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훌리오 아르헨티노 로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훌리오 아르헨티노 로카는 1843년에 태어나 1914년에 사망한 아르헨티나의 군인, 정치인이다. 그는 아르헨티나 연방군에 입대하여 삼국 동맹 전쟁에 참전하였으며, 이후 전쟁부 장관과 대통령을 역임했다.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에는 "사막 정복"으로 알려진 팜파스 원주민 토지 정복을 주도하고, 세속적 법 통과, 경제 발전을 이끌었다. 로카는 20세기 동안 아르헨티나 공화국의 기초를 다진 인물로 평가받았으나, 최근에는 그의 사막 정복 참여와 관련하여 아르헨티나 원주민에 대한 집단 학살을 저질렀다는 비판과 논란에 직면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르헨티나의 외무장관 - 베르나르디노 리바다비아
    베르나르디노 리바다비아는 아르헨티나의 정치가이자 초대 대통령으로, 5월 혁명과 독립 전쟁에 참여하여 부에노스아이레스 정부 장관으로서 도시 개선과 교육 및 문화 발전에 기여했으나, 대통령 재임 중 시스플라티나 전쟁과 연방주의자들의 반발로 사임 후 유럽으로 망명했으며 그의 정치적 성향과 외채 도입에 대한 평가는 엇갈린다.
  • 아르헨티나의 외무장관 - 카를로스 사베드라 라마스
    아르헨티나의 외무 장관이자 학자, 정치가였던 카를로스 사베드라 라마스는 차코 전쟁 종식 기여, 노동법 및 국제법 분야 학문적 업적, 국제 노동 기구 설립 지원 및 국제 연맹 활동 등으로 국제 사회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1936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 아르헨티나의 장군 - 호세 데 산마르틴
    호세 데 산마르틴은 남아메리카 독립을 이끈 아르헨티나의 군인이자 정치가로, 스페인 군 복무 후 독립 운동에 참여하여 칠레와 페루의 독립을 쟁취했으며, 과야킬 회담 이후 은퇴하여 프랑스에서 사망했지만 남미에서 그의 공헌을 기리고 있다.
  • 아르헨티나의 장군 - 후안 도밍고 페론
    후안 도밍고 페론은 아르헨티나의 군인 출신 정치인으로, 1946년과 1973년 두 차례 대통령을 역임하며 사회 정의와 자립 경제를 추구했으나, 언론 탄압과 쿠데타로 실각하기도 했으며, 그의 사후에도 페론주의는 아르헨티나 정치에 영향을 미친다.
훌리오 아르헨티노 로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훌리오 로카 초상화
훌리오 로카
직책
제9대 아르헨티나 대통령재임 시작: 1880년 10월 12일
재임 종료: 1886년 10월 11일
부통령: 프란시스코 베르나베 마데로
전임: 니콜라스 아벨라네다
후임: 미겔 앙헬 후아레스 셀만
제14대 아르헨티나 대통령재임 시작: 1898년 10월 12일
재임 종료: 1904년 10월 11일
부통령: 노르베르토 키르노 코스타
전임: 호세 E. 우리부루
후임: 마누엘 킨타나
내무부 장관재임 시작: 1890년 8월 6일
재임 종료: 1891년 5월 1일
대통령: 카를로스 펠레그리니
전임: 살루스티아노 사발리아
후임: 호세 비센테 사파타
국방부 장관재임 시작: 1878년 1월 4일
재임 종료: 1879년 10월 9일
대통령: 니콜라스 아벨라네다
전임: 아돌포 알시나
후임: 카를로스 펠레그리니
개인 정보
출생일1843년 7월 17일
출생지아르헨티나, 산미겔데투쿠만
사망일1914년 10월 19일
사망지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안장지라 레콜레타 묘지
정당국민 자치주의
배우자클라라 푸네스
자녀훌리오 파스쿠알 로카
알레한드로 로카
엘리사 로카
마리아 마르셀라 로카
클라라 로카
아구스티나 로카
호세피나 로카
엘레나 로카
부모호세 세군도 로카
아구스티나 파스
친척마르코스 파스 (삼촌)
군사 경력
소속아르헨티나 연합 (1861년까지)
[[File:Flag of Argentina.svg|border|23px]] 아르헨티나 공화국
군종[[File:Seal of the Argentine Army.svg|23px]] 아르헨티나 육군
복무 기간1856년-1880년
계급[[File:Teniente General del Ejército Argentino.png|23px]] 중장
전투세페다 전투
파본 전투
로마스 블랑카스 전투
라스 플라야스 전투
우루과이아나 공성전
야타이 전투
투유티 전투
쿠루파이티 전투
산 이그나시오 전투
파스토스 그란데스 전투
냐엠베 전투
산타로사 전투
서명
훌리오 아르헨티노 로카 서명
훌리오 아르헨티노 로카 서명

2. 젊은 시절

훌리오 로카는 1843년 산 미겔 데 투쿠만에서 저명한 지방 유지의 아들로 태어났다.[1] 엔트레 리오스주의 콘셉시온 델 우루과이에 있는 국립 대학을 졸업했다.[1] 1858년 3월 19일에 아르헨티나 연방군에 입대했다.[1] 1865년과 1870년 사이 삼국 동맹 전쟁에 참가했으며,[1] 엔트레리오스주에서 리카르도 로페스의 반란을 제압하기 위한 전투에 참여하면서 대령의 계급까지 올랐다.[1] 대통령 니콜라스 아벨라네다는 산타 로사 전투에서 왕립군을 이끌며 반란군 장군 호세 M. 아레돈도와 싸워 이긴 훌리오를 장군 계급으로 진급시켰다.[1] 로카는 군대를 "국가 통일의 대리인"으로 보았으며, 군대에서의 경험을 통해 "아르헨티나와 지방 상류층에 대한 이해를 넓혔다."[1]

청년 시절의 로카

3. 정치 입문

후안 마누엘 블라네스의 그림, 1889년, 리오네그로 영토의 군사 점령


1878년, 니콜라스 아베야네다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그는 전쟁부 장관이 되었고, 아돌포 알시나 (그의 전임자)의 계획 실패 이후 "변방 문제"를 종식시키는 캠페인을 준비하는 임무를 맡았다. 많은 원주민 집단이 그들의 전통적인 영토를 방어했고, 비원주민 변방 정착지를 자주 공격하여 말과 소를 빼앗고, 노예로 삼거나 전사들의 신부로 삼기 위해 여성과 아이들을 포획했다.[2][3] 그러나 록카는 팜파스의 원주민 공동체를 다루는 방식에서 부에노스아이레스주를 가로지르는 참호와 작은 요새의 방어선을 건설하라고 명령했던 알시나와는 완전히 달랐다. 록카는 그곳에 살던 원주민들을 "소멸시키거나, 복종시키거나, 추방"하는 캠페인(사막 정복으로 알려짐)을 통해 리오네그로강까지의 모든 땅을 효과적인 정부 통제 하에 두는 것 외에는 원주민들의 공격(''말론'')을 종식시킬 방법이 없다고 생각했다. "그는 랑켈족을 상대로 캠페인을 시작했고", 결국 "원주민으로부터 국가 영토의 35%를 지역 카우디요들에게 양도"하는 결과를 낳았다.[4] 이 토지 정복은 또한 칠레에 대한 아르헨티나의 전략적 입지를 강화할 것이다.

그는 1878년 7월과 1879년 4월에 각각 멘도사, 코르도바, 산타페 및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출발하는 6,000명의 기병 부대가 조정된 "촉수" 작전을 고안했으며, 공식적으로 약 1,313명의 아메리카 원주민이 사망하고 15,000명이 포로로 잡혔다.[5] 수백 명의 유럽인 인질을 석방한 공로를 인정받고 있다.[6]

3. 1. 사막 정복 (1878-1879)



1878년, 니콜라스 아베야네다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그는 전쟁부 장관이 되었고, 아돌포 알시나의 계획 실패 이후 "변방 문제"를 종식시키는 캠페인을 준비하는 임무를 맡았다.[2] 많은 원주민 집단이 그들의 전통적인 영토를 방어했고, 비원주민 변방 정착지를 자주 공격하여 말과 소를 빼앗고, 여성과 아이들을 포획했다.[2][3]

로카는 팜파스의 원주민 공동체를 다루는 방식에서 부에노스아이레스주를 가로지르는 참호와 작은 요새의 방어선을 건설하라고 명령했던 알시나와는 완전히 달랐다. 록카는 리오네그로강까지의 모든 땅을 효과적인 정부 통제 하에 두는 것 외에는 원주민들의 공격(''말론'')을 종식시킬 방법이 없다고 생각하여 사막 정복으로 알려진 캠페인을 통해 원주민들을 "소멸시키거나, 복종시키거나, 추방"하려 했다.[4] 그는 랑켈족을 상대로 캠페인을 시작했고, 결국 원주민으로부터 국가 영토의 35%를 지역 카우디요들에게 양도하는 결과를 낳았다.[4] 이 토지 정복은 또한 칠레에 대한 아르헨티나의 전략적 입지를 강화했다.

그는 1878년 7월과 1879년 4월에 각각 멘도사, 코르도바, 산타페 및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출발하는 6,000명의 기병 부대가 조정된 "촉수" 작전을 고안했으며, 공식적으로 약 1,313명의 아메리카 원주민이 사망하고 15,000명이 포로로 잡혔다.[5] 수백 명의 유럽인 인질을 석방한 공로를 인정받고 있다.[6]

4. 제1차 대통령 임기 (1880-1886)

1879년 중반, 아돌포 알시나의 사망 이후 로카는 국민 자율당의 가장 명망 있는 지도자가 되었고, 코르도바 주지사 미겔 셀만과 부에노스아이레스의 에두아르도 와일드 박사에 의해 후보로 제안되었으며, 빠르게 아르헨티나 주지사들의 지지를 얻었다. 1880년 4월 11일 대통령 선거에서 로카는 부에노스아이레스와 코리엔테스를 제외한 대부분 지역에서 압승을 거두었다. 6월 13일 선거인단이 소집되어 로카 장군을 대통령, 프란시스코 베르나베 마데로를 부통령으로 선출했다. 그러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는 로카의 승리에 반대하는 혁명이 준비되고 있었다. 4일 후 전투가 시작되었고, 6월 25일 주와 국가 간의 합의로 끝났다. 1880년 혁명으로 3,000명이 사망했다. 대통령 취임 직전 로카는 부에노스아이레스의 연방화를 의회에서 통과시켰다.

로카(1880–86년 제1차 임기 중 대통령 띠를 착용한 모습)


그의 임기 동안 이른바 "세속적 법"(''Leyes Laicas'')이 통과되었는데, 이는 이전에 교회가 통제했던 일련의 기능을 국유화하는 것이었다. 그는 또한 모든 출생, 사망 및 결혼의 지표인 이른바 ''민간 등록소''(Registro Civil)를 만들었다. 로카 대통령은 또한 교회가 운영하는 교육 기관을 국유화하여 초등 교육을 무상으로 만들었다. 이로 인해 바티칸과의 관계가 단절되었다. 로카는 대규모 유럽 이민, 철도 건설, 농업 수출 붐에 힘입어 급속한 경제 발전을 이룬 시대를 주재했다. 1886년 5월 로카는 암살 미수 사건의 대상이 되었다.

5. 정치적 영향력 유지

로카는 자신의 매형인 후아레스 셀만을 자신의 후임으로 지명했다. 그러나 셀만은 로카와 거리를 두었으며, 그의 정부는 베어링 위기와 부패 혐의로 얼룩졌다.

로카는 레안드로 N. 알렘과 바르톨로메 미트레(이후 ''급진 시민 연합'')가 주도한 1890년 셀만 정권에 대한 혁명 시도에 참여하지 않았다. 하지만 그는 그 결과 미겔 후아레스 셀만이 약해진 것에 기뻐했다.

로카는 첫 번째 대통령직 이후에도 정치적으로 중요한 인물로 남았으며, 카를로스 페예그리니 치하에서 상원의원과 내무부 장관을 역임했다. 루이스 사엔스 페냐 대통령이 1895년 1월 사임한 후, 로카가 상원 의장을 맡고 있던 시기에 호세 에바리스토 우리부루가 대통령직을 승계했다. 이로 인해 로카는 우리부루가 병환 중이던 1895년 10월 28일부터 1896년 2월 8일까지 다시 대통령의 직무를 수행했다.

훌리오 아르헨티노 로카와 그의 동맹들

6. 제2차 대통령 임기 (1898-1904)

두 번째 임기 중의 로카


1897년 중반, 국가 자율당은 로카를 다시 대통령 후보로 내세웠다. 경쟁 없이, 그는 1898년 10월 12일에 두 번째 정규 임기를 시작할 수 있었다. 두 번째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아르헨티나에 위험하다고 여겨진 비시민권자 아나키스트 및 사회주의자였던 일부 아르헨티나 노동조합 지도자들을 추방할 수 있게 해주는 거주법이 통과되었다.[7]

이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1901년에는 징병제가 도입되었고, 1902년에는 5월 조약에 서명하고, 정부의 Ángela de Oliveira Cézar de Costa의 상당한 도움으로 안데스의 그리스도를 세움으로써 칠레와의 국경 분쟁이 해결되었다.[8] 로카의 외무장관 루이스 드라고는 1902년 드라고 독트린을 명확히 하여, 외국 세력이 무력이나 영토 점령을 통해 주권적인 아메리카 국가로부터 공공 부채를 징수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 기간 동안 아르헨티나의 대외 부채는 증가했지만, 경제 성장은 계속되었다. 로카는 자신의 정치적 지배를 계속할 수 없었고, 자신의 후임자를 지명하는 것도 본질적으로 불가능했다. 로카의 두 번째 임기는 1904년에 종료되었으며, 첫 번째 임기보다 덜 성공적인 것으로 여겨진다.[9]

7. 말년

로카는 1912년 로케 사엔스 페냐 대통령에 의해 브라질 주재 아르헨티나 특사로 임명되었다. 1914년 아르헨티나로 돌아와 1914년 10월 19일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사망했다. 그는 부에노스아이레스의 레콜레타 묘지에 묻혔다.

부에노스아이레스 레콜레타 묘지에 있는 로카의 묘


그의 아들인 훌리오 아르헨티노 로카 주니어는 1932년부터 1938년까지 아르헨티나의 부통령이 되었다.

8. 유산

부에노스아이레스에 있는 훌리오 아르헨티노 로카 기념비


로카의 사상은 "가능한 공화국"이라는 후안 바우티스타 알베르디의 사상과 연관되어 왔다. 이는 광범위한 시민 자유경제적 자유를 가지지만, 정치 생활은 지배 엘리트에게 제한된 공화국 정부를 의미한다. 가능한 공화국은 완전한 민주주의적 성격을 가진 진정한 공화국으로 이어질 것이다.[10] 정치적으로 보수주의 노선을 띈 가능한 공화국이라는 이상은, 심지어 80년대 세대의 구성원들에게서조차 다양한 반대 세력을 낳게 한 정치적 갈등의 원천 중 하나였다.[11]

20세기 동안 로카는 현대 아르헨티나 공화국의 기초를 다진 정치인 중 한 명으로 인정받았다. 이와 같이 로카는 전국 각지에 도시, 행정구역, 호수, 거리, 대로, 광장, 기념비, 공원, 학교, 철도 노선 등으로 기념되었다. 예를 들어 리오네그로 주의 헤네랄 로카 시, 차코 주의 프레시덴시아 로카 마을, 산타페 주의 프레시덴테 로카 마을, 엔트레 리오스 주의 콜로니아 로카, 코르도바 주의 헤네랄 로카 데파트멘토 등이 있다. 부에노스아이레스에는 그를 기리는 주요 간선도로와 철도 지선이 있으며, 1941년에는 그의 기마 동상이 세워졌다.

최근 몇 년 동안 로카가 아르헨티나 역사에서 차지하는 위치에 대한 재평가가 증가하고 있으며,[12] 특히 그의 사막 정복 참여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일부 단체는 그가 아르헨티나 원주민에 대한 집단 학살을 저질렀다고 주장한다.[13][14][15][16] 로카를 집단 학살자로 간주하는 사람들은 그가 기념된 장소와 지역에서 로카라는 이름을 제거할 것을 제안했다.[17][18][19]

8. 1. 비판과 논란

로카의 사상은 "가능한 공화국"이라는 후안 바우티스타 알베르디의 사상과 연관되어 왔다. 이는 광범위한 시민 자유경제적 자유를 가지지만, 정치 생활은 지배 엘리트에게 제한된 공화국 정부를 의미한다. 가능한 공화국은 완전한 민주주의적 성격을 가진 진정한 공화국으로 이어질 것이다.[10] 정치적으로 보수주의 노선을 띈 가능한 공화국이라는 이상은, 심지어 80년대 세대의 구성원들에게서조차 다양한 반대 세력을 낳게 한 정치적 갈등의 원천 중 하나였다.[11]

20세기 동안 로카는 현대 아르헨티나 공화국의 기초를 다진 정치인 중 한 명으로 인정받았다.[12] 이와 같이 로카는 전국 각지에 도시, 행정구역, 호수, 거리, 대로, 광장, 기념비, 공원, 학교, 철도 노선 등으로 기념되었다. 예를 들어 리오네그로 주의 헤네랄 로카 시, 차코 주의 프레시덴시아 로카 마을, 산타페 주의 프레시덴테 로카 마을, 엔트레 리오스 주의 콜로니아 로카, 코르도바 주의 헤네랄 로카 데파트멘토 등이 있다. 부에노스아이레스에는 그를 기리는 주요 간선도로와 철도 지선이 있으며, 1941년에는 그의 기마 동상이 세워졌다.

최근 몇 년 동안, 특히 그의 사막 정복 참여와 관련하여, 로카가 아르헨티나 역사에서 차지하는 위치에 대한 재평가가 증가하고 있다.[12] 일부 단체는 그가 아르헨티나 원주민에 대한 집단 학살을 저질렀다고 주장한다.[13][14][15][16] 로카를 집단 학살자로 간주하는 사람들은 그가 기념된 장소와 지역에서 로카라는 이름을 제거할 것을 제안했다.[17][18][19]

9. 역대 선거 결과

wikitable

선거명직책명대수정당득표율득표수결과당락
1880년 선거아르헨티나의 대통령8대국가자치당68.89%155표1위
25px
1898년 선거아르헨티나의 대통령11대국가자치당95.02%218표1위
1898년 선거아르헨티나의 부통령8대국가자치당0%6표4위낙선


참조

[1] 서적 Julio Argentino Roca Charles Scribner's Sons 1996
[2] 서적 Argentina: Countries of the World ABDO 2011-01-09
[3] 서적 Captive Women: Oblivion And Memory In Argentina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002-12-04
[4] 문서 Julio A. Roca
[5] 서적 The Argentine Military and the Boundary Dispute With Chile, 1870–1902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9
[6] 서적 Twigs of a Tree a Family Tale: From a Priest Defrocked by the French Revolution to English Pioneering on the Pampas AuthorHouse 2012-04-23
[7] 문서 Julio A. Roca
[8] 웹사이트 De consortes a embajadoras https://www.clarin.c[...] 2022-03-04
[9] 문서 Julio A. Roca
[10] 웹사이트 Biografía política de Julio A. Roca https://museoroca.cu[...]
[11] 웹사이트 Biografía política de Julio A. Roca https://museoroca.cu[...]
[12] 웹사이트 Centenario de Roca https://julioarocaho[...] 2016-09-21
[13] 뉴스 Argentinian founding father recast as genocidal murderer The Guardian 2011-01-13
[14] 간행물 Art and Survival in Patagonia http://www.artinsoci[...]
[15] 웹사이트 Biografías: Julio Argentino Roca http://www.elhistori[...] El Historiador 2020-07-11
[16] 웹사이트 El escritor Osvaldo Bayer dijo que "Julio Argentino Roca fue un genocida" http://occidentes.co[...] Occidentes 2020-07-11
[17] 웹사이트 Escuela cambió su nombre de "Julio A. Roca" por "Pueblos Originarios" http://www.abchoy.co[...] 2015-05-26
[18] 웹사이트 Eliminan el nombre de Julio Roca de una calle en General Pinto http://infonoroeste.[...] 2012-06-23
[19] 웹사이트 Quitan cartelería de Roca para el cambio de nombre http://www.tiemposur[...] Tiempo Sur 2010-11-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