흐베르겔미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흐베르겔미르는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샘으로, 시 에다와 산문 에다에서 언급된다. 시 에다에서는 에이크튀르니르라는 사슴의 뿔에서 물방울이 떨어져 모든 물이 솟아나는 곳으로 묘사되며, 여러 강들의 기원으로 여겨진다. 산문 에다에서는 니플헤임에 위치하며, 위그드라실의 뿌리 아래에 있으며 니드호그와 뱀들이 서식하는 곳으로 묘사된다. 또한 발할라 꼭대기에 있는 에이크튀르니르의 뿔에서 액체가 흘러내려 형성된다고 언급되며, 나스트론드보다 더 불쾌한 장소로 묘사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흐베르겔미르 | |
---|---|
흐베르겔미르 | |
유형 | 샘 |
위치 | 니플헤임 |
신화 | 노르드 신화 |
어원 | 흐베르겔미르 (Hvergelmir)는 "부글부글 끓어오르는 솥" 또는 "끓어오르는 샘"을 의미한다. |
관련 항목 | 니드호그 에이크튀르미르 위그드라실 |
노르드어 | |
고대 노르드어 | Hvergelmir |
의미 | '부글부글 끓어오르는 솥' 또는 '끓어오르는 샘' |
로마자 표기 | |
로마자 표기 | Hbeogeulmireu |
2. 신화적 묘사
흐베르겔미르는 시 에다와 산문 에다에서 언급된다.
''시 에다''의 '그리니르의 말'에서는 오딘의 홀 위에 서 있는 에이크튀르니르라는 사슴의 뿔에서 물방울이 흐베르겔미르로 떨어져 모든 물이 솟아오른다고 묘사된다.[2]
''산문 에다''의 ''길피의 속임수''에서는 흐베르겔미르가 니플헤임의 안개 낀 영역에 위치하며, 세상이 창조되기 여러 시대 전에 만들어졌다고 설명한다.[7] 흐베르겔미르 샘에서는 여러 강이 흘러나오고, 세계수 위그드라실의 세 뿌리 중 하나가 이 샘 아래에 있으며, 드래곤 니드호그가 뿌리 밑동을 갉아먹고 있다.[4] 또한, 흐베르겔미르에는 니드호그 외에도 수많은 뱀들이 있다고 한다.[5] 에이크튀르니르라는 수사슴이 발할라 꼭대기에서 위그드라실의 가지를 먹는데, 그 뿔에서 많은 양의 액체가 흘러내려 흐베르겔미르로 떨어진다고 한다.[6]
나스트론드보다 흐베르겔미르가 더 나쁜 이유는 니드호그가 거기서 죽은 자들의 육체를 고문하기 때문이다.[7]
2. 1. 시 에다
''시 에다''의 시 '그리니르의 말'에서 흐베르겔미르는 다음과 같이 언급된다.[2]
이 연 다음에 42개의 강 이름으로 구성된 세 개의 연이 이어진다. 이 강들 중 일부는 신들의 거처로 이어지고(예: 굘과 게이르비물), 적어도 두 개(갼과 레이프트)는 헬에 이른다.[2]
2. 2. 산문 에다
흐베르겔미르는 산문 에다에서 여러 번 언급된다. ''길피의 속임수''에서 그저 높으신 분은 흐베르겔미르가 니플헤임의 안개 낀 영역에 위치해 있으며, 세상이 창조되기 여러 시대 전에 만들어졌다고 설명한다. 또한 흐베르겔미르 샘에서 여러 강이 흘러나오고, 세계수 위그드라실의 세 뿌리 중 하나가 이 샘 아래에 있으며, 드래곤 니드호그가 뿌리 밑동을 갉아먹고 있다고 한다. 게다가 흐베르겔미르에는 니드호그 외에도 수많은 뱀들이 있다고 한다. 에이크튀르니르라는 수사슴이 발할라 꼭대기에서 위그드라실의 가지를 먹는데, 그 뿔에서 많은 양의 액체가 흘러내려 흐베르겔미르로 떨어진다고 한다. 마지막으로 흐베르겔미르는 나스트론드보다 더 나쁜 곳으로 언급되는데, 그 이유는 니드호그가 거기서 죽은 자들의 육체를 고문하기 때문이다.[7]2. 2. 1. 위치와 역할
그저 높으신 분은 흐베르겔미르 샘이 니플헤임의 안개 낀 영역에 위치해 있다고 설명한다. "세상이 창조되기 여러 시대 전에 니플헤임이 만들어졌는데, 그 가운데 흐베르겔미르라는 샘이 있고, 거기서 스볼, 군트라, 피오름, 핌불툴, 슬리드르, 흐리드, 실그, 일그, 비드, 레이프트르 강이 흘러나오고, 기욜 강은 헬 게이트 옆에 있다."[3]세계수 위그드라실에 대한 설명에 따르면, 나무의 세 뿌리 중 세 번째 뿌리가 니플헤임으로 뻗어 있으며, 이 뿌리 아래에 흐베르겔미르 샘이 있다. 뿌리 밑동은 드래곤 니드호그가 갉아먹고 있으며, 흐베르겔미르에는 니드호그뿐만 아니라 "어떤 혀로도 헤아릴 수 없는" 수많은 뱀들이 있다고 한다.[4][5]
에이크튀르니르라는 수사슴이 발할라 꼭대기에서 위그드라실의 가지를 먹는데, 수사슴의 뿔에서 많은 양의 액체가 흘러내려 흐베르겔미르로 떨어진다. 여기서 26개의 강이 비롯된다.[6]
볼룬가의 예언을 인용하면, 나스트론드보다 흐베르겔미르가 더 나쁜 이유는 "거기서 니드호그가 죽은 자들의 육체를 고문한다"는 것이다.[7]
2. 2. 2. 위그드라실과의 관계
''길피의 속임수''에서 그저 높으신 분은 세계수 위그드라실에 대해 설명하면서, 나무의 세 뿌리가 나무를 지탱하고 "아주 멀리 뻗어 있으며" 이 세 뿌리 중 세 번째 뿌리가 니플헤임으로 뻗어 있다고 말한다.[4] 이 뿌리 아래에 흐베르겔미르 샘이 있고, 뿌리 밑동은 드래곤 니드호그가 갉아먹고 있다.[4] 흐베르겔미르에는 니드호그뿐만 아니라 "어떤 혀로도 헤아릴 수 없는" 수많은 뱀들이 있다고 한다.[5]''길피의 속임수''에서 세 번째로 언급되는 이 샘의 근원은 다음과 같다. 에이크튀르니르라는 수사슴이 사후 세계의 궁전인 발할라 꼭대기에 서서 위그드라실의 가지를 먹고, 수사슴의 뿔에서 많은 양의 액체가 흘러내려 흐베르겔미르로 떨어진다.[6]
2. 2. 3. 에이크쉬르니르
''길피의 속임수''에서 높으신 분은 에이크튀르니르라는 수사슴이 사후 세계의 궁전인 발할라 꼭대기에 서서 위그드라실의 가지를 먹고, 수사슴의 뿔에서 많은 양의 액체가 흘러내려 흐베르겔미르로 떨어진다고 설명한다. 높으신 분은 여기서 26개의 강을 헤아린다.[6]2. 2. 4. 나스트론드와의 비교
''산문 에다''에서 흐베르겔미르는 나스트론드와 비교되어 언급된다. 셋째 분은 독으로 가득 찬 나스트론드보다 흐베르겔미르가 더 나쁘다고 지적한다. 그 이유는 ''고 에다'' 시 볼룬가의 예언의 구절을 인용하면서, "거기서 드래곤 니드호그가 죽은 자들의 육체를 고문한다."라고 설명하기 때문이다.[7]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9]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10]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11]
서적
[12]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