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바르디아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바르디아속은 PACMAD 분지군 내의 속으로, 기장아과, 아리스티다아과, 꼬인새풀아과, 나도바랭이아과 등과 계통적으로 가깝다. 이 속에는 후바르디아 디안드라와 후바르디아 헵타네우론 두 종이 있으며, 두 종 모두 인도에서 발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1년 기재된 식물 - 와일드망고과
와일드망고과는 말피기아목에 속하며, 와일드망고속, 알란토스페르뭄속, 데스보르데시아속, 클라인독사속을 하위 분류로 포함하는 과이다. - 미크라이라아과 - 기장대풀족
기장대풀족은 벼과에 속하는 식물 분류군으로, 좀조개풀속 등 여러 속을 포함하며, 습지나 물가에서 자생하고, 벼과 내 PACMAD 분지군에 속하며, 생태계와 농업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미크라이라아과 - 미크라이라속
미크라이라속은 벼과에 속하는 아리스티다아과의 식물 속으로, 열대 및 아열대 건조 지역에 적응하였으며 C3 또는 C4 광합성 경로를 사용한다. - 식물의 속 - 너도밤나무속
너도밤나무속은 북반구 온대 지역에 분포하는 참나무과 교목으로, 두 아속으로 나뉘며 각 아속은 형태, 유전형, 분포에서 차이를 보이고, 목재, 식량, 관상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질병과 해충의 위협을 받고 있다. - 식물의 속 - 라이밀
라이밀은 밀과 호밀을 교배하여 만든 곡물이며, 육종을 통해 수확량, 영양 품질, 도복 저항성 등을 개량하고 글루텐을 함유하고 있다.
후바르디아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속 정보 | |
학명 | Hubbardia Bor |
명명자 | Bor |
모식종 | Hubbardia heptaneuron Bor |
분류 체계 | |
역 | 진핵생물 |
계 | 식물계 |
문 | 속씨식물 |
강 | 외떡잎식물 |
군 | 닭의장풀군 |
목 | 벼목 |
과 | 벼과 |
아과 | 미크라이라아과 |
족 | 후바르디아족 (Hubbardieae) |
족 명명자 | C.E.Hubb., 1960 |
속 | 후바르디아속 (Hubbardia) |
속 명명자 | Bor, 1951 |
2. 하위 분류
후바르디아속에는 다음 종들이 포함된다:
- 후바르디아 디안드라 (''H. diandra'')
- 후바르디아 헵타네우론 (''H. heptaneuron'')
2. 1. 후바르디아 디안드라 (''H. diandra'')
''후바르디아 디안드라''는 찬도르(Chandore), 고사비(Gosavi), S.R. 야다브(S.R.Yadav)가 명명한 종이다.[8][9] 인도 마하라슈트라주와 카르나타카주에 있는 서고츠가 원산지이다.2. 2. 후바르디아 헵타네우론 (''H. heptaneuron'')
보르가 명명한 후바르디아 헵타네우론은 인도 카르나타카주가 원산지이다.[8][9]3. 계통 분류
후바르디아속은 벼과 내 PACMAD 분지군에 속하며, 미크라이라아과의 후바르디아족으로 분류된다.[16][17] 미크라이라아과 내에서 후바르디아족은 기장대풀족과 가장 가까운 유연 관계를 가진다.[16][17]
3. 1. PACMAD 분지군 내 계통
PACMAD 분지군 내에서 후바르디아속이 속하는 주요 아과들의 계통 관계는 다음과 같다.[16][17]가장 먼저 아리스티다아과 ('''C3''' & '''C4''')가 분기한다. 나머지 아과들은 크게 두 그룹으로 나뉜다.
- 한 그룹은 기장아과 ('''C3''' & '''C4''')와 그 자매 그룹으로 구성된다.
- 이 자매 그룹은 다시 물대아과 ('''C3''')와 미크라이라아과로 나뉜다.
- 미크라이라아과 내에서는 미크라이라족 ('''C3'''), 에리아크네족 ('''C4'''), 기장대풀족 ('''C3'''), 그리고 후바르디아족이 단계적으로 분기한다. 후바르디아족은 기장대풀족과 가장 가까운 관계이다.
- 다른 한 그룹은 꼬인새풀아과 ('''C3''')와 나도바랭이아과 ('''C3''' & '''C4''')로 구성된다.
따라서 후바르디아속은 미크라이라아과에 속하며, 기장대풀족과 가장 유연 관계가 가깝다.
참조
[1]
간행물
Kew Bulletin 5: 385
1951
[2]
서적
Grass. Burma, Ceylon, India & Pakistan i–767
Pergamon Press, Oxford
1960
[3]
웹사이트
Grassbase - The World Online Grass Flora
http://www.kew.org/d[...]
[4]
서적
Florae Indicae Enumeratio: Monocotyledonae: 1-435
Botanical Survey of India, Calcutta
1989
[5]
간행물
IAPT/IOPB chromosome data 14. Taxon 61: 1336-1345
2012
[6]
논문
A worldwide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the Poaceae (Gramineae)
[7]
논문
Grass plastomes reveal unexpected paraphyly with endemic species of Micrairoideae from India and new haplotype markers in Arundinoideae
2017
[8]
웹사이트
Kew World Checklist of Selected Plant Families
http://apps.kew.org/[...]
[9]
논문
Hubbardia diandra, a new species of Poaceae from the northern Western Ghats with a note on tribe Hubbardieae
https://link.springe[...]
2012
[10]
서적
Grasses of Burma, Ceylon, India and Pakistan (excluding Bambuseae) 685
1960
[11]
간행물
Kew Bulletin 5: 385
1951
[12]
서적
Grass. Burma, Ceylon, India & Pakistan i–767
Pergamon Press, Oxford
1960
[13]
웹사이트
Grassbase - The World Online Grass Flora
http://www.kew.org/d[...]
[14]
서적
Florae Indicae Enumeratio: Monocotyledonae: 1-435
Botanical Survey of India, Calcutta
1989
[15]
간행물
IAPT/IOPB chromosome data 14. Taxon 61: 1336-1345
2012
[16]
저널
New grass phylogeny resolves deep evolutionary relationships and discovers C4 origins
2012
[17]
저널
A worldwide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the Poaceae (Graminea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