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해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흥해군(興海郡)
- 개요: 현재의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대부분을 관할하던 옛 행정 구역. 1914년에 영일군에 편입되어 폐지되었다.
- 역사
- 삼한시대: 다벌국(多伐國)의 영역으로 추정.
- 신라시대: 퇴화군(退火郡) 설치.
- 757년(경덕왕 16년): 의창군(義昌郡)으로 개칭, 안강현(安康縣), 기립현(鬐立縣: 장기), 신광현(神光縣), 임정현(臨汀縣: 영일), 기계현(杞溪縣), 음즙화현(音汁火縣)을 관할.
- 고려시대
- 930년(태조 13년): 흥해군으로 개칭.
- 1018년(현종 9년): 경주(慶州)의 속현이 됨, 곡강(曲江)이라는 별호가 부여됨.
- 1172년(명종 2년): 감무(監務) 파견, 주현으로 승격.
- 1367년(공민왕 16년): 국사(國師) 천희(千熙)의 고향이라 하여 흥해군으로 승격.
- 조선시대
- 1895년: 23부제 시행으로 동래부 흥해군이 됨.
- 1896년: 경상북도 흥해군이 됨.
- 1906년: 경주군 신광면, 기계면, 북안면 일부를 편입.
- 1913년 4월 1일: 북안면을 영천군(永川郡)에 편입.
- 1914년 3월 1일: 영일군에 편입되어 폐지.
- 지리
- 진산(鎭山)은 도음산(禱陰山)임.
- 동쪽으로 동해(東海)에 11리, 서쪽으로 신광(神光)에 7리, 남쪽으로 안강(安康)에 23리, 북쪽으로 청하(淸河)에 10리 거리에 위치.
- 별호는 곡강(曲江) 또는 오산(鰲山).
- 인물
- 배경분(裵景分): 흥해 배씨의 시조, 고려시대 검교장군(檢校將軍) 역임.
- 배전(裵詮): 고려 충혜왕 때 호군(護軍)을 거쳐 군부판서(軍簿判書) 역임, 조적(曺頔)의 난 때 왕을 호종한 공으로 흥해군(興海君)에 봉해짐.
- 배상도(裵尙度): 공민왕 때 문과에 급제하여 보문각 직제학(寶文閣直提學)을 지냈다.
- 배상지(裵尙志): 고려 말에 판사복시사를 역임하였다, 두문동칠십이현(杜門洞七十二賢) 중 한 명.
흥해군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한자 표기 | 興海郡 |
영어 표기 | Heunghae-gun |
위치 | 경상북도 동해안 |
설치 시기 | 고려 시대 |
폐지 시기 | 1914년 4월 1일 |
면적 | 139.26㎢ |
행정 구역 | 읍: 1개 면: 8개 |
주요 마을 | 흥해읍 곡강면 남면 북면 신광면 송라면 죽장면 청하면 |
역사 | |
고려 시대 | 흥해현으로 승격 |
조선 시대 | 흥해군으로 개칭 |
일제 강점기 | 1914년 부군면 통폐합으로 영일군에 병합되어 폐지 |
20세기 | 1914년 영일군에 병합 |
지리 | |
위치 특징 | 경상북도 동해안에 위치 |
지형 특징 | 태백산맥의 동쪽 사면 |
산업 | |
주요 산업 | 농업 및 어업 |
교통 | |
주요 교통로 | 동해선 철도 |
문화 | |
주요 유적 | 흥해향교, 냉수리 고분군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