시 일본과 류큐 왕국 간의 외교 관계를 보여준다. 같은 해 12월 17일(음력)에는 히가시야마 천황이 사망했다.[5]


이 외에도 호에이 시대에는 오카게마이리(1705년 대유행), 젠코지 본당 재건(1707년), 승선자 사건(1708년), 도다이 사 대불전 재건(1709년) 등 여러 사회·문화적 사건들이 있었다.

3. 4. 인물

연도날짜인물비고
호에이 2년5월 18일도쿠가와 쓰네요리기슈 번 3대 번주
호에이 2년8월 8일도쿠가와 미쓰사다기슈 번 2대 번주
호에이 2년9월 8일도쿠가와 요리모토기슈 번 4대 번주
호에이 5년10월 24일세키 다카카즈수학자
호에이 6년1월 10일도쿠가와 쓰나요시막부 5대 쇼군


4. 서력과의 대조표



※는 작은 달을 나타낸다.

호에이 원년(갑신년)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그레고리력1704년/2/53/64/45/46/27/28/18/309/2910/2911/2712/27
율리우스력1704/1/252/243/244/235/226/217/218/199/1810/1811/1612/16
호에이 2년(을유년)1월2월※3월※4월윤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그레고리력1705년/1/252/243/254/235/236/217/218/199/1810/1811/1612/161706년/1/15
율리우스력1705/1/142/133/144/125/126/107/108/89/710/711/512/51706/1/4
호에이 3년(병술년)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그레고리력1706년/2/133/154/135/126/117/108/89/710/711/512/51707년/1/4
율리우스력1706/2/23/44/25/15/316/297/288/279/2610/2511/2412/24
호에이 4년(정해년)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그레고리력1707년/2/33/44/35/25/316/307/298/279/2610/2511/2412/24
율리우스력1707/1/232/213/234/215/206/197/188/169/1510/1411/1312/13
호에이 5년(무자년)1월윤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그레고리력1708년/1/232/223/224/215/206/187/188/169/1410/1411/1212/121709년/1/11
율리우스력1708/1/122/113/114/105/96/77/78/59/310/311/112/112/31
호에이 6년(기축년)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그레고리력1709년/2/103/114/105/106/87/78/69/410/311/212/112/31
율리우스력1709/1/302/283/304/295/286/267/268/249/2210/2211/2012/20
호에이 7년(경인년)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윤8월※9월10월※11월12월※
그레고리력1710년/1/302/283/304/295/286/277/268/259/2310/2211/2112/201711년/1/19
율리우스력1710/1/192/173/194/185/176/167/158/149/1210/1111/1012/91711/1/8
호에이 8년(신묘년)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그레고리력1711년/2/173/194/185/186/167/168/149/1310/1211/1012/101712년/1/8
율리우스력1711/2/63/84/75/76/57/58/39/210/110/3011/2912/28


참조

[1] 서적 "''Hōei''" https://books.google[...] Google books 2005
[2] 서적 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https://books.google[...] 1834
[3] 서적 https://books.google[...]
[4] 웹사이트 Shikuoka University page http://sk01.ed.shizu[...] 2017-08-12
[5] 서적 https://books.google[...]
[6] 웹사이트 Ryūkyū Chuzano ryoshisha tojogyoretsu, scroll illustrating procession of Ryūkyū emissary to Edo, 1710 (Hōei 7) http://jpimg.digital[...] National Archives of Japan 2008-04-03
[7] 서적 改元にみる朝幕関係 岩田書院 1998
[8] 서적 改元にみる朝幕関係 岩田書院 199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