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세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황세득은 임진왜란 시기 활약한 인물로, 전라우수사 이억기의 부하이자 장흥부사로서 당포 해전, 부산포 해전에 참전하여 공을 세웠다. 이순신이 삼도수군통제사로 복귀한 후에는 사도진수군첨절제사로서 명량 해전에 참여했으며, 1598년 왜교성 전투에서 명나라 육군의 배신으로 인해 퇴각하던 중 전사했다. 홍가신의 조카이며 이순신의 처종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유재란 참전 군인 사망자 - 구루시마 미치후사
구루시마 미치후사는 무라카미 수군 일족으로 센고쿠 시대 무장이며, 도요토미 히데요시 휘하에서 시코쿠 정벌에 공을 세워 다이묘가 되었고,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에 참전하여 명량 해전에서 전사했다. - 정유재란 참전 군인 사망자 - 이순신
임진왜란 당시 조선 수군을 지휘하여 혁혁한 전공을 세운 이순신은 뛰어난 무예와 지휘능력으로 수많은 해전에서 승리하며 조선을 지켰고, 오늘날 대한민국에서 국민적 영웅으로 추앙받는 조선 중기의 무장이다. - 1537년 출생 - 권율
조선 중기의 문관이자 무장인 권율은 안동 권씨 출신으로, 늦은 나이에 문과에 급제하여 관료 생활을 시작, 임진왜란 때 행주대첩에서 승리하는 등 활약하여 도원수에 올랐으며 이몽학의 난을 진압하는 데에도 기여, 사후 영의정에 추증되고 선무공신 1등에 녹훈된 인물이다. - 1537년 출생 - 사나다 노부쓰나
사나다 노부쓰나는 센고쿠 시대 다케다 가문을 섬긴 사나다 유키타카의 아들로, 다케다 신겐을 섬기며 공을 세우고 가독을 계승했으나 나가시노 전투에서 전사했다.
황세득 | |
---|---|
기본 정보 | |
![]() | |
한글 표기 | 황세득 |
한자 표기 | 黄世得 |
로마자 표기 | Hwang Sedeuk |
매큔-라이샤워 표기 | Hwang Setŭk |
예일 표기 | Hwang Seytuk |
인물 정보 | |
직업 | 조선의 문신 |
2. 생애
임진왜란 당시 황세득은 전라우수사 이억기의 휘하 장흥부사였다. 당포 해전과 부산포 해전에서 공을 세웠고, 삼도수군통제사로 복직한 이순신과 함께 명량 해전에서 활약했다. 1598년 왜교성 전투에서 진린의 명나라 수군과 함께 참전했으나, 명나라 육군 제독 유정이 고니시 유키나가에게 매수되어 수륙합동작전 약속을 어기자 퇴각해야 했다. 이 과정에서 황세득은 전사하였다.[2]
2. 1. 임진왜란 참전
임진왜란 발발 당시 황세득은 전라우수사 이억기의 휘하 장흥부사였다. 그는 당포 해전과 부산포 해전에 참전하여 공을 세웠다. 이후 이순신이 삼도수군통제사로 복직되자, 황세득은 사도진수군첨절제사로서 이순신과 함께 명량 해전에서 활약했다.[2] 1598년 순천 왜교성 전투에서 이순신의 조선 수군과 진린의 명나라 수군이 수륙합동작전을 위해 왜교성 앞바다로 공격해 들어갔으나, 명나라 육군 제독 유정이 고니시 유키나가에게 매수되어 작전 약속을 어기고 나타나지 않아 수군 또한 퇴각해야 했다. 황세득은 이 퇴각 과정에서 전사하였다.[2]2. 1. 1. 주요 해전 참여
임진왜란 발발 당시 전라우수사 이억기의 부하 장흥부사로서 당포 해전과 부산포 해전에 참전하여 전공을 세웠다. 이순신이 삼도수군통제사로 복직된 후에는 이순신과 함께 사도진수군첨절제사로서 명량 해전에 참전하여 활약하였다. 1598년 10월 순천 왜교성 전투에 참전하였는데, 이때 이순신의 조선 수군과 진린이 이끄는 명나라 수군은 명나라 육군과 수륙합동작전을 펼치기 위해 왜교성 앞바다로 공격해 들어갔다. 그러나 명나라 육군 제독 유정이 고니시 유키나가에게 매수되어 수륙합동작전 약속을 어기고 나타나지 않아, 수군 또한 퇴각해야 했다. 황세득은 이 퇴각 과정에서 전사하였다.[2]2. 1. 2. 왜교성 전투와 전사
임진왜란 발발 당시 이억기의 부하 장흥부사로서 당포 해전과 부산포 해전에 참전하여 전공을 세웠다. 이순신이 삼도수군통제사로 복직된 후에는 사도진수군첨절제사로서 이순신과 함께 명량 해전에서 활약하였다. 1598년 10월 순천 왜교성 전투에 참전하였는데, 이때 이순신의 조선 수군과 진린의 명나라 수군은 명나라 육군과의 수륙합동작전을 위해 왜교성 앞바다로 공격해 들어갔다. 하지만 명나라 육군 제독 유정이 고니시 유키나가에게 매수되어 수륙합동작전 약속을 어기고 끝내 나타나지 않아, 수군 또한 퇴각하게 되었다. 황세득은 이 퇴각 과정에서 전사하였다.[2]3. 가계
4. 대중 문화
2004년부터 2005년까지 방영된 KBS1 대하드라마 불멸의 이순신에서 배우 송금식이 황세득 역을 연기했다.
4. 1. 작품 목록
영상 매체에서 황세득을 연기한 배우는 다음과 같다.4. 1. 1. 배우
참조
[1]
웹사이트
황세득(黃世得)
https://encykorea.ak[...]
2023-07-19
[2]
서적
이순신, 신은 이미 준비를 마치었나이다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