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효화예황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효화예황후는 가경제의 측복진으로 시작하여 황후, 황태후의 자리에 오른 인물이다. 가경제 즉위 후 귀비, 황귀비를 거쳐 황후로 책봉되었으며, 도광제가 즉위하자 황태후가 되어 섭정했다. 도광제를 지지하여 자신의 친아들들을 제쳐두기도 하였으며, 도광제는 그녀에게 존호를 올리고 숭녕궁에서 거처하게 했다. 최종 시호는 효화공자강예안성흠순인정응천희성예황후이며, 창서묘에 안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나라의 황태후 - 서태후
    서태후는 함풍제의 후궁으로 동치제를 낳았으며, 수렴청정을 통해 청나라 말기 정치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했고, 양무 운동 추진 및 의화단 지원 등 다양한 정치적 행보를 보였다.
  • 청나라의 황태후 - 효강장황후
    효강장황후는 청나라 순치제의 후궁이자 강희제의 어머니이며, 강희제를 낳은 후 황태후가 되었으나 젊은 나이에 사망하여 효릉에 부장되었다.
  • 니오후루 할라 - 효성헌황후
    청나라 옹정제의 희귀비이자 건륭제의 생모인 효성헌황후는 옹정제 시대에 희비에서 황태후로 책봉되어 숭경황태후라는 존호를 받았고, 건륭제 즉위 후 효심으로 인해 존호가 계속 추가되었으며 사후 효성헌황후로 추봉되었고, 낮은 신분에서 황후가 된 삶은 여러 작품으로 재해석되었다.
  • 니오후루 할라 - 효목성황후
    효목성황후는 청나라 도광제의 비이자 가경제의 며느리이며, 도광제 즉위 후 황후로 추존되었고, 니오후루씨 가문 출신으로 가경제 즉위 전에 사망하여 서청릉의 목릉에 안장되었다.
  • 청나라의 황후 - 효경헌황후
    효경헌황후 울라나라씨는 옹정제의 원비이자 황후로, 옹정제의 적복진으로 책봉된 후 황후가 되었으며, 요절한 아들 홍휘를 두었고 사망 후 효경헌황후라는 시호를 받았으며, 청서릉 태릉에 안장되었다.
  • 청나라의 황후 - 효정경황후
    효정경황후는 광서제의 황후이자 선통제의 양어머니로서 융유황태후의 자리에 있었으며, 서태후의 조카딸로 권력 강화를 꾀한 서태후에 의해 황후로 간택되었으나 광서제의 총애를 받지 못했고, 신해혁명 이후 청실 퇴위 조서를 반포하며 청나라 멸망의 책임을 지기도 했지만, 멸망 후에는 청나라의 평화적 정권 이양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칭송받았다.
효화예황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효화예황후 조복 초상
효화예황후 조복 초상
뉴호록 무청 (鈕祜祿 撫晴)
씨족니오후루 씨
아버지궁알라 (恭阿拉)
어머니예허나라 씨
출생일1776년 11월 20일 (건륭 41년 10월 10일)
사망일1850년 1월 23일 (도광 29년 12월 11일) (73세)
사망 장소자금성 수강궁
매장지창릉 (昌陵)
시호효화공자강예안성흠순인정응천희성예황후(孝和恭慈康豫安成欽順仁正應天熙聖睿皇后)
배우자
배우자가경제 (1790년 결혼, 1820년 사별)
자녀
자녀7번째 딸
면개, 돈각친왕
면흔, 서회친왕
칭호
존호공자황태후(恭慈皇太后)
시호효화공자강예안성흠순인정응천희성예황후(孝和恭慈康豫安成欽順仁正應天熙聖睿皇后)
경력
황후 책봉1801년 5월 27일
황후 지위 유지1801년 5월 27일 – 1820년 9월 2일
황후 칭호 박탈효숙예황후 사후
황태후 책봉1820년 9월 2일
황태후 지위 유지1820년 9월 2일 – 1850년 1월 23일
섭정없음
가계
아버지궁알라 (恭阿拉)
어머니예허나라 씨
기타
사후 칭호효화공자강예안성흠순인정응천희성예황후(孝和恭慈康豫安成欽順仁正應天熙聖睿皇后)
능호창릉

2. 생애

가경제는 황자 시절에 효화예황후를 측복진(側福晉, 정식 첩)으로 맞이하였다. 가경제가 즉위하자 효화예황후는 귀비(貴妃)로 책봉되었다. 가경 2년(1797년) 효숙예황후 희탑랍씨가 사망하자 태상황 건륭제의 명으로 황귀비(皇貴妃)로 책봉되어 육궁을 통솔하였다. 가경 6년(1801년), 희탑랍씨와 건륭제의 삼년상을 모두 마친 뒤 황후로 책봉되었다.

가경제가 갑작스럽게 사망하고, 유조가 발견되지 않아 황위 계승에 혼란이 빚어졌을 때, 효화예황후는 효숙예황후의 아들이자 자신의 친아들처럼 길러온 도광제를 지지하였다. 도광제가 즉위하자 황태후가 되었으며, 도광제와의 관계는 원만하였고 황태후는 위엄 있게 후궁을 다스렸다.

도광 29년(1850년)에 74세로 사망하자, 도광제는 크게 슬퍼하며 장례를 치렀고 얼마 지나지 않아 상복 중에 승하하였다. 시호는 '''효화공자강예안성흠순인정응천희성예황후'''(孝和恭慈康豫安成欽順仁正應天熙聖睿皇后)이며, 능호는 창서묘(昌西陵)이다.[10][11]

2. 1. 가경제 잠저 시절

효화예황후는 가경제가 황자였던 시절에 그의 측복진(側福晉, 정식 첩)이었다.[10][11] 훗날 효화예황후가 되는 니오후루씨는 건륭제 41년(1776년 11월 20일)에 태어났다.

1790년, 니오후루씨는 건륭제의 15번째 아들인 영연의 후궁이 되었다. 1793년 8월 2일, 영연과의 사이에서 일곱 번째 딸을 낳았으나, 이 아이는 1795년 7월이나 8월에 요절했다. 1795년 8월 6일에는 영연과의 사이에서 세 번째 아들인 면개를 낳았다.[10][11]

2. 2. 가경제 즉위 후

가경제가 즉위하면서, 친왕 시절 측복진이었던 효화예황후는 귀비(貴妃)로 책봉되었다.[10][11] 1796년 2월 12일의 일이었다.

1797년 3월 5일, 가경제의 원비(元妃)인 효숙황후 희탑랍씨가 병으로 사망하자, 효화예황후는 당시 궁중에서 가장 높은 품계의 후궁으로서 내정을 총괄하게 되었고, 황귀비(皇貴妃)로 승격되었다.[2] 건륭제의 뜻에 따라 황귀비가 되어 후궁의 일을 이어받게 된 것이다.

건륭제가 1799년 2월 7일에 사망함에 따라, 효숙황후의 상복 기간이 끝날 때까지 기다려야 했던 효화예황후의 황후 책봉은 1801년 5월 27일까지 연기되었다. 이후 정식으로 황후에 책봉되었다.

효화예황후는 가경제의 둘째 아들이자, 후에 도광제가 된 민녕(旻寧)을 친아들처럼 잘 돌보고 친절하게 대해, 두 사람은 매우 가깝고 화목한 관계를 유지했다.[2] 가경제가 죽고 도광제가 즉위하자 황태후가 되었다. 열하(熱河)로 행차 중이던 가경제의 유조가 발견되지 않아 다음 황제를 세울 인선을 놓고 신하들이 혼란에 빠지자, 효화예황후는 단호하게 도광제를 지지하여 자신의 친아들인 두 황자를 제쳐놓았다.

2. 3. 도광제 즉위 후

가경제가 사망하고, 효숙예황후의 아들이자 효화예황후가 친아들처럼 길러온 둘째 아들 면녕(綿寧)이 도광제로 즉위하자 황태후가 되었다.[10][11] 가경제의 유조가 열하(熱河)에서 발견되지 않아 다음 황제를 세울 인선을 놓고 신하들이 혼란에 빠졌을 때, 효화예황후는 단호하게 도광제를 지지하여 자신의 친아들인 두 황자를 제쳐놓았다. 이처럼 도광제와 효화예황후의 관계는 끝까지 원만하였고, 황태후는 위엄 있게 후궁을 다스렸다.

도광제는 효화황후가 자신을 황제로 삼은 결정에 매우 만족하며, 그녀가 자신의 두 아들 중 누구도 황제로 삼지 않고 권력을 남용하지 않은 넓은 아량을 가졌다고 말했다. 도광제는 또한 그녀에게 "효화황태후"라는 칭호를 내렸다. 효화황태후는 전통적으로 황제의 어머니가 거주하던 자금성의 숭녕궁(崇寧宮)으로 거처를 옮겼다.

1836년, 효화황태후는 60세 생일을 맞았다. 도광제는 그날을 위해 정식 조복을 착용하고, 먼저 중화전으로 가서 황태후를 위해 장수를 기원하는 봉축문을 읽었다. 그런 다음 수레를 타고 우익문을 지나 영생문에 이르러 내렸다. 황제는 봉축문을 손에 들고 귀족과 고위 관리들의 호위를 받았다. 황제가 봉축문과 생일 선물을 전달한 후, 수행원들은 함께 효화황태후에게 옥새를 바쳤다.[3]

1838년 4월 10일, 효화황태후와 도광제는 청서릉(청서릉)을 13일 동안 방문했다.[4]

도광 29년에 효화황태후가 병사하자, 도광제는 그녀의 죽음을 애통해하며 장례를 치렀다.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도광제는 상복 중에 승하하였다고 전해진다.

3.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아버지뉴호록 공아랍(鈕祜祿 恭阿拉)1804년 ~ 1810년, 1812년 ~ 1813년 예부상서(禮部尙書), 1810년 ~ 1811년 공부상서(工部尙書), 1811년 ~ 1812년 병부상서(兵部尙書), 일등공(一等公)
외조부공보(公寶)
외조모나라씨
어머니예허나라씨
외할아버지백명(白明)
남편가경제(淸 仁宗 嘉慶帝, 1760년 ~ 1820년)
형제형 1명, 남동생 2명
첫째 형닝우타이(宁武泰)
첫째 남동생허시타이(和世泰)1819년 공부상서(工部尙書) 역임[1]
둘째 남동생질룬타이(吉伦泰)
자매여동생 2명
첫째 여동생정일품 뢰친정비(단언의 처)
둘째 여동생
아들 1황3남 돈각친왕 면개(惇恪親王 綿愷, 1795년 ~ 1838년)
아들 2황4남 서회친왕 면흔(瑞懷親王 綿忻, 1805년 ~ 1828년)
황7녀 (1793년 ~ 1795년)공주 책봉 전 조졸


4. 존호와 시호

도광제 즉위 후인 1820년에 '''공자황태후'''(恭慈皇太后)란 존호를 받았다.[8] 이후 1845년까지 '''강예'''(康豫), '''안성'''(安成), '''장혜'''(莊惠), '''수희'''(壽禧), '''숭기'''(崇祺)를 추가로 받아 최종 존호는 '''공자강예안성장혜수희숭기황태후'''(恭慈康豫安成莊惠壽禧崇祺皇太后)가 되었다.

효화예황후는 건륭제 재위 시기(1735–1796)에는 1776년 11월 20일부터 효화예황후(孝和睿皇后)로 불렸고, 1790년부터는 측복진(側福晉)으로 불렸다. 가경제 재위 시기(1796–1820)에는 1796년 2월 12일부터 귀비(貴妃)로[5], 1797년 6월 14일부터 황귀비(皇貴妃)로[6], 1801년 5월 27일부터 황후(皇后)로 불렸다.[7] 도광제 재위 시기(1820–1850)에는 1850년 4월 12일부터 효화예황후(孝和睿皇后)로 불렸다.[9]

4. 1. 존호

1820년 도광제 즉위 후에 '''공자황태후'''(恭慈皇太后)라는 존호를 올렸다. 1822년 '''강예'''(康豫), 1828년 '''안성'''(安成), 1834년 '''장혜'''(莊惠), 1835년 '''수희'''(壽禧), 1845년 '''숭기'''(崇祺)를 추가로 올렸다. 최종 존호는 '''공자강예안성장혜수희숭기황태후'''(恭慈康豫安成莊惠壽禧崇祺皇太后)이다.

5. 기타

도광제의 황후인 효전성황후를 독살했다는 야사가 존재한다.[12]

6.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연도드라마 제목배역배우
1988년청사효화예황후분 신이(潘欣怡)
2004년황금보감효화예황후천이선(陳慧珊)
2005년가경황제효화예황후손이페이(孫菲菲)
2011년궁중잔혹사: 꽃들의 전쟁효화예황후왕조현(黃智雯)
2018년권력의 게임효화예황후이시우(李施嬅)


참조

[1] 서적 《清代职官年表》/"Calendarium of offices"
[2] 문서 Weng (1998)
[3] 문서 Veritable Records of Emperor Xuanzong of Qing
[4] 문서 Veritable Records of Emperor Xuanzong of Qing
[5] 문서 嘉慶元年 正月 四日
[6] 문서 嘉慶二年 五月 二十日
[7] 문서 嘉慶六年 四月 十五日
[8] 문서 嘉慶二十五年 七月 二十五日
[9] 문서 道光三十年 三月 一日
[10] 서적 《清史稿》卷214 列傳一 后妃
[11] 서적 《清史稿》卷一九 本紀十九 宣宗本紀三
[12] 서적 중국사 열전 후비 달과소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