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히롤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히롤라는 알셀라푸스아과에 속하는 영양으로, 형태적, 유전적 특징에 따라 독립된 속인 비아트라구스속(Beatragus)으로 분류되거나, 토피의 아종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황갈색 털과 독특한 흰색 안경 무늬, 수금 모양의 뿔을 가진 중간 크기의 영양으로, 건조한 사바나 환경에 적응하여 초식 생활을 한다. 케냐 동부와 소말리아 남부에 분포했으나, 현재 소말리아에서는 멸종된 것으로 추정되며, 케냐의 차보 국립공원 동부와 케냐-소말리아 국경 지역에 소수가 남아 있다.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개체 수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는 서식지 파괴, 사냥, 질병, 가축과의 경쟁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EDGE 종 - 오랑우탄
    오랑우탄은 "숲의 사람"을 의미하는 말레이어에서 유래한 유인원으로, 보르네오섬, 수마트라섬, 타파눌리섬에 서식하는 세 종이 있으며, 멸종 위기에 처해 국제적인 보호 노력이 진행 중이다.
  • EDGE 종 - 마다가스카르흡반발박쥐
  • 1889년 기재된 포유류 - 바위주머니생쥐
    바위주머니생쥐는 미국 남서부와 멕시코 사막의 암석 노두에 서식하며, 털 색깔이 서식지 환경에 따라 달라지고, 유전자 변이와 수렴 진화 연구의 대상이 되는 야행성 설치류이다.
  • 1889년 기재된 포유류 - 불러다람쥐
    불러다람쥐는 몸길이 13~13.5cm, 꼬리 길이 8.4~10.4cm, 몸무게 약 66~105g의 다람쥐이며, 멕시코 중부의 토착종으로 두랑고주, 사카테카스주, 할리스코주에서 발견된다.
  • 소말리아의 포유류 - 듀공
    듀공은 바다소목 듀공과에 속하는 유일한 현존 종으로, 얕은 바다에서 해초를 먹고 악어, 범고래, 상어 등이 천적이며, 과거 사냥과 서식지 파괴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여 멸종 위기에 처해 국제적으로 보호받고 있다.
  • 소말리아의 포유류 - 게레눅
    게레눅은 동아프리카 건조 지역에 사는 영양으로, 긴 목과 다리, 뒷다리 서기 행동으로 "기린 가젤"이라고도 불리며,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보전 노력이 필요하다.
히롤라 - [생물]에 관한 문서
개요
필립 스클레이터의 1894년 삽화
필립 스클레이터의 1894년 삽화
보전 상태멸종 위기종 (CR)
분류
학명Beatragus hunteri (Sclater, 1889)
이전 학명Cobus hunteri Sclater, 1889
히롤라속 (Beatragus)
생태
서식지케냐
특징고유종
추가 정보
참고 자료https://lntreasures.com/kenya.html
http://www.arkive.org/hirola/beatragus-hunteri/
http://www.iucn.org/about/work/programmes/species/?11534/A-sanctuary-for-Hirola

2. 계통 분류

다음은 2019년 주라노(Zurano) 등의 연구에 기초한 영양아과의 계통 분류이다.[56]

{| class="wikitable"

|-

! 영양아과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리드벅족

|

{| class="wikitable"

|-

| 리복속

|-

|



|}

|-

! 영양족

|}

|-

|

{| class="wikitable"

|-

|



|-

! 다이커영양족

|

{| class="wikitable"

|-

| 필란톰바속

|-

|



|}

|}

|-

|

{| class="wikitable"

|-

! 하테비스트족

|

{| class="wikitable"

|-

| 누속

|-

|

{| class="wikitable"

|-

| 하테비스트속

|-

|



|}

|}

|-

! 힙포트라구스족

|

{| class="wikitable"

|-

| 힙포트라구스속

|-

|



|}

|}

|-

! 양족

|}

|}

|}

히롤라는 소과 알셀라푸스아과에 속하지만, 어떤 속에 속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었다.[15] 처음 기술되었을 때 헌터하테비스트(Hunter's hartebeest)라고 불렸고, 토피와 함께 다말리쿠스속(Damaliscus)으로 분류되어 ''다말리쿠스 헌터리''(Damaliscus hunteri)로 명명되었다.[10] 그러나 최근에는 히롤라를 토피의 아종(''다말리쿠스 루나투스 헌터리'' (Damaliscus lunatus hunteri))으로 분류하거나,[17][18] 독립된 속인 ''비아트라구스 헌터리''(Beatragus hunteri)로 분류한다.[19][20][21][22]

최근 핵형 및 미토콘드리아 DNA 유전자 분석 결과, 히롤라는 토피와 구별되며 고유 속으로 분류되어야 한다는 이론이 지지를 받고 있다.[21][23] 또한, 히롤라가 다말리쿠스속보다 알셀라푸스속(Alcelaphus)과 더 가깝다는 것이 밝혀졌다. 히롤라는 알셀라푸스속과 다말리쿠스속과 달리 수컷이 암컷의 소변을 맛보아 발정 상태를 확인하는 플레멘 반응을 보인다는 행동 관찰 결과도 이를 뒷받침한다.[24][25]

비아트라구스속(Beatragus)은 약 310만 년 전에 시작되었으며, 에티오피아, 지부티, 탄자니아,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화석이 발견될 정도로 널리 퍼져 있었다.[13][20][26][27] 이전에는 다말리쿠스속(Damaliscus)에[47][45] 다마리쿠스(사사비, Damaliscus lunatusla) 또는 코링검다마리쿠스(D. korringumla)의 아종으로 보는 설도 있었지만, 형태적 차이가 커서 아종으로 간주할 근거는 없다.[47][48] 다마리쿠스속이나 하테비스트속에서는 사라진 플레멘 반응이 관찰되므로, 이 두 속보다 더 오래된 계통의 잔존 종으로 여겨진다.[45][46] 조상 종으로는 전기 홍적세의 ''Beatragus antiquus''가 알려져 있다.[45]

3. 형태

히롤라는 중간 크기의 영양으로, 황갈색에서 적갈색을 띠는 털을 가지고 있으며, 하체는 약간 더 밝다. 귀 안쪽은 주로 흰색이며, 흰색 꼬리가 굴관절까지 뻗어있다. 눈 주위에 흰색 안경 무늬가 있고, 눈 사이에는 거꾸로 된 흰색 갈매기 모양 무늬가 있어 "네 눈 영양"이라는 별명을 얻었다.[10][11][12][13][14][15]

수컷과 암컷 모두 날카롭고 리라 모양의 뿔을 가지고 있으며, 뿔 기저부에 경(pedicle)이 없고, 길이의 4분의 3 지점까지 능선이 있다. 뿔의 기부는 알파벳 "V"자 모양으로 솟아 있다.[47][48] 뿔은 바깥쪽에서 뒤쪽으로 굽어 있고, 끝이 위로 향하는 가늘고 긴 수금 모양이다.[47][48] 뿔의 끝 2/5에는 마디가 없다.[47] 히롤라가 나이가 들면서 털색은 흑회색으로 어두워지고, 뿔을 따라 능선의 수가 증가한다. 넓고 어두운 안와하(sub-orbital) 분비선을 가지고 있어 자신의 영역을 표시하는 데 사용한다.[10][11][12][13][14][15] 뿔, 발굽, 유방, 콧구멍, 입술 및 귀 끝은 검은색이다. 수컷은 암컷보다 약간 더 크고, 뿔이 더 두껍고, 털색이 더 어둡다.[10][11][12][13][14][15]

여러 자료에서 사육 및 야생 히롤라의 신체 치수를 기록했다. 다음은 그 자료들에서 가져온 최대 및 최소 값이다.[12][13][15][16]

측정 항목최소 (cm)최대 (cm)
어깨 높이99125
체중 (kg)73118
머리 및 몸통 길이120200
뿔 길이4472
뿔 벌림 (최대 외부 너비)1532
꼬리 길이3045
귀 길이1919



야생에서 히롤라가 얼마나 오래 사는지에 대한 자료는 없지만, 사육 상태에서는 15년까지 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6]

4. 생태

히롤라는 연간 강수량이 평균 300mm에서 600mm인 건조한 환경에 적응했다. 서식지는 덤불이 있는 개방된 초원부터 관목과 나무가 드문드문 있는 숲이 우거진 사바나까지 다양하며, 대부분 모래 토양에 분포한다.[28] 지표수가 없어도 생존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28][29] 물웅덩이 주변의 짧은 녹색 풀을 뜯어먹는 모습이 자주 관찰된다.[30]

주로 풀을 먹는 초식동물이지만, 건기에는 나뭇잎을 먹기도 한다.[31] 잎과 줄기의 비율이 높은 풀을 선호하며, 클로리스와 디지타리아 종을 주로 먹는다.[13][25] 건조 지역의 풀과 거친 사료를 먹는 데 잘 적응되어 있다.[32]

오릭스, 그랜트 가젤, 버첼 얼룩말, 토피와 같은 다른 초식동물과 함께 발견되기도 하지만, 코크 하테비스트, 물소, 코끼리는 피한다.[33] 가축과의 직접적인 접촉은 피하지만, 가축이 풀을 뜯어먹은 지역의 짧은 풀을 선호한다.[31] 해발 60~120미터에 위치한 초본과 가시가 있는 식물의 관목으로 이루어진 사바나에 서식한다.[48]

5. 사회 구조 및 번식

암컷 히롤라는 혼자 새끼를 낳으며, 이 시기에는 포식에 취약해질 수 있어 최대 2개월까지 무리에서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이후 암컷은 암컷과 새끼들로 구성된 육아 무리에 합류한다. 육아 무리는 5마리에서 40마리까지이며 평균 7~9마리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성체 수컷이 함께한다.[13][25][31][34]

어린 히롤라가 젖을 먹는 모습, 차보 이스트 국립공원, 2011


육아 무리, 차보 이스트 국립공원, 2011


어린 히롤라는 생후 약 9개월이 되면 육아 무리를 떠나 다양한 임시 무리를 형성한다. 3마리까지의 혼성 또는 단성 무리를 이룰 수 있으며, 준성체 또는 하위 성체 수컷은 2~38마리의 수컷 무리를 형성할 수 있다. 암컷 준성체는 성체 수컷과 합류할 수 있으며, 다른 히롤라가 없는 경우에는 어린 히롤라가 그랜트가젤 무리에 합류하거나 혼자 지내기도 한다.[30][31]

3마리의 준성체 수컷으로 구성된 수컷 무리, 차보 이스트 국립공원, 2011


성체 수컷은 좋은 목초지에 영역을 확보하려 한다. 이 영역은 최대 7sqkm에 이르며, 똥, 눈물샘 분비물, 발굽으로 흙을 긁고 뿔로 식물을 긁는 행동으로 영역을 표시한다.[31] 개체수 밀도가 낮을 경우 성체 수컷은 영역 방어를 포기하고 육아 무리를 따라다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5] 육아 무리는 영역을 방어하지 않지만, 여러 성체 수컷의 영역과 겹치는 생활 영역을 가진다.[33] 육아 무리의 생활 영역 크기는 26sqkm에서 164.7sqkm이며 평균 81.5sqkm이다.[30]

육아 무리는 비교적 안정적이지만, 수컷 무리는 분열과 융합을 반복하며 불안정하다. 1970년대에는 히롤라가 건기 동안 희소하지만 공간적으로 뭉쳐 있는 자원을 활용하기 위해 최대 300마리의 개체로 집단을 형성하는 것이 관찰되기도 했다.

히롤라는 계절에 따라 번식하며, 9월에서 11월 사이에 새끼를 낳는다.[13] 사육 상태에서 히롤라의 임신 기간은 약 7.5개월(227~242일)이며, 암컷은 1.4세에 짝짓기를 하고 1.9세에 출산할 수 있다. 다른 히롤라 쌍은 1.7세에 짝짓기를 하기도 했다.[36]

6. 위협 요인

히롤라의 개체 수 감소는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주요 원인으로는 질병(특히 우역), 사냥, 심각한 가뭄, 포식, 가축과의 먹이 및 물 경쟁, 목본 식물 침입으로 인한 서식지 손실 등이 있다.[15][37]

히롤라는 가축이 있는 지역을 선호하여 결핵 등 질병에 취약하다.[38] 토피, 콕스하테비스트 등 다른 야생 초식동물과의 종간 경쟁과 밀렵, 포식 또한 위협 요인이다.[39]

히롤라는 서식지에서 식용으로 사용되기도 하며,[48] 개발로 인한 서식지 파괴, 식용 목적 사냥, 가축과의 경쟁 및 우역, 흉막 폐렴 같은 감염병 전파도 개체 수 감소의 원인이다.[48] 과거 히롤라 서식 환경에 기여했던 아프리카코끼리가 남획으로 지역적으로 멸종된 것 역시 영향을 미쳤다.[48] 1982년 소말리아의 히롤라 개체군은 케냐로 이동했거나 멸종한 것으로 추정된다.[48]

1990년대 개체 수 추정치는 다음과 같다.

연도개체 수 (추정치)
1993년약 2,000마리
1995년302마리
1996년385마리

[48]

7. 분포

히롤라의 자연 서식지는 케냐와 소말리아 국경에 걸쳐 있는 1500km2 이하의 지역이지만, 차보 국립공원 동부에도 이식된 개체군이 있다.[7] 1970년대에는 10,000~15,000마리가 서식했던 것으로 추정되지만, 1983년과 1985년 사이에 85~90%가 급감했다. 1995년과 1996년에 실시된 조사에서는 500~2,000마리로 추정되었으며, 가장 합리적인 추정치는 1,300마리였다. 2010년 조사에서는 402~466마리로 추정되었다.[7]

1963년과 1996년에 케냐의 차보 국립공원 동부에 이식된 개체군이 설립되었다. 1963년에는 30마리가 방사되었으며, 1995년 12월 조사에서는 최소 76마리가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1996년에는 임신한 암컷 6마리를 포함한 29마리가 추가로 이식되었다. 2000년 12월까지 차보 국립공원의 히롤라 개체수는 77마리로 회복되었고, 2011년에는 76마리로 추정되었다.[6][8]

1982년 소말리아에서의 조사 결과, 소말리아의 히롤라 개체군은 케냐로 이동했거나 멸종한 것으로 추정된다.[48] 1993년에는 약 2,000마리, 1995년에는 302마리, 1996년에는 385마리로 추산되었다.[48]

8. 보존

히롤라는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야생 개체수가 계속 감소하고 있다. 야생에는 300~500마리, 사육 개체는 없다.[6][7][8]

가장 희귀한 영양 중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보존 조치는 미미했다. 1973년 아라왈 국립 보호구역이 히롤라를 위한 작은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었으나, 1980년대 이후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2005년, 이하라 구역의 네 개 지역 사회는 테라 누오바와 협력하여 이샤크비니 히롤라 보호 구역을 설립했다.[41][42] 2014년 기준, 이샤크비니에 23km2 규모의 포식자 방지 울타리가 건설되었으며, 48마리의 히롤라가 번식하고 있다.[43]

서식지에서는 식용으로 사용되기도 한다.[48] 개발에 의한 서식지 파괴, 식용을 위한 사냥, 가축과의 경쟁 및 감염증(우역, 흉막 폐렴) 전파 등으로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다.[48] 아프리카코끼리가 남획으로 인해 지역적으로 멸종된 것 역시 개체수 감소의 원인이 되었다.[48] 1982년 소말리아에서의 조사 결과, 소말리아의 개체군은 케냐로 이동했거나 멸종한 것으로 여겨진다.[48] 1993년에는 약 2,000마리, 1995년에는 302마리, 1996년에는 385마리로 추산된다.[48]

참조

[1] 간행물 Beatragus hunteri 2017
[2] 웹사이트 Animals and Plants Unique to Kenya https://lntreasures.[...] 2023-12-21
[3] 문서 Description of Hunter's antelope Proceedings of the Zoological Society 1889
[4] 웹사이트 ARKive http://www.arkive.or[...] 2013-10-25
[5] 간행물 MSW3 Artiodactyla
[6] 논문 The Tsavo hirola: current status and future management http://www.iccs.org.[...] Imperial College London, UK 2011
[7] 간행물 They Came, They Saw, They Counted, SWARA 2011
[8] 논문 Population and habitat assessment of the Critically Endangered hirola Beatragus hunteri in Tsavo East National Park, Kenya Oryx 2014
[9] 웹사이트 IUCN - A sanctuary for Hirola http://www.iucn.org/[...]
[10] 간행물 Description of Hunter's antelope Proceedings of the Zoological Society 1889
[11] 간행물 Some notes on the game animals of Jubaland Uganda Natural History Society 1914
[12] 서적 A Field Guide to the Larger Mammals of Africa Collins: London 1970
[13] 서적 East African Mammals. An Atlas of Evolution in Africa Academic Press: New York 1982
[14] 서적 The Kingdon Field Guide to African Mammals Academic Press: London 1997
[15] 서적 Independent Evaluation of Hirola antelope (Beatrugus hunteri) conservation status and conservation action in Kenya Kenya Wildlife Service and Hirola Management Committee: Nairobi, Kenya 2000
[16] 서적 Rowland Ward’s Records of Big Game Rowland Ward: London 1962
[17] 서적 A Field Guide to the Mammals of Africa Including Madagascar Collins: Cambridge, UK 1977
[18] 간행물 Hartebeests, Grzimek's Encyclopedia of Mammals McGraw-Hill 1990
[19] 간행물 The principles of classification and a classification of mammals Bulletin of the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1945
[20] 간행물 Evolution and dispersal of African Bovidae Springer-Verlag: New York 1990
[21] 논문 Molecular phylogeny of the critically endangered Hunter’s antelope (Beatragus hunteri, Sclater 1889) Journal of Zoological Systematics and Evolutionary Research 1998
[22] 간행물 Hirola: Generic status supported by behavioral and physiological evidence Gnusletter 1999
[23] 논문 Chromosomes of the Damaliscus (Artiodactyla, Bovidae): Simple and complex centric fusion rearrangements Chromosome Research 1996
[24] 서적 The Behaviour Guide to African Mammals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California 1991
[25] 보고서 Aspects of the Ecology of the Hunter's Antelope or Hirola (Beatrugus hunteri, Sclater, 1889) in Tsavo East National Park, Kenya Kenya Wildlife Service, Research and Planning Unit: Nairobi, Kenya 1995
[26] 간행물 Fossil Bovidae (Mammalia) of Olduvai Gorge, Tanzania: Part 1 Bulletin British Museum Natural History (Geology) 1978
[27] 간행물 Decouverte de vertebres fossiles dans le Pleistocene inferieur de la Republique de Djibouti C. R. Académie des Sciences Paris 1984
[28] 논문 Ecological separation of wild and domestic mammals in an East African Ecosystem Utah State University 1981
[29] 논문 Population Size and Seasonal Distribution of the Hunter’s Antelope or Hirola (Beatragus hunteri, Sclater, 1889) in Southern Garissa, Kenya Addis Ababa University, Ethiopia 1999
[30] 논문 Factors limiting the abundance and distribution of hirola (Beatragus hunteri) in Kenya https://theses.ncl.a[...] 2002
[31] 보고서 The Population, Distribution and Habitat Preferences of the Hunter's Antelope Damaliscus hunteri in north-east Kenya WCMC: Cambridge, UK 1985
[32] 간행물 Hirola: Translocation to Tsavo NP and new scientific information Gnusletter 1996
[33] 보고서 Hirola monitoring progress report: update analysis of animal movement, location and herding Kenya Wildlife Service: Nairobi, Kenya 1997
[34] 간행물 Population status and feeding habits of the translocated sub-population of Hunter's antelope or hirola (Beatragus hunteri, Sclater, 1889) in Tsavo East National Park, Kenya African Journal of Ecology 1999
[35] 간행물 The evolution of mating strategies in male antelop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1986
[36] 논문 A note on the reproductive biology of the Hunter's antelope or hirola (''Damaliscus hunteri'' – Sclater, 1889) in the zoo environment 1987
[37] 간행물 Hirola Recovery Plan IUCN Antelope Specialist Group in collaboration with the Kenya Wildlife Service and Hirola Task Force. IUCN: Nairobi 1996
[38] 서적 The Encyclopedia of Mammals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2006
[39] 웹사이트 Beatragus hunteri (Hirola) 2008-06-30
[40] 웹사이트 World's rarest antelope GPS collared for first time https://www.edgeofex[...] 2013-01-28
[41] 웹사이트 Ishaqbini Hirola Community Conservancy https://web.archive.[...]
[42] 웹사이트 Northern Rangelands Trust https://web.archive.[...]
[43] 간행물 Status of hirola in Ishaqbini community conservancy Northern Rangelands Trust and Ishaqbini Hirola Community Conservancy, Kenya 2014
[44] 웹사이트 Beatragus hunteri https://doi.org/10.2[...] 2017
[45] 논문 Beatragus hunteri (Artiodactyla: Bovidae) https://doi.org/10.1[...] American Society of Mammalogists 2017
[46] 서적 Order Artiodactyla https://www.departm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5
[47] 서적 ブルーバック亜科の分類 東京動物園協会 1988
[48] 서적 ヒロラ(ヒロラダマリスクス、ハンターズハーテビースト) 講談社 2000
[49] 웹사이트 Beatragus hunteri
[50] 논문 Description of Hunter's antelope 1889
[51]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arkive.or[...] 2015-10-23
[52] MSW3
[53] 간행물 The Tsavo hirola: current status and future management 2011
[54] 간행물 They Came, They Saw, They Counted 2011
[55] 논문 Population and habitat assessment of the Critically Endangered hirola Beatragus hunteri in Tsavo East National Park, Kenya 2014
[56] 논문 Cetartiodactyla: Updating a time-calibrated molecular phylogeny 20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