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패총은 선사 시대 사람들이 버린 조개껍데기가 퇴적되어 형성된 유적으로, 중석기 시대부터 신석기 시대에 걸쳐 해안가에 주로 나타난다. 전 세계적으로 발견되며, 특히 유럽, 아시아, 아메리카, 호주 등지에서 확인된다. 패총은 당시 사람들의 식생활, 생활 도구, 매장된 인골 등을 통해 고고학적 연구에 귀중한 정보를 제공하며, 덴마크의 에르텔벨레 문화, 한국의 동삼동 패총 등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패총 연구는 지형, 패층 형성 과정, 유물 분석 등을 통해 당시의 환경과 문화를 파악하는 데 기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패총 - 김해 봉황동 유적
김해 봉황동 유적은 경상남도 김해시에 위치하며, 조개더미 성격의 유적으로 붉은 토기, 가야 토기 파편, 화천 등이 출토되어 한반도 남부 지역 선사시대와 중국 간의 교류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 패총 - 환상 취락
환상 취락은 조몬 시대 간토 지방 남서부에서 해수면 상승으로 번성한 취락 형태로, 중앙 광장을 중심으로 움집이 고리 모양으로 배치된 구조를 가지며 사회 변화에 따라 쇠퇴하거나 다른 형태로 발전하기도 했다. - 쓰레기 매립지 - 스모키 마운틴
스모키 마운틴은 필리핀 마닐라에 50년간 운영된 거대한 쓰레기 매립지이자 빈민촌이었으나, 폐쇄 후 공공 주택 단지로 재개발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삶의 터전을 잃은 빈민들의 이야기는 필리핀 빈곤의 상징으로 남아있다. - 쓰레기 매립지 - 침출수
침출수는 매립지에서 폐기물과 빗물이 만나 생성되는 오염된 액체로, 유해 물질을 포함하여 환경 오염을 유발하며, 현대 매립지에서는 침출수 유출을 방지하고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 유적 - 마추 픽추
페루 안데스 산맥에 위치한 마추픽추는 15세기 잉카 제국 시대에 건설되어 80년간 사용된 후 버려진 유적으로, 1911년 하이럼 빙엄 3세에 의해 세상에 알려진 후 "잉카의 잃어버린 도시"라 불리며 세계적인 관광 명소이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유적 - 콜로세움
콜로세움은 플라비우스 원형 경기장이라고도 불리는 고대 로마의 원형 경기장으로, 검투사 경기와 야수 사냥을 위해 플라비우스 왕조 시대에 건설되었으며, 네로 황제의 동상인 콜로서스 근처에 위치하여 현재는 로마의 대표적인 관광 명소가 되었다.
패총 | |
---|---|
위치 정보 | |
![]() | |
![]() | |
기본 정보 | |
다른 이름 | 부엌 쓰레기 더미 조개 더미 패총 |
정의 | |
정의 | 가정용 쓰레기를 버린 오래된 쓰레기장 |
특징 | 주로 조개껍데기로 구성됨 동물 뼈, 식물 물질, 도자기 조각과 같은 다른 쓰레기도 포함 |
형성 과정 | |
형성 과정 | 인간 거주지 근처에 폐기물이 축적되어 형성 |
발견 위치 | |
발견 위치 | 전 세계 해안가 지역 강가 호숫가 |
연구 | |
연구 | 고고학 연구에 중요 과거 인간 생활 방식, 식단, 환경에 대한 정보 제공 |
기타 | |
영어 명칭 | Midden |
스페인어 명칭 | conchales |
2. 명칭
패총은 조개껍데기뿐만 아니라 토기, 석기 등도 출토되지만, 조개껍데기의 칼슘 성분이 토양을 중화하여 사람 뼈, 동물 뼈, 골각기(骨角器) 등 유기물 성분의 고고 유물을 보호해주기 때문에 문자가 없었던 사회를 연구하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3]
패총은 단순한 쓰레기 더미가 아니라, 당시 사람들의 생활 모습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이다. 조개껍데기 외에도 다양한 유물이 출토되는데, 특히 조개껍질의 탄산칼슘 성분 덕분에 다른 유적에서는 보기 힘든 유기물 유물이 잘 보존된다는 특징이 있다.[3]
패총 연구는 19세기 후반 덴마크에서 시작되었다. 세계 각지에서 발견된 패총은 처음에는 자연 퇴적물로 여겨졌으나, 조개껍데기 외에 동물 뼈, 석기, 토기 등이 발견되면서 사람의 음식물 쓰레기가 쌓인 곳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패총'''(貝塚) 또는 '''패각류 퇴적층'''은 주로 연체동물 껍데기로 이루어진 고고학적 유적이다. 덴마크어 용어인 ''køkkenmøddinger''(복수형)는 야페투스 슈테른스트룹(Japetus Steenstrup)이 처음 사용했으며, 일부 연구자들은 여전히 이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패총은 인간 활동의 잔해를 포함하며, 바람이나 조류에 의해 형성된 해변 퇴적층과는 다르다.
패총은 마을과 직접 관련된 경우도 있고, 지정된 쓰레기 매립지 역할을 하기도 한다. 각 가구가 쓰레기를 집 바로 밖에 버려 형성된 패총도 있다. 패총은 매우 복잡하고 발굴하기 어렵지만, 음식에 대한 기록과 석기, 가정 용품 조각 등이 포함되어 있어 고고학 연구에 매우 귀중하다.
에드워드 실베스터 모스(Edward Sylvester Morse)는 1877년 일본 도쿄의 오모리 패총(Omori Shell Mounds)을 발굴 조사했는데, 여기서 발견된 "새끼줄 무늬" 도기 양식은 "죠몬"으로 번역되어 일본 선사 시대의 초기 시대를 가리키는 데 사용되었다.[4][5] 19세기 후반 덴마크에서는 ''køkkenmødding''(부엌 언덕)이라는 단어가 국제적으로 사용되었고, 영어 단어 "midden"(쓰레기 언덕)은 고대 노르드어에서 유래했다.[6]
"midden"이라는 단어는 스코틀랜드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되며, 엉망진창, 혼란 등을 의미하기도 한다.[15] 영국 농부들은 농장 퇴비 더미를 "midden"이라 부르며, 빗물로부터 보호하여 유출 및 오염을 방지하기도 한다.[16][17]
구릉이나 언덕에 비유될 만큼 큰 것도 있어, 일본어와 중국어에서는 "패총"이라 부르지만, 작은 규모도 있다. 일본어에서는 처음에는 "'''패허'''(かいきょ)"라고도 했다(예: 오모리패허). 영어에서는 shell midden|쉘 미든영어(조개껍데기 쓰레기 더미)과 shellmound|쉘 마운드영어(조개껍데기 무덤)[26]가 주로 사용된다.
조개껍데기 외에도 조류, 짐승, 물고기 뼈, 파손된 토기, 석기, 골각기, 구운 흙, 재, 인골 등도 발견된다.[27][28][29] 좁은 의미의 패총은 조개껍데기 외의 투기물을 거의 포함하지 않는 "패층"을 가리킨다.
3. 특징
19세기 후반 덴마크에서 옌스 야코브 아스무센 볼사에 등이 패총을 연구하면서, 그 중요성이 알려지기 시작했다. 이전에는 자연적으로 쌓인 퇴적물로 생각했지만, 조개껍질 외에 동물의 뼈, 석기, 토기 등이 발견되면서 사람이 버린 음식물 쓰레기가 쌓여 만들어진 유적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패총은 중석기 시대부터 신석기 시대에 걸쳐 해안가에 주로 형성되었으며, 유럽, 아프리카, 아메리카, 아시아 등 전 세계적으로 발견된다. 특히 동아시아 연해 지역은 패총이 밀집된 지역 중 하나이다.
패총에서는 원시인들이 먹고 버린 조개껍질, 물고기 뼈, 동물 뼈 등과 함께 생활 도구였던 석기, 토기, 골각기 등도 발견된다. 덴마크의 에르테뵐레 문화 패총은 패층의 두께가 1~2m나 되기도 한다.
패총은 문자 기록이 없는 선사 시대 사람들의 생활상을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를 제공한다.
3. 1. 형성 과정
패총은 조개껍질 외에도 토기, 석기 등도 출토되지만, 조개껍질의 칼슘 성분이 토양을 중화하여 사람이나 동물의 뼈, 골각기(骨角器) 등 유기물 성분의 고고 유물이 잘 보존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패총은 문자가 없던 사회를 연구하는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3]
패총 연구는 19세기 후반 덴마크에서 시작되었다. 처음에는 자연적으로 쌓인 퇴적물로 여겨졌으나, 조개껍질 외에 동물의 뼈, 석기, 토기 등이 발견되면서 사람이 버린 음식물 쓰레기가 쌓인 곳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패총은 주로 중석기 시대부터 신석기 시대에 걸쳐 해안가에 형성되었다. 포르투갈에서 발트해 연안, 남아프리카, 북아메리카 동해안, 태평양 연안, 한국, 일본 등 세계 각지에서 발견된다.
패총에는 원시인이 어로, 수렵, 채집 활동을 통해 얻은 음식물 찌꺼기(물고기 뼈, 동물 뼈, 조개껍질, 식물 씨앗 등)와 파손된 도구(석기, 토기, 골각기)가 층을 이루며 쌓여 있다. 또한, 매장된 인골이나 주거 흔적도 발견된다.
덴마크 에르텔벨레 문화(신석기 시대)의 패총은 패층의 두께가 1~2m나 되며, 바다표범, 돌고래, 바다제비, 물고기 뼈, 해조류 뼈, 굴 껍질, 뼈로 만든 낚시 바늘, 작은 구멍 무늬가 있는 토기, 돌로 만든 사다리꼴 편평 도끼, 가래 등이 출토되었다.
패총은 단순한 쓰레기 폐기 장소를 넘어 조개 가공이나 소금 생산 장소로 활용되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48] 갯벌에서 나무 말뚝이 발견되는 경우, 굴 양식이 이루어졌을 가능성도 있다.[25]
4. 세계의 패총
패총은 세계 각지에서 발견되었으며, 19세기 후반까지는 자연 퇴적으로 만들어진 것이라고 추측되었다. 그러나 조개껍질 외에도 동물의 뼈, 석기, 토기 등이 발견되면서 사람의 음식물 찌꺼기가 모여 있는 곳이라고 인정받기 시작했다. 패총은 원시인이 버린 조개껍질이 다량으로 퇴적된 장소로, 중석기 시대에서 신석기 시대에 걸쳐 해안 가까이에 형성되었다. 유럽에서는 포르투갈에서 발트해 연안, 남아프리카, 북아메리카 동해안, 태평양 연안, 아시아에서는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3]
덴마크 에르테뵐 문화(신석기 시대)의 패총은 패층(貝層)의 두께가 1~2m나 되며, 바다표범, 돌고래, 바다제비, 어골, 해조골, 굴껍질, 골제 낚시 바늘, 소공문(小孔紋)이 있는 토기, 석제 사다리꼴 편평부(扁平斧), 가래 등이 많이 출토되었다.
패총은 전 세계 해안이나 호숫가에서 발견된다. 대부분 조개껍데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목민 집단이나 사냥꾼들이 먹고 남긴 음식물 쓰레기로 해석된다. 소규모 패총은 소수의 개인이 먹고 남긴 흔적을 보여주는 반면, 수 미터에 달하는 대규모 패총은 수 세기에 걸친 조개껍데기 퇴적을 보여준다.[7] 브라질에서는 '삼바키(sambaquis)'로 알려져 있으며, 기원전 6천년부터 유럽인들의 식민지화 시작 시기까지 오랜 기간에 걸쳐 형성되었다.
유럽의 패총은 주로 대서양 연안과 덴마크에서 발견되며, 대부분 기원전 5천 년경(에르테뵐 문화와 초기 깔때기잔 문화)의 흔적을 포함하고 있다. 좀 더 최근의 패총은 라트비아(빗살무늬 토기와 관련), 스웨덴(구멍무늬 토기와 관련), 네덜란드(끈무늬 토기와 관련), 슐레스비히홀슈타인(후기 신석기 시대와 철기 시대)에서 발견된다. 이 모든 예시는 공동체가 혼합 농업과 수렵/채집 경제를 영위했음을 보여준다.
캐나다 서해안에는 해안선을 따라 1km가 넘게 이어져 있으며 깊이가 수 미터에 달하는 패총이 있다.[7] 브리티시컬럼비아 주 나무(Namu, British Columbia)의 패총은 9m가 넘는 깊이를 가지고 있으며, 1만 년 이상 지속적인 거주 흔적을 보여준다.
오스트레일리아 해안 지역에서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이 만든 패총은 오늘날에도 존재한다. 패총은 이전 거주 흔적을 보여주며 일반적으로 광산 개발 및 기타 개발로부터 보호받는다. 타즈메이니아 주 프레시네 반도(Freycinet Peninsula)에는 파도의 작용으로 산불 잔해의 숯과 조개껍데기가 섞여 폭풍우에 의해 만조선 위에 쌓인 좋은 예시가 있다. 퀸즐랜드 주 북부의 웨이파(Weipa, Queensland) 근처의 패총은 대부분 2m 미만의 높이(최대 10m까지)이고 길이가 수십 미터에 불과하지만, 사실은 새가 둥지를 만들면서 다시 형성된 조개껍데기 해변 언덕(beach ridges)이다.[8][9] 일부 패총은 꿈의 시대와 관련된 성지로 여겨지며, 아넘랜드(Arnhem Land)의 부라라 부족(Burarra people)의 안바라 집단의 패총이 그 예이다.[10]
패총은 열대 활엽수림의 형성에도 기여한 것으로 여겨지는데, 플로리다 주의 오터 마운드 보존지역(Otter Mound Preserve)이 그 한 예이다. 칼루사(Calusa) 원주민의 조개껍데기 퇴적물이 넓은 습지 지역에서 범람이 없는 고지대를 만들었다.[11]
패각환(shell ring)으로 알려진 일부 패총은 중앙 지역이 분명한 원형 또는 열린 호형을 이룹니다. 일본과 미국 남동부에서 많은 것이 알려져 있으며, 남아메리카에서도 적어도 하나가 알려져 있다.[13]
극동 러시아의 연해주에서 동아시아의 연해 지역(일본열도, 한반도, 중국 대륙의 연해 지역)에 걸친 일대는 세계적으로 봐도 패총이 밀집하여 분포하는 지역이다.[35]
5. 한국의 패총
패총은 생활 유적으로, 조개껍질뿐만 아니라 토기, 석기 등도 출토된다. 특히 조개껍질의 칼슘 성분은 토양을 중화시켜 유기물 성분의 고고 유물을 보존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사람 뼈, 동물 뼈, 골각기(骨角器) 등이 다수 출토되어 문자가 없었던 사회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패총 연구는 19세기 후반 덴마크에서 시작되었다. 처음에는 자연 퇴적물로 여겨졌으나, 조개껍질 외에 동물 뼈, 석기, 토기 등이 발견되면서 사람이 음식물 찌꺼기를 버린 곳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패총은 유럽의 포르투갈에서 발트해 연안, 남아프리카, 북아메리카 동해안, 태평양 연안, 아시아의 한국, 일본 등 세계 각지에서 발견된다.
원시인들은 어로, 수렵, 채집 활동을 통해 얻은 식량의 잔해(수골, 어골, 조개껍질, 식물 종자 등)와 파손된 도구(석기, 토기, 골각기)를 패총에 버렸다. 패총에는 매장된 인골, 주거 흔적도 포함되어 있다.
덴마크 에르텔벨레 문화(신석기시대)의 패총에서는 두께가 1~2m나 되는 패층(貝層)이 발견되었다. 여기에서는 바다표범, 돌고래, 바다제비, 어골, 해조골, 굴껍질, 골제 낚시 바늘, 소공문(小孔紋)이 있는 토기, 석제 사다리꼴 편평부(扁平斧), 가래 등이 출토되었다.
5. 1. 주요 유적
일본 죠몬 시대의 패총은 일본 열도에서 약 2500여 곳이 발견되었다. 이미 발견된 곳의 4분의 1 가까이는 도쿄만 동쪽 연안 일대에 집중되어 있는데, 이는 이 지역에서 토지 개간 등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분포 조사 및 발굴 조사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지하에 매장된 패총의 전국적인 분포 상황과는 별개의 문제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지바현을 포함한 도쿄만 동쪽 연안에서도, 특히 지바시 내의 분포 밀도가 높다고 여겨진다. 이 외에 패총이 집중적으로 분포하는 지역으로는 태평양 연안의 큰 내만이며 갯벌이 잘 발달한 센다이만이나 오사카만 등을 들 수 있다.도쿄만 연안에 집중되어 있는 패총은 만들어진 시기에 따라 방식이 다르다. 일본 죠몬 시대 초기에는 수혈 주거나 작은 조리 시설인 노지(爐穴) 안에 버려지는 경우가 많았고, 죠몬 전기에도 초기와 유사한 패총이 형성되었다.
죠몬 중기가 되면, 전기부터 형성되기 시작한 환상 취락이 더욱 증가한다. 건물이 마을의 거의 중앙에 있는 광장을 둘러싸고 배치되었고, 그러한 건물터에 조개껍질 등이 다량으로 버려져 축적되었다. 고고학자 타니구치 야스히로는 이를 “폐기대”라고 명명했다.[37] 결과적으로 환상이나 말굽형의 패총 배열이 형성된 것처럼 보인다. 가소리 패총이나 다코노우라 패총 등이 이에 해당한다.[38]
일본 열도는 산성 토양이기 때문에 뼈와 같은 유기물이 남기 어렵다. 그러나 패총은 다량의 조개껍질에서 유래하는 탄산칼슘이 풍부하여 토양을 알칼리성으로 유지한다. 따라서 조류나 어류 등의 골격(동물 사체)이 잘 보존되어 있어 당시의 생산과 해안 생활을 연구하는 동물고고학의 관점에서 귀중한 유적이 되고 있다.
나라 시대에는 패총이 옛 사람들이 남긴 유물이라는 인식이 있었지만, 불확실한 이해 방식이었다. 나라 시대에 성립된 『히타치노쿠니후도키』의 “나가략기”에는 해안에서 상당히 떨어진 곳에 누군가가 해안의 조개를 채취하여 먹고 버리는 행위를 오랫동안 계속한 결과 만들어졌다고 생각되는 언덕(구릉)에 대한 기록이 있다. 그 누군가는 상고 시대의 주민으로 거인이었다고 전해진다.[39][40] 저술자는 이 언덕을 옛 사람들이 “오오쿠치”라고 불렀다고 언급하며, 다량의 조개가 썩어 있는 것에서 유래한 지명이라고 이해하고 있는 듯하다. 그러나 죠몬 해침에 의한 해안선의 큰 이동을 알 수 없었던 시대의 이해로, 인간의 지혜를 넘어선 “거인”이 만들어진 것이다. 따라서 나라 시대의 지식인들에게는 패총이 어느 정도까지 이해되고 있었더라도, 보통 사람의 생활 흔적으로는 여겨지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지명은 현재 “오오쿠치”에서 변한 “오오쿠시노오카”라고도 불리며, 쇼와 시대의 연구자들은 이 패총을 현재의 “오오구시 패총”으로 비정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다이달보치#히타치노쿠니후도키” 및 “오오구시 패총”을 참조하면 된다. 이해의 정도는 차치하고라도, 상술한 “오오쿠시노오카의 거인 전설”은 “'''패총 유적이 문헌에 기록된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예'''”[41][42]이며, “'''석기 시대 유적이 기록된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예'''”[43][44]이다.
일본에서 패총의 본격적인 조사 연구는 1877년(메이지 10년), 미국인 동물학자 에드워드 S. 모스가 기차 창문 너머로 발견하여 실시한 '''오모리 패총'''(오모리 패총 유적)의 발굴 조사에서 시작된다. 오모리 패총은 도쿄부 에하라군 오이촌 가시마다니(현재의 도쿄도 시나가와구 오이 6정목[46])에 있는 철도 건설에 따른 굴착 공사로 노출된 조개껍질이 섞인 둑이었다. 모스의 업적으로 패총 연구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유적이 되었으며, 일본 고고학의 발상지로 여겨지게 되었다.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패총'''은 지바현의 니시노죠 패총과 가나가와현의 나츠시마 패총이며, 기원전 7500년경의 죠몬 시대 초기 전반의 토기가 두 패총에서 출토되었다.
일본인에 의해 처음으로 본격적인 발굴 조사 및 보고가 이루어진 패총은 이바라키현 이나시키군 미우라촌의 리쿠헤이 패총이다. 1905년(메이지 38년)에는 요코하마에 거주하고 있던 영국인 의사 닐 고든 먼로[47]에 의해 죠몬 시대 후기부터 야요이 시대 전기의 패총인 미츠자와 패총(소재지: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가나가와구 사와타리 외)이 발견되었다.
5. 2. 연구사
패총은 문자가 없었던 사회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26] 19세기 후반 덴마크에서 패총 연구가 시작되었다. 덴마크의 고고학자 옌스 야코브 아스무센 보르사에는 동물학자야페투스 스테엔스트룹 및 지질학자와 함께 패총이 사람이 거주하면서 버린 쓰레기 장소임을 밝혔다.[33][34]영어(사실상 국제공용어)에서는 여러 가지 명칭이 통용되고 있지만, "'''shell midden영어'''(조개껍데기 쓰레기 더미)"과 "shellmound영어'''(조개껍데기 무덤)"[26]이 많이 사용된다.
최종빙기가 끝나고 온난화가 진행되면서, 일본열도를 포함한 동아시아 연해 지역에는 패총이 밀집하여 분포하게 되었다.[35]
나라 시대의 『히타치노쿠니후도키』에는 패총이 거인이 조개를 먹고 버린 흔적이라고 기록되어 있다.[39][40] 이는 패총 유적이 문헌에 기록된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예이자, 석기 시대 유적이 기록된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예이다.[41][42][43][44]
일본에서 패총의 본격적인 조사는 1877년 미국인 동물학자 에드워드 S. 모스가 실시한 '''오모리 패총''' 발굴 조사에서 시작되었다. 오모리 패총은 일본 고고학의 발상지로 여겨지게 되었다.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패총은 지바현의 니시노죠 패총과 가나가와현의 나츠시마 패총이며, 기원전 7500년경의 조몬 시대 초기 전반의 토기가 출토되었다.
일본인에 의해 처음으로 본격적인 발굴 조사 및 보고가 이루어진 패총은 이바라키현 이나시키군 미우라촌의 리쿠헤이 패총이다.
5. 3. 일제강점기의 패총 연구와 비판
1877년(메이지 10년), 미국인 동물학자 에드워드 S. 모스가 기차 창밖으로 발견하여 같은 해에 곧바로 실시한 '''오모리 패총'''(오모리 패총 유적) 발굴 조사가 일본에서 패총의 본격적인 조사 연구의 시작이다.[45] 오모리 패총은 도쿄부 에하라군 오이촌 가시마다니(현재의 도쿄도 시나가와구 오이 6정목[46])에 있는 철도 건설에 따른 굴착 공사에 따라 노출된 조개껍질이 섞인 둑이었지만, 모스의 업적으로 패총 연구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유적이 되었다. 또한 일본 고고학의 발상지로 여겨지게 되었다.일본인에 의해 처음으로 본격적인 발굴 조사 및 보고가 이루어진 패총은 이바라키현 이나시키군 미우라촌의 리쿠헤이 패총이다. 1905년(메이지 38년)에는 요코하마에 거주하던 영국인 의사 닐 고든 먼로[47]에 의해 죠몬 시대 후기부터 야요이 시대 전기의 패총인 미츠자와 패총(소재지: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가나가와구 사와타리 외)이 발견되었다.
참조
[1]
뉴스
Artificial Shell-deposits of the United States
Smithsonian Institution
[2]
서적
Exploring Coast Salish Prehistory: The Archaeology of San Juan Island
[3]
웹사이트
Whaleback Shell Midden
http://www.maine.gov[...]
2006-05-11
[4]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Japa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웹사이트
Collections of Morse from The Shell Mounds of Omori
http://umdb.um.u-tok[...]
2015-09-04
[6]
웹사이트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www.etymonlin[...]
[7]
서적
Deciphering a Shell Midden
Academic Press
[8]
학술지
The Origin of 'Anadara' Shell Mounds at Weipa, North Queensland, Australia
1994
[9]
학술지
Shell mound formation in coastal northern Australia
1995-12-31
[10]
웹사이트
There Were Once More Than 425 Shellmounds in the Bay Area. Where Did They Go?
https://www.kqed.org[...]
kqed.org
2023-11-16
[11]
웹사이트
Otter Mound Preserve
http://www.colliergo[...]
Colliergov.net
2014-02-24
[12]
학술지
The temporality of shell-bearing landscapes at Crystal River, Florida
2015
[13]
웹사이트
Late Archaic-Early Woodland Period Shell Rings of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Coast: A Bibliographic Introduction
http://scholarcommon[...]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2011-12-10
[14]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15]
웹사이트
Annaker's midden n. a mess, a shambles
https://www.scotslan[...]
2020-07-15
[16]
웹사이트
Manure/Slurry Storage
http://www.scotland.[...]
Scottish Government
2011-08-18
[17]
웹사이트
Roofed Midden benefits Lake District Farm
http://www.jenniferm[...]
[18]
웹사이트
Alaska Department of Fish & Game: North American Red Squirrel
http://www.adfg.alas[...]
Alaska Department of Fish and Game
2014-02-24
[19]
학술지
A record of rapid Holocene climate change preserved in hyrax middens from southwestern Africa
[20]
학술지
Midden formation by octopuses: The role of biotic and abiotic factors
1983
[21]
문서
콘크가이. 마가키가이의 근연종으로, 식용 및 장신구에 사용된다
[22]
웹사이트
貝塚
https://kotobank.jp/[...]
코토뱅크
2019-05-21
[23]
웹사이트
貝塚 -『国史大辞典』
https://japanknowled[...]
넷어드밴스
2019-05-21
[24]
웹사이트
貝塚
https://kotobank.jp/[...]
코토뱅크
2019-05-21
[25]
서적
材料技術史概論 第3版
도쿄전기대학
[26]
문서
후자의 유명한 용례로서 미국 원주민 오로니족의 패총 "에메리빌 패총 (에메리빌 쉘마운드, Emeryville Shellmound)을 든다. 또한, 오모리 패총의 (모스에 의한) 영어 이름은 "Shell Mounds of Omori (쉘마운즈 오브 오모리)"이다.
[27]
웹사이트
貝塚
https://kotobank.jp/[...]
코토뱅크
2019-05-21
[28]
웹사이트
貝塚
https://kotobank.jp/[...]
코토뱅크
2019-05-21
[29]
웹사이트
貝塚
https://kotobank.jp/[...]
코토뱅크
2019-05-21
[30]
웹사이트
제5회 일본의 거대 동물은 왜 멸종했는가?
https://natgeo.nikke[...]
日経ナショナルジオグラフィック社
2019-05-21
[31]
문서
그러나 일본 열도에서의 나우만 코끼리의 쇠퇴는 이 시기보다 훨씬 이전에 시작되었고, 이 시기에 결정타를 맞았다고 생각된다.
[32]
문서
홋카이도까지 남하하여 서식하고 있었던 매머드(※사슴과 들소는 혼슈까지 남하하여 한랭 지역에서 번영하고 있지만, 매머드만은 혼슈로 건너간 흔적이 없다)가 그랬듯이, 사할린을 거쳐 아시아 대륙으로 돌아갔는지, 이동의 기회를 놓쳐 남겨졌기 때문에 멸종했는지는 알 수 없고, 열도에서 모습을 감춘 것만이 분명하다.
[33]
서적
일본 근대 고고학의 시작 무렵
이와나미 쇼텐
[34]
웹사이트
워르소
https://kotobank.jp/[...]
코토뱅크
2019-05-22
[35]
서적
패총 - 사냥과 어로
나라 문화재연구소 편집
[36]
웹사이트
Ertebølle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9-05-21
[37]
서적
(제목 없음)
2005
[38]
서적
(제목 없음)
2009
[39]
웹사이트
さらに詳しく 大串貝塚と巨人伝説
http://www.maff.go.j[...]
関東農政局
2019-05-21
[40]
웹사이트
大串貝塚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9-05-21
[41]
웹사이트
大串貝塚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9-05-21
[42]
웹사이트
大串貝塚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9-05-21
[43]
웹사이트
大串貝塚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9-05-21
[44]
웹사이트
大串貝塚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9-05-21
[45]
문서
대표 주소 1
[46]
문서
대표 주소 2
[47]
문서
일본 최초 지층 누중의 법칙 적용
[48]
서적
재료 기술사 개론 제3판
東京電機大学
2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