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계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계수는 여러 유라시아 신화에서 나타나는 모티프로, 세계의 중심 또는 축의 역할을 하며 우주의 질서와 조화를 상징한다. 나무의 각 부분은 하늘, 중간 세계, 지하 세계를 의미하며, 하늘과 땅 사이의 중재자로 숭배되었다. 세계수는 생명의 나무, 세계 기둥, 세계 산과 비교되기도 한다.

북유럽 신화의 위그드라실, 슬라브·발트·핀란드 신화의 참나무, 그리스·로마 신화의 참나무와 올리브 나무 등 다양한 문화권에서 세계수와 관련된 신화가 존재한다. 메소아메리카, 한국, 그리고 기타 문화권에서도 세계수 개념을 찾아볼 수 있으며, 현대에는 생태학적 관점과 개인의 성장과 같은 의미로도 해석된다.

2. 일반적인 특징

세계수는 생명나무와 동일시되기도 하며, 세계의 중심 또는 축인 액시스 문디(axis mundi)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세상의 중심에 위치하며 우주의 질서와 조화를 상징한다.[6]

가지가 하늘에 닿고 뿌리가 인간세계나 지상세계를 명계나 지하세계와 연결한다고 여겨져, 하늘과 땅 사이의 중재자로 숭배되었다. 나무 꼭대기에는 독수리 둥지와 발광체(별), 천체가 있고, 여러 종의 새가 가지 사이에 자리 잡고 있다. 가지 아래에는 사람과 각종 동물이 살고, 뿌리 근처에는 뱀과 각종 파충류가 산다.[9][10]

세계수의 이미지는 위에서 자라는 과일이나 근처 샘을 통해 불멸을 부여하는 것과 연관되기도 한다.[11][4] 조지 레클러(George Lechler)는 일부 설명에서는 "생명수"가 나무 뿌리에서 흘러나온다고도 지적했다.[12]

2. 1. 세계의 삼중 구조

학계에서는 많은 유라시아 신화가 "세계수", "우주 나무", 또는 "독수리와 뱀의 나무"라는 모티프를 공유한다고 밝히고 있다.[2] 구체적으로는 아이티, 핀란드, 리투아니아, 헝가리, 인도, 중국, 일본, 노르드, 시베리아 및 북아시아 샤머니즘 민속에 나타난다.[3]

세계수는 종종 '생명의 나무'(Tree of Life)[4]와 동일시되며, 세계의 중심 또는 축인 '축의 세상'(axis mundi)의 역할을 수행한다.[3][5] 또한 세계의 중심에 위치하며 우주의 질서와 조화를 나타낸다.[6] Loreta Senkute에 따르면, 나무의 각 부분은 세계의 세 영역(나무 꼭대기 - 하늘, 줄기 - 중간 세계 또는 지구, 뿌리 - 지하 세계) 중 하나에 해당하며, 고전 원소(상단 부분 - , 중간 부분 - , 토양, 지면, 하단 부분 - )와도 연관된다.[6]

가지가 하늘에 닿고 뿌리가 인간 또는 지상 세계를 지하 세계 또는 지하 영역과 연결하기 때문에 나무는 하늘과 땅 사이의 중재자로 숭배되었다.[7] 나무 꼭대기에는 발광체 (별)와 천체가 있으며,[8] 독수리 둥지도 있다. 여러 종류의 새들이 가지에 둥지를 틀고, 모든 종류의 인간과 동물들이 그 아래에 살고 있으며, 뿌리 근처에는 뱀과 모든 종류의 파충류가 산다.[9][10]

2. 2. 동물 상징

세계수는 많은 유라시아 신화에서 "세계수", "우주수", "독수리와 뱀나무"라는 모티브로 나타난다. 특히 아이티, 핀란드, 리투아니아, 헝가리, 인도, 중국, 일본, 북유럽, 시베리아 및 북아시아 샤머니즘 민속에서 찾아볼 수 있다.

세계수는 종종 생명나무와 동일시되며, 세계의 중심 또는 축인 액시스 문디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세상의 중심에 위치하며 우주의 질서와 조화를 상징한다. 로레타 센쿠테(Loreta Senkute)에 따르면 나무의 각 부분은 세계의 세 가지 영역(나무 꼭대기 - 하늘, 줄기 - 중간 세계 또는 땅, 뿌리 - 지하 세계) 중 하나에 해당하며 고전적 요소(상단 부분 - 불, 중간 부분 - 흙, 토양, 땅, 바닥 부분 - 물)와도 관련된다.

세계수는 가지가 하늘에 닿고 뿌리가 뻗어 인간세계나 지상세계를 명계나 지하세계와 연결해준다고 여겨진다. 이 때문에 나무는 하늘과 땅 사이의 중재자로 숭배되었다. 나무 꼭대기에는 독수리 둥지와 함께 발광체(별)와 천체가 있다. 여러 종의 새가 가지 사이에 자리 잡고 있다. 그 가지 아래에는 사람과 각종 동물이 살고, 그 뿌리 근처에는 뱀과 각종 파충류가 거처한다.

블라디미르 토포로프에 따르면, 동물 종은 일반적으로 나무의 각 부분에 분포되어 있다.[13]

나무의 부분동물
뿌리뱀, 개구리, 수달, 비버, 물고기, 용[13]
중간 (줄기)사슴, 엘크, (때로는 벌)[13]
꼭대기주요 새 (나무 꼭대기의 양쪽에 앉아있는 한 쌍의 새[13]), 독수리[15]



새는 나뭇잎 꼭대기에 앉아 있는데, "종종 .... 날개 달린 신화 속 생물"로 하늘의 영역을 나타낸다.[14][4] 독수리는 창조주 또는 날씨 신의 역할을 수행하는 가장 흔한 새인 것으로 보인다.[15] 그 반대편에는 나무 뿌리 사이를 기어 다니는 뱀 또는 뱀과 같은 생물이 있는데, 이것은 "저승의 상징"이다.[14][4]

2. 3. 기타 모티프

많은 유라시아 신화에서 "세계수", "우주수", "독수리와 뱀나무"라는 모티프를 공유하고 있다.[11] 이러한 모티프는 특히 아이티, 핀란드, 리투아니아, 헝가리, 인도, 중국, 일본, 북유럽, 시베리아 및 북아시아 샤머니즘 민속에 나타난다.

세계수는 종종 생명나무와 동일시되며, 세계의 중심 또는 축인 액시스 문디(axis mundi)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세상의 중심에 위치하며 우주의 질서와 조화를 상징한다. 로레타 센쿠테(Loreta Senkute)에 따르면 나무의 각 부분은 세계의 세 가지 영역(나무 꼭대기 - 하늘, 줄기 - 중간 세계 또는 땅, 뿌리 - 지하 세계) 중 하나에 해당하며, 고전적 요소(상단 부분 - 불, 중간 부분 - 흙, 토양, 땅, 바닥 부분 - 물)와도 관련된다.

세계수의 가지는 하늘에 닿고 뿌리는 인간세계나 지상세계를 명계나 지하세계와 연결해준다고 여겨진다. 이 때문에 나무는 하늘과 땅 사이의 중재자로 숭배되었다. 나무 꼭대기에는 독수리 둥지와 함께 발광체(별)와 천체가 있다. 여러 종의 새가 가지 사이에 자리 잡고 있으며, 가지 아래에는 사람과 각종 동물이 살고, 뿌리 근처에는 뱀과 각종 파충류가 거처한다.

새는 잎사귀 꼭대기에 자리 잡고 있으며, 하늘의 영역을 나타내는 "종종 .... 날개 달린 신화 속의 생물"이다. 독수리는 창조자나 날씨의 신 역할을 하는 가장 흔한 새인 것 같다. 그 대척자는 나무 뿌리 사이를 기어다니는 뱀이나 뱀 모양의 생물로, "지하 세계의 상징"이다.

세계수의 이미지는 때때로 그 위에서 자라는 과일이나 근처에 있는 샘에 의해 불멸을 부여하는 것과 연관된다.[11][4] 조지 레클러(George Lechler)는 일부 설명에서는 이 "생명수"가 나무의 뿌리에서 흘러나오기도 한다고 지적했다.[12]

세계수는 다른 전통에 등장하는 세계 기둥과도 비교되며, 하늘과 땅 사이를 구분하여 하늘을 받치는 역할을 한다.[16] 세계수와 유사한 또 다른 표현은 세계 산이다. 그러나 일부 이야기에서는 세계 나무가 세계 산 꼭대기에 위치하여 두 모티프가 결합된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6]

뱀 형상의 생물과 거대한 새(독수리) 사이의 갈등은 유라시아 신화에서 나타난다. 영웅이 어린 새들의 둥지를 위협하는 뱀을 죽이면, 어미 새가 그 호의에 보답한다. 비교 신화학자 쥘리앵 뒤이는 이 모티프의 기원을 구석기 시대로 추정한다. 비슷한 이야기가 아메리카 원주민의 전통에서도 나타나는데, 여기서는 썬더버드가 "뱀과 같은 물 괴물"의 위협을 받는 거대한 새 역할을 한다.[17][18]

3. 기원 및 확산

학계에서는 많은 유라시아 신화가 "세계수", "우주 나무", 또는 "독수리와 뱀의 나무"라는 모티프를 공유한다고 밝히고 있다.[2] 구체적으로는 "아이티, 핀란드, 리투아니아, 헝가리, 인도, 중국, 일본, 노르드, 시베리아 및 북아시아 샤머니즘 민속"에 나타난다.[3]

세계수는 다른 전통에 등장하는 세계 기둥과도 비교되며, 하늘과 땅 사이를 구분하여 하늘을 받치는 역할을 한다.[16] 세계수와 유사한 또 다른 표현은 세계 산이다. 그러나 일부 이야기에서는 세계 나무가 세계 산 꼭대기에 위치하여 두 모티프가 결합된 형태로 나타난다.[6]

뱀 형상의 생물과 거대한 새(독수리) 사이의 갈등은 유라시아 신화에서 나타난다. 영웅이 어린 새들의 둥지를 위협하는 뱀을 죽이면, 어미 새가 그 호의에 보답한다. 비교 신화학자 쥘리앵 뒤이는 이 모티프의 기원을 구석기 시대로 추정한다. 비슷한 이야기가 아메리카 원주민의 전통에서도 나타나는데, 여기서는 썬더버드가 "뱀과 같은 물 괴물"의 위협을 받는 거대한 새의 역할을 한다.[17][18]

종교학자인 미르체아 엘리아데는 그의 저서 ''샤머니즘: 엑스터시의 고대 기술''에서 세계수가 샤머니즘적 세계관의 중요한 요소라고 주장했다.[19] 또한, 그에 따르면 "거대한 새...가 세계수의 가지에서 샤먼을 부화시킨다"고 한다.[19] 마찬가지로, 로알드 크누센은 알타이 샤머니즘에서 이 모티프가 나타난다고 지적한다.[20] 세계수의 묘사는 시베리아 샤머니즘 의식에 사용되는 북에 묘사되어 있다고 한다.[21]

일부 조류 종 (독수리, 갈까마귀, 두루미, 바다오리, 종달새)는 세계 사이의 중재자로서 숭배받으며 세계수의 이미지와도 연결되어 있다.[22] 또 다른 학문적 흐름은 상위 영역으로의 중재자로서 올빼미와, 그에 대응하는 하위 영역으로의 중재자로서 뱀의 "반복적인 주제"를 지적한다.[23]

연구자 크리스틴 피어슨은 세계수가 과 사슴 뿔 (나뭇가지와 비슷할 수 있음)과도 연관되는 북유라시아 및 중앙아시아의 전통을 언급한다.[24]

미르체아 엘리아데는 세계수 전형적인 이미지(꼭대기의 새, 뿌리의 뱀)가 "아마 동양에서 유래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19] 마찬가지로 로알드 크누센은 이 모티프의 가능한 기원을 중앙아시아로 보고 이후 다른 지역과 문화로 확산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한다.[20]

일부 학자는 진화생물학의 관점에서 세계수라는 개념이 인류의 사고 속에 원래부터 내재되어 있을 가능성을 지적한다. 인류의 조상이 약 6천만 년 동안 수목 위에서 생활했으며, 그들에게는 나무야말로 세상의 전부였을 것이라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세상은 거대한 나무로 이루어져 있다는 집단 무의식이 현재의 우리에게까지 남아 있다는 것이다.[110][111]

4. 지역별 세계수

세계수는 종종 생명나무와 동일시되며, 세계의 중심 또는 축인 액시스 문디(axis mundi)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세상의 중심에 위치하며 우주의 질서와 조화를 상징한다. 로레타 센쿠테(Loreta Senkute)에 따르면 나무의 각 부분은 세계의 세 가지 영역(나무 꼭대기 - 하늘, 줄기 - 중간 세계 또는 땅, 뿌리 - 지하 세계) 중 하나에 해당하며 고전적 요소(상단 부분 - 불, 중간 부분 - 흙, 토양, 땅, 바닥 부분 - 물)와도 관련된다.[3]

세계수는 가지로 하늘에 닿고 뿌리로는 지하 세계와 연결되어, 하늘과 땅 사이의 중재자로 숭배되었다. 나무 꼭대기에는 발광체(별)와 천체가 있고 독수리 둥지가 있다. 가지 사이에는 여러 종의 새가, 가지 아래에는 사람과 각종 동물이, 뿌리 근처에는 파충류가 산다. 새는 잎사귀 꼭대기에 자리 잡고 하늘을 대표하며, "날개 달린 신화 속 생물"인 경우가 많다. 독수리는 창조자나 날씨의 신 역할을 하는 가장 흔한 새이다. 그 대척자는 나무 뿌리 사이를 기어다니는 뱀이나 뱀 모양의 생물로, "지하 세계의 상징"이다.[3]

세계수의 이미지는 때때로 그 위에서 자라는 과일이나 근처에 있는 샘에 의해 불멸을 부여하는 것과 연관된다. 조지 레클러(George Lechler)는 일부 설명에서는 이 "생명수"가 나무 뿌리에서 흘러나올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3]

이란 국립 박물관에 소장된, 이란 Marlik에서 발굴된 리톤. 두 마리의 날개 달린 수소가 세계수를 수호하고 있다.


여러 문화권에서 나타나는 세계수는 다음과 같다.

이 외에도 유라시아 여러 신화에는 "세계수", "우주수", "독수리와 뱀의 나무"라는 공통된 모티프가 나타난다.[2] 특히 아이티, 핀란드, 리투아니아, 헝가리, 인도, 중국, 일본, 북유럽, 시베리아북아시아 샤머니즘 민속에서 발견된다.[3]

한반도삼국 시대 초기 신라에서는 주변국에서 볼 수 없는 수형 디자인의 이 사용되었다. 이는 세계수 관념을 가진 시베리아와 더 서쪽 세계와 신라 왕국의 관계성을 추측하는 설의 근거 중 하나가 되고 있다.

페르시아 신화에서는 가오케레나라고도 불리는 하오마 나무가 우주의 생존을 보장하는 나무로 여겨진다. 또한 치유의 특성을 가진 바스 투흐마크라는 또 다른 세계수는 모든 허브의 씨앗을 기억하고 슬픔을 깨뜨린다고 한다.[108] 이란의 예술에서 세계수는 흔한 모티프이다.

라트비아 신화에서도 새벽의 나무 (Austras kokslv)라고 불리는 세계수가 신앙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남아시아에서는 아슈왓타나 칼파브리크샤 (소원 성취의 나무)에 대한 신앙이 강하게 남아있다.

구 영국령 인도에서 발상한 신종교 브라마 쿠마리스에서는 세계수가 "칼파의 나무" 또는 "인류의 나무"로 묘사된다. 창시자 브라마 바바(다다 레클라지)와 그의 신자들은 세계수의 뿌리로 표현되며, 줄기가 찢어져 다른 종교의 창시자들이 나타날 때까지 생신으로서 2500년을 낙원에서 보낸다. 마지막에는 종교의 분열과 컬트, 섹트가 잔가지로 나타나 철의 시대의 종말을 맞이한다고 한다.[109]

4. 1. 북유럽 신화

북유럽 신화에서 세계수 이그드라실은 13세기의 고 에다신 에다에 언급되어 있다. 이그드라실은 거대한 물푸레나무이며, 세상의 중심에 생겨난 신성한 존재로 여겨진다. 이그드라실 가지는 하늘 높이 뻗어 있고, 3개의 뿌리는 머나먼 세계로 연결되어 각각 지혜의 샘, 흐베르겔미르, 미미르의 샘에 이른다. 아스는 매일 지혜의 샘에서 법정을 연다.[10] 이그드라실 안에는 사슴, 다인, 흐레스벨그, 라타토스크, 니드호그 같은 생물들이 살고 있다. 학술적으로 이그드라실은 미미르의 나무, 레라드, 웁살라의 성스런 나무와의 관계가 지적되고 있다.[10]

4. 2. 슬라브, 발트, 핀란드 신화

발트 신화, 슬라브 신화, 핀란드 신화에서 세계수는 일반적으로 참나무이다.[10] 세계수의 이미지는 대부분 고대 장식품에 보존되어 있다. 발트 및 슬라브 패턴에서는 거꾸로 된 나무, 즉 "뿌리가 위로 자라고 가지가 땅으로 뻗는" 이미지가 자주 등장했다.

학계에서는 지구의 중심부에 위치한 세계수에 대한 발트 신앙이 삼분법적 우주관(저승, 지구, 하늘)을 따른다는 것을 인정하며, 각 부분은 나무의 각 부분(뿌리, 줄기, 가지)에 해당한다.[37][38]

발트어족의 "나무"에 해당하는 단어 (라트비아어 ''mežs''; 리투아니아어 ''medis'')는 인도유럽조어 ''*medh-'' '중간'에서 파생되었으며, 이는 아마도 ''Arbor Mundi''(세계수)에 대한 믿음으로 인해 "중간"에서 의미가 변형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39]

세계수의 옛 러시아 장식


라도슬라프 카티치치가 재구성한 슬라브 민속에 따르면, 용이나 뱀과 같은 존재는 물가 근처에 굴을 파고, 나무 꼭대기에 사는 새는 독수리, 매 또는 나이팅게일일 수 있다.[44]

학자 이바노프와 토포로프는 천둥 신과 뱀과 같은 적 사이의 전투에 대한 재구성된 슬라브 변형을 제시했다. 그들이 제안한 재구성에 따르면, 뱀은 세계수 아래에서 검은 양털 위에서 잠을 잔다. 그들은 검은 양털 위의 이 뱀이 슬라브 신화에서 벨레스로 알려진 가축 신에 대한 언급이라고 추측한다.[45]

추가 연구에 따르면 슬라브 민속에 등장하는 일반적인 나무는 참나무인데, 예를 들어 체코어에서는 ''Veledub''('위대한 참나무')로 알려져 있다.[46]

또한, 세계수는 돌 위에 있는 부얀 섬에 나타난다. 또 다른 설명에서는 전설적인 새 시린알코노스트가 나무의 다른 쪽에 둥지를 튼다고 한다.[47]

우크라이나 학계는 "고대 겨울 노래와 캐롤"에서 이 모티프의 존재를 지적한다. 이들의 텍스트는 세계의 중심에 나무가 있고, 두세 마리의 매 또는 비둘기가 꼭대기에 앉아 땅을 만들기 위해 흙을 가져올 준비가 되어 있다는 것을 증언한다(''땅 잠수부''의 우주 기원 모티프).[48][49]

세계수의 이미지는 또한 돈 코사크의 민간 의학에도 나타난다.[50] 아도 린트로프 학자에 따르면, 에스토니아 신화는 에스토니아 룬 문학에서 두 종류의 세계수를 기록하고 있는데, 이들은 참나무이며 꼭대기에는 새, 뿌리에는 뱀, 가지에는 별이 있다는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10]

4. 3. 그리스-로마 신화

제우스의 신성한 나무는 참나무이며[28], 도도나의 참나무는 후대 전승에 따르면 뿌리가 매우 깊어 타르타로스의 경계에 닿았다고 한다.[29]

시로스의 페레퀴데스가 제시한 또 다른 우주 기원론에 따르면, 남성 신인 '자스' (제우스로 동일시됨)는 여성 신인 '크토니에' (땅과 연관되어 있으며 나중에 게/가이아라고 불림)와 결혼하고, 그들의 결혼에서 참나무가 싹튼다. 이 참나무는 위쪽 하늘과 연결되어 있으며, 뿌리는 땅으로 뻗어 타르타로스의 깊이에 닿는다. 이 참나무는 학계에서 지하세계, 지상 및 천상의 세 영역을 통합하는 우주 나무를 상징하는 것으로 여겨진다.[30]

오크(참나무) 외에도 여러 다른 신성한 나무가 그리스 신화에 존재했다. 예를 들어, 올리브 나무는 모리아이라고 불렸으며, 세계수였고 올림포스 여신 아테나와 연관되었다.

또 다른 그리스 신화에서 헤스페리데스는 시조 어머니 여신 가이아가 제우스와 결혼한 헤라에게 준 황금 사과가 열리는 사과나무 아래에 살았다.[31] 그 나무는 헤스페리데스 정원에 서 있으며, 용 라돈이 지키고 있다. 헤라클레스는 라돈을 물리치고 황금 사과를 빼앗는다.

아르고호 원정기의 황금 양털을 찾는 대서사시에서, 퀘스트의 목표는 잠들지 않는 용(콜키스 용)이 지키는 나무에 걸려 있는 콜키스 왕국에서 발견된다.[32] 유사 아폴로도로스가 저술한 ''비블리오테케''에 따르면, 황금 양털은 아이에테스 왕에 의해 전쟁의 신 아레스에게 바쳐진 숲의 참나무에 부착되었다.[33] 이 정보는 발레리우스 플라쿠스의 ''아르고나우티카''에도 반복된다.[34] 발레리우스 플라쿠스의 저작의 같은 구절에서, 아이에테스 왕은 아레스에게 징조를 구하고 갑자기 "코카서스 산맥에서 미끄러져 내려온 뱀"이 나타나 숲을 보호하듯 감싼다.[35]

로마 신화에서 세계수는 올리브 나무였으며, 이는 팍스와 연관되었다. 팍스의 그리스식 대응은 에이레네로, 호라이 중 하나이다. 로마의 하늘의 아버지 유피테르의 신성한 나무는 참나무였으며, 월계수아폴론의 신성한 나무였다. 로마의 코미티움에 있는 고대 무화과 나무는 로물루스와 레무스가 발견된 바로 그 나무의 후손으로 여겨졌다.[28]

4. 4. 메소아메리카 문화

메소아메리카의 토착민 문화에서 "세계수"는 우주론과 도상학에서 자주 등장하는 중요한 모티프이다. 팔렌케의 십자가 사원 단지는 마야 유적 중에서도 세계수를 건축 모티프로 삼은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세계수는 네 방향을 상징하며, 동시에 지하 세계, 지상 세계, 하늘을 연결하는 ''세계 축''으로서 중앙 세계수의 역할을 나타내기도 한다.[25]

세계수 도상은 마야 문명, 아즈텍, 이사파, 믹스텍, 올멕 등 메소아메리카 여러 문화권의 예술과 전통에서 나타나며, 이는 최소 메소아메리카 연대기의 중/후기 형성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마야인들은 중앙 세계수를 세이바 나무(yax imix che, '풍요의 푸른 녹색 나무')로 표현했으며,[25] 나무 줄기는 곧게 선 카이만의 가시 돋친 가죽으로 묘사되기도 했다.[25] 나무 꼭대기에는 새가 앉아 있는 모습이 자주 나타난다.[26]

방향을 나타내는 세계수는 메소아메리카 달력의 4개의 연도 담당자, 방향별 색상 및 신과 관련되어 있다. 드레스덴 코덱스, 보르지아 코덱스, 페헤르바리-마이어 코덱스 등의 코덱스에서 이러한 연관성을 확인할 수 있다.[26] 메소아메리카 유적지와 의례 중심지에는 네 방향에 실제 나무를 심어 사방위를 나타냈을 것으로 추정된다.

세계수는 가지에 새가 앉아 있고 뿌리가 땅이나 물속(때로는 지하 세계를 상징하는 "물 괴물" 위)으로 뻗어 있는 모습으로 자주 묘사된다. 중앙 세계수는 은하수를 상징한다는 해석도 있으며,[27] 이사파 5 스텔라에는 세계수로 추정되는 표현이 담겨 있다.

4. 5. 기타 문화권

유라시아 여러 신화에는 "세계수", "우주수", "독수리와 뱀의 나무"라는 공통된 모티프가 나타난다.[2] 특히 아이티, 핀란드, 리투아니아, 헝가리, 인도, 중국, 일본, 북유럽, 시베리아 및 북아시아 샤머니즘 민속에서 발견된다.[3]

세계수는 종종 생명나무와 동일시되며, 세계의 중심 또는 축인 액시스 문디(axis mundi)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세상의 중심에 위치하며 우주의 질서와 조화를 상징한다. 나무의 각 부분은 세계의 세 가지 영역(꼭대기-하늘, 줄기-땅, 뿌리-지하 세계)에 해당하며, 고전적 요소(상단-불, 중간-흙, 하단-물)와도 관련된다.

세계수는 가지로 하늘에 닿고 뿌리로는 지하 세계와 연결되어, 하늘과 땅 사이의 중재자로 숭배되었다. 나무 꼭대기에는 발광체(별)와 천체가 있고 독수리 둥지가 있다. 가지 사이에는 여러 종의 새가, 가지 아래에는 사람과 각종 동물이, 뿌리 근처에는 뱀과 파충류가 산다. 새는 잎사귀 꼭대기에 자리 잡고 하늘을 대표하며, "날개 달린 신화 속 생물"인 경우가 많다. 독수리는 창조자나 날씨의 신 역할을 하는 가장 흔한 새이다. 그 대척자는 나무 뿌리 사이를 기어다니는 뱀이나 뱀 모양의 생물로, "지하 세계의 상징"이다.

세계수의 이미지는 때때로 그 위에서 자라는 과일이나 근처에 있는 샘에 의해 불멸을 부여하는 것과 연관된다. 일부 설명에서는 이 "생명수"가 나무 뿌리에서 흘러나오기도 한다.

세계수는 다른 전통에 등장하는 세계 기둥과도 비교되며, 하늘과 땅 사이를 구분하여 하늘을 받치는 역할을 한다.[16] 세계수와 유사한 또 다른 표현은 세계 산이다. 그러나 일부 이야기에서는 세계 나무가 세계 산 꼭대기에 위치하여 두 모티프가 결합된 형태로 나타난다.[6]

뱀 형상의 생물과 거대한 새(독수리) 사이의 갈등은 유라시아 신화에서 나타난다. 영웅이 어린 새들의 둥지를 위협하는 뱀을 죽이면, 어미 새가 그 호의에 보답한다. 아메리카 원주민 전통에서도 비슷한 이야기가 나타나는데, 썬더버드가 "뱀과 같은 물 괴물"의 위협을 받는 거대한 새의 역할을 한다.[17][18]

미르체아 엘리아데는 ''샤머니즘: 엑스터시의 고대 기술''에서 세계수가 샤머니즘적 세계관의 중요한 요소라고 주장했다.[19] 또한, "거대한 새...가 세계수의 가지에서 샤먼을 부화시킨다"고 한다.[19] 알타이 샤머니즘에서도 이 모티프가 나타난다.[20] 세계수의 묘사는 시베리아 샤머니즘 의식에 사용되는 북에 묘사되어 있다고 한다.[21]

일부 조류 종 (독수리, 갈까마귀, 두루미, 바다오리, 종달새)는 세계 사이의 중재자로서 숭배받으며 세계수의 이미지와도 연결되어 있다.[22] 올빼미는 상위 영역으로, 뱀은 하위 영역으로의 중재자라는 "반복적인 주제"도 지적된다.[23] 세계수는 과 사슴 뿔과도 연관되는 북유라시아 및 중앙아시아의 전통도 있다.[24]

아담과 이브와 함께 묘사된 지식의 나무. 생명나무는 에덴 동산의 일부로 묘사된다.


선악과와 생명나무는 모두 성경 창세기에덴 동산 이야기의 구성 요소이다. 유대교 신화에 따르면, 에덴 동산에는 생명나무 또는 "영혼의 나무"가 있으며, 꽃을 피우고 새로운 영혼을 생성하여 구프(''영혼의 보물창고'')로 떨어진다.[51] 천사 가브리엘은 보물창고에서 첫 번째 영혼을 꺼내고, 라일라는 태아가 태어날 때까지 보호한다.[52]

영지주의 문서인 세계의 기원에 따르면, 불멸의 생명의 나무는 낙원 북쪽에 위치하며, 그 높이는 하늘에 닿는다. 잎은 사이프러스와 비슷하며, 나무의 색깔은 태양과 같고, 열매는 하얀 포도송이 같으며 가지는 아름답다. 이 나무는 시대의 종말 동안 순수한 사람들에게 생명을 제공할 것이다.[53]

만다교 문서는 종종 우주의 상호 연결된 본질을 나타내는 세계수의 추상적인 그림을 포함한다.[54] 만다교에서 대추야자(sindirka|신디르카myz)는 우주 나무를 상징하며, 종종 우주 샘 (aina|아이나myz)과 연관된다. 대추야자와 샘은 만다교 경전에서 천상의 상징으로 함께 언급되는 경우가 많다. 대추야자는 남성적 상징을, 샘은 여성적 상징을 띤다.[55]

아르메니아 신화에는 세계수를 둘러싼 물 속에 사는 '안드다인 오지'라는 뱀 형상의 존재가 있다.[56]

조지아 신화 또한 나무 꼭대기와 지하 세계에 사는 신화 속 새 파스쿤지(Paskunji)와 그의 새끼를 위협하는 뱀 사이의 경쟁을 보여준다.[57][58][59]

히타이트 문학에서도 뱀이 나무의 밑동을 감싸고, 독수리가 그 위에 둥지를 틀며, 벌이 나무의 중간 부분을 차지하는 이미지가 나타난다.[60][61] 크레이그 멜처트는 이를 "세계수" 또는 "생명의 나무" 모티프의 한 변형으로 본다.[62]

세계 문화에서 처음으로 나타난 것은 수메르 문학에서 "길가메시, 엔키두, 그리고 저승" 이야기라고 한다.[2] 이 이야기에 따르면 여신 이난나는 ''훌루푸'' 나무를 우루크 시의 정원에 옮겨 심는다. 그러나 "매력이 없는" 뱀, 유령 형상 (릴리스 또는 다른 인물) 그리고 전설적인 안주 새가 나무에 둥지를 틀었고, 길가메시가 뱀을 죽이고 다른 거주자들이 도망갈 때까지 그곳에 머물렀다.[2][4]

에타나 이야기에는 포플러 나무(''şarbatu'')의 반대편에 사는 뱀과 독수리에 대한 서술이 있다. 뱀은 나무 뿌리에, 독수리는 잎에 산다. 독수리의 새끼가 태어나자 독수리는 뱀의 새끼를 먹기로 결정한다. 복수심에 불탄 뱀은 신 샤마쉬에게 알리고, 샤마쉬는 뱀이 독수리를 벌하도록 허락한다. 이후 샤마쉬는 영웅 에타나를 시켜 독수리를 풀어주도록 한다. 이야기의 후기 버전에서는 독수리를 안주와, 뱀을 바슈무라는 뱀 형상의 존재와 연관시킨다.

세계수는 페르시아 신화에서 흔히 나타나는 모티프이며, 전설적인 새 시무르그 (''사에나'' 새; ''Sēnmurw'' 및 ''Senmurv'')가 보루카샤 바다 중앙에 있는 나무 꼭대기에 자리 잡고 있다. 이 나무는 모든 것을 치유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많은 씨앗을 가지고 있다고 묘사된다.[65] 다른 설명에 따르면, 이 나무는 바로 ''백색 호움'' (Haōma) 나무와 동일하다.[66] 가오케레나 또는 백색 하오마는 우주에서 생명을 지속시키는 활력을 보장하고, "그것을 먹는 모든 사람"에게 불멸을 부여하는 나무이다.[67] 팔레비어의 분다히쉰에는 악신 아흐리만이 이 나무를 공격하기 위해 도마

5. 한국의 세계수

세계수는 신라 금관의 디자인에서 나타나는데, 신라삼국 시대의 국가 중 하나이다. 이 연관성은 시베리아 민족과 한국 민족 간의 연관성을 확립하기 위해 사용된다.

5. 1. 신라 금관

세계수는 신라 금관의 디자인에서 나타나는데, 신라삼국 시대의 국가 중 하나이다. 이 연관성은 시베리아 민족과 한국 민족 간의 연관성을 확립하기 위해 사용된다.

한반도 삼국 시대 초기 신라에서는 주변국에서 볼 수 없는 수형 디자인의 이 사용되었다. 이는 세계수 관념을 가진 시베리아, 그리고 더 서쪽 세계와 신라 왕국의 관계성을 추측하는 설의 근거 중 하나가 되고 있다.

6. 현대적 의미

일부 학자는 진화생물학적 관점에서 세계수라는 개념이 인류의 사고 속에 원래부터 내재되어 있을 가능성을 지적한다. 인류의 조상이 약 6천만 년 동안 나무 위에서 생활했으며, 그들에게는 나무야말로 세상의 전부였을 것이라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세상은 거대한 나무로 이루어져 있다는 집단 무의식이 현재의 우리에게까지 남아 있다는 것이다.[110][111]

6. 1. 생태학적 관점

일부 학자들은 진화생물학적 관점에서 세계수라는 개념이 인류의 사고 속에 원래부터 내재되어 있을 가능성을 지적한다. 인류의 조상이 약 6천만 년 동안 나무 위에서 생활했으며, 그들에게는 나무야말로 세상의 전부였을 것이라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세상은 거대한 나무로 이루어져 있다는 집단 무의식이 현재의 우리에게까지 남아 있다는 것이다.[110][111]

6. 2. 문화적 다양성

일부 학자는 진화생물학의 관점에서 세계수라는 개념이 인류의 사고 속에 원래부터 내재되어 있을 가능성을 지적한다. 인류의 조상이 약 6천만 년 동안 수목 위에서 생활했으며, 그들에게는 나무야말로 세상의 전부였을 것이라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세상은 거대한 나무로 이루어져 있다는 집단 무의식이 현재의 우리에게까지 남아 있다는 것이다.[110][111]

6. 3. 개인의 성장

일부 학자는 진화생물학의 관점에서 세계수라는 개념이 인류의 사고 속에 원래부터 내재되어 있을 가능성을 지적한다. 인류의 조상이 약 6천만 년 동안 수목 위에서 생활했으며, 그들에게는 나무야말로 세상의 전부였을 것이라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세상은 거대한 나무로 이루어져 있다는 집단 무의식이 현재의 우리에게까지 남아 있다는 것이다.[110][111]

참조

[1] 서적 Farnah : Indo-Iranian and Indo-European studies in honor of Sasha Lubotsky. Beech Stave Press 2018
[2] 논문 Review Article. The Folk-Tales of Iraq and the Literary Traditions of Ancient Mesopotamia 2009
[3] 논문 Forest and tree symbolism in folklore https://www.fao.org/[...] 2003
[4] 논문 The Great Oak and Brother-Sister 2001
[5] 논문 The Thracian Horseman in an Indo-European Perspective https://www.ceeol.co[...] 1990
[6] 간행물 Varuna "Rigvedoje" ir dievo įvaizdžio sąsajos su velniu baltų mitologijoje https://www.lituanis[...] Rytai-Vakarai: Komparatyvistinés Studijos XII null
[7] 간행물 Gyvybės medžio simbolika Rytuose ir Vakaruose https://www.lituanis[...] Kultūrologija 2005
[8] 논문 The Thracian Horseman in an Indo-European Perspective https://www.ceeol.co[...] 1990
[9] 논문 The Cosmology of the Ancient Balts 1997-02
[10] 논문 Names in Estonian Folk Astronomy - from 'Bird's Way' to 'Milky Way' 2002
[11] 논문 Le motif du passage. La sémiotique de l'impact culturel pré-indoeuropéen et indoeuropéen http://www.persee.fr[...] 1994
[12] 논문 The Tree of Life in Indo-European and Islamic Cultures 1937
[13] 논문 The Thracian Horseman in an Indo-European Perspective https://www.ceeol.co[...] 1990
[14] 간행물 The Ball Game Motif in the Gilgamesh Tradition and International Folklore Mesopotamia in the Ancient World: Impact, Continuities, Parallels. Proceedings of the Seventh Symposium of the Melammu Project Held in Obergurgl, Austria, November 4–8, 2013 2015
[15] 논문 The Honey-Eating Birds and the Tree of Life: Notes on Ṛgveda 1.164.20–22 2016
[16] 서적 Trees and Timber in the Anglo-Saxon World
[17] 논문 Première reconstruction statistique d'un rituel paléolithique : autour du motif du dragon https://halshs.archi[...] 2016-03-18
[18] 서적 Asiatic influences in American folklore http://publ.royalaca[...] København: I kommission hos ejnar Munksgaard 1949
[19] 논문 Shamanism in Indo-European Mythologies https://aaatec.org/d[...] 2020
[20] 서적 Tengu
[21] 논문 The drum in Shamanism: some reflections 1991
[22] 논문 Flights of the Sacred: Symbolism and Theory in Siberian Shamanism 1996
[23] 논문 Magdalenians and Snowy Owls ; bones recovered at the grotte de Bourrouilla (Arancou, Pyrénées Atlantiques)/Les Magdaléniens et la chouette harfang : la Grotte de Bourrouilla, Arancou (Pyrénées Atlantiques) http://www.persee.fr[...] 1998
[24] 간행물 Chasing the Shaman's Steed: The Horse in Myth from Central Asia to Scandinavia http://sino-platonic[...] Sino-Platonic Papers 2017-05
[25] 문서 Roys 1967: 100.
[26] 논문 Hybrid Cosmologies in Mesoamerica: A Reevaluation of the Yax Cheel Cab , a Maya World Tree 2010-10-01
[27] 문서 Freidel, et al. (1993)
[28] 서적 The Sacred Tree; or the tree in religion and myth http://www.gutenberg[...] MacMillan & Co.
[29] 서적 The Sacred Tree; or the tree in religion and myth http://www.gutenberg[...] London: MacMillan & Co 1897
[30] 간행물 La Cosmogonie de Phérécyde de Syros Nouvelle Mythologie Comparée null
[31] 백과사전 Hesperides https://www.britanni[...]
[32] 서적 Lives of the Necromancers https://archive.org/[...] London: F. J. Mason 1876
[33] 기타 Bibliotheca http://www.perseus.t[...]
[34] 기타 Argonautica https://www.loebclas[...]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London, William Heinemann Ltd 1928
[35] 기타 Argonautica https://www.loebclas[...]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London, William Heinemann Ltd 1928
[36] 논문 "[https://www.lituanistika.lt/content/37316 Medžių mitologizavimas tradicinėje lietuvių kultūroje]" 2011
[37] 논문 "[https://www.lituanistika.lt/content/59891 Kai kurie mitinės pasaulėkūros aspektai lietuvių tradicinėje kultūroje]" 2014
[38] 서적 Encyklopedie baltské mytologie Libri 2012
[39] 논문 Some archaic elements of Celtic cosmology 2003-01-30
[40] 문서 Straižys and Klimka, chapter 2
[41] 웹사이트 Cosmology of the Ancient Balts – 3. The concept of the World-Tree http://www.lithuania[...] 2008-12-26
[42] 논문 "[https://www.lituanistika.lt/content/86027 Baltiškasis Pasaulio modelis ir kalendorius]" 2003
[43] 논문 The Latvian Mythological Space in Scholarly Time 2011-09-20
[44] 논문 The Image of the Real World and the World Beyond in the Slovene Folk TraditionPodoba sveta in onstranstva v slovenskem ljudskem izročilu 2015-05-05
[45] 논문 On the Cult of the Snake in Ancient Baltic and Slavic Tradition (based on language material from the Latvian folksongs) 1998-01
[46] 서적 Mýty a báje starých Slovanů Slovart 2004
[47] 논문 The Image of the World Tree in the Aspect of Russian Linguistic Culture https://journals.rud[...] 2015-12-15
[48] 논문 The tree symbol in world mythologies and the mythology of the world tree (іllustrated by the example of the ukrainian Carpathians traditional culture) 2019-06-21
[49] 서적 Religia Słowian Wydawnictwo WAM 2003
[50] 논문 Representations of the World Tree in traditional culture of Don Cossacks 2018-11-30
[51] 서적 Origins of the Kabbalah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0
[52] 웹사이트 The Treasury of Souls for Tree of Souls https://www.scribd.c[...] 2015-06-15
[53] 서적 The Gnostic Bible http://gnosis.org/na[...] Shambhala 2022-02-03
[54] 서적 The Mandaean gnostic religion: worship practice and deep thought Sterling
[55] 서적 The Mandaean Rivers Scroll (Diwan Nahrawatha): an analysis https://www.routledg[...] Routledge
[56] 논문 "Armenian Andndayin ōj and Vedic Áhi- Budhnyà- Abyssal Serpent" https://www.academia[...] 2018
[57] 서적 Religious Beliefs of the Caucasian Society of the Early Iron Age (According to Archaeological Evidence)
[58] 논문 About Georgian Fairytales
[59] 논문 ფრინველისა და გველის ბრძოლის მითოლოგემა უძველეს გრაფიკულ გამოსახულებასა და ზეპირსიტყვიერებაში [The Myth about a Conflict Between a Bird and a Snake on the Old Graphics and in Folklore] 2009
[60] 논문 "[https://core.ac.uk/download/pdf/216415011.pdf Parts of Trees in Hittite According to a Medical Incantation Text (KUB 43, 62)]" TÜRK TARlH KURUMU BASIMEVl 1992
[61] 서적 Animals in Hittite Literature Brill 2002
[62] 서적 Hittite antaka- "loins" and an Overlooked Myth about Fire Penn State University Press 2003
[63] 논문 Etana in Eden: New Light on the Mesopotamian and Biblical Tales in Their Semitic Context 2013
[64] 논문 The Eagle and the Snake, or Anzû and bašmu? Another Mythological Dimension in the Epic of Etana 2021
[65] 논문 "[https://oxfordre.com/classics/classics/view/10.1093/acrefore/9780199381135.001.0001/acrefore-9780199381135-e-8150 Near Eastern and Old Iranian myths]" 2019
[66] 백과사전 "[https://iranicaonline.org/articles/simorg Simorgh]" 2002
[67] 서적 The Sacred Tree; or the tree in religion and myth http://www.gutenberg[...] MacMillan & Co 1897
[68] 논문 Plant of life in Ancient Iran, Mesopotamia, and Egypt https://jfava.ut.ac.[...] 2013
[69] 논문 The Tree of Life in Indo-European and Islamic Cultures 1937
[70] 논문 Murukan, the mango and Ekāmbareśvara-Śiva: Fragments of a Tamil creation myth? 1979-01-01
[71] 간행물 "Shamanism and the Belief System of the Ancient Hungarians" Ethnographica et folkloristica carpathica 1999
[72] 논문 El abedul de hojas doradas: representaciones y funciones del " Axis Mundi" en el folclore finougrio https://dialnet.unir[...] 2009
[73] 웹사이트 The Tree Of Life In Turkic Communities With Its Current Effects https://ulukayin.org[...] 2021-10-03
[74] 논문 Spatial Orientations of Nomads' Lifestyle and Culture 2018-05-06
[75] 논문 Mythological Image in Olonkho of the North-Eastern Yakut Tradition: Sacred Tree 2018-09-30
[76] 논문 Turkic etymological background of the English bird name terek ' Tringa cinereus ' http://real.mtak.hu/[...] 2017-12
[77] 간행물 "WORLDVIEW AND MENTALITY OF ALTAI'S INDIGENOUS INHABITANTS" http://www.himalayan[...] Himalayan and Central Asian Studies 2014-07-12
[78] 논문 К семиотической интерпретации мифологического образа древа Аал Луук мас в эпосе олонхо 2020-12-25
[79] 논문 ДРЕВО МИРА ААЛ ЛУУК МАС В СОВРЕМЕННОЙ КУЛЬТУРЕ ЯКУТОВ САХА 2019
[80] 논문 Божества верхнего мира в мифологии башкир https://cyberleninka[...] 2014
[81] 논문 Образы мифических животных в русской, башкирской и китайской лингвокультурах https://cyberleninka[...] 2019
[82] 논문 Отражение мифологических воззрений в башкирской волшебной сказке https://cyberleninka[...] 2012
[83] 논문 Божества верхнего мира в мифологии башкир https://cyberleninka[...] 2014
[84] 논문 Iranian Folk Motifs And Religious Images In Kazakh Literature And Folklore https://www.ceeol.co[...] 2018
[85] 서적 Shamanism in Siberia
[86] 서적 Finno-Ugric and Siberian Marshall Jones Company 1927
[87] 서적 Handbook of Chinese Mythology ABC-Clio 2005
[88] 서적 Handbook of Chinese Mythology ABC-Clio 2005
[89] 서적 The Power of Star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7
[90] 서적 Creation Myths of the World: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2010
[91] 간행물 "Arbor Mundi: Visual Formula and the Poetics of Genre" https://www.academia[...] Institute for Balkan Studies/Serbian Academy of Sciences and Arts 2015
[92] 논문 Etana. Die keilschriftlichen Belege einer Erzählung. 1966-01
[93] 서적 Есеј, есејисти и есејизација у српској књижевности ; Форме приповедања у српској књижевности
[94] 간행물 "[The Resigning God]" https://www.academia[...] СРПСКИ ЈЕЗИК, КЊИЖЕВНОСТ, УМЕТНОСТ. Зборник радова са VI међународног научног скупа одржаног на Филолошко-уметничком факултету у Крагујевцу (28–29. X 2011). Књига II: БОГ 2012
[95] 서적 Glavnije bilje u narodnom verovanju i pevanju kod nas Srba https://books.google[...] BIGZ 1990
[96] 간행물 "[The three brothers and the golden apple: Analysis of the mythological semantic in comparative Balkan aspect]" https://www.academia[...] Bulgarian Ethnology 1995
[97] 간행물 "[Worlds and Other Worlds in Fairy Tales]" https://core.ac.uk/d[...] Gradus 2015
[98] 서적 The types of International Folktales. A Classification and Bibliography, Based on the System of Antti Aarne and Stith Thompson Suomalainen Tiedeakatemia-Academia Scientiarum Fennica 2004
[99] 서적 Brancusi's Birds https://books.google[...] New York University Press for the College Art Association of America 1969
[100] 간행물 "The Role of \"Apple\" in the Indo-European Mythological Tradition and in Neighboring Traditions" https://www.academia[...] EIKON 2016
[101] 간행물 "The Role of \"Apple\" in the Indo-European Mythological Tradition and in Neighboring Traditions" https://www.academia[...] EIKON 2016
[102] 논문 The Sacred Marriage in Roumanian Folklore 1925
[103] 문서 Miller and Taube (1993), p.186
[104] 문서 Roys 1967: 100
[105] 문서 Miller and Taube, loc. cit.
[106] 문서 Ibid.
[107] 논문 Freidel, et al. (1993)
[108] 웹사이트 Plant of life, in Ancient Iran, Mesopotamia & Egypt https://jfava.ut.ac.[...] Tehran: Honarhay-e Ziba Journal, Vol. 18, No. 2, p. 15. 2018-08-23
[109] 서적 From World-Rejection to Ambivalence Ashgate Publishing 2002
[110] 서적 Burkert, Creation of the Sacred
[111] 서적 Haycock, Being and Perceivi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