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드호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드호그는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용 또는 뱀의 형상을 한 존재이다. 어원은 'Níðhǫggr' 또는 'Niðhǫggr'로 표기되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사용된다.
문헌상으로는 고 에다의 〈그림니르가 말하기를〉과 〈무녀의 예언〉에 등장하며, 이그드라실 나무를 갉아먹거나 나스트론드에서 시체를 삼키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신 에다에서는 이그드라실의 뿌리를 갉아먹는 존재로, 라타토스크가 수리와 니드호그 사이를 오가며 싸움을 붙이는 역할로 묘사된다. 스노리 스투를루손은 니드호그를 뱀의 일종으로 분류하기도 하며, 도검을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드래곤 - 스마우그
스마우그는 J. R. R. 톨킨의 소설 《호빗》에 등장하는 용으로, 에레보르의 보물을 차지하고 데일 마을을 파괴하지만, 호수 마을 공격 후 바르드에게 죽임을 당한다. - 드래곤 - 피톤
피톤은 그리스 신화에서 가이아의 아들로 델포이 신탁소를 지키던 거대한 뱀 괴물이며, 아폴론에게 죽임을 당한 후 아폴론이 신탁을 내리게 되었고, 대지의 정령 정복 과정으로 해석되거나 점치는 영으로 언급되며, "python"의 어원이기도 하다. - 노르드 신화의 생물 - 트롤
트롤은 노르드 신화에서 유래하여 악마, 귀신 등 다양한 의미를 지닌 신화적 존재로, 요툰의 한 종류로 묘사되며 인간에게 적대적인 특징을 갖고, 스칸디나비아 민속에서는 햇빛에 닿으면 돌로 변하는 늙고 어리석은 존재로 나타나며, 대중문화에서는 괴물이나 인기 캐릭터, 온라인에서는 악성 댓글을 다는 사람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 노르드 신화의 생물 - 요르문간드
요르문간드는 북유럽 신화에 나오는 로키와 앙그르보다의 자식인 거대한 뱀으로, 오딘에 의해 바다에 던져졌지만 미드가르드를 둘러쌀 정도로 자라 꼬리를 물고 있으며, 토르와의 낚시 조우 및 라그나로크 전투, 꼬리를 문 모습으로 세상의 순환을 상징하는 모티프로 전해진다. - 전설의 뱀 - 피톤
피톤은 그리스 신화에서 가이아의 아들로 델포이 신탁소를 지키던 거대한 뱀 괴물이며, 아폴론에게 죽임을 당한 후 아폴론이 신탁을 내리게 되었고, 대지의 정령 정복 과정으로 해석되거나 점치는 영으로 언급되며, "python"의 어원이기도 하다. - 전설의 뱀 - 케찰코아틀
케찰코아틀은 "귀중한 뱀" 또는 "케찰-깃털 뱀"을 뜻하는 나와틀어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고대 메소아메리카 문명에서 숭배받던 깃털 달린 뱀의 신이자 종교적, 정치적 상징으로, 바람, 통치, 사제, 금성과 관련되어 현대 대중 매체, 항공, 고생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니드호그 | |
---|---|
일반 정보 | |
![]() | |
유형 | 뱀 또는 용 |
문화 | 노르드 신화 |
거주지 | 니플헤임 또는 헬 |
관련 장소 | 흐베르겔미르 근처의 이그드라실의 뿌리 |
이름 | |
고대 노르드어 | Níðhǫggr |
의미 | "저주하는 자" 또는 "증오에 차서 공격하는 자" |
묘사 | |
역할 | 이그드라실의 뿌리를 갉아먹음 죽은 자의 시체를 먹음 |
외형 | 거대한 뱀 또는 용 |
추가 정보 | |
관련 개념 | 라타토스크 (다람쥐): 니드호그와 독수리 사이에서 메시지를 전달하며 갈등을 조장함 독수리: 이그드라실 꼭대기에 살며, 니드호그와 대립함 죄인의 영혼: 니드호그가 씹어 먹는 대상 |
현대 문화 | |
게임 | 니드호그 (비디오 게임) |
2. 어원
표준화된 노르드어 철자법으로 니드호그는 ''Níðhǫggr'' 또는 ''Niðhǫggr''로 쓰지만, 'ǫ'는 편의상 이유로 현대 아이슬란드어의 'ö'로 자주 대체된다.
스노리 스투를루손의 산문 에다 중 길피의 속임수에 따르면, 니드호그는 이그드라실의 세 뿌리 중 하나를 갉아먹는데, 이 뿌리는 니플헤임 위에 있으며 니드호그를 세상으로부터 가두고 있다고 여겨진다. 또한, 다람쥐 라타토스크가 나무 위아래로 다니며 독수리와 니드호그 사이에 시기심 섞인 말을 전한다.[2]
영어로는 ''Nidhogg'', ''Nidhoggr'', ''Nithhogg'', ''Nidhögg'', ''Nidhöggr'', ''Nithhöggr'', ''Nídhöggr'', ''Nithhoggr'', ''Nidhhogg'', ''Níðhögg'', ''Niðhoggr'', ''Níðhoggr'', ''Nídhögg'', ''Hidhaegg'', ''Nidhhoggr'' 등으로 쓴다. 현대 아이슬란드어로는 ''Níðhöggur'' 및 ''Niðhöggur''라고 쓴다. 덴마크어에서는 ''Nidhug'' 또는 "Nidhøg" 같은 표기도 보인다. 표준화된 고대 노르드 문자에서 이름은 Níðhǫggrnon로 표기되지만, 익숙함 또는 기술적 편의를 위해 문자 ǫnon는 현대 아이슬란드어 öis로 자주 대체된다.
이름에서 ''í''는 ''i''로, ''ð''는 ''th'', ''d'' 또는 (드물게) ''dh''로, ''ǫ''는 ''o''로 나타낼 수 있으며, 현대 스칸디나비아어의 반영과 같이 ''r'' 없이 표시할 수도 있다. 아이슬란드어 형태인 Níðhögguris도 특수 문자 또는 유사하게 영어화된 형태로 가끔 나타난다. 덴마크어 형태인 Nidhugda와 Nidhøgda도 찾아볼 수 있으며, 노르웨이어 Nidhoggno와 스웨덴어 Nidhöggsv도 있다. 영어 동족어는 Nithhewer가 될 것이다.
3. 문헌상 출전
산문 에다의 시어법에서는 니드호그를 뱀의 일종으로 분류하며, 다음과 같은 뱀들의 이름 목록을 제시한다.[3]
: 용, 파프니르, 요르문간드, 살무사, 니드호그, 뱀, 독사, 고인, 모인, 그라프비트니르, 그라바크, 오프니르, 스바프니르, 가면을 쓴 자.
스노리는 에다 시가의 그림니르가 말하기를와 무녀의 예언을 참고하여 니드호그에 대해 묘사한 것으로 보인다. 이후 시어법에서는 칼을 지칭하는 다양한 용어 중 하나로 니드호그를 언급한다.[4]
3. 1. 고 에다
〈그림니르가 말하기를〉(''Grímnismál'')에서는 이그드라실 나무에 사는 여러 존재들 중 하나로 니드호그가 언급된다. 니드호그는 나무 밑바닥에서 이그드라실을 갉아먹는 존재로 묘사되며, 라타토스크라는 다람쥐가 나무 꼭대기의 이름을 알 수 없는 수리와 니드호그 사이를 오가며 서로에게 메시지를 전달한다.[15]
〈무녀의 예언〉(''Völuspá'')에서는 니드호그가 두 번 등장한다. 첫 번째는 나스트론드에 대한 묘사에서 나타난다.
에이스테인 비요르손의 판 | 벨로우즈의 번역 | 드론케의 번역 |
---|---|---|
여기서 니드호그는 위증을 저지른 자, 살인자, 다른 이의 아내를 유혹한 자들의 시체를 삼키는 존재로 묘사된다.
〈무녀의 예언〉 마지막 부분에 다시 등장하는 니드호그는 용이자 뱀으로 묘사된다.
에이스테인 비요르손의 판 | 벨로우즈의 번역 | 드론케의 번역 |
---|---|---|
이 구절은 니드호그의 등장이 라그나뢰크의 대파국을 예고한다는 해석이 일반적이다.
니드호그는 그 외의 고대 문헌에서는 등장하지 않는다.
3. 2. 신 에다
스노리 스투를루손의 《신 에다》(''Prose Edda'')의 〈길피의 속임수〉(''Gylfaginning'')에 따르면, 니드호그는 이그드라실의 세 뿌리 중 하나를 물어뜯고 있다고 한다. 이 괴물이 이그드라실의 뿌리 때문에 갇혀서 세상으로 나오지 못하고 있다는 해석도 존재한다.[15] 니드호그가 물어뜯는 뿌리는 니플헤임에 걸쳐 있으며, 이 뿌리를 아래로부터 갉아먹고 있다고 한다. 또한 라타토스크라는 다람쥐가 위아래로 뛰어다니며 수리와 뱀(니드호그) 사이에 싸움을 붙인다는 말도 쓰여 있다.[15] 스노리의 니드호그에 대한 묘사는 〈그림니르의 비가〉 및 〈무녀의 예언〉에서 따온 것으로 생각된다.〈시어법〉(''Skáldskaparmál'')에서 스노리는 니드호그를 다음 생물들과 함께 뱀으로 분류하고 있다.[3]
뱀의 이름[3] |
---|
드래곤(dragon), 파프니르(Fafnir), 요르문간드(Iormungand), 아데르(adder), 니드호그(Nidhogg), 배암(snake), 살무사(viper), 고인(Goin), 모인(Moin), 그라프비트니르(Grafvitnir), 그라바크(Grabak), 오프니르(Ofnir), 스바프니르(Svafnir), 가면을 쓴 자(masked one) |
〈시어법〉의 또다른 부분에서 스노리는 ‘니드호그’를 도검을 가리키는 여러 가지 용어와 이름 중 하나로 포함시키고 있다.[16]
참조
[1]
문서
[2]
서적
Gylfaginning
[3]
서적
[4]
서적
[5]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6]
서적
Dictionary of Northern Mythology
[7]
서적
北欧神話物語
青土社
[8]
서적
The Poetic Edda : Volume II : Mythological Poems
オックスフォード大学出版局
[9]
서적
Dictionary of Northern Mythology
[10]
서적
Truth In Fantasy VI 虚空の神々
新紀元社
[11]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12]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13]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14]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15]
서적
Gylfaginning
[16]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