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돈은 무색, 무미, 무취의 비활성 기체로, 방사성 붕괴를 통해 생성되며, 폐암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1900년 프리드리히 에른스트 도른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라듐, 토륨, 악티늄 등에서 생성되는 여러 동위원소를 가지고 있다. 라돈은 주로 토양, 암석, 건축 자재에서 발생하며, 건물 내부, 특히 환기가 잘 안 되는 곳에 축적될 수 있다. 라돈 노출은 폐암 발생 위험을 높이며, 흡연과 함께 노출될 경우 위험이 더욱 증가한다. 라돈 측정은 간단하며, 토양 흡입, 환기 개선 등의 저감 방법을 통해 실내 라돈 농도를 줄일 수 있다. 과거에는 의료 및 과학 분야에서 방사선원으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다른 물질로 대체되었으며, 지진 예측 연구에도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돈 - 라돈 동위 원소
    라돈 동위 원소는 질량수와 반감기가 다른 라돈의 동위 원소로, 방사성 붕괴를 통해 다른 원소로 변환되며 토양, 암석 등에서 방출되어 실내 라돈 농도를 높여 폐암을 유발할 수 있고 우라늄, 토륨 등의 방사성 붕괴 계열에서 생성됩니다.
  • 비활성 기체 - 오가네손
    오가네손은 2002년 유리 오가네시안 연구팀이 합성하여 2015년 공식적으로 발견이 인정된 원자 번호 118번의 초중원소로, 불안정하며 짧은 반감기를 가지고 주기율표상 라돈 아래에 위치하는 비활성 기체로 예측되지만 상대론적 효과로 높은 반응성을 가질 가능성도 있다.
  • 비활성 기체 - 네온
    네온은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무색, 무취, 무미의 비활성 기체로, 저압 방전 시 밝은 붉은색을 내며 네온사인, 레이저, 냉매 등으로 사용된다.
  • 전형 원소 - 칼륨
    칼륨은 은백색의 무른 알칼리 금속으로 반응성이 매우 높고 생물학적으로 중요한 전해질이며, 비료 생산을 비롯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지만 물과의 격렬한 반응 및 폭발성 과산화물 생성 가능성으로 취급 시 주의가 필요하며, 자연계에 세 가지 동위원소로 존재한다.
  • 전형 원소 - 인듐
    인듐은 은백색의 무른 금속 원소로, 낮은 경도와 뛰어난 전연성을 가지며, LCD 투명 전극, 반도체, 태양전지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는 아연 광석의 부산물이다.
라돈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라돈
영어 이름radon
일본어 이름ラドン (라돈)
독일어 이름Radon
로마자 표기radon
원소 기호Rn
원자 번호86
왼쪽 원소아스타틴
오른쪽 원소프랑슘
위쪽 원소Xe
아래쪽 원소Og
계열비활성 기체
18
주기6
구역p
겉모습무색 기체
원자 질량(222)
전자 배치[Xe] 4f14 5d10 6s2 6p6
전자 껍질 당 전자 수2, 8, 18, 32, 18, 8
기체
밀도 (표준 온도 및 압력)9.73
밀도 (끓는점)4.4
녹는점 (켈빈)202
녹는점 (섭씨)-71.15
녹는점 (화씨)-96.07
끓는점 (켈빈)211.3
끓는점 (섭씨)-61.85
끓는점 (화씨)-79.1
임계점 (켈빈)377
임계점 (메가파스칼)6.28
융해열3.247
기화열18.10
열용량20.786
증기압력 (1 켈빈)110
증기압력 (10 켈빈)121
증기압력 (100 켈빈)134
증기압력 (1 킬로켈빈)152
증기압력 (10 킬로켈빈)176
증기압력 (100 킬로켈빈)211
결정 구조면심 입방정계
산화 상태'2'
전기음성도2.2
이온화 에너지 (1차)1037
공유 반지름150
반데르발스 반지름220
자기 정렬반자성
열전도율3.61 m
CAS 등록 번호10043-92-2
발견 및 분리
발견자어니스트 러더퍼드 및 로버트 B. 오언스
발견 년도1899년
첫 분리자윌리엄 램지와 로버트 휘틀로-그레이
첫 분리 년도1910년
동위 원소
동위 원소210Rn
존재비syn
반감기2.4 h
붕괴 방식α
붕괴 에너지6.404
붕괴 후 원소206Po
동위 원소211Rn
존재비syn
반감기14.6 h
붕괴 방식 1ε
붕괴 에너지 12.892
붕괴 후 원소 1211At
붕괴 방식 2α
붕괴 에너지 25.965
붕괴 후 원소 2207Po
동위 원소222Rn
존재비trace
반감기3.8235 d
붕괴 방식α
붕괴 에너지5.590
붕괴 후 원소218Po
동위 원소224Rn
존재비syn
반감기1.8 h
붕괴 방식β
붕괴 에너지0.8
붕괴 후 원소224Fr
건강 위험
건강 위험 설명라돈은 폐암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특히 흡연자와 함께 거주하는 사람들에게 위험하다.
건강 위험 정보 출처미국 환경 보호국
세계 보건 기구
Knowable Magazine
Mass.Gov

2. 역사

라돈은 1900년 독일의 화학자 프리드리히 에른스트 도른이 발견했다.[49] 라돈은 라듐의 방사성 붕괴로 생성되며, 알파 붕괴를 통해 방사선을 방출하고 폴로늄이 된다. 1899년 피에르 퀴리마리 퀴리는 라듐에서 방출되는 기체가 한 달 동안 방사성을 유지한다는 것을 관찰했다.[46] 같은 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로버트 B. 오언스는 토륨 화합물이 방사성 기체를 방출한다는 것을 발견하고 "에마네이션"(Emanation)이라 명명했다.[47][48] 1901년, 러더퍼드와 해리엇 브룩스는 에마네이션이 방사성임을 증명했지만, 원소 발견의 공로는 퀴리 부부에게 돌아갔다.[50]

1900년 도른은 라듐 화합물에서 방출되는 방사성 기체를 "라듐 에마네이션"(Ra Em)이라 명명했다.[49] 1903년 앙드레-루이 드비에른은 악티늄에서 유사한 기체를 발견하고 "악티늄 에마네이션"(Ac Em)이라 불렀다.[51] 이후 "exradio", "exthorio", "exactinio",[52] "radon"(Ro), "thoron"(To), "akton" 또는 "acton"(Ao),[53] "radeon", "thoreon", "actineon",[54] "radon", "thoron", "actinon"[55] 등 여러 이름이 제안되었다. 1904년 윌리엄 램지는 이 기체들이 새로운 비활성 기체 원소를 포함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52]

1909년 램지와 로버트 와이트로-그레이는 라돈을 분리하고 녹는점과 밀도를 결정했으며,[56] 1910년에는 가장 무거운 기체임을 밝혔다.[56] 이들은 "라듐 에마네이션"이라는 표현 대신 "니톤"(Niton, Nt)을 제안했고,[57] 1912년 국제 원자량 위원회에서 채택되었다. 1923년 국제 순수 및 응용 화학 연합(IUPAC)은 라돈(Rn)을 정식 명칭으로 선택했다.[60]

퀴리 부부가 라듐에 접한 대기가 방사성을 갖는다는 것을 발견했지만, 1900년 독일의 물리학자 프리드리히 에른스트 도른이 원소임을 발견하고,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프레데릭 소디가 토륨에서 발견했던 방사성 기체와 동일하다는 것을 밝혔다.[175] 도른은 이 원소를 "방사"를 의미하는 “emanation”이라고 불렀지만, 러더퍼드는 “radium emanation”이라고 불렀고, 윌리엄 램지는 라틴어로 "빛나는"을 의미하는 “nitens”에 따라 "니톤 (Niton)"이라고 불렀다. 결국, 1923년 라듐에서 발생하는 기체라는 의미에서, 라틴어의 ''radius''를 어원으로 하는 “radon”으로 하는 것이 화학자들의 국제 기관에 의해 결정되었다.

1960년대까지도 라돈은 "에마네이션"으로 불렸으며,[58] 1962년 최초의 라돈 화합물인 라돈 플루오르화물이 합성되었다.[59]

광산 내 라돈 노출 위험은 오래전부터 알려져 왔다. 1530년 파라켈수스는 광부 질환 ''mala metallorum''을 기술했고, 게오르크 아그리콜라는 광산 환기를 권장했다.[61] 1879년 독일 슈네베르크 광부의 폐암이 확인되었고,[62] 최초의 주요 연구는 보헤미아 요아힘스타알 우라늄 광산에서 수행되었다.[63] 미국에서는 1971년에야 우라늄 광부 관련 기준이 시행되었다.[64]

1950년대 초 실내 공기 중 라돈이 기록되었고, 1970년대부터 관련 연구가 시작되었다. 1984년 미국 펜실베이니아 원자력 발전소 사건[66][62] 이후 실내 라돈 문제가 널리 알려졌다.

2. 1. 발견

라돈은 1900년 독일의 화학자 도른이 발견했으며, 라듐의 방사성 붕괴로 생성된다.[49] 라돈 원자는 알파 붕괴를 통해 방사선을 방출하며 폴로늄 원자가 된다. 1899년 맥길 대학교어니스트 러더퍼드와 로버트 B. 오언스가 우라늄, 토륨, 라듐, 폴로늄에 이어 다섯 번째로 발견한 방사성 원소이다.[47][43][44][45] 같은 해 피에르 퀴리마리 퀴리는 라듐에서 방출되는 기체가 한 달 동안 방사성을 띤다는 것을 관찰했다.[46] 1901년, 러더퍼드와 해리엇 브룩스는 에마네이션이 방사성임을 증명했지만, 원소 발견의 공로는 퀴리 부부에게 돌렸다.[50]

라돈은 발견 초기 여러 이름으로 불렸다. 1904년에는 ''exradio'', ''exthorio'', ''exactinio''가,[52] 1918년에는 ''radon'', ''thoron'', ''akton''이,[53] 1919년에는 ''radeon'', ''thoreon'', ''actineon''이,[54] 그리고 1920년에 ''radon'', ''thoron'', ''actinon''으로 불렸다.[55] 1904년 윌리엄 램지는 이 기체들이 새로운 비활성 기체 원소를 포함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52]

1909년 램지와 로버트 와이트로-그레이는 라돈을 분리하고 녹는점과 밀도를 측정했으며, 1910년에는 가장 무거운 기체임을 밝혔다.[56] 이들은 ''l'émanation du radium''이라는 표현이 불편하다며, 방사발광 특성을 강조한 "니톤(niton)"(라틴어 니텐스/nitensla)을 제안했고,[57] 1912년 국제원자량위원회에서 채택되었다. 1923년 국제 순수 및 응용 화학 연합(IUPAC)은 라돈, 토론, 악티논 중 가장 안정적인 동위원소인 라돈을 원소 이름으로 선택했다.[60]

1960년대까지도 라돈은 '에마네이션'으로 불렸다.[58] 최초의 라돈 합성 화합물인 라돈 플루오르화물은 1962년에 만들어졌다.[59]

광산에서 라돈 노출 위험은 오래전부터 알려졌다. 1530년 파라켈수스는 광부의 소모성 질환 ''mala metallorum''을 설명했고, 게오르크 아그리콜라는 광산 환기를 권장했다.[61] 1879년 독일 슈네베르크 광부 조사에서 하르팅과 헤세는 이 질환이 폐암임을 밝혔다.[62] 미국에서는 1971년에야 라돈 관련 기준이 시행되었다.[64]

1984년 펜실베이니아 원자력 발전소에서 한 작업자가 방사능에 오염된 사건을 계기로 실내 라돈 문제가 널리 알려졌다.[66][62]

2. 2. 초기 연구

라돈은 1900년 독일의 화학자 프리드리히 에른스트 도른이 발견했다.[49] 라돈은 라듐의 방사성 붕괴로 생성되며, 알파 붕괴를 통해 방사선을 방출하고 폴로늄이 된다. 1899년 피에르 퀴리마리 퀴리는 라듐에서 방출되는 기체가 한 달 동안 방사성을 유지한다는 것을 관찰했다.[46] 같은 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로버트 B. 오언스는 토륨 화합물이 방사성 기체를 방출한다는 것을 발견하고 "에마네이션"(Emanation)이라 명명했다.[47][48] 1901년, 러더퍼드와 해리엇 브룩스는 에마네이션이 방사성임을 증명했지만, 원소 발견의 공로는 퀴리 부부에게 돌아갔다.[50]

1900년 도른은 라듐 화합물에서 방출되는 방사성 기체를 "라듐 에마네이션"(Ra Em)이라 명명했다.[49] 1903년 앙드레-루이 드비에른은 악티늄에서 유사한 기체를 발견하고 "악티늄 에마네이션"(Ac Em)이라 불렀다.[51] 이후 "exradio", "exthorio", "exactinio",[52] "radon"(Ro), "thoron"(To), "akton" 또는 "acton"(Ao),[53] "radeon", "thoreon", "actineon",[54] "radon", "thoron", "actinon"[55] 등 여러 이름이 제안되었다. 1904년 윌리엄 램지는 이 기체들이 새로운 비활성 기체 원소를 포함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52]

1909년 램지와 로버트 와이트로-그레이는 라돈을 분리하고 녹는점과 밀도를 결정했으며,[56] 1910년에는 가장 무거운 기체임을 밝혔다.[56] 이들은 "라듐 에마네이션"이라는 표현 대신 "니톤"(Niton, Nt)을 제안했고,[57] 1912년 국제 원자량 위원회에서 채택되었다. 1923년 국제 순수 및 응용 화학 연합(IUPAC)은 라돈(Rn)을 정식 명칭으로 선택했다.[60]

1960년대까지도 라돈은 "에마네이션"으로 불렸으며,[58] 1962년 최초의 라돈 화합물인 라돈 플루오르화물이 합성되었다.[59]

광산 내 라돈 노출 위험은 오래전부터 알려져 왔다. 1530년 파라켈수스는 광부 질환 ''mala metallorum''을 기술했고, 게오르크 아그리콜라는 광산 환기를 권장했다.[61] 1879년 독일 슈네베르크 광부의 폐암이 확인되었고,[62] 최초의 주요 연구는 보헤미아 요아힘스타알 우라늄 광산에서 수행되었다.[63] 미국에서는 1971년에야 우라늄 광부 관련 기준이 시행되었다.[64]

1950년대 초 실내 공기 중 라돈이 기록되었고, 1970년대부터 관련 연구가 시작되었다. 1984년 미국 펜실베이니아 원자력 발전소 사건[66][62] 이후 실내 라돈 문제가 널리 알려졌다.

2. 3. 명칭 변화

라돈은 1900년 독일의 화학자 도른이 발견했다.[218] 라돈은 라듐의 방사성 붕괴로 생성되며, 알파 붕괴 과정을 거쳐 방사성 원소인 폴로늄 원자가 된다. 1899년 맥길 대학교어니스트 러더퍼드와 로버트 B. 오언스는 우라늄, 토륨, 라듐, 폴로늄에 이어 다섯 번째로 방사성 원소를 발견했다.[47][43][44][45] 같은 해 피에르 퀴리마리 퀴리는 라듐에서 방출되는 기체가 한 달 동안 방사성을 유지한다는 것을 관찰했다.[46]

1900년 프리드리히 에른스트 도른은 라듐 화합물이 방사성 기체를 방출한다는 실험 결과를 보고하고, 이 기체를 "라듐 에마네이션"("Ra Em")이라고 명명했다.[49] 1901년, 러더퍼드와 해리엇 브룩스는 에마네이션이 방사성이라는 것을 증명했지만, 원소 발견에 대한 공로는 퀴리 부부에게 돌렸다.[50]

라돈은 발견 초기 여러 이름으로 불렸다. 1904년에는 ''exradio'', ''exthorio'', ''exactinio''가,[218][52] 1918년에는 ''radon'', ''thoron'', ''akton''이,[219][53] 1919년에는 ''radeon'', ''thoreon'', ''actineon''이,[220][54] 1920년에는 ''radon'', ''thoron'', ''actinon''이라는 이름이 제안되었다.[221][55] 1904년 윌리엄 램지 경은 이 기체들이 새로운 비활성 기체 원소를 포함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52]

1909년 램지와 로버트 와이트로-그레이는 라돈을 분리하고 녹는점과 밀도를 결정했고, 1910년에는 가장 무거운 기체임을 밝혀냈다.[56] 이들은 "라듐 에마네이션"이라는 표현 대신 방사발광 특성을 강조한 "니톤"(niton, Nt)을 제안했고,[57] 1912년 국제 원자량 위원회에서 이 이름을 채택했다. 1923년 국제 순수 및 응용 화학 연합(IUPAC)은 가장 안정적인 동위원소인 라돈을 원소 이름으로 선택했다.[60]

퀴리 부부가 라듐에 접한 대기가 방사성을 갖는다는 것을 발견했지만, 1900년 독일의 물리학자 프리드리히 에른스트 도른이 원소임을 발견하고,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프레데릭 소디가 토륨에서 발견했던 방사성 기체와 동일하다는 것을 밝혔다.[175] 도른은 이 원소를 "방사"를 의미하는 “emanation”이라고 불렀지만, 러더퍼드는 “radium emanation”이라고 불렀고, 윌리엄 램지는 라틴어로 "빛나는"을 의미하는 “nitens”에 따라 "니톤 (Niton)"이라고 불렀다. 결국, 1923년 라듐에서 발생하는 기체라는 의미에서, 라틴어의 ''radius''를 어원으로 하는 “radon”으로 하는 것이 화학자들의 국제 기관에 의해 결정되었다.

3. 물리적 성질

라돈은 무색, 무미, 무취의 성질을 가진 기체로써 사람의 어떠한 감각 기관으로도 감지가 불가능하다.[11] 표준 온도 압력에서 라돈은 비활성기체의 성질을 지니며, 밀도는 9.73kg/m3로 해수면에서 밀도 1.217kg/m3인 대기의 약 8배이다.[12][176][177] 이로 인해 라돈은 상온에서 제일 밀도 높은 비활성기체이다. 라돈의 끓는점은 -61.8°C이며, 녹는점은 -71°C (-71.15 ℃(202 K))이고 녹는점에서 노란색 방사성 발광을 시작하며, 액화 공기의 온도인 -195°C에서는 홍색 빛을 내게 된다.[13][178] 응축되면 강한 방사선을 방출하기 때문에 빛을 낸다.[14][179]

1908년 얼니스트 러더퍼드가 촬영한 라돈의 방출 스펙트럼. 스펙트럼 옆에 적힌 숫자는 파장을 나타낸다. 중앙의 스펙트럼이 라돈의 것이며, 바깥쪽 두 스펙트럼은 파장을 보정하기 위해 첨가된 헬륨의 스펙트럼이다.


운방에서 방사선을 방출하는 라돈


물에는 약간 용해되지만, 가벼운 비활성 기체보다 더 잘 용해된다. 물보다 유기 용매에 현저히 더 잘 용해된다. 용해도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15]

: \chi = \exp(B/T-A)

여기서 \chi는 라돈의 몰분율, T는 절대 온도, AB는 용매 상수이다.

라돈의 용해도는 다른 비활성 기체와 비교하여 크세논의 약 2배, 크립톤의 약 4배, 아르곤의 약 8배, 네온이나 헬륨의 약 20배이다. 유기 용매나 플라스틱에 대한 라돈의 용해도는 물에 대한 것보다 약 50배 크다.

3. 1. 일반적 성질

라돈은 무색, 무미, 무취의 성질을 가진 기체로써 사람의 어떠한 감각 기관으로도 감지가 불가능하다.[11] 표준 온도 압력에서 라돈은 비활성기체의 성질을 지니며, 밀도는 9.73kg/m3로 지구 대기(해수면에서 밀도 1.217kg/m3)의 약 8배에 해당한다.[12][176][177] 이로 인해 라돈은 상온에서 제일 밀도 높은 비활성기체이다. 라돈의 끓는점은 -61.8°C이며, 녹는점은 -71°C 이고 녹는점에서 노란색 방사성 발광을 시작하며, 액화 공기의 온도인 -195°C에서는 홍색 빛을 내게 된다.[13][178] 응축되면 강한 방사선을 방출하기 때문에 빛을 낸다.[14][179]

물에는 약간 용해되지만, 가벼운 비활성 기체보다 더 잘 용해된다. 물보다 유기 용매에 현저히 더 잘 용해된다. 용해도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15]

: \chi = \exp(B/T-A)

여기서 \chi는 라돈의 몰분율, T는 절대 온도, AB는 용매 상수이다.

유기 용매나 플라스틱에 대한 라돈의 용해도는 물에 대한 것보다 약 50배 크다.

3. 2. 발광 현상

라돈은 무색, 무미, 무취의 기체[11]이므로 인간의 감각만으로는 감지할 수 없다. 표준 온도 및 압력에서 밀도 9.73 kg/m3의 단원자 기체를 형성하며, 이는 해수면에서의 지구 대기 밀도 1.217 kg/m3의 약 8배이다.[12] 이는 상온에서 가장 밀도가 높은 기체 중 하나이며, 비활성 기체 중에서는 가장 밀도가 높다. 표준 온도 및 압력에서는 무색이지만, 202K의 빙점 이하로 냉각되면 밝은 방사 발광을 방출하며,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노란색에서 주황색으로 변한다.[13] 응축되면 강한 방사선을 방출하기 때문에 빛을 낸다.[14] -71.15 ℃(202 K)의 융점 이하로 냉각하여 고체 상태가 되면 노란색에서 적황색의 방사선 루미네선스를 방출한다.[178] 또한, 결로하여 액체 상태가 되면 청색에서 연보라색으로 발광한다.[179]

3. 3. 용해도

라돈은 무색, 무미, 무취의 성질을 가진 기체로써 사람의 어떠한 감각 기관으로도 감지가 불가능하다.[11] 표준 온도 압력에서 라돈은 비활성기체의 성질을 지니며, 밀도는 9.73kg/m3로 해수면에서 밀도 1.217kg/m3인 지구 대기의 약 8배에 해당한다.[12][176][177] 이로 인해 라돈은 상온에서 제일 밀도 높은 비활성기체이다. 라돈의 끓는점은 -61.8°C이며, 녹는점은 -71°C (-71.15 ℃(202 K)) 이고 녹는점에서 노란색 방사성 발광을 시작하며, 액화 공기의 온도인 -195°C에서는 홍색 빛을 내게 된다.[13][178] 응축되면 강한 방사선을 방출하기 때문에 빛을 낸다.[14][179]

물에는 약간 용해되지만, 가벼운 비활성 기체보다 더 잘 용해된다. 물보다 유기 용매에 현저히 더 잘 용해된다. 용해도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15]

: \chi = \exp(B/T-A)

여기서 \chi는 라돈의 몰분율, T는 절대 온도, AB는 용매 상수이다.

라돈의 용해도는 다른 비활성 기체와 비교하여 크세논의 약 2배, 크립톤의 약 4배, 아르곤의 약 8배, 네온이나 헬륨의 약 20배이다. 유기 용매나 플라스틱에 대한 라돈의 용해도는 물에 대한 것보다 약 50배 크다.

4. 화학적 성질

라돈은 비활성 기체라고 불리는 0가의 원소에 속하며, 화학적으로 매우 반응성이 낮다.[23] Rn의 3.8일 반감기는 자연 추적자로서 물리 과학에서 유용하게 사용된다. 라돈은 붕괴 사슬의 모원소와 달리 표준 조건에서 기체이기 때문에 연구를 위해 쉽게 추출할 수 있다.[23]

라돈은 바깥쪽 원자가전자껍질에 8개의 전자가 있기 때문에 연소와 같은 대부분의 일반적인 화학 반응에 불활성이다. 이는 바깥쪽 전자가 단단히 결합되어 안정적이고 최소 에너지 배열을 생성한다.[16] 라돈의 제1 이온화 에너지(하나의 전자를 떼어내는 데 필요한 최소 에너지)는 1037 kJ/mol이다.[17] 주기적 경향에 따라 라돈은 그 위 주기의 원소인 크세논보다 전기음성도가 낮으며, 따라서 더 반응성이 높다. 초기 연구에서는 라돈 수화물의 안정성이 염소() 또는 이산화황() 수화물과 같은 정도이고, 황화수소() 수화물의 안정성보다 훨씬 높을 것이라고 결론지었다.[18]

라돈의 비용과 방사능 때문에 라돈을 이용한 실험 화학 연구는 거의 수행되지 않으며, 그 결과 라돈 화합물에 대한 보고는 매우 적고, 모두 플루오르화물 또는 산화물이다. 라돈은 플루오린과 같은 강력한 산화제에 의해 산화되어 이플루오르화라돈()을 형성할 수 있다.[19] 523 K 이상의 온도에서 원소로 다시 분해되며, 물에 의해 라돈 기체와 플루오르화수소로 환원된다. 수소 기체에 의해서도 원소로 환원될 수 있다.[24] 라돈은 휘발성이 낮고 로 여겨졌다. 라돈의 짧은 반감기와 그 화합물의 방사능 때문에 이 화합물을 자세히 연구할 수 없었다. 이 분자에 대한 이론적 연구는 Rn–F 결합 거리가 2.08 Å(옹스트롬)이고, 이 화합물이 열역학적으로 더 안정적이고 더 휘발성이 낮다는 것을 예측한다. 이는 더 가벼운 상대인 이플루오르화크세논()보다 덜 휘발성이다.[20] 팔면체 분자인 은 이플루오르화라돈보다 더 낮은 생성 엔탈피를 가질 것으로 예측되었다.[21] [RnF]+ 이온은 다음 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여겨진다.[22]

: Rn (g) + 2 (s) → (s) + 2 (g)

이러한 이유로 오산화안티몬과 삼플루오르화염소 및 은 라돈-플루오린 화합물의 형성으로 인해 우라늄 광산에서 라돈 가스 제거를 위해 고려되어 왔다.[23] 라돈 화합물은 라듐 할라이드에서 라듐의 붕괴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반응은 조사 중에 표적에서 방출되는 라돈의 양을 줄이는 데 사용되었다.[24] 또한, [RnF]+ 양이온과 , 및 음이온의 염이 알려져 있다.[24] 라돈은 또한 173 K에서 이플루오르화이산소에 의해 로 산화된다.[24]

라돈 산화물은 다른 몇 가지 보고된 라돈 화합물 중 하나이다.[25] 삼산화물()만이 확인되었다.[27] 고급 플루오르화물인 와 가 주장되었고[27] 안정적인 것으로 계산되었지만,[26] 확인이 불분명하다.[27] 이들은 알 수 없는 라돈 함유 생성물이 육플루오르화크세논과 함께 증류된 실험에서 관찰되었을 수 있다. 이것들은 , 또는 둘 다일 수 있다.[24] 크세논, 플루오린, 오플루오르화브롬, 그리고 플루오르화나트륨 또는 플루오르화니켈 중 하나와 라돈을 미량 가열하여 고급 플루오르화물을 생성하는 것으로 주장되었으며, 이는 를 형성하도록 가수분해되었다. 이러한 주장이 실제로 라돈이 고체 착물 [RnF][NiF6]2−로 침전되었기 때문이라는 제안이 있었지만, 라돈이 와 함께 수용액에서 공침한다는 사실은 가 형성되었다는 것을 확인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졌으며, 가수분해된 용액에 대한 추가 연구에서도 뒷받침되었다. [RnO3F]이 다른 실험에서 형성되지 않은 것은 사용된 플루오르화물의 농도가 높았기 때문일 수 있다. 전기이동 연구는 또한 약산성 수용액(pH > 5)에서 라돈의 양이온 형태인 [HRnO3]+ 및 음이온 형태인 [HRnO4]의 존재를 시사하며, 이 절차는 상동체인 삼산화크세논을 검사하여 이전에 검증되었다.[27]

붕괴 기술도 사용되었다. Avrorin 외는 1982년에 212Fr 화합물이 세슘 유사체와 공결정화된 경우 전자 포획 후 화학적으로 결합된 라돈을 보유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보고했는데, 크세논과의 유사성은 RnO3의 형성을 시사했지만 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28]

라돈의 고급 플루오르화물을 확인하기 어려운 것은 이플루오르화라돈()의 강한 이온성과 RnF+에서 라돈의 높은 양전하 때문에 라돈이 2가 상태를 넘어 산화되는 것이 동역학적으로 방해받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 고급 라돈 플루오르화물을 명확하게 확인하려면 분자의 공간 분리가 필요할 수 있으며, 그중 는 라돈(RnIV)의 6p 껍질의 스핀-궤도 분열로 인해 보다 더 안정적일 것으로 예상된다(RnIV는 닫힌 껍질 6s6p 배열을 가짐). 따라서 는 사플루오르화크세논()과 유사한 안정성을 가져야 하지만, 는 육플루오르화크세논()보다 훨씬 덜 안정적일 것이다. 정팔면체 분자일 가능성이 높으며, 의 왜곡된 팔면체 구조와는 다르다. 이는 불활성 전자쌍 효과 때문이다.[29][30] 라돈은 비활성 기체 중에서 상당히 전기 양성이기 때문에 라돈 플루오르화물은 실제로 고도로 플루오린으로 브리지된 구조를 취하고 휘발성이 아닐 수 있다.[30] 비활성 기체족을 따라 외삽하면 RnO, RnO2, RnOF4와 마찬가지로 최초의 화학적으로 안정적인 비활성 기체 염화물인 RnCl2와 RnCl4의 존재 가능성도 시사하지만,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24]

라돈 카르보닐(RnCO)은 안정적이고 선형 분자 기하를 가질 것으로 예측되었다.[31] 및 RnXe 분자는 스핀-궤도 결합에 의해 상당히 안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32] 풀러렌 내에 갇힌 라돈은 종양 치료제로 제안되었다.[33] Xe(VIII)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Rn(VIII) 화합물은 존재하는 것으로 주장되지 않았다. 은 화학적으로 매우 불안정해야 한다(XeF8은 열역학적으로 불안정함). 가장 안정적인 Rn(VIII) 화합물은 과크세논산바륨과 유사한 과라도네이트바륨(Ba2RnO6)일 것으로 예측된다.[26] Rn(VIII)의 불안정성은 상대론적인 6s 껍질의 안정화, 즉 불활성 전자쌍 효과 때문이다.[26]

라돈은 액체 할로겐 플루오르화물인 ClF, , , , 및 과 반응하여 를 형성한다. 할로겐 플루오르화물 용액에서 라돈은 비휘발성이며 RnF+ 및 Rn2+ 양이온으로 존재한다. 플루오르화물 음이온을 첨가하면 베릴륨(II) 및 알루미늄(III)의 화학과 유사하게 및 착물이 형성된다.[24] Rn2+/Rn 쌍의 표준 전극 전위는 +2.0 V로 추정되었지만,[34] 수용액에서 안정적인 라돈 이온 또는 화합물이 형성된다는 증거는 없다.[24]

4. 1. 비활성 기체

라돈은 비활성 기체로, 화학 반응성이 매우 낮다.[23] 바깥쪽 원자가전자껍질에 8개의 전자가 있어 연소와 같은 대부분의 일반적인 화학 반응에 불활성이다.[16] 이는 바깥쪽 전자가 단단히 결합되어 안정적이고 최소 에너지 배열을 생성하기 때문이다.[16] 라돈의 제1 이온화 에너지(하나의 전자를 떼어내는 데 필요한 최소 에너지)는 1037 kJ/mol이다.[17] 주기적 경향에 따라 라돈은 크세논보다 전기음성도가 낮아 반응성이 더 높다. 초기 연구에서는 라돈 수화물의 안정성이 염소() 또는 이산화황() 수화물과 비슷하고, 황화수소() 수화물보다 훨씬 높을 것이라고 결론지었다.[18]

라돈은 액체 할로겐 플루오르화물인 ClF, , , , 및 과 반응하여 를 형성한다. 할로겐 플루오르화물 용액에서 라돈은 비휘발성이며 RnF+ 및 Rn2+ 양이온으로 존재한다. 플루오르화물 음이온을 첨가하면 및 착물이 형성된다.[24] Rn2+/Rn 쌍의 표준 전극 전위는 +2.0 V로 추정되었지만,[34] 수용액에서 안정적인 라돈 이온 또는 화합물이 형성된다는 증거는 없다.[24]

라돈의 비용과 방사능 때문에 실험 화학 연구는 거의 수행되지 않았으며, 보고된 라돈 화합물은 플루오르화물 또는 산화물뿐이다.[19] 라돈은 플루오린과 같은 강력한 산화제에 의해 산화되어 이플루오르화라돈()을 형성할 수 있다.[19] 523 K 이상의 온도에서 원소로 다시 분해되며, 물에 의해 라돈 기체와 플루오르화수소로 환원된다. 수소 기체에 의해서도 원소로 환원될 수 있다.[24] 이론적 연구는 Rn–F 결합 거리가 2.08 Å(옹스트롬)이고, 이 화합물이 이플루오르화크세논()보다 더 안정적이고 덜 휘발성일 것이라고 예측한다.[20] 은 이플루오르화라돈보다 더 낮은 생성 엔탈피를 가질 것으로 예측되었다.[21] [RnF]+ 이온은 다음 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여겨진다.[22]

: Rn (g) + 2 (s) → (s) + 2 (g)

라돈 산화물은 보고된 라돈 화합물 중 하나이며,[25] 삼산화물()만이 확인되었다.[27] 고급 플루오르화물인 와 가 주장되었고[27] 안정적인 것으로 계산되었지만,[26] 확인이 불분명하다.[27] 전기이동 연구는 약산성 수용액(pH > 5)에서 라돈의 양이온 형태인 [HRnO3]+ 및 음이온 형태인 [HRnO4]의 존재를 시사한다.[27]

라돈의 고급 플루오르화물을 확인하기 어려운 것은 이플루오르화라돈()의 강한 이온성과 RnF+에서 라돈의 높은 양전하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29][30] 는 사플루오르화크세논()과 유사한 안정성을 가져야 하지만, 는 육플루오르화크세논()보다 훨씬 덜 안정적일 것이다. 정팔면체 분자일 가능성이 높으며, 의 왜곡된 팔면체 구조와는 다르다. 이는 불활성 전자쌍 효과 때문이다.[29][30]

라돈 카르보닐(RnCO)은 안정적이고 선형 분자 기하를 가질 것으로 예측되었다.[31] 및 RnXe 분자는 스핀-궤도 결합에 의해 상당히 안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32] 풀러렌 내에 갇힌 라돈은 종양 치료제로 제안되었다.[33] 은 화학적으로 매우 불안정해야 한다(XeF8은 열역학적으로 불안정함). 가장 안정적인 Rn(VIII) 화합물은 과크세논산바륨과 유사한 과라도네이트바륨(Ba2RnO6)일 것으로 예측된다.[26]

4. 2. 화합물

라돈은 비활성 기체로, 화학적으로 매우 반응성이 낮다.[23] 바깥쪽 원자가전자껍질에 8개의 전자가 있어 연소와 같은 대부분의 일반적인 화학 반응에 불활성이다.[16] 이는 바깥쪽 전자가 단단히 결합되어 안정적이고 최소 에너지 배열을 생성하기 때문이다.[16] 라돈의 제1 이온화 에너지는 1037 kJ/mol이다.[17] 주기적 경향에 따라 라돈은 크세논보다 전기음성도가 낮아 반응성이 더 높다. 초기 연구에서는 라돈 수화물의 안정성이 염소() 또는 이산화황() 수화물과 비슷하고, 황화수소() 수화물보다 훨씬 높을 것이라고 결론지었다.[18]

라돈의 비용과 방사능 때문에 실험 화학 연구는 거의 수행되지 않았으며, 보고된 라돈 화합물은 플루오르화물 또는 산화물뿐이다.[19] 라돈은 플루오린과 같은 강력한 산화제에 의해 산화되어 이플루오르화라돈()을 형성할 수 있다.[19] 이플루오르화라돈은 523 K 이상의 온도에서 원소로 다시 분해되며, 물에 의해 라돈 기체와 플루오르화수소로 환원된다. 수소 기체에 의해서도 원소로 환원될 수 있다.[24] 이론적 연구는 Rn–F 결합 거리가 2.08 Å이고, 이 화합물이 이플루오르화크세논()보다 열역학적으로 더 안정적이고 덜 휘발성일 것이라고 예측한다.[20] 팔면체 분자인 육플루오르화라돈()은 이플루오르화라돈보다 더 낮은 생성 엔탈피를 가질 것으로 예측되었다.[21] [RnF]+ 이온은 다음 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여겨진다.[22]

: Rn (g) + 2 (s) → (s) + 2 (g)

오산화안티몬, 삼플루오르화염소 및 은 라돈-플루오린 화합물 형성으로 인해 우라늄 광산에서 라돈 가스 제거를 위해 고려되어 왔다.[23] 라돈 화합물은 라듐 할라이드에서 라듐의 붕괴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반응은 조사 중에 표적에서 방출되는 라돈의 양을 줄이는 데 사용되었다.[24] 또한, [RnF]+ 양이온과 , 및 음이온의 염이 알려져 있다.[24] 라돈은 또한 173 K에서 이플루오르화이산소에 의해 로 산화된다.[24]

라돈 산화물 중에서는 삼산화물()만이 확인되었다.[25][27] 고급 플루오르화물인 와 가 주장되었고[27] 안정적인 것으로 계산되었지만,[26] 확인이 불분명하다.[27] 크세논, 플루오린, 오플루오르화브롬, 그리고 플루오르화나트륨 또는 플루오르화니켈 중 하나와 라돈을 미량 가열하여 고급 플루오르화물을 생성하는 것으로 주장되었으며, 이는 를 형성하도록 가수분해되었다. 라돈이 와 함께 수용액에서 공침한다는 사실은 가 형성되었다는 것을 확인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졌다.[27] 전기이동 연구는 약산성 수용액(pH > 5)에서 라돈의 양이온 형태인 [HRnO3]+ 및 음이온 형태인 [HRnO4]의 존재를 시사한다.[27]

붕괴 기술도 사용되었다. 1982년에 212Fr 화합물이 세슘 유사체와 공결정화된 경우 전자 포획 후 화학적으로 결합된 라돈을 보유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는데, 크세논과의 유사성은 RnO3의 형성을 시사했지만 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28]

고급 라돈 플루오르화물을 확인하기 어려운 것은 이플루오르화라돈()의 강한 이온성과 RnF+에서 라돈의 높은 양전하 때문에 라돈이 2가 상태를 넘어 산화되는 것이 동역학적으로 방해받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29][30] 는 사플루오르화크세논()과 유사한 안정성을 가져야 하지만, 는 육플루오르화크세논()보다 훨씬 덜 안정적일 것이다.[29]

라돈 카르보닐(RnCO)은 안정적이고 선형 분자 기하를 가질 것으로 예측되었다.[31] 및 RnXe 분자는 스핀-궤도 결합에 의해 상당히 안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32] 풀러렌 내에 갇힌 라돈은 종양 치료제로 제안되었다.[33] Xe(VIII)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Rn(VIII) 화합물은 존재하는 것으로 주장되지 않았다. 은 화학적으로 매우 불안정해야 한다(XeF8은 열역학적으로 불안정함). 가장 안정적인 Rn(VIII) 화합물은 과크세논산바륨과 유사한 과라도네이트바륨(Ba2RnO6)일 것으로 예측된다.[26]

라돈은 액체 할로겐간 화합물인 ClF, , , , 및 과 반응하여 를 형성한다. 할로겐 플루오르화물 용액에서 라돈은 비휘발성이며 RnF+ 및 Rn2+ 양이온으로 존재한다. 플루오르화물 음이온을 첨가하면 및 착물이 형성된다.[24] Rn2+/Rn 쌍의 표준 전극 전위는 +2.0 V로 추정되었지만, 수용액에서 안정적인 라돈 이온 또는 화합물이 형성된다는 증거는 없다.[34][24]

5. 동위원소

라돈에는 안정 동위원소가 없다. 193부터 231까지의 질량수를 가진 39가지의 방사성 동위원소가 확인되었다.[35][36] 그중 217부터 222까지 여섯 가지는 자연적으로 발생한다. 가장 안정적인 동위원소는 222Rn (반감기 3.82일)이며, 이는 226Ra의 붕괴 생성물이고, 후자는 238U의 붕괴 생성물이다.[37] 미량의 (매우 불안정한) 동위원소 218Rn (반감기 약 35 밀리초)도 222Rn의 붕괴 생성물 중 하나이다. 동위원소 216Rn은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216Po의 이중 베타 붕괴에 의해 생성될 수 있지만, 에너지적으로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이 과정은 관측된 적이 없다.[38]

반감기가 1시간 이상인 다른 세 가지 라돈 동위원소(211Rn, 210Rn, 224Rn)는 자연적으로 발생하지 않는다. 220Rn은 토론(thoron영어)이라고도 불리며, 가장 안정적인 토륨 동위원소(232Th)의 자연 붕괴 생성물이다. 반감기는 55.6초이며 알파 붕괴를 방출한다. 마찬가지로, 219Rn은 가장 안정적인 악티늄 동위원소(227Ac) – 악티논(actinon영어)이라고 부름 – 에서 유래하며, 반감기가 3.96초인 알파 붕괴 방출체이다.[35]222Rn은 라듐 및 238U 붕괴 사슬에 속하며, 반감기는 3.8235일이다. 그 첫 네 가지 생성물(미미한 붕괴 방식 제외)은 매우 반감기가 짧아, 해당 붕괴는 초기 라돈 분포를 나타낸다. 붕괴 과정은 다음과 같다.[35]


  • 222Rn, 3.82일, 알파 붕괴하여…
  • 218Po, 3.10분, 알파 붕괴하여…
  • 214Pb, 26.8분, 베타 붕괴하여…
  • 214Bi, 19.9분, 베타 붕괴하여…
  • 214Po, 0.1643 ms, 알파 붕괴하여…
  • 210Pb, 반감기가 훨씬 긴 22.3년, 베타 붕괴하여…
  • 210Bi, 5.013일, 베타 붕괴하여…
  • 210Po, 138.376일, 알파 붕괴하여…
  • 206Pb, 안정적.
222Rn의 붕괴 생성물은 수십 분의 반감기로 고에너지의 알파선 3개와 베타선 2개의 방사선을 방출하여 210Pb(약 22년)에 이른다.

라돈 평형 계수[39]는 모든 단기 라돈 자손핵종(라돈의 대부분의 생물학적 영향에 책임이 있음)의 활동도와 라돈 모핵종과 평형 상태일 때의 활동도의 비율이다. 밀폐된 공간에 라돈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면, 단기 동위원소의 농도는 평형 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증가한다. 두 활동도가 같을 때 평형 계수는 1이며, 붕괴 생성물이 몇 시간 이내에 평형에 도달할 만큼 라돈 모핵종에 가까이 머물렀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조건 하에서는 라돈이 pCi/L 단위로 추가될 때마다 방사선 노출이 0.01 ''작업 수준''(WL, 광산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사능 측정 단위)만큼 증가한다. 많은 가정에서 평형 계수는 일반적으로 40%이다.[68] 210Pb은 환경 요인에 따라 라돈과 평형을 이루는 데 훨씬 더 오랜 시간이 걸리지만,[40] 장기간 먼지 축적을 허용하는 경우, 210Pb 및 그 붕괴 생성물 또한 전체 방사선 수준에 기여할 수 있다. 라돈 자손핵종은 정전기적 전하 때문에 표면이나 먼지 입자에 부착되는 반면, 기체 라돈은 그렇지 않다. 부착은 이들을 공기 중에서 제거하여 일반적으로 대기 중 평형 계수를 1 미만으로 만든다. 평형 계수는 공기 순환 또는 공기 여과 장치에 의해 낮아지고, 담배 연기 등의 공기 중 먼지 입자에 의해 높아진다. 역학 연구에서 발견된 평형 계수는 0.4이다.[42]

라돈의 동위원소 중에는 특히 이름이 붙은 것이 있다. 222Rn을 좁은 의미로 라돈, 220Rn을 '''토론'''(thoron영어, 기호 Tn), 219Rn을 '''악티논'''(actinon영어, 기호 An)이라고 부른다. 이 명칭들은 라듐, 토륨, 악티늄의 붕괴에 의해 얻어지는 데서 유래하며, 각각 다른 기체로 여겨졌던 시절의 흔적이다.222Rn은 WHO의 하부 기관 IARC에 의해 발암성이 있다고 (Type1) 권고되었으며, 토양에 포함된 라돈이 지하실에 축적되는 등의 위험성이 지적되고 있다.

5. 1. 주요 동위원소

라돈에는 안정 동위원소가 없다. 193부터 231까지의 질량수를 가진 39가지의 방사성 동위원소가 확인되었다.[35][36] 그중 217부터 222까지 여섯 가지는 자연적으로 발생한다. 가장 안정적인 동위원소는 222Rn (반감기 3.82일)이며, 이는 226Ra의 붕괴 생성물이고, 후자는 238U의 붕괴 생성물이다.[37] 미량의 (매우 불안정한) 동위원소 218Rn (반감기 약 35 밀리초)도 222Rn의 붕괴 생성물 중 하나이다. 동위원소 216Rn은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216Po의 이중 베타 붕괴에 의해 생성될 수 있지만, 에너지적으로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이 과정은 관측된 적이 없다.[38]

반감기가 1시간 이상인 다른 세 가지 라돈 동위원소(211Rn, 210Rn, 224Rn)는 자연적으로 발생하지 않는다. 220Rn은 토론(thoron)이라고도 불리며, 가장 안정적인 토륨 동위원소(232Th)의 자연 붕괴 생성물이다. 반감기는 55.6초이며 알파 붕괴를 방출한다. 마찬가지로, 219Rn은 가장 안정적인 악티늄 동위원소(227Ac) – 액티논(actinon)이라고 부름 – 에서 유래하며, 반감기가 3.96초인 알파 붕괴 방출체이다.[35]222Rn은 라듐 및 238U 붕괴 사슬에 속하며, 반감기는 3.8235일이다. 그 첫 네 가지 생성물(미미한 붕괴 방식 제외)은 매우 반감기가 짧아, 해당 붕괴는 초기 라돈 분포를 나타낸다. 붕괴 과정은 다음과 같다.[35]

  • 222Rn, 3.82일, 알파 붕괴하여…
  • 218Po, 3.10분, 알파 붕괴하여…
  • 214Pb, 26.8분, 베타 붕괴하여…
  • 214Bi, 19.9분, 베타 붕괴하여…
  • 214Po, 0.1643 ms, 알파 붕괴하여…
  • 210Pb, 반감기가 훨씬 긴 22.3년, 베타 붕괴하여…
  • 210Bi, 5.013일, 베타 붕괴하여…
  • 210Po, 138.376일, 알파 붕괴하여…
  • 206Pb, 안정적.
222Rn의 붕괴 생성물은 수십 분의 반감기로 고에너지의 알파선 3개와 베타선 2개의 방사선을 방출하여 210Pb(약 22년)에 이른다.

라돈 평형 계수[39]는 모든 단기 라돈 자손핵종(라돈의 대부분의 생물학적 영향에 책임이 있음)의 활동도와 라돈 모핵종과 평형 상태일 때의 활동도의 비율이다. 밀폐된 공간에 라돈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면, 단기 동위원소의 농도는 평형 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증가한다. 두 활동도가 같을 때 평형 계수는 1이며, 붕괴 생성물이 몇 시간 이내에 평형에 도달할 만큼 라돈 모핵종에 가까이 머물렀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조건 하에서는 라돈이 pCi/L 단위로 추가될 때마다 방사선 노출이 0.01 ''작업 수준''(WL, 광산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사능 측정 단위)만큼 증가한다. 많은 가정에서 평형 계수는 일반적으로 40%이다.[68] 210Pb은 환경 요인에 따라 라돈과 평형을 이루는 데 훨씬 더 오랜 시간이 걸리지만,[40] 장기간 먼지 축적을 허용하는 경우, 210Pb 및 그 붕괴 생성물 또한 전체 방사선 수준에 기여할 수 있다. 라돈 자손핵종은 정전기적 전하 때문에 표면이나 먼지 입자에 부착되는 반면, 기체 라돈은 그렇지 않다. 부착은 이들을 공기 중에서 제거하여 일반적으로 대기 중 평형 계수를 1 미만으로 만든다. 평형 계수는 공기 순환 또는 공기 여과 장치에 의해 낮아지고, 담배 연기 등의 공기 중 먼지 입자에 의해 높아진다. 역학 연구에서 발견된 평형 계수는 0.4이다.[42]

라돈의 동위원소 중에는 특히 이름이 붙은 것이 있다. 222Rn을 좁은 의미로 라돈, 220Rn을 '''토론'''(thoron영어, 기호 Tn), 219Rn을 '''악티논'''(actinon영어, 기호 An)이라고 부른다. 이 명칭들은 라듐, 토륨, 악티늄의 붕괴에 의해 얻어지는 데서 유래하며, 각각 다른 기체로 여겨졌던 시절의 흔적이다.222Rn은 WHO의 하부 기관 IARC에 의해 발암성이 있다고 (Type1) 권고되었으며, 토양에 포함된 라돈이 지하실에 축적되는 등의 위험성이 지적되고 있다.

5. 2. 토론과 악티논

라돈에는 안정 동위원소가 없으며, 질량수 193부터 231까지 39가지의 방사성 동위원소가 확인되었다.[35][36] 이 중 217Rn, 218Rn, 219Rn, 220Rn, 221Rn, 222Rn 여섯 가지는 자연적으로 발생한다. 가장 안정적인 동위원소는 222Rn (반감기 3.82일)이며, 이는 226Ra의 붕괴 생성물이고, 후자는 238U의 붕괴 생성물이다.[37] 미량의 218Rn (반감기 약 35 밀리초)도 222Rn의 붕괴 생성물 중 하나이다. 216Rn은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Po의 이중 베타 붕괴에 의해 생성될 수 있지만, 에너지적으로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이 과정은 관측된 적이 없다.[38]

반감기가 1시간 이상인 라돈 동위원소는 211Rn (약 15시간), 210Rn (2.4시간), 224Rn (약 1.8시간) 세가지 이다. 그러나 이 세 가지 동위원소는 자연적으로 발생하지 않는다. 220Rn은 토론(thoron)이라고도 불리며, 가장 안정적인 토륨 동위원소(232Th)의 자연 붕괴 생성물이다. 반감기는 55.6초이며 알파 붕괴를 방출한다. 219Rn은 가장 안정적인 악티늄 동위원소(227Ac)에서 유래하며 악티논(actinon)이라고 부르고, 반감기가 3.96초인 알파 붕괴 방출체이다.[35]

가장 반감기가 긴 222Rn은 238U을 시작으로 하는 우라늄 계열에 속하며, 기원은 238U(반감기 4.468×109년) → 234U(2.455×105년) → 230Th(7.538×104년) → 226Ra(1600년) → 222Rn(3.8일)이다.222Rn의 붕괴 생성물은 수십 분의 반감기로 고에너지의 알파선 3개와 베타선 2개의 방사선을 방출하여 210Pb(약 22년)에 이른다.

라돈의 동위원소 중에는 특히 이름이 붙은 것이 있다. 222Rn을 좁은 의미로 라돈, 220Rn을 '''토론'''(thoron, 기호 Tn), 219Rn을 '''악티논'''(actinon, 기호 An)이라고 부른다. 라듐, 토륨, 악티늄의 붕괴에 의해 얻어지는 데서 유래하며, 각각 다른 기체로 여겨졌던 시절의 흔적이다.222Rn은 WHO의 하부 기관 '''IARC'''에 의해 발암성이 있다고 (Type1) 권고되었으며, 토양에 포함된 라돈이 지하실에 축적되는 등의 위험성이 지적되고 있다.

6. 발생



라돈의 모핵종인 우라늄은 지하 깊은 곳에 있으며 마그마의 상승과 함께 지표로 운반된다. 마그마가 비교적 천천히 굳으면, 화강암에서 볼 수 있듯이 장석, 석영, 운모의 결정이 크게 성장한다. 그 결과 우라늄 등 다른 원소 성분은 결정 사이의 틈으로 밀려난다. 풍화에 의해 결정 사이의 우라늄이 암석에서 방출되고, 하천 상류 등 산화 환경에서 물에 녹기 쉬운 우라닐착물로서 물에 의해 운반된다. 수중 우라늄은 선상지단층 등 하천수가 지하수화하기 쉬운 환원 환경에서 퇴적층에 반복적으로 농집되어 우라늄, 라듐, 라돈 농도가 높은 지층이 형성된다.

6. 1. 자연 발생

라돈은 우라늄 광석, 인산염암, 셰일, 화강암, 편마암, 편암과 같은 화성암 및 변성암, 그리고 석회암과 같은 일반적인 암석에도 소량 존재하는 라듐-226의 방사성 붕괴에 의해 생성된다.[4][73] 지표면 토양 1평방마일(약 2.6km²)의 깊이 15cm까지 약 1g의 라듐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소량의 라돈을 대기 중으로 방출한다.[2] 전 세계적으로 매년 토양에서 약 24억 큐리(90 EBq)의 라돈이 방출되는 것으로 추정된다.[74]

라돈 농도는 장소에 따라 크게 다르다. 야외에서는 1~100 Bq/m³의 범위이며, 바다 위에서는 그보다 더 낮은 0.1 Bq/m³이다. 동굴이나 환기가 잘 되는 광산 또는 환기가 잘 안 되는 주택에서는 농도가 더 높게 나타난다.[75] 광산 환경에서는 라돈 농도가 훨씬 더 높을 수 있다.

라돈은 주로 우라늄/라듐 계열(Rn)과 함께 나타나며, 토륨 계열(Rn)과는 미미하게 나타난다. 이 원소는 우라늄이나 토륨의 흔적이 발견되는 전 세계의 지면과 일부 건축 자재에서 자연적으로 방출되며, 특히 우라늄 농도가 높은 화강암이나 셰일이 포함된 토양이 있는 지역에서 그렇다. 라돈은 비활성 기체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단층과 파편화된 토양을 통해 자유롭게 이동하며, 동굴이나 물에 축적될 수 있다. 매우 짧은 반감기( Rn의 경우 4일) 때문에 생산 지역과의 거리가 멀어지면 라돈 농도는 매우 빠르게 감소한다. 라돈 농도는 계절과 대기 조건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77]

일부 광천수와 온천에서 라돈의 농도가 높게 나타날 수 있다.[78] 미국의 몬태나주 볼더, 일본 미사사, 독일 바트 크로이츠나흐 등은 라돈을 방출하는 라듐이 풍부한 온천을 보유하고 있다.

지구 대기의 자연 라돈 농도는 매우 낮기 때문에 대기와 접촉하는 라돈이 풍부한 물은 휘발에 의해 지속적으로 라돈을 잃게 된다. 따라서 지하수는 지표수보다 Rn 농도가 더 높다.[80]

1971년, 아폴로 15호는 달의 아리스타르쿠스 고원 상공에서 Rn의 붕괴로 인한 것으로 생각되는 알파 입자의 상당한 증가를 감지했다.[81]

일부 석유에서 라돈이 발견된다. 라돈은 프로판과 유사한 압력 및 온도 곡선을 가지고 있으며, 정유소에서 새로 분리된 프로판을 운반하는 배관은 붕괴되는 라돈과 그 생성물로 인해 오염될 수 있다.[82] 석유 및 천연가스 산업의 잔류물에는 종종 라듐과 그 자손이 포함되어 있으며, 유정의 황산염 스케일은 라듐이 풍부할 수 있다.[82]

라돈의 모핵종인 우라늄은 지하 깊은 곳에 있으며 마그마의 상승과 함께 지표로 운반된다. 마그마가 비교적 천천히 굳으면, 화강암에서 볼 수 있듯이 장석, 석영, 운모의 결정이 크게 성장한다. 그 결과 우라늄 등 다른 원소 성분은 결정 사이의 틈으로 밀려난다. 풍화에 의해 결정 사이의 우라늄이 암석에서 방출되고, 하천 상류 등 산화 환경에서 물에 녹기 쉬운 우라닐착물로서 물에 의해 운반된다. 수중 우라늄은 선상지단층 등 하천수가 지하수화하기 쉬운 환원 환경에서 퇴적층에 반복적으로 농집되어 우라늄, 라듐, 라돈 농도가 높은 지층이 형성된다.

6. 2. 건물 내 발생

라돈은 대부분 지면과 접촉하는 건물의 가장 낮은 층을 통해 토양에서 건물로 직접 유입된다.[11] 수돗물의 라돈 수치가 높으면 실내 라돈 공기 수치도 증가할 수 있다.[11] 건물로 라돈이 유입되는 일반적인 경로는 견고한 기초와 벽의 균열, 건축 이음매, 매달린 바닥과 서비스 파이프 주변의 틈, 벽 내부의 공동 및 급수관이다.[11]

1956년, 스웨덴에서 라돈 붕괴 생성물에 대한 최초의 실내 조사가 수행되었을 가능성이 높다.[83] 1975년부터 1984년까지 스웨덴, 오스트리아, 미국, 노르웨이에서 실내 및 대도시 지역의 라돈 측정을 목표로 소규모 연구가 진행되었다.[62]

주택에서 일반적인 로그 정규 라돈 분포


미국 주택 중 EPA 권장 조치 수준(4 pCi/L)을 초과하는 라돈 농도를 가진 주택의 예상 비율


1984년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몽고메리 카운티에 있는 리머릭 발전소(Limerick Generating Station)에서 발전소 건설 엔지니어인 스탠리 와트라스(Stanley Watras)가 방사성 물질에 오염되면서 가정 내 라돈 농도의 심각성이 알려졌다. 그의 집 지하실 라돈 수치는 100,000 Bq/m³(2.7 nCi/L)을 초과하는 것으로 밝혀졌다.[84] 이 사건은 특정 주택의 라돈 수치가 일반적인 수치보다 수십 배에서 수백 배 이상 높을 수 있다는 사실을 강조했다.[85]

미국에서 일반적인 가정 노출량은 실내에서 약 100 Bq/m³(2.7 pCi/L)이다. 모든 건물에는 어느 정도의 라돈이 존재한다. 같은 장소의 라돈 농도는 1시간 만에 두 배 또는 절반으로 차이가 날 수 있으며, 건물의 한 방의 농도는 인접한 방의 농도와 상당히 다를 수 있다.[2] 라돈 농도 분포는 일반적으로 방마다 다르며, 실내 라돈 농도는 일반적으로 특정 지역에서 로그 정규 분포를 따르는 것으로 가정한다.[86]

미국에서 라돈 위험이 가장 높은 지역 중 일부는 아이오와주(Iowa)(Iowa)와 펜실베이니아주 남동부의 애팔래치아 산맥(Appalachian Mountains)(Appalachian Mountains) 지역이다.[89] 아이오와 시티(Iowa City)(Iowa City)와 같은 주 내 많은 도시에서는 신규 주택에 라돈 방지 건축 요건을 도입했다.

바르샤바 공과대학교(Warsaw University of Technology)(Warsaw University of Technology)에서 토양 라돈 농도를 측정하는 고정 위치 장치


라돈은 무색, 무취의 기체이므로, 공기나 물에 얼마나 많은 라돈이 있는지 확인하는 유일한 방법은 검사를 수행하는 것이다. 미국에서는 EPA에서 모든 주택에 대한 라돈 검사를 권장한다. 실내 라돈 수치를 줄이려는 노력을 라돈 저감(radon mitigation)(radon mitigation)이라고 한다.

라돈의 모핵종인 우라늄은 지하 깊은 곳에 있으며 마그마의 상승과 함께 지표로 운반된다. 마그마가 비교적 천천히 굳으면, 화강암에서 볼 수 있듯이 장석, 석영, 운모의 결정이 크게 성장한다. 풍화에 의해 결정 사이의 우라늄이 암석에서 방출되고, 하천 상류 등 산화 환경에서 물에 녹기 쉬운 우라닐착물로서 물에 의해 운반된다. 수중 우라늄은 선상지단층 등 하천수가 지하수화하기 쉬운 환원 환경에서 퇴적층에 반복적으로 농집되어 우라늄, 라듐, 라돈 농도가 높은 지층이 형성된다.

6. 3. 대한민국 내 발생

라돈의 모핵종인 우라늄은 지하 깊은 곳에서 마그마의 상승과 함께 지표로 운반된다. 마그마가 비교적 천천히 굳으면, 화강암에서 볼 수 있듯이 장석, 석영, 운모의 결정이 크게 성장한다. 그 결과 우라늄 등 다른 원소 성분은 결정 사이의 틈으로 밀려난다. 풍화에 의해 결정 사이의 우라늄이 암석에서 방출되고, 하천 상류 등 산화 환경에서 물에 녹기 쉬운 우라닐착물로서 물에 의해 운반된다. 수중 우라늄은 선상지단층 등 하천수가 지하수화하기 쉬운 환원 환경에서 퇴적층에 반복적으로 농집되어 우라늄, 라듐, 라돈 농도가 높은 지층이 형성된다.

7. 위험성

wikitext

라돈은 우라늄, 토륨에서 발생하며 건물의 미세한 균열이나 노출된 지표면을 통해 건물 내부, 특히 지하에서 발견될 수 있다.[217] 공기보다 무거워 환기가 잘 안 되는 곳에 축적되며, 고농도의 라돈은 폐암의 주요 원인이 된다.[217] 특히 비흡연자의 폐암 발생 제1원인으로 추정되며,[217] 북미, 서구권에서는 실내 라돈 환경 기준치를 설정하여 규제하고 관련 산업도 활발하다.[217]

최근 대한민국에서도 건축 자재 및 일부 생활 제품에서 기준치 이상의 라돈이 검출되고 있으며, 비흡연자의 폐암 발생률 증가와 관련이 있다.[217] 고층 건물에서도 라돈이 검출되는데, 이는 라돈 함유 자재 사용 때문이다.[217] 신축 콘크리트 건축물에서도 라돈이 기준치 이상 검출되고 있다.[217] 실내 라돈 축적을 줄이려면 외부 환기를 자주 해야 한다.

주방 가스렌지가 비흡연자 폐암 발생률 증가의 원인으로 지목되기도 했으나, 이는 잘못된 사실이며 흡연 다음으로 라돈이 주택 내 폐암의 주요 원인일 확률이 매우 높다. 대한민국은 지질학적 특성상 라돈에 매우 취약한 국가로 분류된다.

국제암연구소는 라돈 붕괴 생성물을 인체 발암성 물질로 분류했으며,[123] 라돈 노출은 폐암과 연관된다.[124][125][126][127] 1940~50년대 우라늄 광산 등에서 환기 시설 미비로 광부들의 폐암 발생이 증가했으며,[124][127] 1970년대까지 직업병 위험이 제대로 관리되지 않았다.[127] 일부 사업가들은 폐쇄된 우라늄 광산을 일반인에게 개방하고 라돈 가스 흡입의 건강상 이점을 광고했으나,[128] 1975년 정부는 이를 금지했다.[129]



우라늄 광석 처리 잔류물도 라돈의 원천이 될 수 있으며,[2] 노출된 폐기장과 폐기물 저장소의 높은 라듐 함량으로 인해 라돈이 대기 중으로 방출되어 인근 주민에게 영향을 줄 수 있다.[133] 토양이나 점토로 폐기물을 덮으면 라돈 방출을 줄일 수 있지만, 다른 붕괴 생성물이 지하수로 유입될 수 있다.[134]

최근 우라늄 광부의 연평균 노출량은 감소했지만,[131] 과거에 일했던 사람들에게는 건강 문제가 지속될 수 있다.[131] 우라늄 광산이 아닌 광산은 라돈 노출 위험이 더 높을 수 있으며,[135] 특히 인과 염전과 같은 비금속 광산에서 라돈 농도가 높게 나타났다.[135] 폐암 외에도 라돈 노출과 백혈병, 특히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과의 상관관계도 연구되고 있다.[137][138] 방사선 관련 질병 보상 계획(영국)[139] 및 방사선 노출 보상 법(미국)[140]과 같은 프로그램을 통해 라돈 및 방사선 노출 피해자에게 보상이 이루어졌다.

라돈은 미국에서 폐암의 두 번째 주요 원인이자 주요 환경적 암 사망 원인이며,[141] 영국[131]과 프랑스[143]에서도 유사한 결론이 나왔다. 건물 내 라돈 노출은 지하 암석층과 특정 건축 자재에서 발생하며,[144] 기밀성이 높고 환기가 불충분하며 기초 누수가 있는 건물에서 위험이 크다.[150]

미국, 유럽, 중국의 연구에서 라돈 노출과 폐암의 관련성이 확인되었다. 미국에서는 매년 약 2만 1천 명이 라돈 유발 폐암으로 사망하며,[146][147] 유럽에서는 모든 암의 2%가 라돈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148] R. 윌리엄 필드(R. William Field)의 연구는 4 pCi/L의 장기간 노출에도 폐암 위험이 50% 증가함을 보여주었다.[150] 그러나 저농도 라돈 노출의 위험성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으며,[151] 100 Bq/m3 이상의 수준에서만 위험이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148]

토론(토론/Thoron영어) (220Rn)은 짧은 반감기 때문에 연구가 덜 되었지만, 흙으로 지은 건축물[152]과 토륨, 모나자이트가 풍부한 지역[153]에서 높은 농도로 측정되었다.

주거 내 라돈 농도와 폐암 위험 관계에 대한 연구 결과, 실내 라돈에 의한 위험은 선량에 의존하며, 시간 가중 평균 노출값 150 Bq/m3당 24%의 폐암 위험 증가가 나타났다.[204] 유럽 9개국의 연구에서는 100 Bq/m3당 16%의 폐암 위험 증가를 보였으며,[205] 소세포폐암의 위험이 더 높았다.[206]

세계보건기구(WHO)는 2005년 라돈을 흡연 다음으로 중요한 폐암 위험 요인으로 지적하고,[209][210] 2005년 국제 라돈 프로젝트를 시작하여[209] 2009년 "실내 라돈 관련 WTO 핸드북"을 발표했다.[211] 2004년 유럽의 연구에서는 100 Bq/m3 수준에서도 폐암 위험이 유의미하게 높고, 선량-효과 관계가 역치 없이 직선적이라는 결과가 나왔다.[212][213] 많은 국가에서 200~400 Bq/m3의 실내 라돈 농도를 허용하고 있다.[214]

미국 환경보호청(EPA)은 라돈에 안전량이 없으며, 약간의 노출이라도 암 위험을 초래한다고 보고 있다. 미국국립과학원은 매년 1만 5천 명에서 2만 2천 명의 미국인이 실내 라돈 관련 폐암으로 사망한다고 추정한다.[215][216]

7. 1. 폐암 유발

라돈은 우라늄, 토륨에서 발생하며 건물의 미세한 균열이나 노출된 지표면을 통해 건물 내부, 특히 지하에서 발견될 수 있다.[217] 공기보다 무거워 환기가 잘 안 되는 곳에 축적되며, 고농도의 라돈은 폐암의 주요 원인이 된다.[217] 특히 비흡연자의 폐암 발생 제1원인으로 추정되며,[217] 북미, 서구권에서는 실내 라돈 환경 기준치를 설정하여 규제하고 관련 산업도 활발하다.[217]

최근 대한민국에서도 건축 자재 및 일부 생활 제품에서 기준치 이상의 라돈이 검출되고 있으며, 비흡연자의 폐암 발생률 증가와 관련이 있다.[217] 고층 건물에서도 라돈이 검출되는데, 이는 라돈 함유 자재 사용 때문이다.[217] 신축 콘크리트 건축물에서도 라돈이 기준치 이상 검출되고 있다.[217] 실내 라돈 축적을 줄이려면 외부 환기를 자주 해야 한다.

주방 가스렌지가 비흡연자 폐암 발생률 증가의 원인으로 지목되기도 했으나, 이는 잘못된 사실이며 흡연 다음으로 라돈이 주택 내 폐암의 주요 원인일 확률이 매우 높다. 대한민국은 지질학적 특성상 라돈에 매우 취약한 국가로 분류된다.

국제암연구소는 라돈 붕괴 생성물을 인체 발암성 물질로 분류했으며,[123] 라돈 노출은 폐암과 연관된다.[124][125][126][127] 1940~50년대 우라늄 광산 등에서 환기 시설 미비로 광부들의 폐암 발생이 증가했으며,[124][127] 1970년대까지 직업병 위험이 제대로 관리되지 않았다.[127] 일부 사업가들은 폐쇄된 우라늄 광산을 일반인에게 개방하고 라돈 가스 흡입의 건강상 이점을 광고했으나,[128] 1975년 정부는 이를 금지했다.[129]

우라늄 광석 처리 잔류물도 라돈의 원천이 될 수 있으며,[2] 노출된 폐기장과 폐기물 저장소의 높은 라듐 함량으로 인해 라돈이 대기 중으로 방출되어 인근 주민에게 영향을 줄 수 있다.[133] 토양이나 점토로 폐기물을 덮으면 라돈 방출을 줄일 수 있지만, 다른 붕괴 생성물이 지하수로 유입될 수 있다.[134]

최근 우라늄 광부의 연평균 노출량은 감소했지만,[131] 과거에 일했던 사람들에게는 건강 문제가 지속될 수 있다.[131] 우라늄 광산이 아닌 광산은 라돈 노출 위험이 더 높을 수 있으며,[135] 특히 인과 염전과 같은 비금속 광산에서 라돈 농도가 높게 나타났다.[135] 폐암 외에도 라돈 노출과 백혈병, 특히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과의 상관관계도 연구되고 있다.[137][138] 방사선 관련 질병 보상 계획(영국)[139] 및 방사선 노출 보상 법(미국)[140]과 같은 프로그램을 통해 라돈 및 방사선 노출 피해자에게 보상이 이루어졌다.

라돈은 미국에서 폐암의 두 번째 주요 원인이자 주요 환경적 암 사망 원인이며,[141] 영국[131]과 프랑스[143]에서도 유사한 결론이 나왔다. 건물 내 라돈 노출은 지하 암석층과 특정 건축 자재에서 발생하며,[144] 기밀성이 높고 환기가 불충분하며 기초 누수가 있는 건물에서 위험이 크다.[150]

미국, 유럽, 중국의 연구에서 라돈 노출과 폐암의 관련성이 확인되었다. 미국에서는 매년 약 2만 1천 명이 라돈 유발 폐암으로 사망하며,[146][147] 유럽에서는 모든 암의 2%가 라돈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148] R. 윌리엄 필드(R. William Field)의 연구는 4 pCi/L의 장기간 노출에도 폐암 위험이 50% 증가함을 보여주었다.[150] 그러나 저농도 라돈 노출의 위험성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으며,[151] 100 Bq/m3 이상의 수준에서만 위험이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148]

토론(토론/Thoron영어) (220Rn)은 짧은 반감기 때문에 연구가 덜 되었지만, 흙으로 지은 건축물[152]과 토륨, 모나자이트가 풍부한 지역[153]에서 높은 농도로 측정되었다.

주거 내 라돈 농도와 폐암 위험 관계에 대한 연구 결과, 실내 라돈에 의한 위험은 선량에 의존하며, 시간 가중 평균 노출값 150 Bq/m3당 24%의 폐암 위험 증가가 나타났다.[204] 유럽 9개국의 연구에서는 100 Bq/m3당 16%의 폐암 위험 증가를 보였으며,[205] 소세포폐암의 위험이 더 높았다.[206]

세계보건기구(WHO)는 2005년 라돈을 흡연 다음으로 중요한 폐암 위험 요인으로 지적하고,[209][210] 2005년 국제 라돈 프로젝트를 시작하여[209] 2009년 "실내 라돈 관련 WTO 핸드북"을 발표했다.[211] 2004년 유럽의 연구에서는 100 Bq/m3 수준에서도 폐암 위험이 유의미하게 높고, 선량-효과 관계가 역치 없이 직선적이라는 결과가 나왔다.[212][213] 많은 국가에서 200~400 Bq/m3의 실내 라돈 농도를 허용하고 있다.[214]

미국 환경보호청(EPA)은 라돈에 안전량이 없으며, 약간의 노출이라도 암 위험을 초래한다고 보고 있다. 미국국립과학원은 매년 1만 5천 명에서 2만 2천 명의 미국인이 실내 라돈 관련 폐암으로 사망한다고 추정한다.[215][216]

7. 2. 대한민국 내 위험성

라돈은 우라늄, 토륨에 의해서 발생되므로 건물의 미세한 균열이나 노출된 지표면을 통해 건물 내부, 특히 지하에서 발견될 수 있다. 공기보다 무거운 라돈은 환기가 잘 안 되는 곳에 축적되어 고농도 라돈이 되고, 이는 폐암의 주요 원인이 된다. 현재 비흡연자의 폐암 발생 제1원인으로 라돈이 추정되고 있다.[217]

최근 한국에서는 각종 건축 자재 및 일부 생활 제품에서 기준치 이상의 라돈이 검출되고 있으며, 고층 건물에서도 라돈이 기준치 이상 검출되고 있다. 이는 라돈이 함유된 자재로 건축되었기 때문이다. 신축 콘크리트 건축물에서도 라돈이 기준치 이상 검출되고 있어, 실내 라돈 축적을 줄이기 위해 외부 환기를 자주 해야 한다.[217]

흡연 다음으로 주택 내 폐암의 주요 원인은 라돈일 확률이 매우 높다. 대한민국은 지질학적 특성상 라돈으로부터 매우 위험한 국가로 분류된다.

실내 라돈에 의한 폐암 위험은 선량에 의존하며, 시간 가중 평균 노출값 150 Bq/m3당 24%의 폐암 위험 증가가 보고되었다.[204] 유럽 9개국의 13개 증례-대조 연구를 대상으로 한 풀링 분석 결과, 100 Bq/m3당 16%의 폐암 위험 증가를 보였다.[205] 특히 소세포폐암의 위험이 높았으며, 이는 라돈에 노출된 광부의 소세포암 역학 연구와도 일치한다.[206]

7. 3. 흡연과의 관계

라돈은 우라늄, 토륨에서 발생하며, 건물의 미세한 균열이나 노출된 지표면을 통해 건물 내부나 지하에 축적될 수 있다. 공기보다 무거워 환기가 잘 안 되는 곳에 쌓이기 쉬운 라돈은 고농도로 축적될 경우 폐암의 주요 원인이 된다. 특히 비흡연자의 폐암 발생 제1원인으로 추정된다.[217] 북미와 서구권에서는 실내 라돈 환경 기준치를 설정하여 규제하고 있으며, 관련 산업도 발달해 있다. 대한민국에서도 건축 자재 및 생활 제품에서 기준치 이상의 라돈이 검출되고 있으며, 신축 건물에서도 라돈이 검출되어 비흡연자의 폐암 발생률 증가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217] 실내 라돈을 줄이기 위해서는 잦은 환기가 필수적이다.

역학 연구에 따르면 주택 내 라돈 노출은 폐암 위험을 증가시키며, 특히 흡연과 상승 작용을 일으켜 위험을 더욱 높인다.[161][146] 미국 환경보호청(EPA)에 따르면 흡연자의 경우 라돈과 흡연의 상승 효과로 인해 폐암 위험이 매우 커진다.[146] 유럽 공동 연구에서는 라돈이 흡연자와 과거 흡연자에게 더 큰 위협이 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162] 또한, 폐암의 조직학적 아형에 따라 라돈 노출 위험에 차이가 있는데, 흡연과 관련성이 높은 소세포폐암은 라돈 노출 시 위험이 더 높고, 비흡연자에게 주로 발생하는 선암은 상대적으로 위험이 낮다.[162][163]

2001년 연구에서는 라돈 노출이 비흡연자의 폐암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특히 가정에서 담배 연기에 노출된 그룹은 더 높은 위험을 보였다.[166] 주거 내 라돈 농도와 폐암 위험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결과, 실내 라돈에 의한 위험은 선량에 의존하며, 시간 가중 평균 노출값 150 Bq/m3당 24%의 폐암 위험 증가가 나타났다.[204] 유럽 9개국의 풀링 분석 결과에서도 선량-반응 관계가 LNT 모델을 따르며, 100 Bq/m3당 16%의 폐암 위험 증가를 보였다.[205] 소세포폐암은 다른 조직형에 비해 라돈 노출에 의한 위험이 더 높았다.[206]

8. 측정 및 저감

라돈 가스 측정은 비교적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시중에서 라돈 측정 장치를 구입할 수 있으며, 디지털 라돈 측정기는 지속적인 측정을 통해 매일, 매주, 단기 및 장기 평균치를 디지털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146] 초기 선별 목적으로 사용되는 단기 라돈 측정 장치는 저렴하며, 경우에 따라 무료로 제공되기도 한다.[146] 단기 라돈 측정 키트에는 사용자가 집의 가장 낮은 층에 2~7일 동안 걸어 두는 수집기가 포함되어 있으며, 측정 후에는 실험실로 보내 분석한다.[146] 최대 1년 이상 사용하는 장기 키트도 있다.[146] 개방된 토지용 측정 키트는 공사 시작 전 토지에서 방출되는 라돈을 측정할 수 있다.[146]

라돈 농도는 매일 변할 수 있으며, 정확한 라돈 노출량을 추정하려면 장기간 측정이 필요하다.[171] 일시적인 기상 조건 등으로 라돈 수준은 자연적으로 변동하므로, 초기 측정만으로는 평균 라돈 수준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어렵다.[73] 높은 결과(4 pCi/L 초과)가 나오면 더 비용이 많이 드는 저감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에 측정을 반복해야 한다.[146] 4~10 pCi/L는 장기간 측정이 필요하며, 10 pCi/L를 초과하는 경우 저감 조치가 지연되지 않도록 단기 측정을 다시 수행해야 한다.[146] 미국 환경보호청(EPA)은 판매자가 라돈을 4 pCi/L 이하로 저감하지 않은 경우 부동산 구매를 연기하거나 거절하도록 권고한다.[146]

라돈의 반감기는 3.8일로 짧아, 근원을 제거하거나 차단하면 몇 주 안에 위험이 크게 줄어든다. 환기율이 감소하면 실내 라돈 농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므로,[2] 환기를 개선하는 것도 라돈 수준을 줄이는 방법 중 하나이다.[2] 환기가 잘 되는 곳에서는 라돈 농도가 실외 값(일반적으로 10 Bq/m3, 1~100 Bq/m3 범위)과 유사하다.[146]

주택에 축적되는 라돈을 줄이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146][172]


  • 바닥 아래 환기를 증가시켜 바닥 아래 감압(토양 흡입)
  • 주택 환기 개선 및 지하실에서 거실로 라돈 이동 방지
  • 지하실에 라돈 집수 시스템 설치
  • 양압 환기 또는 양압 공급 환기 시스템 설치


미국 환경보호청(EPA)은 라돈 저감 방법으로 배기관 시스템과 팬을 사용하여 집 아래에서 라돈을 뽑아 외부로 배출하는 토양 흡입(바닥 아래 감압)을 권장한다.[146] 또한, 밀봉만으로는 라돈 수준을 낮추는 데 효과적이지 않으므로, 토양 흡입과 같은 방법을 함께 사용할 것을 권고한다.[173] 크롤 스페이스(기초 환기 공간)가 있는 주택의 경우, 크롤 스페이스를 플라스틱 시트로 덮고 배기관과 팬을 사용하여 라돈을 배출하는 하부막 흡입이 효과적이다.[146][173][174]

UNSCEAR에 따르면, 실내 라돈 흡입에 의한 피폭선량 ''D'' [mSv]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207][208]

''D'' = ''QKTF''

  • ''Q'': 공기 중 라돈 농도 [Bq/m3]
  • ''K'': 선량환산계수 (9×10−6 mSv/(Bq h/m3))
  • ''T'': 체류 기간 (연간 체류율 0.8 적용, 0.8×8760 h/년)
  • ''F'': 라돈 붕괴 생성 핵종의 라돈에 대한 잠재적 알파 에너지 비율 (실내 값 0.4)


위 식에 따라 계산하면, 실내 라돈 농도의 세계 산술 평균 40 Bq/m3일 때 연간 피폭선량 ''D''는 약 1 mSv/년이다. 일본의 경우 실내 라돈 농도 산술 평균은 15.5 Bq/m3이며, 연간 피폭선량 ''D''는 0.39 mSv/년이다. 라돈 농도가 100 Bq/m3이면 연간 피폭선량은 2.5 mSv/년으로 환산된다.

8. 1. 측정 방법

라돈 가스 측정은 비교적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시중에서 라돈 측정 장치를 구입할 수 있으며, 디지털 라돈 측정기는 지속적인 측정을 통해 매일, 매주, 단기 및 장기 평균치를 디지털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146] 초기 선별 목적으로 사용되는 단기 라돈 측정 장치는 저렴하며, 경우에 따라 무료로 제공되기도 한다.[146] 단기 라돈 측정 키트에는 사용자가 집의 가장 낮은 층에 2~7일 동안 걸어 두는 수집기가 포함되어 있으며, 측정 후에는 실험실로 보내 분석한다.[146] 최대 1년 이상 사용하는 장기 키트도 있다.[146] 개방된 토지용 측정 키트는 공사 시작 전 토지에서 방출되는 라돈을 측정할 수 있다.[146]

라돈 농도는 매일 변할 수 있으며, 정확한 라돈 노출량을 추정하려면 장기간 측정이 필요하다.[171] 일시적인 기상 조건 등으로 라돈 수준은 자연적으로 변동하므로, 초기 측정만으로는 평균 라돈 수준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어렵다.[73] 높은 결과(4 pCi/L 초과)가 나오면 더 비용이 많이 드는 저감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에 측정을 반복해야 한다.[146] 4~10 pCi/L는 장기간 측정이 필요하며, 10 pCi/L를 초과하는 경우 저감 조치가 지연되지 않도록 단기 측정을 다시 수행해야 한다.[146] 미국 환경보호청(EPA)은 판매자가 라돈을 4 pCi/L 이하로 저감하지 않은 경우 부동산 구매를 연기하거나 거절하도록 권고한다.[146]

라돈의 반감기는 3.8일로 짧아, 근원을 제거하거나 차단하면 몇 주 안에 위험이 크게 줄어든다. 환기율이 감소하면 실내 라돈 농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므로,[2] 환기를 개선하는 것도 라돈 수준을 줄이는 방법 중 하나이다.[2] 환기가 잘 되는 곳에서는 라돈 농도가 실외 값(일반적으로 10 Bq/m3, 1~100 Bq/m3 범위)과 유사하다.[146]

주택에 축적되는 라돈을 줄이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146][172]

  • 바닥 아래 환기를 증가시켜 바닥 아래 감압(토양 흡입)
  • 주택 환기 개선 및 지하실에서 거실로 라돈 이동 방지
  • 지하실에 라돈 집수 시스템 설치
  • 양압 환기 또는 양압 공급 환기 시스템 설치


미국 환경보호청(EPA)은 라돈 저감 방법으로 배기관 시스템과 팬을 사용하여 집 아래에서 라돈을 뽑아 외부로 배출하는 토양 흡입(바닥 아래 감압)을 권장한다.[146] 또한, 밀봉만으로는 라돈 수준을 낮추는 데 효과적이지 않으므로, 토양 흡입과 같은 방법을 함께 사용할 것을 권고한다.[173] 크롤 스페이스(기초 환기 공간)가 있는 주택의 경우, 크롤 스페이스를 플라스틱 시트로 덮고 배기관과 팬을 사용하여 라돈을 배출하는 하부막 흡입이 효과적이다.[146][173][174]

UNSCEAR에 따르면, 실내 라돈 흡입에 의한 피폭선량 ''D'' [mSv]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207][208]

''D'' = ''QKTF''

  • ''Q'': 공기 중 라돈 농도 [Bq/m3]
  • ''K'': 선량환산계수 (9×10−6 mSv/(Bq h/m3))
  • ''T'': 체류 기간 (연간 체류율 0.8 적용, 0.8×8760 h/년)
  • ''F'': 라돈 붕괴 생성 핵종의 라돈에 대한 잠재적 알파 에너지 비율 (실내 값 0.4)


위 식에 따라 계산하면, 실내 라돈 농도의 세계 산술 평균 40 Bq/m3일 때 연간 피폭선량 ''D''는 약 1 mSv/년이다. 일본의 경우 실내 라돈 농도 산술 평균은 15.5 Bq/m3이며, 연간 피폭선량 ''D''는 0.39 mSv/년이다. 라돈 농도가 100 Bq/m3이면 연간 피폭선량은 2.5 mSv/년으로 환산된다.

8. 2. 대한민국 내 측정 현황

8. 3. 저감 방법

라돈 가스 측정은 비교적 간단하며, 시중에서 판매되는 라돈 측정 장치를 통해 수행할 수 있다. 디지털 라돈 측정기는 지속적인 측정을 제공하며, 단기 및 장기 측정 키트도 사용 가능하다.[146] 라돈 농도는 매일 변동할 수 있으므로, 장기간의 평균 측정이 필요하다.[171] 초기 측정 결과가 높으면(4 pCi/L 초과) 반복 측정을 통해 저감 조치 필요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73][146]

라돈의 반감기는 3.8일로 짧기 때문에, 근원 제거 또는 환기 개선을 통해 위험을 줄일 수 있다.[2] 실내 라돈 농도는 환기율이 낮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146]

주택 내 라돈 저감 방법은 다음과 같다:[146][172]

  • 바닥 아래 환기를 통한 감압(토양 흡입)
  • 주택 환기 개선 및 지하실에서 라돈 이동 방지
  • 지하실 내 라돈 집수 시스템 설치
  • 양압 환기 시스템 설치


미국 환경보호청(EPA)은 배기관과 팬을 사용해 집 아래 라돈을 외부로 배출하는 토양 흡입 방식을 권장한다.[146] 또한, 밀봉만으로는 라돈 저감 효과가 충분하지 않다고 명시한다.[173] 양압 환기 시스템은 열교환기와 함께 사용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 라돈 유입을 유발할 수 있다. 크롤 스페이스가 있는 주택의 경우, 하부막 흡입 방식이 효과적일 수 있다.[146][173][174]

8. 4. 대한민국 내 저감 정책

9. 응용

라돈은 과거에 방사선원(방사성동위원소)으로 이용되었으나, 현재는 코발트, 스트론튬 등 다른 물질로 대체되고 있다.

지하수 중 라돈 조사는, 파헤치기 어려운 지하 구조를 아는 데 중요하다. 라돈의 확산 속도 및 지하수의 수직 이동 속도에 비해 라돈의 반감기가 짧기 때문에 지층 단위로 다른 라돈 농도를 반영하기 쉽다. 짧은 시간 척도에서 물의 추적자로서의 이용이 있다. 지진의 전조 현상으로서의 지하수 라돈 농도 변화[194]는 1970년대부터 많이 보고되었으나, 그 기전은 아직 충분히 밝혀지지 않았다.

보건 측면에서는, 라돈은 기체로서 호흡기에 흡입되고, 그 딸핵종이 폐포에 부착됨으로써 우라늄광산 노동자 등에게 방사선 장애를 일으키기 쉽다. 일반 대중의 발암 위험으로는, 돌로 지은 집, 지하실 등의 공기 중 라돈 농도 조사가 중요하다.

라돈에 의한 체내 피폭량은 일본 평균이 연간 0.4 mSv, 세계 평균이 연간 1.28 mSv라고 한다.[195][196][197]

9. 1. 의료

라돈은 과거에 방사선원(방사성동위원소)으로 이용되었으나, 현재는 코발트, 스트론튬 등 다른 물질로 대체되고 있다.[194]

지하수 중 라돈 조사는 지하 구조를 파악하는 데 중요하며, 짧은 반감기로 인해 지층 단위로 다른 라돈 농도를 반영하기 쉽고, 단시간 내에 물의 추적자로 이용된다.[194] 지진의 전조 현상으로 지하수 라돈 농도 변화가 보고되기도 하지만, 그 기전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194]

보건 측면에서 라돈은 기체로서 호흡기를 통해 흡입되며, 딸핵종이 폐포에 부착되어 우라늄광산 노동자 등에게 방사선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194] 일반인의 경우, 돌로 지은 집이나 지하실 등의 공기 중 라돈 농도 조사가 중요하다.[194]

라돈에 의한 체내 피폭량은 일본 평균 연간 0.4 mSv, 세계 평균 연간 1.28 mSv이다.[195][196][197]

9. 2. 과학적 이용

외부 라돈 농도는 제한적인 수준에서 기단을 추적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109] 라돈은 지하수와 하천의 상호 작용을 연구하는 수문학 연구에도 활용된다. 강에서 라돈 농도가 높으면 지하수가 국지적으로 유입되고 있음을 나타낸다.[110]

라돈 토양 농도는 매몰된 지표면 근처의 지질학적 단층을 매핑하거나,지열구배 탐사에 제한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111][112]

일부 연구자들은 지진 예측을 위해 지하수 라돈 농도의 변화를 조사해 왔다.[113][114] 1966년 타슈켄트[115] 지진과 1994년 민도로[114] 지진 이전에 라돈 증가가 관찰되었다. 그러나 1970년대와 1980년대의 연구 결과, 지진이 라돈 신호 없이 발생하거나 라돈이 감지되었지만 지진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신뢰성 있는 지표로 간주되지 않았다.[116] 2009년 현재, NASA에서 가능한 지진 전조 현상으로 연구 중이었다.[117]

라돈은 지열 발전소에서 배출되는 오염 물질로 알려져 있지만, 빠르게 확산되고 환경 영향이 최소화되어 방사선 위험은 입증된 바 없다.[119] 1940년대와 1950년대에는 라듐 공급원에서 생산된 라돈이 산업 방사선 사진에 사용되었으나,[121]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Co 및 Ir과 같은 다른 X선 공급원이 등장하면서 대체되었다.[122]

지하수 중 라돈 조사는 지하 구조를 파악하는 데 중요하며, 짧은 시간 척도에서 물의 추적자로 이용될 수 있다. 지진의 전조 현상으로서 지하수 라돈 농도 변화[194]는 1970년대부터 보고되었으나, 그 기전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라돈에 의한 체내 피폭량은 일본 평균 연간 0.4 mSv, 세계 평균 연간 1.28 mSv이다.[195][196][197]

참조

[1] 서적 RubberBible92nd
[2] 웹사이트 Toxicological profile for radon http://www.bvsde.pah[...] U.S. Public Health Service, In collaboration with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1990-12-01
[3] 웹사이트 Public Health Fact Sheet on Radon — Health and Human Services http://www.mass.gov/[...] Mass.Gov
[4] 서적 Geological Hazards: A Sourcebook https://books.google[...] Greenwood Press
[5] 웹사이트 Facts about Radon https://web.archive.[...] Facts about
[6] 뉴스 Thawing permafrost can expose northerners to cancer-causing gas, study says https://www.cbc.ca/n[...] CBC News 2022-02-16
[7] 간행물 The race against radon https://knowablemaga[...] Annual Reviews 2022-05-11
[8] 웹사이트 Skateland Sub-Slab Depressurization Testing Draft Technical Memorandum https://semspub.epa.[...]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05-10-28
[9] citebundle Radon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2-06-27
[10] 간행물 Meta-analysis of thirty-two case–control and two ecological radon studies of lung cancer 2017-11-23
[11] 웹사이트 A Citizen's Guide to Radon: The Guide to Protecting Yourself and Your Family from Radon https://www.epa.gov/[...]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16
[12] 웹사이트 Earth Fact Sheet http://nssdc.gsfc.na[...] NASA 2007-04-19
[13] 웹사이트 The Element Radon http://education.jla[...] Jefferson Lab
[14] 서적 Noble Gases https://books.google[...] Marshall Cavendish 2002
[15] citebundle Determination of Radon Solubilities to 1,2-Dimethylbenzene, 1,3- Dimethylbenzene, 1,4-Dime thylbenzene, 1,3,5-Trimethylbenzene, 1, 2,4-Trimethylbenzene and 1-Isopropyl-4-methylbenzene https://www.jstage.j[...] Pergamon Press 1999
[16] 웹사이트 An Introduction to the Electronic Structure of Atoms and Molecules http://miranda.chemi[...] McMaster University
[17] 서적 CRC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CRC Press 2003
[18] 간행물 The Chemistry of Radon 1982
[19] citebundle Fluorides of radon and element 118 https://escholarship[...] 1975
[20] 간행물 Chemical Bonding in XeF2, XeF4, KrF2, KrF4, RnF2, XeCl2, and XeBr2: From the Gas Phase to the Solid State 1998
[21] 간행물 Bonding in radon hexafluoride: An unusual relativistic problem? 2003
[22] 간행물 Noble-gas fluorides 1986
[23] 서적 Radionuclides, 2. Radioactive Elements and Artificial Radionuclides
[24] 간행물 The Chemistry of Radon 1983
[25] 간행물 The Chemistry of Radon 1982
[26] 서적 Relativistic Methods for Chemists
[27] 서적 Advances in Inorganic Chemistry Academic Press 1998
[28] 간행물 The Chemistry of Radon 1982
[29] 간행물 Conceptual Problems in Noble Gas and Fluorine Chemistry, II: The Nonexistence of Radon Tetrafluoride 1975
[30] 간행물 Molecular Hexafluorides 2015
[31] 간행물 Prediction of the existence of radon carbonyl: RnCO 2002
[32] 간행물 Relativistic pseudopotential calculations on Xe2, RnXe, and Rn2: The van der Waals properties of radon 1998
[33] citebundle Ab initio pseudopotentials for Hg to Rn: II. Molecular calculations on the hydrides of Hg to At and the fluorides of Rn https://query.nytime[...] 1991-12-20
[34] 간행물 Standard Electrode Potentials and Temperature Coefficients in Water at 298.15 K 1988-07-29
[35] 웹사이트 Interactive Chart of Nuclides https://web.archive.[...] Brookhaven National Laboratory
[36] 논문 Discovery of {{sup|229}}Rn and the Structure of the Heaviest Rn and Ra Isotopes from Penning-Trap Mass Measurements https://cds.cern.ch/[...] 2009-03-19
[37] 웹사이트 Principal Decay Scheme of the Uranium Series http://www.gulflink.[...] Gulflink.osd.mil 2008-09-12
[38] 논문 Tables of Double Beta Decay Data — An Update 2002
[39] 웹사이트 Why Measure RDPs? http://progenygrp.co[...] 2009-07-07
[40] 논문 Measurement of lead-210 in surface air and precipitation https://a.tellusjour[...] 1969
[41] 논문 Radioactive lead in the environment and in the human body; Polonium-210 and Lead-210 in the Terrestrial environment: A historical review https://inis.iaea.or[...] Institute of Nuclear Research 1969; 2011-05
[42] 서적 Health effects of exposure to radon, Volume 6 of BEIR (Series) https://books.google[...] National Academies Press 1999
[43] 논문 Discovery of Radon 1957
[44] 웹사이트 Timeline of Element Discovery http://chemistry.abo[...] The New York Times Company 2008-02-28
[45] 논문 Zur Entdeckungsgeschichte des Radons; Rutherford, the Curies, and Radon 1988; 2000
[46] 논문 Sur la radioactivite provoquee par les rayons de Becquerel 1899
[47] 논문 Thorium and uranium radiation 1899
[48] 논문 A radioactive substance emitted from thorium compounds http://www.chemteam.[...] 1900
[49] 논문 Über die von radioaktiven Substanzen ausgesandte Emanation; Die von radioactiven Substanzen ausgesandte Emanation http://publikationen[...] 1900; 1900
[50] 논문 The new gas from radium 1901
[51] 논문 Über den Emanationskörper aus Pechblende und über Radium; Sur la radioactivite induite provoquee par les sels d'actinium https://zenodo.org/r[...] 1903; 1903
[52] 논문 The Spectrum of the Radium Emanation 1904
[53] 논문 Periodisches System und Genesis der Elemente https://zenodo.org/r[...] 1918
[54] 논문 Matière et lumière. Essai de synthèse de la mécanique chimique https://books.google[...] 1919
[55] 논문 The Independent Origin of Actinium https://zenodo.org/r[...] 1920
[56] 논문 Some Physical Properties of Radium Emanation https://zenodo.org/r[...] 1909
[57] 논문 La densité de l'emanation du radium http://gallica.bnf.f[...] 1910
[58] 논문 Som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element 118 (Eka-Em) and element 86 (Em) 1965
[59] 논문 Radon Fluoride 1962
[60] 논문 Recalling radon's recognition 2013-08-22
[61] 웹사이트 Le radon, aspects historiques et perception du risque; Radon Toxicity: Who is at Risk? http://www.radon-fra[...] Agency for Toxic Substances and Disease Registry 2002; 2000
[62] 논문 World History Of Radon Research And Measurement From The Early 1900's To Today https://pubs.aip.org[...] AIP 2008
[63] 서적 The Nazi War on Cancer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0
[64] 서적 Radon's deadly daughters: science, environmental policy, and the politics of risk Rowman & Littlefield 1998
[65] 웹사이트; 뉴스 Poster Issued by the New York Department of Health (ca. 1981); Rings and Cancer https://www.orau.org[...] Oak Ridge Associated Universities; Time 2021-10-11; 1968-09-13
[66] 논문 Indoor radon and lung cancer. Estimating the risks 1992
[67] 논문 Radon 2006
[68] 뉴스 EPA Assessment of Risks from Radon in Homes http://www.epa.gov/r[...] Office of Radiation and Indoor Air,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03-06
[69] 논문 Management of radon: a review of ICRP recommendations 2012-07-19
[70] 논문 Use of lead-210 as a novel tracer for lead (Pb) sources in plants 2016-02-22
[71] 웹사이트 Health hazard data http://www.us.lindeg[...] The Linde Group
[72] 웹사이트 Le Radon. Un gaz radioactif naturel https://web.archive.[...] 2009-07-07
[73] 서적 Indoor Environmental Quality CRC Press 2001
[74] 서적 Noble Gases https://books.google[...]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75] 학술지 Radon concentration variations in a Mendip cave cluster http://eprints.kings[...] 2001
[76] 학술지 Radon Treatment Controversy, Dose Response 2006
[77] 학술지 Exposure to atmospheric radon
[78] 웹사이트 Radon Occurrence and Health Risk https://web.archive.[...] Department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ealth, University of Iowa 2008-02-02
[79] 웹사이트 The Clinical Principles Of Balneology & Physical Medicine https://web.archive.[...] 2009-07-07
[80] 웹사이트 The Geology of Radon https://web.archive.[...]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08-06-28
[80] 웹사이트 Radon-222 as a tracer in groundwater-surface water interactions http://www.cosis.net[...] Lancaster University 2008-06-28
[81] 학술지 Recent outgassing from the lunar surface: the Lunar Prospector alpha particle spectrometer 2005
[82] 뉴스 Potential for Elevated Radiation Levels In Propane http://www.neb-one.g[...] National Energy Board 1994-04-01
[83] 논문 Studies on naturally occurring ionizing radiations with special reference to radiation doses in swedish houses of various types Stockholm College 1956
[84] 서적 Radon: The Quiet Killer Funk & Wagnalls 1986
[85] 웹사이트 Nuclear reaction: why do citizens fear nuclear power? https://www.pbs.org/[...] 1997-04-22
[86] 웹사이트 Analysis And Modelling Of Indoor Radon Distributions Using Extreme Values Theory http://www.geology.c[...]
[86] 웹사이트 Indoor Radon in Hungary (Lognormal Mysticism) http://www.geology.c[...]
[87] 웹사이트 Data Collection and Statistical Computations http://arquivo.pt/wa[...] 2023-09-23
[88] 간행물 Annex E: Sources to effects assessment for radon in homes and workplaces http://www.unscear.o[...] United Nations 2008
[89] 웹사이트 Predicted County Median Concentration http://eetd.lbl.gov/[...] Lawrence Berkeley National Laboratory 2008-02-12
[90] 웹사이트 The Iowa Radon Lung Cancer Study http://www.cheec.uio[...] Department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ealth, University of Iowa 2003
[91] 뉴스 Record radon levels found at Mallow office https://www.rte.ie/n[...] 2007-09-20
[92] 웹사이트 Dangers Of Radon Gas - Test & Guide For Landlords 2021 https://thebla.co.uk[...] 2021-03-10
[93] 웹사이트 Radon Production http://rn-radon.info[...] Rn-radon.info 2007-07-24
[94] 웹사이트 SRM 4972 – Radon-222 Emanation Standard https://www-s.nist.g[...]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2008-06-26
[95] 학술지 An update on the NIST radon-in-water standard generator: its performance efficacy and long-term stability https://zenodo.org/r[...] 1997
[96] 학술지 Seasonality of Radon-222 near the surface at King Sejong Station (62°S), Antarctic Peninsula, and the role of atmospheric circulation based on observations and CAM-Chem model https://linkinghub.e[...] 2022-11-01
[97] 웹사이트 Air pollution in Antarctica https://phys.org/new[...] ANSTO
[98] 웹사이트 The Mining Safety and Health Act – 30 CFR 57.0 https://web.archive.[...] United States Government 1977
[99] 학회발표 Indoor Radon Concentration Data: Its Geographic and Geologic Distribution, an Example from the Capital District, NY http://wpb-radon.com[...] American Association of Radon Scientists and Technologists 1995-09-27
[99] 서적 Occupational, industrial, and environmental toxicology https://web.archive.[...] Mosby 2003
[100] 보고서 Toxicological Profile for Radon https://www.ncbi.nlm[...] Agency for Toxic Substances and Disease Registry (US) 2012-05-04
[101] 서적 The Clinique, Volume 34 https://books.google[...] Illinois Homeopathic Medical Association 1913
[102] 웹사이트 Radon seeds https://www.orau.org[...]
[103] 웹사이트 Radon Health Mines: Boulder and Basin, Montana http://www.roadsidea[...] Roadside America
[104] 학술지 Radon concentration levels in dry CO2 emanations from Harghita Băi, Romania, used for curative purposes 2008
[105] 웹사이트 59631: Mining for Miracles https://web.archive.[...] 2004
[106] 웹사이트 For that Healthy Glow, Drink Radiation! https://www.popsci.c[...] 2022-09-17
[107] 웹사이트 Jáchymov http://www.petros.cz[...] Petros 2008-06-26
[108] 논문 211Rn/211At and 209At production with intense mass separated Fr ion beams for preclinical 211At-based α-therapy research Elsevier BV
[109] 논문 Existence of periodicity in radon concentrations and in the large-scale circulation at lower altitudes between 40° and 70° south http://doi.wiley.com[...] 1970-04-20
[110] 서적 Radon Distribution in Groundwater and River Water https://link.springe[...] Springer Nature 2023
[111] 논문 Measuring radon flux across active faults: Relevance of excavating and possibility of satellite discharges http://www.ipgp.fr/~[...] 2010
[112] 학회발표 Radon Transect Analysis In Geothermal Reservoirs 1980-04
[113] 논문 Geochemical and hydrological observations for earthquake prediction in Japan http://www.jstage.js[...] 1995
[114] 논문 Radon anomaly in the soil of Taal volcano, the Philippines: A likely precursor of the M 7.1 Mindoro earthquake (1994) 2003
[115] 서적 Environmental Radon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1987
[116] 뉴스 Expert: Earthquakes Hard To Predict https://www.npr.org/[...] 2009-05-05
[117] 웹사이트 EARTH Magazine: Earthquake prediction: Gone and back again https://www.earthmag[...] 2012-01-05
[118] 논문 Detection of atmospheric radon concentration anomalies and their potential for earthquake prediction using Random Forest analysis 2024
[119] 웹사이트 Radon and Naturally Occurring Radioactive Materials (NORM) associated with Hot Rock Geothermal Systems http://www.pir.sa.go[...] Government of South Australia—Primary Industries and Resources SA
[120] 간행물 Radiation versus radiation: Nuclear energy in perspective https://www.iaea.org[...] 1989
[121] 논문 Radon. Its Properties and Preparation for Industrial Radiography 1946
[122] 웹사이트 Radium Industrial Radiography Source (ca. 1940s) https://www.orau.org[...]
[123] 웹사이트 Known and Probable Carcinogens http://www.cancer.or[...] American Cancer Society
[124] 서적 A Century of X-rays and Radioactivity in Medicine CRC Press 1993
[125] 뉴스 Uranium Miners' Cancer http://www.time.com/[...] 1960-12-26
[126] 논문 Radon Daughter Exposures at the Radium Hill Uranium Mine and Lung Cancer Rates among Former Workers, 1952–87 1991-07-01
[127] 뉴스 Uranium mine radon gas proves health danger (1952) https://www.newspape[...] 1952-09-27
[128] 뉴스 Radon gas mine health benefits advertisement (1953) https://www.newspape[...] 1953-03-27
[129] 웹사이트 Government bans Boulder mine ads about radon health benefits (1975) https://www.newspape[...]
[130] 논문 59631: Mining for Miracles http://ngm.nationalg[...] National Geographic Society
[131] 논문 Radon: a likely carcinogen at all exposures 2005
[132] 웹사이트 UNSCEAR 2006 Report Vol. I http://www.unscear.o[...] United Nations Scientific Committee on the Effects of Atomic Radiation UNSCEAR 2006 Report to the General Assembly, with scientific annexes
[133] 논문 Radon exhalation of the uranium tailings dump Digmai, Tajikistan http://www.rad-journ[...]
[134] 웹사이트 Uranium Mining and Milling near Rifle, Colorado https://www.energy.g[...] 2016-04-19
[135] 논문 A Review of Radon Exposure in Non-uranium Mines—Estimation of Potential Radon Exposure in Canadian Mines 2023-04
[136] 논문 Comparative studies on radon seasonal variations in various underground environments: Cases of abandoned Beshtaugorskiy uranium mine and Kungur Ice Cave https://linkinghub.e[...] 2024-02-01
[137] 논문 Incidence of leukemia, lymphoma, and multiple myeloma in Czech uranium miners: a case-cohort study 2007
[138] 논문 Impacts of Indoor Radon on Health: A Comprehensive Review on Causes, Assessment and Remediation Strategies 2022-03-25
[139] 서적 The Redfern Inquiry into human tissue analysis in UK nuclear facilities https://books.google[...] The Stationery Office 2010-11-16
[140] 웹사이트 An Overview of the Radiation Exposure Compensation Program http://www.gpo.gov/f[...] United States Senate and th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04-07-21
[141] 웹사이트 Health Risk of Radon https://www.epa.gov/[...] 2024-08-15
[142] 논문 Cancer Progress and Priorities: Lung Cancer 2019-10-01
[143] 논문 Lung cancer attributable to indoor radon exposure in france: impact of the risk models and uncertainty analysis 2006-01-01
[144] 서적 Radon: geology, environmental impact and toxicity concerns Nova Science Publishers, Inc. 2015-01-01
[145] 논문 Outdoor Radon as a Tool to Estimate Radon Priority Areas—A Literature Overview 2022-01-07
[146] 웹사이트 A Citizen's Guide to Radon http://www.epa.gov/r[...]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10-10-12
[147] 웹사이트 QuickFacts https://www.census.g[...]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22-07-01
[148] 논문 Human Health Impacts of Residential Radon Exposure: Updated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Case–Control Studies 2022-12-21
[149] 웹사이트 Žlahtni plin v Sloveniji vsako leto kriv za 120 smrti https://www.24ur.com[...]
[149] 웹사이트 Population, Slovenia, 1 January 2021 https://www.stat.si/[...] Republic of Slovenia Statistical Office (Source: SURS) 2021-01-01
[150] 보고서 Reducing Environmental Cancer Risk – What We Can Do Now http://deainfo.nci.n[...]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10-04-01
[151] 논문 The assumption of radon-induced cancer risk
[151] 논문 Health Effects of High Radon Environments in Central Europe: Another Test for the LNT Hypothesis?
[151] 논문 Test of the linear-no threshold theory of radiation carcinogenesis for inhaled radon decay products http://www.phyast.pi[...]
[152] 논문 Thoron and thoron progeny measurements in German clay houses 2014-04-17
[153] 논문 Significance of thoron measurements in indoor environment https://linkinghub.e[...] 2020-12-01
[154] 논문 Assessment of thoron contribution to indoor radon exposure in Canada 2022-01-01
[155] 서적 WHO Handbook on Indoor Radon http://whqlibdoc.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9-01-01
[156] 웹사이트 Radiation Protection: Radon http://www.epa.gov/r[...]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07-11-01
[157] 웹사이트 Radon Levels in Dwellings: Fact Sheet 4.6 http://www.euro.who.[...] European Environment and Health Information System 2009-12-01
[158] 웹사이트 HPA issues new advice on radon http://www.hpa.org.u[...] UK Health Protection Agency 2010-07-01
[159] 웹사이트 Radon mitigation measures https://dsa.no/en/ra[...]
[160] 웹사이트 Strategy for the reduction of radon exposure in Norway, 2010 https://www2.dsa.no/[...]
[161] 웹사이트 What Are the Risk Factors for Lung Cancer? https://www.cdc.gov/[...] 2019-09-18
[162] 논문 Radon in homes and risk of lung cancer: Collaborative analysis of individual data from 13 European case-control studies
[163] 웹사이트 President's Cancer Panel, Environmental Factors in Cancer: Radon https://www.aarst.or[...] The American Association of Radon Scientists and Technologists (AARST) 2008-12-04
[164] 논문 Effect of breast cancer radiotherapy and cigarette smoking on risk of second primary lung cancer 2008-01-01
[165] 논문 Review and evaluation of updated research on the health effects associated with low-dose ionising radiation 2010-01-01
[166] 논문 Residential radon and lung cancer among never-smokers in Sweden 2001-01-01
[167] 웹사이트 Risk Assessment of Radon in Drinking Water http://www.nap.edu/o[...] 2003-06-01
[168] 웹사이트 Basic Information about Radon in Drinking Water http://water.epa.gov[...]
[169] 웹사이트 Answer to Question #13127 Submitted to "Ask the Experts" https://hps.org/publ[...] 2019-10-28
[170] 논문 Radon 222 from the ocean surface https://agupubs.onli[...]
[171] 웹사이트 Answer to Question #10299 Submitted to "Ask the Experts" https://hps.org/publ[...]
[172] 웹사이트 Radon and cancer, fact sheet 291 https://www.who.int/[...]
[173] 웹사이트 Consumer's Guide to Radon Reduction: How to fix your home http://www.epa.gov/r[...] EPA
[174] 서적 Building radon out a step-by-step guide on how to build radonresistant homes https://books.google[...] DIANE Publishing
[175] 서적 元素111の新知識 講談社 1998-01-01
[176] 웹사이트 Radon http://www.allmeasur[...] All Measures 2004-00-00
[177] 웹사이트 Earth Fact Sheet http://nssdc.gsfc.na[...] NASA 2007-04-19
[178] 웹사이트 Radon http://education.jla[...] Jefferson Lab null
[179] 서적 Noble Gases https://books.google[...] Marshall Cavendish 2002-00-00
[180] 웹사이트 An Introduction to the Electronic Structure of Atoms and Molecules http://miranda.chemi[...] McMaster University null
[181] 서적 CRC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CRC Press 2003-00-00
[182] 논문 The Chemistry of Radon 1982-00-00
[183] 논문 Ionic Radon Solution 1970-00-00
[184] 논문 Fluorides of radon and element 118 1975-00-00
[185] 논문 Chemical Bonding in XeF2, XeF4, KrF2, KrF4, RnF2, XeCl2, and XeBr2: From the Gas Phase to the Solid State 1998-00-00
[186] 논문 Relativistic Effects and the Chemistry of the Heavier Main Group Elements
[187] 서적 Advances in Inorganic Chemistry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1998-00-00
[188] 논문 Bonding in radon hexafluoride: An unusual relativistic problem? 2003-00-00
[189] 논문 Noble-gas fluorides 1986-00-00
[190] 논문 The Chemistry of Radon 1982-00-00
[191] 논문 Prediction of the existence of radon carbonyl: RnCO 2002-00-00
[192] 논문 Relativistic pseudopotential calculations on Xe2, RnXe, and Rn2: The van der Waals properties of radon 1998-00-00
[193] 뉴스 Chemists Find Way to Make An 'Impossible' Compound http://query.nytimes[...] 1993-03-05
[194] 웹사이트 地震に先行する大気中ラドン濃度変動に関する観測 https://www.mext.go.[...]
[195] 웹사이트 http://www.chuden.co[...]
[196] 간행물 原子力・エネルギー図面集2009 国連科学委員会 (UNSCEAR) 2000-00-00
[197] 웹사이트 http://safety-info.n[...]
[198] 웹사이트 鉱泉分析法指針(平成26年改訂) https://www.env.go.j[...] 환경성 자연환경국
[199] 웹사이트 ラドンで関節炎を治そう https://web.archive.[...]
[200] 웹사이트 一般の皆さまへ:放射能Q&A http://www-sdc.med.n[...] 나가사키 대학 원폭후장애의료연구소
[201] 웹사이트 ラドン検出器とは? http://utkhii.px.tsu[...] 츠쿠바 대학 고에너지원자핵실험그룹
[202] 웹사이트 教養ゼミレポート 21世紀に残したい広島の自然環境 http://home.hiroshim[...] 히로시마 대학 환경지형학 연구실(오노데라 연구실)
[203] 뉴스 「世界に発信したい」 「投入堂」など日本遺産認定で鳥取・三朝町長 http://www.sankei.co[...] 2015-04-24
[204] 논문 Meta-analysis of residential exposure to radon gas and lung cancer http://www.who.int/b[...] 2003-00-00
[205] 논문 Radon in homes and risk of lung cancer: collaborative analysis of individual data from 13 European case-control studies http://www.bmj.com/c[...] 2004-00-00
[206] 논문 Radon in homes and risk of lung cancer: collaborative analysis of individual data from 13 European case-control studies http://www.bmj.com/c[...] 2004-00-00
[207] 논문 自然環境中のウラン —環境中ウラン濃度とウランのクリアランス・レベル— http://wwwsoc.nii.ac[...] 原子力学会バックエンド部会 2007-12-00
[208] 논문 岐阜県の一温泉施設のラドン濃度と被曝線量試算 http://www.hotspring[...] 日本温泉科学会 2006-00-00
[209] 웹사이트 「WHO、ラドンによる危険性を最小化するためのプロジェクトを開始」 http://www-sdc.med.n[...]
[210] 웹사이트 飯本武志(東京大学准教授)「ラドンの安全規則」(「職場と一般環境のラドンの対策」) http://www.n.t.u-tok[...]
[211] 웹사이트 WHO International Radon Project http://www.who.int/i[...]
[212] 논문 Radon in homes and risk of lung cancer:collaborative analysis of individual data fromn 13 European case-control studies
[213] 웹사이트 WHO国際ラドンプロジェクトについて http://homepage3.nif[...] 2011-03-30
[214] 웹사이트 「大気中と水中のラドン濃度に関するガイドライン」『ラドンと癌』 http://www.who.int/e[...] WHO
[215] 웹사이트 Radon, Radiation Protection http://www.epa.gov/r[...] 2011-05-18
[216] 웹사이트 生活環境部の提供する情報 http://www.niph.go.j[...] 2009-01-00
[217] 뉴스 라돈, 비흡연 폐암환자 집에서 발견한 '침묵의 살인자'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13-12-27
[218] 논문 The Spectrum of the Radium Emanation
[219] 논문 Periodisches System und Genesis der Elemente
[220] 논문 Radon
[221] 논문 The Independent Origin of Actiniu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