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180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180년은 여러 국가에서 연호가 사용되었고, 주요 사건과 인물들의 탄생과 사망이 기록된 해이다. 일본에서는 지쇼 4년, 중국에서는 남송 순희 7년, 금 대정 20년 등이 사용되었으며, 겐페이 전쟁이 발발하고 일본의 다카쿠라 천황이 퇴위, 안토쿠 천황이 즉위했다. 프랑스의 루이 7세, 비잔티움 제국의 마누엘 1세 콤네누스 등이 사망했으며, 고토바 천황, 알폰소 2세, 베렌가리아 등이 태어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180년
1180년
지도 정보
주요 사건
발생4월 13일 - 이탈리아의 대주교인 오베르토가 죽었다.
4월 25일 - 교황 알렉산데르 3세는 로마의 종교 지도자인 피에트로 발데스를 이단으로 규정했다.
5월 1일 - 프랑스의 왕인 필리프 2세와 에노의 이사벨라가 결혼했다.
7월 18일 - 일본에서는 다이라노 기요모리가 고시라카와 상황을 유폐했다.
8월 24일 - 일본의 미나모토노 요리마사가 모치히토 왕자와 함께 다이라 씨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키고, 교토에서 우지 전투가 벌어져 반란군은 패배하고 모치히토 왕자와 요리마사는 사망했다.
10월 20일 - 프랑스 왕국은 필리프 2세와 에노의 이사벨라의 결혼식을 올렸다.
12월 18일 - 일본의 미나모토노 요리토모가 이즈국에서 병력을 일으켜 다이라 씨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탄생
날짜 불명에리크 크누트손, 스웨덴의 왕 (1216년 사망)
헨리 1세, 브라반트 공작 (1235년 사망)
6월 17일도쿠가와 겐카 (徳川 源氏) (본명: 고다이고 천황) 일본의 96대 천황 (1339년 사망)
사망
4월 13일오베르토, 이탈리아의 대주교
4월 25일피에트로 발데스, 로마의 종교 지도자
8월 24일미나모토노 요리마사, 일본의 무장 (1106년 출생)
모치히토 왕자, 일본의 왕족 (1151년 출생)
날짜 불명존 코메누스 (요한네스 코메누스), 비잔티움 제국 황족

2. 연호

3. 기년

국가연호
남송순희 7년
대정 20년
고려명종 10년
서하건우 11년
리 왕조 (베트남)정부 5년
간지경자
일본지쇼 4년, 황기 1840년
서요천희 3년?
대리국성덕 5년
조선단기 3513년
불멸기원1722년 - 1723년
이슬람력575년 - 576년
유대력4940년 - 4941년


4. 사건



이 외의 사건들은 동아시아, 유럽, 레반트 하위 섹션을 참조.

4. 1. 동아시아

다이라노 기요모리다카쿠라 천황을 퇴위시키고 그의 아들 안토쿠 천황을 즉위시켜 섭정으로서 통치하면서 겐페이 전쟁이 시작되었다.[6] 모치히토 친왕은 다이라 씨에 대한 반란을 일으켰고, 미나모토노 요리마사는 지원을 요청했다. 평청성의 주도로 후쿠하라 경으로 천도했다.

4. 1. 1. 일본

날짜사건
3월 18일다카쿠라 천황다이라노 기요모리에 의해 퇴위당했다. 그의 2살 된 아들 안토쿠 천황일본의 천황으로 즉위했다.( ~ 1185년) 기요모리는 섭정으로서 그의 이름으로 통치했다.
6월 20일우지 전투: 모치히토 친왕과 미나모토노 요리마사가 병도인에 숨었다. 그곳에서 그들은 전투에 참여할 무사 승려들의 도움을 구했지만, 다이라군에게 패배하여 사망했다.
9월 14일이시바시야마 전투: 오바 가게치카 지휘하의 다이라군(3,000명)이 후지산(현재 오다와라) 근처에서 야습을 가해 미나모토노 요리토모를 패배시켰지만, 그는 바다를 통해 지바로 도망쳤다.[7]
11월 9일후지가와 전투: 미나모토노 요리토모 지휘하의 미나모토군(30,000명)이 후지 강 근처에서 야습을 가해 다이라노 고레모리를 패배시켰지만, 그는 패주하는 군대와 함께 무사히 도망쳤다.[8]
3월 18일(지쇼 4년 2월 21일(음력))고쿠라 천황 양위
5월 18일(지쇼 4년 4월 22일(음력))제81대 천황 안토쿠 천황 즉위
5월 25일(지쇼 4년 4월 29일(음력))평안경에서 토네이도가 발생하여 피해 발생(방정기에 따름)
6월 20일(지쇼 4년 5월 26일(음력))겐 료세이와 이닌왕, 평씨 토벌을 위해 거병, 우지 헤이조인 전투에서 패사
9월 8일(지쇼 4년 8월 17일(음력))미나모토노 요리토모가 이즈 국에서 거병, 목대인 야마기 켄타카의 관을 습격하여 살해
9월 14일(지쇼 4년 8월 23일(음력))이시바시야마 전투, 요리토모가 평씨에게 패배하여 아와 국으로 도주
8월 26일하타케야마 시게타다, 키누가사 성을 공략
9월 27일(지쇼 4년 9월 7일(음력))미나모토노 요시나카가 시나노 국에서 거병
9월 30일(지쇼 4년 9월 10일(음력))다케다 신기가 카이 국에서 거병
10월 6일재거한 미나모토노 요리토모가 가마쿠라에 들어옴
11월 9일(지쇼 4년 10월 20일(음력))후지가와 전투에서 타이라노 코리모리가 이끄는 평씨군 패주
11월 10일(지쇼 4년 10월 21일(음력))기세가와에서 요시쓰네와 요리토모 대면(기세가와의 대면)
12월 12일가마쿠라 막부의 궁궐이 완성되고, 가마쿠라 막부가 성립[10]


  • 겐페이 전쟁: 모치히토 친왕이 다이라 씨에 대한 반란을 일으켰다. 이를 지지하는 미나모토노 요리마사는 지원을 요청하고, 기요모리가 범한 사찰들(엔랴쿠지, 미이데라 등)에게도 도움을 요청했다.[6]
  • 평청성의 주도로 후쿠하라 행행과 후쿠하라 경의 조영

4. 2. 유럽


  • 1월 13일작센하인리히 사자공뷔르츠부르크의 국회에서 왕의 평화를 깨뜨린 죄로 작센과 바이에른 공국 및 그의 모든 제국 봉토를 잃었다. 신성 로마 제국의 프리드리히 1세(바르바로사) 황제는 4월 13일 겔른하우젠 칙령을 발표하여 하인리히의 이전 영토를 분할하고, 작센의 일부를 베스트팔렌 공국으로 개칭하고, 다른 부분은 그의 동맹자인 바이에른 공작 오토 1세(붉은 머리)에게 주었다.
  • 9월 18일 – 프랑스 국왕 루이 7세(젊은이)가 43년의 통치 후 파리에서 사망하였다. 그의 아들 필리프 2세가 프랑스의 유일한 통치자로 왕위를 계승하였다(1223년까지).
  • 포르투갈 제독 D. 후아스 루피뉴(D. Fuas Roupinho)가 알모하드 함대에 대해 2년 만에 두 번째 승리를 거두었다.[2]
  • 전통적으로 폴란드 왕국의 첫 번째 세임으로 여겨지는 회의가 우엥치차에서 소집되었다(대략적인 날짜).

4. 2. 1. 신성 로마 제국

1월 13일작센하인리히 사자공뷔르츠부르크의 국회에서 왕의 평화를 깨뜨린 죄로 작센과 바이에른 공국 및 그의 모든 제국 봉토를 잃었다. 신성 로마 제국의 프리드리히 1세(바르바로사) 황제는 4월 13일 겔른하우젠 칙령을 발표하여 하인리히의 이전 영토를 분할하고, 작센의 일부를 베스트팔렌 공국으로 개칭하고, 다른 부분은 그의 동맹자인 바이에른 공작 오토 1세(붉은 머리)에게 주었다.[2]

4. 2. 2. 프랑스 왕국

9월 18일 - 루이 7세(젊은이)가 43년의 통치 후 파리에서 사망하고, 15세의 아들 필리프 2세가 프랑스의 유일한 통치자로 왕위를 계승한다.( 1223년 까지).[2]

4. 2. 3. 비잔티움 제국

9월 24일 - 마누일 1세 콤네노스 황제가 37년간의 통치 후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사망했다. 그의 11세 아들 알렉시오스 2세 콤네노스가 황위를 계승했고, 안티오키아의 마리아섭정(1183년까지)으로서 함께 비잔티움 제국을 통치했다. 마리아는 마누일의 조카인 알렉시오스 콤네노스(프로토세바스토스)를 조언자이자 애인으로 삼아 비잔티움 주민들 사이에 추문을 일으켰다.[1]

4. 2. 4. 기타 유럽


  • 1월 13일작센의 공작 하인리히 사자공뷔르츠부르크의 국회에서 왕의 평화를 깨뜨린 죄로 작센과 바이에른 공국 및 그의 모든 제국 봉토를 잃었다. 프리드리히 1세(바르바로사) 황제는 4월 13일겔른하우젠 칙령을 발표하여 하인리히의 이전 영토를 분할하고, 작센의 일부를 베스트팔렌 공국으로 개칭하고, 다른 부분은 그의 동맹자인 바이에른 공작 오토 1세(붉은 머리)에게 주었다.
  • 9월 18일 – 프랑스 국왕 루이 7세(젊은이)가 43년의 통치 후 파리에서 사망하였다. 그는 15세의 아들 필리프 2세에게 왕위를 계승하였고, 필리프 2세는 프랑스의 유일한 통치자가 되었다(1223년까지).
  • 포르투갈 제독 D. 후아스 루피뉴(D. Fuas Roupinho)가 알모하드 함대에 대해 2년 만에 두 번째 승리를 거두었다.[2]
  • 전통적으로 폴란드 왕국의 첫 번째 세임으로 여겨지는 회의가 우엥치차에서 소집되었다(대략적인 날짜).
  • 노르망디 상인 장 드 지소르가 잉글랜드와 프랑스 사이의 무역로를 개설하면서 포츠머스가 건설되었다 (대략적인 연도).

4. 3. 레반트

보드랭 4세(나병 왕으로 알려짐)는 평화 조약 제안과 함께 사라센의 살라딘에게 사절을 보낸다. 심각한 가뭄으로 시리아 전역이 기근에 직면하자, 살라딘은 2년간의 휴전에 동의한다. 트리폴리의 레이몽은 휴전을 비난하지만, 아유브 왕조 함대가 타르투스 항구를 습격한 후 휴전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게 된다.[3]

살라딘은 모술의 젠기드와 아르투크 사이의 분쟁에 개입한다. 그는 룸 술탄국의 셀주크족이 개입하지 않도록 설득하고 킬리키아 아르메니아를 습격한다.[4]

보드랭 4세는 자신의 누이 시빌라를 컨스테이블 뤼지냥의 아말릭의 형제인 뤼지냥의 기와 결혼시키고, 그에게 자파와 아스칼론 백작령을 봉토로 준다.[5]

5. 탄생


  • 8월 6일 - 고토바 천황(일본의 천황)[11]
  • 알폰소 2세, 프로방스 백작
  • 베렌가리아, 카스티야 왕국과 레온 왕국의 여왕
  • 에리크 10세, 스웨덴 국왕 (추정)
  • 페르난 구티에레스 데 카스트로, 스페인 귀족
  • 길버트 드 클레어, 잉글랜드 귀족 (추정)
  • 구알라 드 로니이스, 이탈리아 사제이자 주교
  • 호위스 오브 체스터, 잉글랜드 귀족 여성
  • 이븐 아비 타이이, 시리아 역사가이자 시인
  • 캄바르, 인도 힌두 시인이자 작가
  • 파울루스 헝가루스, 헝가리 신학자
  • 필립 드 이벨린, 키프로스 귀족이자 섭정
  • 라임보 드 바케이라, 프랑스 트루바두르
  • 로베르 드 빙햄, 솔즈베리 주교
  • 로베르 드 부르가트, 잉글랜드 귀족
  • 시몽 드 다마르탱, 프랑스 귀족
  • 10월 - 짓손, 가마쿠라 시대의 화상종 승려
  • 알 카밀, 아이유브 왕조의 제5대 술탄
  • 평경고, 가마쿠라 시대의 공경
  • 베렌게라, 카스티야 왕국여왕
  • 호콩 3세, 노르웨이의 국왕

5. 1. 동아시아

5. 2. 유럽


  • 알폰소 2세, 프로방스 백작 (사망 1209년)
  • 베렌가리아, 카스티야 왕국과 레온 왕국의 여왕 (사망 1246년)
  • 에리크 10세, 스웨덴 국왕 (추정 날짜)
  • 페르난 구티에레스 데 카스트로, 스페인 귀족 (사망 1223년)
  • 길버트 드 클레어, 잉글랜드 귀족 (추정 날짜)
  • 구알라 드 로니이스, 이탈리아 사제이자 주교 (사망 1244년)
  • 호위스 오브 체스터, 잉글랜드 귀족 여성 (사망 1143년)
  • 라임보 드 바케이라, 프랑스 트루바두르 (사망 1207년)
  • 로베르 드 빙햄, 솔즈베리 주교 (사망 1246년)
  • 로베르 드 부르가트, 잉글랜드 귀족 (사망 1220년)
  • 시몽 드 다마르탱, 프랑스 귀족 (사망 1239년)
  • 호콩 3세, 노르웨이의 국왕 (사망 1204년)

6. 사망


  • 1월 23일 – 베르크-알테나 백작 에버하르트 1세 (*1140년)
  • 1월 29일 – 보헤미아 공작 소베슬라프 2세 (*1128년)
  • 2월 6일 – 레온의 왕비 테레사 페르난데스 데 트라바
  • 3월 27일 – 알무스타디 (*1142년)
  • 6월 27일 – 다마스쿠스의 아유브 왕조 에미르 투란샤
  • 7월 1일 – 스페인 귀족 스테파니 알폰소 데 카스티야 ('''불운한 여인''')
  • 10월 6일 – 프랑스의 고위 성직자이자 라틴 총대주교 아말릭 드 네슬
  • 10월 25일 – 잉글랜드의 철학자이자 주교 존 오브 솔즈베리
  • 11월 14일 – 아일랜드의 대주교 로르칸 우아 투아탈 (*1128년)
  • 아브라함 이븐 다우드, 스페인 유대인 철학자 (*1110년)
  • 아부 타히르 알 실라피, 파티마 왕조의 학자이자 작가 (*1079년)
  • 존 츠에체스, 비잔티움의 시인이자 문법학자(모디스타 문법) (*1110년)
  • 플랑드르 귀족 조셀린 드 루방 (*1121년)
  • 이탈리아 수도사이자 대주교 레이네리우스 오브 스플리트
  • 중국 시인이자 작가 주수전 (*1135년)
  • 야로슬라프 2세, 키예프 대공 (* 생년 미상)

6. 1. 동아시아

6. 2. 유럽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Vol II: The Kingdom of Jerusalem
[2] 서적 La mer et les musulmans d'Occident VIIIe-XIIIe siècle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
[3]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Vol II: The Kingdom of Jerusalem
[4] 서적 Osprey: Command 12 - Saladin
[5]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Vol II: The Kingdom of Jerusalem
[6] 서적 A History of Japan to 1334 https://archive.org/[...] Stanford University Press
[7] 서적 The Samurai Sourcebook Cassell & Co.
[8] 서적 The Samurai, A Military History MacMillan Publishing Co., Inc.
[9] 웹사이트 Geography at about.com https://web.archive.[...] 2006-03-01
[10] 문서 鎌倉幕府の成立年は1180年、1183年、1185年、1190年、1192年と諸説あり。詳細は鎌倉幕府を参照
[11] 웹사이트 Go-Toba https://www.britann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