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홍합은 환경 변화에 잘 적응하며, 수질 오염 정도를 파악하는 지표로 활용되기도 하는 조개류이다. 아열대 서태평양 연안, 특히 한국, 중국, 일본 등 온대 지역에 분포하며, 껍데기는 검은색을 띠고 안쪽은 푸른색을 띤 흰색이다. 홍합은 식용으로 이용되며, 족사는 신형 접착제 원료로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홍합과 - 진주담치
진주담치는 북반구 온대 조간대에 서식하며 족사로 바위에 붙어사는 홍합속 무척추동물로, 식용 소비, 해양 오염 감시, 생태계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개체 수 감소와 해양 산성화로 위협받고 있다. - 동물성 해산물 - 복어
복어는 몸을 부풀려 방어하고 독을 지닌 물고기로, 섭취 시 신경 마비를 일으킬 수 있지만, 자격증을 갖춘 요리사가 조리하면 식용으로 사용되며, 한국, 일본 등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조리된다. - 동물성 해산물 - 바닷가재
바닷가재는 집게발을 가진 바닷가재과의 갑각류로, 단단한 외골격, 푸른색 피, 긴 수명, 다양한 해저 서식지, 잡식성 특징을 가지며 식용으로 활용되지만 종교적으로 금기시되기도 하고 백악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54종이 알려져 있다.
홍합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Mytilus unguiculatus |
학명 명명자 | Valenciennes, 1858 |
동의어 | Mytilus coruscus Gould, 1861 Mytilus crassitesta Lischke, 1868 |
영명 | 한국 홍합 단단한 껍데기 홍합 |
일본어명 | 이가이 (貽貝, 담채) |
중국어 번체자 | 厚殼貽貝 |
중국어 간체자 | 厚壳贻贝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연체동물문 |
강 | 이매패강 |
목 | 담치목 |
과 | 홍합과 |
속 | 홍합속 Mytilus |
종 | 이가이 |
생태 및 분포 | |
서식지 | 한국, 일본, 중국 등 |
서식 환경 | 암초나 해안 지역 |
먹이 | 플랑크톤 및 유기물 |
특징 | |
껍데기 | 껍데기는 두껍고 흑갈색이며, 표면은 거칠고 불규칙하다. |
이용 | |
식용 | 식용으로 사용되며, 다양한 요리에 활용된다. |
양식 | 양식도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
2. 분포 및 서식지
홍합은 아열대 서태평양 연안에 서식하며, 중국, 일본, 대한민국, 러시아 극동 지역의 연안 해역을 따라 온대 지역에 분포한다. 황해와 동해에서 페트르 대제 만까지 북쪽으로 발견되며, 일반적으로 조간대 상부에 서식한다.[2] ''M. unguiculatus''는 2011년 도호쿠 쓰나미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되는 밴쿠버 섬 근처의 부유물에서도 발견되었다.[4]
딱딱한 껍질을 가진 홍합의 염색체 수준 유전체는 14개의 염색체가 총 1.57 Gb의 유전체 길이를 구성하는 것으로 시퀀싱되었다.[5] 홋카이도 남부에서 규슈, 조선반도와 중국 북부(보하이 해·황해·동중국해)에도 분포한다. 1996년 1월에는 이리오모테섬 해안에 껍질이 표착했다는 보고가 있다.[6]
2. 1. 한국의 홍합

홍합은 아열대 서태평양 연안에 서식하며, 중국, 일본, 대한민국, 러시아 극동 지역의 연안 해역을 따라 온대 지역에 분포한다. 황해와 동해에서 페트르 대제 만까지 북쪽으로 발견된다.[2] 이 홍합은 일반적으로 조간대 상부에 서식한다.[2] ''M. unguiculatus''는 2011년 도호쿠 쓰나미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되는 밴쿠버 섬 근처의 부유물에서도 발견되었다.[4]
홋카이도 남부에서 규슈에 걸쳐 분포하며, 조선반도와 중국 북부(보하이 해·황해·동중국해)에도 분포한다. 1996년 1월에는 이리오모테섬 해안에 껍질이 표착했다는 보고가 있다.[6]
3. 형태
홍합은 손바닥의 1/3만한 크기이고, 길쭉한 모양으로, 깊이 20m 정도 물 속 바위에 붙어 산다. 성체는 껍데기 길이 12cm~15cm, 껍데기 너비 6cm에 달한다.[7] 껍데기는 두껍고 약간 부풀어 있다. 껍데기 표면은 갈색을 띤 검은색으로 광택이 있지만, 껍질의 광택은 그렇게 강하지 않다. 껍데기 표면에는 털이 없다.
껍데기 안쪽은 푸른색을 띤 흰색이며 진주광택이 강하다(진주가 들어 있었다는 보고도 있다[8]). 후축흔은 둥글고 크다.
4. 생태
홍합은 환경 변화에 잘 적응하며, 오염된 물을 섭취하여 체내에 오염 물질을 축적하기도 한다. 따라서 홍합을 통해 수질 오염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오염된 홍합을 섭취하면 건강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홍합은 바깥 바다와 면한 조간대에서 수심 20미터 정도까지의 암초 지대에 서식한다. 발에서 나오는 족사를 이용해 몸을 바위 등에 고정한다. 산란기는 주로 3월에서 6월 사이이다. 8개월이면 3센티미터, 2~3년이면 10센티미터까지 자란다. 큰 홍합은 대부분 암컷이며, 성전환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미야기현 수산연구개발센터의 실험에 따르면, 수심 3미터 물속에 매달린 홍합의 생존율은 양호하며, 타나베 토오루(田邉徹)는 조간대에서의 간출이 홍합 생존에 필수 조건은 아니라고 보았다[2]。
5. 인간과의 관계
홍합은 환경 변화에 잘 적응하며 성장한다. 오염된 물을 섭취하고 몸속에 오염 물질을 축적하기도 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홍합은 물의 오염 정도를 파악하는 환경 지표종으로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오염된 홍합을 섭취하면 건강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5. 1. 식용
한국에서 홍합이 가장 맛있는 시기는 10월부터 12월 사이이다.일본에서는 예부터 식용으로 이용되어 왔으며, 패총에서 출토된 예가 있다. 또한, 『토사일기』 쇼헤이 5년(935년) 1월 13일 조에 홍합과 전복의 이즈시에 대한 기록이 있다.[10]
현재도 분포 지역 연안에서는 식용으로 어획된다. 봄이 특히 맛있지만 대규모 유통은 되지 않고, 주로 어획지 주변에서 소비된다. 신선한 것은 날것으로 초절임 등으로 먹는 외에, 조림, 구이, 튀김, 스튜 등에 이용한다. 뚝배기에 구워 찐 뚝배기찜이 특히 맛있다. 돗토리현에서는 솥밥(홍합밥)에 이용된다.
양식의 가능성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으며, 타나베 토오루에 따르면 3세 개체는 1개 100g 이상으로 출하할 수 있다. 또한, 단가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대지진 이후의 부흥을 위한 새로운 양식 품목으로도 기대할 수 있다고 한다.
중국에서도 해홍, 동해부인 등으로 불리며[11], 식용으로 이용한다. 또한, 건조시킨 것을 담채라고 부르며 한약재의 일종으로 이용한다. 백대하에 효과가 있다고 한다.
5. 2. 양식
일본에서는 예부터 홍합을 식용으로 이용해 왔으며, 패총에서 출토된 예가 있다[10]。『토사일기』 쇼헤이 5년(935년) 1월 13일 조에는 홍합과 전복을 이즈시로 만들어 먹었다는 기록이 있다.현재도 홍합이 분포하는 지역 연안에서는 식용으로 어획된다. 봄이 특히 맛있지만 대규모로 유통되지는 않고, 주로 어획지 주변에서 소비된다. 신선한 것은 날것으로 초절임 등으로 먹는 외에, 조림, 구이, 튀김, 스튜 등에 이용한다. 뚝배기에 구워 찐 뚝배기찜이 특히 맛있다. 돗토리현에서는 솥밥(홍합밥)으로 만들어 먹기도 한다.
홍합 양식 가능성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타나베 토오루에 따르면 3세 개체는 1개당 100g 이상으로 출하할 수 있다. 또한, 단가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대지진 이후 부흥을 위한 새로운 양식 품목으로도 기대할 수 있다고 한다.
중국에서도 해홍, 동해부인 등으로 불리며 식용으로 이용한다[11]. 또한, 건조시킨 것을 담채라고 부르며 한약재의 일종으로 이용한다. 백대하에 효과가 있다고 한다.
5. 3. 과학적 이용
홍합의 족사는 신형 접착제의 원료로 각광받고 있으며, 피가 나지 않는 주사바늘 등에도 사용된다.5. 4. 환경 지표종
홍합은 환경 변화에 잘 적응하며 성장한다. 오염된 물을 섭취하고 몸속에 오염 물질을 축적하기도 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홍합은 물의 오염 정도를 파악하는 환경 지표종으로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오염된 홍합을 섭취하면 건강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5. 5. 기타
세이 쇼나곤이 도쿠시마현 나루토시에서 죽었다는 전설이 있다. 현지 어부들에게 기모노와 소지품을 빼앗기고 강간당할 위기에 처한 세이 쇼나곤은 자신의 음부를 잘라 바다에 버리고 목숨을 끊었다. 그 후 이곳에서는 홍합이 서식하게 되었다고 한다.[12]6. 명칭
일본어 "이가이(イガイ)"는 중국어 "贻貝(í bèi)"에서 차용한 것으로, "贻"의 발음은 "이(イ)"이며, "붉은 살의 조개"를 뜻한다. 덴포(天保) 6년 간행된 『명언통(名言通)』에서는 "이가히(イガヒ)의 뜻"이라고, 『일본어원학(日本語源原学)』(린 오우신(林甕臣))에서는 "이나가히(イナガヒ)의 뜻"이라고 기록되어 있다.[9]
일본에서는 지방에 따라 부르는 이름이 다양하며, 다음과 같다.[9]
유래 | 지방명 |
---|---|
식물 시우리(シウリ) | 시우리(シウリ), 슈리가이(シュリガイ), 시우리가이(シウリガイ) |
조개껍질이 검은 것 | 카라스가이(カラスガイ) (까마귀), 쿠로가이(クロガイ) (검은 조개), 쿠로쿠치(クロクチ) (검은 입), 세쿠로(セクロ) (등 검은색), 츠바쿠라가이(ツバクラカイ) (제비) |
연체부가 여성의 성기를 닮은 것 | 솟쿠리가이(ソックリガイ), 츠보(ツボ) (여성의 성기를 가리키는 은어 "츠보(壺)"에서 유래), 니타리가이(ニタリガイ), 히메가이(ヒメガイ) (잔조개), 보보가이(ボボガイ) (보보(ボボ) 참조), 야리가이(ヤリガイ) (성행위를 의미하는 "야루(遣る,やる)"에서 유래), 요시와라가이(ヨシワラガイ) (요시와라 조개, 요시와라 유곽(吉原遊廓)에서 유래) |
잡히는 지명 | 세토가이(セトガイ) (세토 조개, 세토내해), 센다이가이(センダイガイ) (센다이 조개, 센다이만) |
기타 | 산바시가이(サンバシガイ) (부교에 부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 타치가이(タチガイ) (선 조개, 껍질을 세우듯이 부착하는 것에서 유래), 토비노쿠치(トビノクチ) (형태를 솔개의 부리에 비유한 것), 네코노미미가이(ネコノミミガイ) (조개의 형태를 고양이의 귀에 비유한 것), 하시바시라(ハシバシラ) (교각에 부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 |
참조
[1]
웹사이트
National Aquaculture Sector Overview. Republic of Korea. National Aquaculture Sector Overview Fact Sheets
http://www.fao.org/f[...]
FAO Fisheries and Aquaculture Department
2011-09-21
[2]
논문
Seasonal and interannual dynamics of larval abundance of ''Mytilus coruscus'' Gould, 1861 (Bivalvia: Mytilidae) in Amursky Bay (Peter the Great Bay, Sea of Japan)
2011
[3]
논문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lymorphic microsatellite loci in the hard-shelled mussel, ''Mytilus coruscus'' (Mytilidae)
2010
[4]
웹사이트
Canada wary of Asian mussel that surfed to B.C. on 2011 tsunami debris
https://www.theglobe[...]
2014-04-22
[5]
논문
Chromosome-level genome assembly of the hard-shelled mussel ''Mytilus coruscus'', a widely distributed species from the temperate areas of East Asia
2021-04-01
[6]
간행물
八重山列島,西表島で初めて採集されたイガイ属2種 (軟体動物門,二枚貝綱,イガイ目)
南紀生物同好会
[7]
서적
飲食事典
平凡社
1958-12-25
[8]
간행물
光市黒島で採ったイガイに真珠
山口生物学会
[9]
서적
貝
法政大学出版局
[10]
서적
土佐日記全注釈
角川書店
1973-03-30
[11]
일반
[12]
간행물
阿波の尼塚
三元社
1934-0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