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산 가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화산 가스는 화산 활동 시 방출되는 기체 혼합물로, 주로 수증기, 이산화 탄소, 이산화 황, 질소, 아르곤, 헬륨 등을 포함한다. 마그마가 상승하면서 압력 감소로 인해 용해된 휘발성 물질이 기체 상태로 방출되어 생성되며, 화산마다, 화산 활동과 지각 환경에 따라 가스 성분과 풍부도가 다르다. 화산 가스는 폭발성 분화의 원인이 되기도 하며, 대기 중으로 배출되어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화산 가스 배출량은 SO2와 CO2를 중심으로 측정되며, 화산 활동의 변화를 예측하는 데 중요한 지표로 활용된다. 화산 가스는 부식, 질식 등의 위험을 초래하며, 대한민국은 직접적인 피해 사례는 없지만, 백두산 분화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존재한다. 일본에서는 화산 가스로 인한 인명 피해 사례가 보고되었으며, 지방 자치 단체는 화산 가스 농도에 따라 통행을 규제하고, 구조 시에는 물, 천, 로프 등을 활용한 대응책을 마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온실 기체 - 수증기
수증기는 물이 증발하거나 승화하여 생성되는 기체 상태의 물질로, 온도 변화에 따라 물로 응축되기도 하며, 대기 중 습도 조절, 온실 효과,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의 활용 등 여러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온실 기체 - 이산화 탄소
이산화탄소(CO₂)는 탄소 원자 하나와 산소 원자 두 개로 이루어진 무색·무취의 기체로, 드라이아이스로 승화하며, 탄산 형성, 연소, 호흡, 광합성 등 다양한 과정에서 발생하고, 산업적으로 널리 사용되지만 지구 온난화의 주요 원인이자 고농도에서 인체에 유독한 물질이다. - 기체 - 밸브
밸브는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장치로, 다양한 크기와 작동 방식을 가지며, 산업 전반과 일상생활에서 널리 사용된다. - 기체 - 배기가스
배기가스는 내연기관이나 산업 공정에서 발생하는 가스 배출물로, 이산화탄소, 수증기 외에도 인체에 유해한 일산화탄소, 탄화수소, 질소산화물, 미세먼지 등을 포함하며 대기오염, 산성비, 기후변화의 원인이 되므로 배출량 저감을 위한 기술적,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 - 화산학 - 초화산
초화산은 1,000 km³ 이상의 분출물을 내뿜는 대규모 폭발성 화산으로, 토바 호, 옐로스톤, 라 가리타 칼데라 등이 대표적인 사례이며 지구 기후와 생태계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전 세계적인 사회경제적 붕괴를 야기할 수 있다는 우려가 존재한다. - 화산학 - 환태평양 조산대
환태평양 조산대는 태평양 주변에서 지진과 화산 활동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지역으로, 여러 지각판의 상호 작용으로 섭입대와 해구가 존재하며 화산의 분포가 뚜렷하다.
화산 가스 | |
---|---|
화산 가스 정보 | |
정의 | 활화산에서 방출되는 가스 |
주요 성분 | 수증기(H2O) 이산화 탄소(CO2) 이산화 황(SO2) 염화수소(HCl) 플루오르화 수소(HF) |
주요 화산 가스 | |
수증기 (H2O) | 대부분의 화산 가스에서 가장 풍부한 성분이며, 마그마에서 용존된 물이 기화되어 발생한다. |
이산화 탄소 (CO2) | 두 번째로 풍부한 화산 가스 성분이다. 마그마에서 직접 방출되거나, 탄산염 암석과의 반응을 통해 생성된다. |
이산화 황 (SO2) | 화산 활동의 주요 지표로 사용된다. 대기 중에서 황산 에어로졸로 변환되어 산성비의 원인이 된다. |
염화수소 (HCl) 및 플루오르화 수소 (HF) | 할로겐족 원소를 포함하는 산성 가스이다. 인체에 유해하며, 식생에 피해를 줄 수 있다. |
기타 화산 가스 | |
황화 수소(H2S) | 부란성 냄새가 나는 유독 가스이다. |
일산화 탄소(CO) | 불완전 연소로 생성되는 유독 가스이다. |
헬륨(He), 아르곤(Ar), 네온(Ne) | 비활성 기체 |
메탄(CH4) | 유기 화합물 |
영향 | |
환경적 영향 | 산성비 온실 효과 오존층 파괴 (염소 및 브롬 함유 가스) 화산 헤이즈(Vog) |
건강 영향 | 호흡기 질환, 눈과 피부 자극 등을 유발할 수 있다. |
경제적 영향 | 농작물 피해, 관광 산업 피해 등을 초래할 수 있다. |
측정 및 감시 | |
측정 방법 | DOAS(Differential Optical Absorption Spectroscopy): 원거리에서 가스 농도 측정 FTIR(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다양한 가스 성분 분석 가스 센서: 특정 가스 농도 실시간 측정 |
감시 목적 | 화산 활동 예측, 대기 질 관리, 건강 위험 평가 |
2. 성분
화산 가스의 주요 성분은 수증기(H2O), 이산화 탄소(CO2), 유황(고온 화산 가스의 경우 이산화 황(SO2), 저온 화산 가스의 경우 황화 수소(H2S)), 질소, 아르곤, 헬륨, 네온, 메탄, 일산화 탄소, 수소이다. 이 외에도 산소, 염화 수소, 불화 수소, 브롬화 수소, 육불화 황, 카르보닐 설파이드, 유기 화합물, 수은,[1] 할로카본(CFC 포함),[2] 할로겐 산화물 라디칼[3] 등이 화산 가스에서 검출된다.
화산 가스의 조성은 화산마다, 그리고 화산 활동 및 지각 환경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수증기는 전체 배출량의 60% 이상을 차지하며 가장 풍부하다. 이산화 탄소는 보통 배출량의 10~40%를 차지한다.[4]
수렴 경계에 위치한 화산은 섭입대에서 형성된 마그마에 해수가 추가되기 때문에 열점이나 발산 경계에 있는 화산보다 더 많은 수증기와 염소를 배출한다. 또한, 수렴 경계 화산은 열점이나 발산 경계 화산보다 H2O/H2, H2O/CO2, CO2/He 및 N2/He 비율이 더 높다.[4]
2. 1. 마그마 가스와 고온 화산 가스
마그마는 용해된 휘발성 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성분들의 용해도는 압력, 온도, 마그마 조성에 따라 달라진다. 마그마가 지표면으로 상승하면서 압력이 감소하면 용해된 휘발성 물질의 용해도가 감소하여 기체 상태로 방출된다. 기포는 마그마를 통해 상승하여 합쳐지거나, 서로 연결되어 지속적으로 연결된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기체가 마그마에서 충분히 빨리 빠져나가지 못하면 마그마를 작은 재 입자로 분쇄하여 폭발성 분화를 일으킬 수 있다.[5][6] '폐쇄 시스템' 탈기는 기체와 마그마가 함께 상승하며 화학 평형을 이루는 경우를, '개방 시스템' 탈기는 기체가 마그마를 떠나 상부 마그마를 통해 상승하는 경우를 말한다.대기 근처의 용융 암석(마그마 또는 용암)은 고온 화산 가스(>400 °C)를 방출한다. 폭발적인 화산 분화에서 마그마로부터의 갑작스러운 기체 방출은 용융 암석의 급격한 이동을 유발할 수 있다. 마그마가 물, 해수, 호수 물 또는 지하수와 만나면 빠르게 파편화될 수 있다. 기체의 급격한 팽창은 대부분의 폭발성 화산 분화의 원동력이다.
주성분은 수증기나 이산화 탄소 외에 이산화 황(아황산 가스)도 포함된다. 통상적으로 소량의 수소 가스, 일산화 탄소, 황화 수소, 염화 수소가 포함된다. 화산에 따라서는 플루오린화 수소[18]나 사플루오린화 규소[18], 메탄 가스[18], 암모니아[18], 황산 카르보닐[19], 헬륨[20], 라돈, 수은 증기[21] 등이 포함되기도 한다.
분화를 하지 않아도, 항상 또는 간헐적으로 화산 가스만을 분출하는 화산도 많다.
온도는 수백 ℃ 이상인 경우가 많다.
2. 2. 저온 화산 가스와 열수 시스템
마그마 가스가 위로 이동하면서 대수층 내의 우수와 만나면 수증기가 생성된다. 잠재적인 마그마 열은 우수가 증기 상태로 상승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뜨거운 혼합물의 장기간에 걸친 유체-암석 상호 작용은 냉각되는 마그마 암석과 주변 암석으로부터 구성 성분을 침출시켜 부피 변화, 상전이, 반응을 일으키며, 따라서 위로 스며드는 유체의 이온 강도를 증가시킨다. 이 과정은 또한 유체의 pH를 감소시킨다. 냉각은 상 분리 및 광물 침전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보다 환원적인 조건으로의 변화를 동반한다. 이러한 열수 시스템의 표면 발현에서는 저온 화산 가스(400°C 미만)가 증기-가스 혼합물로 방출되거나 온천에 용해된 형태로 나타난다. 해저에서는 이러한 뜨겁고 과포화된 열수 유체가 블랙 스모커라고 불리는 거대한 굴뚝 구조를 형성하며, 차가운 해수로 방출되는 지점에 위치한다.지질학적 시간 동안, 이러한 열수 침출, 변질 및/또는 주변 암석 내 광물의 재침전 과정은 특정 유형의 경제적으로 가치 있는 광상을 생성하는 효과적인 농축 과정이다.
3. 비폭발성 화산 가스 방출
화산 가스는 균열을 통한 대류 또는 투과성이 높은 넓은 지역의 확산 탈기 작용을 통해 확산 탈기 구조(DDS)로 방출될 수 있다. 대류 가스 손실이 발생하는 곳에서는 황과 희귀 광물의 침전으로 황 퇴적물과 푸마롤이라고 불리는 작은 황 굴뚝이 형성된다.[7] 매우 낮은 온도(100 °C 미만)의 푸마롤 구조는 솔파타라라고도 한다. 주로 이산화탄소의 저온 탈기가 일어나는 곳은 모페트라고 한다. 화산의 온천은 종종 용해된 형태로 측정 가능한 양의 마그마 가스를 보인다.
4. 대기 중 화산 가스 배출
오늘날 대기 중으로의 화산 가스 배출은 분출성과 비분출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모든 화산 가스 종이 대기 중으로 배출되지만, 이산화 탄소(온실 가스)와 이산화 황의 배출이 가장 많이 연구되었다.
오랫동안 분출이 수동적 탈가스 작용보다 훨씬 적은 총 이산화 황 배출량에 기여한다는 사실이 알려져 왔다.[8][9] Fischer 외 (2019)는 2005년부터 2015년까지 분출 중 이산화 황 배출량이 연간 2.6Tg으로 추정했고,[10] 수동적 탈가스 작용의 비분출 기간 동안에는 연간 23.2 ± 2Tg으로 추정했다.[10] 같은 기간 동안 화산 분출 중 화산에서 발생하는 이산화 탄소 배출량은 연간 1.8 ± 0.9 Tg으로 추정되었고,[10] 비분출 활동 중에는 연간 51.3 ± 5.7 Tg으로 추정되었다.[10] 따라서 화산 분출 중 이산화 탄소 배출량은 비분출 화산 활동 중 방출되는 이산화 탄소 배출량의 10% 미만이다.
1991년 피나투보산 분화(VEI 6)는 총 18 ± 4 Tg의 이산화 황을 방출했다.[11] 이러한 대규모 VEI 6 분화는 드물게 발생하며, 50~100년에 한 번 발생한다. 2010년 에이야퍄들라요쿨 분화(VEI 4)는 총 5.1 Tg의 이산화 탄소를 배출했다.[12] VEI 4 분화는 연간 약 1회 발생한다.
비교를 위해 Le Quéré, C. 외는 2006년부터 2015년까지 인간의 화석 연료 연소와 시멘트 생산으로 연간 9.3 Gt의 탄소를 처리하여 연간 최대 34.1 Gt의 CO2를 생성한다고 추정했다.[13]
일부 최근의 화산 CO2 배출량 추정치는 Fischer 외(2019)보다 높다.[10] Burton 외(2013)의 연간 540 Tg CO2[14]와 Werner 외(2019)의 연간 220~300 Tg CO2[12] 추정치는 화산 지역의 확산된 CO2 배출량을 고려한 것이다.
5. 감지, 채취 및 측정
화산 가스 성분은 화산 내부 마그마의 움직임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가스 성분의 갑작스러운 변화는 화산 활동 변화를 예측하는 신호가 된다. 따라서 화산 가스 배출량을 정기적으로 측정하는 것은 화산 위험 감시에 매우 중요하다.[16]
화산 가스는 현장에서 직접 감지하거나, 추가 분석을 위해 샘플을 채취할 수 있다. 화산 가스 감지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전기화학 센서 및 유동형 적외선 분광 가스 셀을 이용한 가스 내부 측정
- 지상 또는 항공 기반 원격 분광법을 이용한 가스 외부 측정 (예: 상관 분광법(COSPEC), 차등 광학 흡수 분광법(DOAS), 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법(FTIR))
이산화 황(SO2)은 자외선 파장에서 강하게 흡수되고 대기 중 배경 농도가 낮아 화산 가스 감시에 적합하다. 위성 기반 기기나 DOAS와 같은 지상 기반 기기로 감지할 수 있다. 일부 화산 근처에는 DOAS 배열이 설치되어 SO2 배출량을 측정한다. 다성분 가스 분석 시스템(Multi-GAS)은 CO2, SO2, H2S를 원격으로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17] 다른 가스의 배출량은 일반적으로 화산 가스 내 বিভিন্ন 가스의 비율을 측정하고, 이 비율에 SO2 배출량을 곱하여 추정한다.
화산 가스 샘플 채취는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 로베르트 분젠이 처음 사용하고 베르너 기겐바흐가 개선한 '기겐바흐 병' 사용: 부식성 용액이 들어 있는 진공 플라스크를 이용한다.
- 진공 상태의 빈 용기 사용
- 유동형 유리 튜브 사용
- 가스 세척 병(극저온 스크러버) 사용
- 함침된 필터 팩 사용
- 고체 흡착 튜브 사용
가스 샘플 분석에는 다음과 같은 기술이 사용된다.
6. 화산 가스 모니터링
화산 가스의 특정 성분은 깊이에서의 변화하는 조건을 매우 초기에 나타낼 수 있으며, 임박한 불안정을 예측하는 강력한 도구가 된다. 지진 활동 및 변형에 대한 모니터링 데이터와 함께 사용하면 상관 관계 모니터링의 효율성이 크게 향상된다. 화산 가스 모니터링은 모든 화산 관측소의 표준 도구이다. 가장 정확한 성분 데이터는 여전히 위험한 현장 샘플링 캠페인이 필요하다. 그러나 원격 감지 기술은 1990년대에 엄청나게 발전했다. 심층 지구 탄소 탈가스 프로젝트는 Multi-GAS 원격 감지를 사용하여 9개의 화산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다.
7. 위험성
화산 가스는 직접적인 사망 원인이 될 수 있는데, 1900년에서 1986년 사이에 발생한 화산 관련 사망자 중 약 3%가 화산 가스 때문이었다.[4] 화산 가스는 산성 부식이나 질식을 유발할 수 있다. 이산화 황, 염화 수소, 황화 수소, 불화 수소 등은 대기 입자와 반응하여 에어로졸을 형성하기도 한다.[4]
화산 가스는 고온으로 인해 주변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치며, 이를 흡입한 동물이나 인간이 즉사하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 또한, 공기보다 밀도가 높아 움푹 들어간 곳에 쌓이기 쉬우므로, 중독을 알아차리지 못하고 사망하는 경우도 있다.
다음은 화산 가스로 인해 발생한 주요 사고 사례이다.
발생일 | 위치 | 내용 |
---|---|---|
1913년 9월 17일 | 일본 가고시마현 가고시마시 아리무라 정 | 모자가 화산 가스를 흡입하여 사망. 다음 해 1월 12일에 발생한 사쿠라지마의 다이쇼 대분화의 전조 현상으로 여겨짐. |
1971년 12월 27일 | 일본 군마현 구사쓰 온천 스키장 셋쇼가와라 | 스키어 6명이 황화수소를 흡입하여 중독사[22] |
1976년 8월 3일 | 일본 군마현 모토시라네산 | 등산 중이던 다카사키 여자 고교 학생이 황화수소를 흡입하여 2명 이상 사망[22] |
1986년 - 1997년 | 일본 구마모토현 아소산·나카다케 제1화구 | 관광객 7명(발생 건수 6건) 사망 |
1997년 7월 12일 | 일본 아오모리현 핫코다산 산록 | 움푹 들어간 곳에 체류하던 가스에 휘말려 훈련 중이던 자위대 대원 3명 사망[23] |
1997년 9월 15일 | 일본 후쿠시마현 아다타라 산 화구 부근 | 등산객 4명 사망 (아다타라산 화산 가스 조난 사고) |
2000년 8월 10일 - | 일본 도쿄도 미야케지마·오야마 | 화산 활동으로 대량의 화산 가스가 방출되어 전 도민 피난 (2005년 2월부터 순차적 귀향). 현재도 산정 주변은 출입 금지 구역 |
2005년 12월 29일 | 일본 아키타현 도로유 온천 근교 주차장 | 눈 웅덩이에 체류한 화산 가스에 휘말려 관광 온 가족 4명 사망 |
2010년 6월 20일 | 일본 핫코다산 근처 아스카 온천 | 네마게다케 죽순 채취 중이던 여자 중학생이 가스에 휘말려 사망[23] |
8. 대한민국 및 주변국의 화산 가스 피해 사례
대한민국은 활화산이 없어 화산 가스로 인한 직접적인 피해는 보고되지 않았지만, 백두산 분화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존재한다. 일본에서는 다음과 같은 화산 가스 피해 사례가 보고되었다.
발생일 | 발생 장소 | 피해 내용 |
---|---|---|
1913년 9월 17일 | 가고시마현 가고시마시 아리무라 정 | 모자가 화산 가스를 흡입하여 사망[21]。 다음 해 1월 12일에 발생한 사쿠라지마의 다이쇼 대분화의 전조 현상으로 여겨짐[21][25]。 |
1971년 12월 27일 | 군마현 쿠사츠 온천 스키장 셋쇼가와라 | 스키어 6명이 황화 수소를 흡입하여 중독사[22]。 |
1976년 8월 3일 | 군마현 모토시라네산 | 다카사키 여자 고교 학생이 황화수소를 흡입하여 2명 이상 사망[22]。 |
1986년 - 1997년 | 구마모토현 아소산 나카다케 제1화구 | 관광객 7명(발생 건수 6건) 사망. |
1997년 7월 12일 | 아오모리현 핫코다산 산록 | 훈련 중이던 자위대 대원 3명이 사망[23]。 |
1997년 9월 15일 | 후쿠시마현 아다타라 산 화구 부근 | 등산객 4명이 사망. 아다타라산 화산 가스 조난 사고 참조. |
2000년 8월 10일 - | 도쿄도 미야케지마 오야마 | 화산 활동으로 인해 대량의 화산 가스가 방출되어 전 도민이 피난(2005년 2월부터 순차적으로 귀향). 현재도 화산 가스 방출이 계속되어 산정 주변이 출입 금지 구역으로 지정됨. |
2005년 12월 29일 | 아키타현 도로유 온천 근교 주차장 | 관광 온 가족 4명이 사망. |
2010년 6월 20일 | 아오모리현 핫코다산 근처 아스카 온천 | 네마게다케의 죽순을 채취하러 온 여자 중학생이 가스에 휘말려 사망[23]。1997년에 자위대원이 사망한 장소는 남서쪽으로 약 7km 떨어진 지점[24]。 |
9. 대응
화산 가스 농도 등을 고려하여, 지방 자치 단체 등이 통행 규제·등산 규제·입장 규제를 실시한다.[25][26]
구출이 필요한 경우
참조
[1]
논문
Mercury as a proxy for volcanic emissions in the geologic record
2019-09
[2]
논문
Volcanogenic Halocarbons
2000-02-04
[3]
논문
Spatial Distribution of Halogen Oxides in the Plume of Mount Pagan Volcano, Mariana Islands
2018-09-17
[4]
서적
Encyclopedia of Volcanoes
Academic Press
2000
[5]
논문
Degassing processes during lava dome growth: Insights from Santiaguito lava dome, Guatemala
2011
[6]
논문
Strain field analysis on Montserrat (W.I.) as a tool for assessing permeable flow paths in the magmatic system of Soufrière Hills Volcano
2014
[7]
논문
Crustal CO2 liberation during the 2006 eruption and earthquake events at Merapi volcano, Indonesia
https://agupubs.onli[...]
2012
[8]
논문
The contribution of volcanoes to the global atmospheric sulfur budget
http://doi.wiley.com[...]
1983
[9]
논문
A time-averaged inventory of subaerial volcanic sulfur emissions
1998-10-20
[10]
논문
The emissions of CO2 and other volatiles from the world's subaerial volcanoes
2019
[11]
논문
Re-evaluation of SO2 release of the 15 June 1991 Pinatubo eruption using ultraviolet and infrared satellite sensors
2004
[12]
간행물
Carbon Dioxide Emissions from Subaerial Volcanic Reg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9-10-31
[13]
논문
Global Carbon Budget 2016
https://essd.coperni[...]
2016-11-14
[14]
간행물
11. Deep Carbon Emissions from Volcanoes
http://dx.doi.org/10[...]
De Gruyter
2020-09-10
[15]
서적
Volcanoes and History
Brigati
1998
[16]
논문
Magmatic Gas Composition Reveals the Source Depth of Slug-Driven Strombolian Explosive Activity
2007
[17]
논문
Chemical mapping of a fumarolic field: La Fossa Crater, Vulcano Island (Aeolian Islands, Italy)
2005
[18]
웹사이트
Volcanic Gases
http://www.geo.mtu.e[...]
[19]
웹사이트
Component Of Volcanic Gas May Have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Origins Of Life On Earth
http://www.scienceda[...]
[20]
문서
Volcanic Gases and Their Effects
USGS
[21]
웹사이트
火山ガスとエアロゾルの概要
https://web.archive.[...]
[22]
뉴스
登山の女高生、集団ガス中毒 噴気の硫化水素を吸う 2人死亡し2人重体
朝日新聞
1976-08-03
[23]
웹사이트
八甲田山
https://www.data.jma[...]
気象庁
[24]
뉴스
火山ガスか、タケノコ採りの中2女子死亡…青森
https://web.archive.[...]
2010-06-20
[25]
웹사이트
栗駒山の登山道規制 9月上旬から一部解除 火山ガス濃度低下|NHK 岩手県のニュース
https://web.archive.[...]
NHK
2022-08-24
[26]
웹사이트
吾妻山に登山や観光で訪れる皆様へ - 福島県ホームページ
https://www.pref.fuk[...]
2022-08-24
[27]
간행물
火山ガス事故防止のために
https://www.env.go.j[...]
環境庁自然保護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