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닥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닥스(Addax nasomaculatus)는 굽은 뿔을 가진 영양의 일종으로, 프랑스의 동물학자 앙리 드 블랭빌이 1816년에 명명했다. 힙포트라구스족에 속하며 오릭스속과 자매군이다. 북아프리카 사막 지역에 서식하며, 야행성이며, 수분 섭취 없이 생존할 수 있는 적응력을 갖추고 있다. 과거에는 넓은 지역에 분포했으나, 현재는 과도한 수렵과 서식지 파괴로 인해 멸종 위기에 놓여 니제르의 테르미트 대산괴 보호구역 등 일부 지역에서만 야생 개체가 생존하고 있다. 전 세계 동물원 및 보호 구역에서 사육 번식 프로그램을 통해 개체 수를 늘리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16년 기재된 포유류 - 네뿔영양
네뿔영양은 인도 아대륙에 서식하며 네 개의 뿔을 가진 가장 작은 아시아 소과 동물 중 하나로, 서식지 감소와 밀렵으로 인해 IUCN 적색 목록에 취약종으로 등재되어 보호받고 있다. - 1816년 기재된 포유류 - 흰바위산양
흰바위산양은 북아메리카 서부 산악 지역에 서식하며 흰색 털, 짧은 꼬리, 검은 뿔을 가진 소과의 동물로, 험준한 산악 지형에 특화되어 로키 산맥 등 고산 기후 지역에서 서식하며 초식성 식물을 섭취하지만, 서식지 파괴와 기후 변화로 생존에 위협을 받고 있다. - 튀니지의 포유류 - 퀴비에가젤
퀴비에가젤은 아틀라스 산맥에 서식하며 몸집이 작고 어두운 털색과 옆구리의 띠가 특징인 가젤로, 과거 개체 수 감소 후 현재는 보호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초식성이고 경계심이 강하다. - 튀니지의 포유류 - 북아프리카코끼리땃쥐
북아프리카코끼리땃쥐는 작은 몸집과 긴 주둥이를 가진 포유류로, 북서아프리카 지역에 서식하며, 1년에 두 번, 한 번에 1~4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 모리타니의 포유류 - 파타스원숭이
파타스원숭이는 아프리카 사바나에 서식하며 영장류 중 가장 빠른 시속 55km로 달릴 수 있는 긴꼬리원숭이과 동물로, 과거 단일 종으로 여겨졌으나 여러 종으로 분리되었고 서식지 파괴와 사냥으로 일부 종은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 모리타니의 포유류 - 코린가젤
코린가젤은 아프리카 사헬 지대에 서식하며 붉은빛을 띤 몸과 흰색 줄무늬가 특징이지만, 불법 사냥과 서식지 파괴로 인해 취약종으로 분류되어 보호 노력이 필요한 가젤의 일종이다.
| 아닥스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상태 | 멸종위기종 |
| 상태 기준 | IUCN3.1 |
| 상태 참고 | [https://www.iucnredlist.org/species/512/50180603 IUCN SSC Antelope Specialist Group (2016). Addax nasomaculatus. IUCN 적색 목록 2016: e.T512A50180603.] |
| 사이테스 | 부록 I |
| 사이테스 참고 | [https://cites.org/eng/app/appendices.php CITES 부록] |
| 학명 | Addax nasomaculatus |
| 명명자 | (Blainville, 1816) |
| 이명 | Addax addax (Cretzschmar, 1826) Addax gibbosa (Savi, 1828) Addax mytilopes (Hamilton-Smith, 1827) Addax suturosa (Otto, 1825) Cerophorus nasomaculata (Blainville, 1816) Antilope addax (Cretzschmar, 1826) Antilope suturosa (Otto, 1825) Antilope mytilopes (Hamilton-Smith, 1827) Oryx addax (Hamilton-Smith, 1827) Oryx nasomaculatus (J.E. Gray, 1843) |
![]() | |
| 신체적 특징 | |
| 어깨 높이 | 55~80cm |
| 몸통 높이 | 70~85cm |
| 몸통 길이 | 105~115cm |
| 꼬리 길이 | 95~110cm |
| 참고 자료 | [https://nationalzoo.si.edu/animals/addax Smithsonian's National Zoo and Conservation Biology Institute] |
2. 어원과 분류
아닥스는 영양 중에서도 독자적인 유전자 풀을 지니고 있다.[41] 29쌍의 염색체를 지니고 있으며, 이 중 1번 상염색체를 제외한 모든 염색체가 말단 동원체형이다. 1번 상염색체는 차중부 동원체형이다. X 염색체는 말단 동원체형 염색체 중에서 가장 크며, Y 염색체는 중간 크기이다. 1번 상염색체의 염색분체는 소의 27번, 염소의 1번 염색분체와 일치한다. 연구 결과 아닥스의 핵형은 힙포트라구스족에 속한 나머지 네 종류의 영양들과 매우 흡사한 형태를 띠고 있었다.[39][42]
아닥스는 고대에 매우 번성하여 북아프리카는 물론이고 아라비아 반도와 레반트 지역까지 서식하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고대 이집트 벽화에서는 최소 기원전 2500년에 그려진 것으로 보이는 벽화에 말뚝에 감긴 밧줄에 매인 아닥스와 다른 영양 종류들이 그려진 것이 확인되었는데, 경제적으로 부유한 인사에게 생포당한 것을 묘사한 것으로 보인다.[40] 헨리 베이커 트리스트람은 신명기 14:5에 언급된 ''피가르그''(흰 엉덩이) 짐승이 아닥스였을 것으로 추정한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과도한 밀렵으로 인해 1960년대 이후 이집트에서 이 종이 멸종되었다.[9]
아닥스는 영양의 일종으로, 계절에 따라 털색이 변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겨울에는 회갈색 털을 가지며, 엉덩이와 다리는 흰색이다. 머리, 목, 어깨에는 긴 갈색 털이 자란다. 여름에는 털이 거의 흰색이나 모래색 금발로 변한다.[11] 머리에는 코 위에 'X'자 모양을 이루는 갈색 또는 검은색 반점이 있으며, 턱수염이 덥수룩하고 콧구멍이 붉다.[12]
아닥스의 학명은 '''아닥스 나소마쿨라투스'''(''Addax nasomaculatus'')이며, 1816년 프랑스의 동물학자인 앙리 드 블랭빌이 명명했다. 당시에도 소과 아닥스속(''Addax'')의 유일종으로 분류되었다.[35] 블랭빌은 윌리엄 불록(William Bullock)의 수집장과 런던 소재의 영국 왕립 외과대학에 있는 모식 표본을 발견했고, 곧이어 영국 자연과학자 리처드 라이데커는 세네감비아가 모식지인 것 같다고 잘못 발표했으나, 1898년 토론 결과 사하라 사막이나 튀니지 쪽이 더 타당하다는 결론이 나왔다.[35]
속명 아닥스(''Addax'')는 아랍어로 삐뚤은 뿔을 지닌 동물을 뜻하는 단어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되며,[37] 1693년에 언급 기록이 있는 라틴어에서 유래되었다는 설도 있다.[38] 종명인 나소마쿨라투스(''nasomaculatus'')는 라틴어로 '코'를 뜻하는 나수스(nasus)가 변형된 접두사 나소(naso)와 점박이를 뜻하는 마쿨라투스(maculatus)에서 따온 이름으로, 이는 영양 특유의 얼굴 문양을 일컫는다. 베두인족은 아닥스를 가리켜 들소라는 뜻의 바크르 알 와흐시(''bakr al wahsh'')라 하지만, 이는 모든 다른 유제류 동물들에게도 적용될 수 있다.[39][37] 이명으로는 머리의 뿔이 나사를 닮아 붙여진 '''나사뿔영양'''과 몸 빛깔을 딴 '''흰영양'''이 있다.[40]
2019년 주라노(Zurano) 등의 연구에 기초한 영양아과의 계통 분류에 따르면, 아닥스는 임팔라족, 리드벅족, 영양족 등과 함께 영양아과에 속한다.[36]
3. 유전학
오릭스와도 근연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특히 아라비아영양과는 사막 생활에 더 유리한 쪽으로 진화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긴칼뿔오릭스와는 서식지가 일부 겹친다. 학계에서는 아닥스속이 오릭스속 계통과 마이오세 초엽이자 메시나절 말엽인 5,000,000년 전에 갈라져 나온 것으로 보고 있다.[41][43] 한때 수단에 분포했던 아닥스는 수단아닥스(''Addax nasomaculatus addax'' Cretszchmar, 1826)라는 아종으로 여겨졌다.[58]
4. 역사 및 화석 기록
이집트에서 발견된 아닥스 화석은 다음과 같다.[11]발견 장소 시기 비고 거대한 모래 바다 기원전 7000년 자라(Djara) 동굴 기원전 5000~6000년 아부 발라스 사적지 기원전 4000~7000년 길프 케비르 고원 기원전 5000년
이 외에도 기원전 6300년의 것으로 보이는 화석이 수단의 와디에서 발견되었고, 플라이스토세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것으로 보이는 화석이 알제리와 모로코 등지에서 발견되었다.[11]
5. 외형

암수 모두 한 쌍의 뿔을 가지고 있는데, 이 뿔은 나사 모양으로 꼬여 있는 것이 특징이다. 뿔은 위로 솟으면서 두세 번 정도 꼬이며, 뿔의 아랫부분과 중간 부분에는 고리 모양의 돌기가 있다.[39] 뿔 길이는 암컷이 보통 55cm 에서 80cm이고 수컷은 70cm 에서 85cm이지만, 최대 109.2cm까지 자란 기록이 있다.[11]

수컷 아닥스의 어깨 높이는 105cm 에서 115cm, 암컷은 95cm 에서 110cm로 암컷이 수컷보다 약간 작다.[10] 몸길이는 암수 모두 120cm 에서 130cm 정도이며, 꼬리 길이는 25cm 에서 35cm이다. 수컷의 몸무게는 100kg 에서 125kg, 암컷은 60kg 에서 90kg이다.[11]
아닥스의 발굽은 넓고 평평하며, 부드러운 모래땅 위를 걷기에 적합하도록 발달했다.[12] 네 발에는 각기 냄새샘이 달려 있다.[11] 야생에서의 수명은 약 19년이며,[6] 동물원 등에서 사는 개체는 25년까지 살기도 한다.[11][10]
아닥스는 긴칼뿔오릭스와 외형이 비슷하지만, 뿔의 모양과 얼굴 생김새 등으로 구별할 수 있다. 아닥스는 나사뿔을 가진 반면, 긴칼뿔오릭스는 길게 뻗은 직선뿔을 가지고 있다. 또한 아닥스의 머리에는 갈색 털이 있지만, 긴칼뿔오릭스는 눈가의 줄무늬를 제외하면 머리털이 희다.[11]
5. 1. 기생충
아닥스는 습한 기후 조건에서 기생충, 특히 원선충아목에 속하는 선충에 취약하다.[47][48][13] 텍사스주의 목초지에 도입된 아닥스는 홍창 부위에 염전위충(`Haemonchus contortus`)과 롱기스트롱길루스 쿠르비스피쿨룸(`Longistrongylus curvispiculum`) 등의 기생충에 감염될 확률이 높으며, 특히 염전위충의 감염률이 더 높다.[39][49]
아닥스는 선충의 털원충상과와 원충상과에 감염된다.[14] 텍사스의 한 외래 목장에서는 아닥스의 제4위에서 염전위충과 롱기스트롱길루스 쿠르비스피쿨룸이 발견되었으며, 염전위충이 우세했다.[11][15]
6. 습성과 생태
아닥스는 주로 밤에 활동하는 야행성 동물이며, 특히 여름에 더 활발하게 움직인다. 낮에는 그늘에서 쉬면서 모래 구덩이를 파서 햇빛과 모래 폭풍을 피한다.[50]
아닥스는 5~20마리 정도의 무리를 지어 생활하며, 무리 중 가장 나이가 많은 암컷이 우두머리가 된다.[39][55] 수컷은 영역을 지키고 암컷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51][52] 먹이가 떨어지면 비가 많이 오는 지역으로 이동하며, 뚜렷한 사회 체계를 가지고 있다.
사자, 리카온, 치타, 표범 등은 아닥스를 쉽게 사냥한다. 카라칼, 하이에나, 서벌은 어린 아닥스를 노린다. 위협을 받으면 뿔을 이용해 방어적인 공격을 할 수 있다.[39]
6. 1. 적응
아닥스는 극한의 사막 환경에서도 훌륭하게 생존할 수 있다. 물을 거의 마시지 않고도 건조한 기후에서 살 수 있는데, 사막 식물과 이슬로 부족한 수분을 보충하기 때문이다. 아닥스의 몸 속에는 수분을 모아두었다가 갈증이 날 때 공급하는 기관이 있을 것이라고 추정되지만, 아직 정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다. 물을 적게 마시기 때문에 소변의 농도는 매우 진하다.[50] 옅은 색의 털은 햇빛을 반사하고, 긴 털과 빽빽한 털은 체온 조절을 돕는다. 낮에는 그늘에서 제한적으로 활동하며 수분 손실을 막는다.[39]로즈그래스(`Chloris gayana`)를 먹이로 준 8마리의 아닥스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먹이를 먹는 데 지연 시간이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소화가 잘 안 되는 풀이 포함된 새로운 먹이에 적응하는 시간으로 해석할 수도 있지만, 수분 절약 메커니즘의 일부로 볼 수도 있다.[53] 아닥스는 먹이와 식물에 응결된 이슬에서 수분을 얻기 때문에 물 없이도 오랫동안 생존할 수 있다. 과학자들은 아닥스가 탈수증 시기에 사용할 수 있도록 위장에 물을 저장하는 특별한 내벽이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물을 절약하기 위해 고농축 소변을 생성한다.[18] 옅은 색 털은 복사열을 반사하고, 털의 길이와 밀도는 체온 조절에 도움이 된다. 낮에는 그늘진 곳에 모여 있고, 서늘한 밤에는 모래 구덩이에서 휴식을 취하여 체온을 발산하고 증발을 통해 몸을 식혀 물을 절약한다.[11]
풀 건초 (`클로리스 가이아나`)를 먹는 8마리의 아닥스를 대상으로 소화관에서 음식물의 잔류 시간을 조사한 결과, 음식물의 잔류 시간이 길었다. 이는 느리게 발효되는 풀의 비율이 높은 식단에 대한 적응으로 여겨졌다. 또한 긴 유체 잔류 시간은 낮은 수분 회전율과 넓은 반추위로 인한 물 절약 메커니즘 때문일 수 있다고 해석되었다.[19]
6. 2. 먹이
아닥스는 사막에서 자라는 관목, 콩과 식물, 풀과 덤불 등 먹을 수 있는 풀과 잎이 있는 곳에서 서식한다. 주로 초식 동물인 아닥스는 ''Aristida'', ''Panicum'', ''Stipagrostis'' 등을 먹으며, 이러한 풀이 없을 때는 아카시아 나무의 잎을 먹는다.[19] 또한, 약간의 습기나 비에도 푸르게 싹이 트는 다년생 식물을 먹기도 한다. 아닥스는 식물의 특정 부분만 먹으며, ''Aristida'' 풀을 같은 높이로 깔끔하게 뜯어 먹는 경향이 있다. 반면에 ''Panicum'' 풀을 먹을 때는, 마른 바깥 잎은 남겨두고 부드러운 속대와 씨앗만 먹는다.[12] 이 씨앗은 아닥스 식단의 중요한 부분이며, 단백질의 주요 공급원이다.[12]
특히 아리스티다족·기장 등에 속하는 식물들을 주식으로 먹으며, 풀 종류가 없다면 나뭇잎 중에서도 오직 아카시아나무의 잎을 먹는다.[53] 우기가 되면서 자라는 다년생 식물 역시 좋은 먹이가 된다. 아리스티다족에 속하는 초목들의 경우 몇몇 잎 부분만을 영양분으로 섭취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으나, 반대로 기장아과에 속한 식물들은 대체로 잎을 빼고 이삭 부분을 먹는 것으로 관찰된다. 이 이삭과 씨앗 부분은 아닥스의 먹이 중에서도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며 부족해질 수 있는 단백질의 공급원이 된다.[46]
땅속줄기는 뿔로 파내어 먹는다.[31] 수분은 먹이나 아침 이슬에서 섭취한다.[30][32] 물을 마시지 않아도 1개월 이상 생활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체내에서 지방을 변화시켜 물을 생성한다.[29][31]
6. 3. 번식
암컷 아닥스는 2~3세, 수컷 아닥스는 약 2세에 성적 성숙을 이룬다.[11][39] 번식은 연중 이루어지지만, 특히 겨울과 초봄에 번식이 활발하다.[11][39] 북부 사하라에서는 늦겨울에서 초봄 사이에, 남부 사하라에서는 9월~10월과 1월~4월 중순 사이에 번식이 집중된다.[11][39] 발정기는 1~2일 정도로 짧다.[11][39]
면역학적 검정(immunoassay)을 통해 아닥스의 혈청을 조사한 연구에 따르면, 황체기(Luteal phase)를 포함한 발정 주기는 약 33일이다.[20][54] 임신한 아닥스는 초음파 검사를 통해 자궁각(uterine horn)이 확장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54] 난포와 황체의 최대 직경은 각각 15mm와 27mm이다.[20][54] 암컷은 39~131일 동안 무배란 주기를 겪기도 하는데, 이 기간에는 배란이 일어나지 않는다. 무배란은 겨울철에는 드물게 나타나는데, 이는 계절이 발정 주기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20][54]
임신 기간은 257~270일(약 9개월)이다.[21][28][55] 암컷은 출산 시 누워있거나 서 있을 수 있으며, 한 번에 한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21][28] 산후 발정은 2~3일 후에 나타난다.[21][55] 새끼는 태어날 때 5kg 정도이며, 생후 23~29주에 젖을 뗀다.[22][56]
7. 서식과 분포
아닥스는 건조 기후에 속하는 사막과 반사막 지대에서 서식한다.[50] 연간 강수량이 100mm 이하인 매우 건조한 곳에서도 서식하며,[33] 아리스티다족에 속하는 다발성 초목과 즙이 많은 선인장 및 수송나물아과가 자라는 곳에서도 서식할 수 있다.[57]
과거 아닥스는 나일강 서쪽 지역과 사하라 사막 전역에 걸쳐 널리 서식했지만, 현재 확인된 야생 개체군은 니제르의 테르미트 대산괴 보호구역뿐이다. 그러나 니제르의 아이르 산 동부와 차드의 보델레(Bodélé) 지역에서 목격되었다는 보고도 있다. 드물게는 니제르·남부 알제리·남부 리비아에서 이동하는 무리가 관찰되기도 한다.
세네감비아에서는 한때 서식했다는 증거를 찾지 못했으며,[58] 말리와 모리타니의 국경에 남아 있다는 제보도 있으나 확인된 사항은 없다.[33] 알제리, 이집트, 리비아, 수단, 서사하라에서는 멸종되었으며, 모로코와 튀니지에는 재도입되어 번식을 시도하고 있다.[33] 이집트에서 마지막으로 발견된 아닥스 표본은 1900년 초엽 베두인 족에게 잡힌 것이었다.[58]
8. 멸종 위기와 보전
1800년대 중엽부터 아닥스의 개체 수는 감소하기 시작했으며,[57] 1930년대부터 유럽과 미국의 동물학자들 사이에서 북아프리카 영양류의 멸종에 관한 논의가 이루어진 뒤[58] 현재까지도 과도한 수렵 행위 때문에 야생 상태의 개체를 보기가 매우 힘들어졌다.
아닥스는 동작이 빠른 동물이 아니어서 밀렵의 좋은 표적이 되는 데다가 로드킬에도 매우 취약하며, 오아시스 근처에서 생활하는 유목민들의 사냥 대상이 되기도 쉽다.[59] 고기와 가죽이 비싸게 팔리는 것도 개체 수 감소의 요인 중 하나이다.[59] 또한 삶의 터전인 사헬 지대에 극심한 가뭄이 들어 먹이가 되는 식물이 없어지고, 환경이 오염되거나 농경지가 증가하는 것도 큰 위협이다.[59] 아프리카 북부의 내전으로 인하여 중화기와 트럭에 목숨을 잃는 경우도 있었다.[58]
현재 야생에는 500마리 미만의 개체가 생존해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대부분은 니제르의 테르미트 산괴 보호구역, 차드 서부의 보델 지역,[1] 그리고 모리타니의 아우카르 지역에서 발견된다.[25]
오늘날 유럽, 이스라엘의 요트바타 하이-바르 자연 보호구역, 리비아의 사브라타, 이집트의 기자 동물원, 북아메리카, 일본 및 호주에는 600마리가 넘는 아닥스가 사육 번식 프로그램 하에 있다. 미국과 중동의 개인 소장품과 목장에는 수천 마리가 더 있다. 아닥스는 모로코, 튀니지, 알제리에서 법적으로 보호받고 있으며, 리비아와 이집트에서는 모든 가젤류의 사냥이 금지되어 있다. 튀니지의 부-헤드마 국립 공원과 모로코의 수스-마사 국립 공원에 재도입되었으며, 튀니지의 제빌 국립 공원과 사하라의 그랑 에르그 오리엔탈에서 야생 재도입이 진행 중이며, 모로코에서도 재도입이 계획되어 있다.[1]
참조
[1]
간행물
Addax nasomaculatus
2021-06-03
[2]
웹사이트
Appendices {{!}}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3]
서적
[4]
웹사이트
Addax
https://nationalzoo.[...]
2024-08-16
[5]
백과사전
Entry Addax
http://www.merriam-w[...]
Merriam-Webster
2013-01-13
[6]
웹사이트
Addax
https://web.archive.[...]
Ultimate Ungulate
2013-01-13
[7]
서적
International Wildlife Encyclopedia
Marshall Cavendish
[8]
학술지
The karyotype of the addax and its comparison with karyotypes of other species of Hippotraginae antelopes.
[9]
학술지
Historical ecology and biogeography of the addax in Egypt
[10]
웹사이트
Addax nasomaculatus
http://animaldiversi[...]
Animal Diversity Web
2012-06-20
[11]
학술지
Addax nasomaculatus
[12]
서적
The Funk & Wagnalls Wildlife Encyclopedia
Funk and Wagnalls
[13]
서적
Exotic Animal Field Guide : Nonnative Hoofed Mammals in the United States
Texas A&M University Press
[14]
서적
AAZPA Regional Conference Proceedings
American Association of Zoological Parks and Aquariums
[15]
학술지
Longistrongylus curvispiculum (Nematoda: Trichostrongyloidea) in free-ranging exotic antelope in Texas
[16]
학술지
Species survival plan contributions to research and reintroduction of the addax Addax nasomaculatus
[17]
학술지
Determinants of dominance in captive female addax (Addax nasomaculatus)
[18]
웹사이트
Addax
https://web.archive.[...]
ARKive
2012-06-20
[19]
학술지
Fluid and particle retention in the digestive tract of the addax antelope (Addax nasomaculatus) — Adaptations of a grazing desert ruminant
http://www.zora.uzh.[...]
2019-03-21
[20]
학술지
Ovulatory cycles and anovulatory periods in the addax (Addax nasomaculatus)
[21]
학술지
Analysis of reproductive data on the addax (Addax nasomaculatus) in captivity
[22]
학술지
Reproductive behavior of addax antelope
[23]
웹사이트
Addax
http://www.saharacon[...]
Sahara Conservation Fund
2013-01-14
[24]
학술지
Can Addax and Oryx be saved in the Sahel?
[25]
서적
The Rough Guide to West Africa
https://books.google[...]
Penguin
2008-06-16
[26]
웹사이트
Appendices I, II and III
https://cites.org/en[...]
2015-10-13
[27]
간행물
Addax nasomaculatus
2015-10-13
[28]
학술지
Addax nasomaculatus
[29]
서적
世界の動物 分類と飼育7 (偶蹄目III)
[30]
서적
絶滅危惧動物百科2 アイアイ―ウサギ(アラゲウサギ)
[31]
서적
動物世界遺産 レッド・データ・アニマルズ6 アフリカ
[32]
웹사이트
Addax nasomaculatus
http://animaldiversi[...]
2015-10-13
[33]
간행물
Addax nasomaculatus
[34]
웹인용
Appendices {{!}}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35]
서적
[36]
논문
Cetartiodactyla: Updating a time-calibrated molecular phylogeny.
[37]
웹인용
Addax
http://www.ultimateu[...]
Ultimate Ungulate
2013-01-13
[38]
웹인용
Entry ''Addax''
http://www.merriam-w[...]
Merriam-Webster
2013-01-13
[39]
저널
''Addax nasomaculatus''
[40]
서적
International Wildlife Encyclopedia
https://archive.org/[...]
Marshall Cavendish
[41]
서적
Mammals of Africa Vol.6
Bloomsbury
[42]
저널
The karyotype of the addax and its comparison with karyotypes of other species of Hippotraginae antelopes.
[43]
문서
Hernàndez Fernàndez & Vrba, 2005
[44]
저널
Historical ecology and biogeography of the addax in Egypt
[45]
웹인용
''Addax nasomaculatus''
http://animaldiversi[...]
Animal Diversity Web
[46]
서적
The Funk & Wagnalls Wildlife Encyclopedia
Funk and Wagnalls
[47]
서적
Exotic Animal Field Guide : Nonnative Hoofed Mammals in the United States
https://archive.org/[...]
Texas A&M University Press
[48]
서적
AAZPA Regional Conference Proceedings
American Association of Zoological Parks and Aquariums
[49]
저널
''Longistrongylus curvispiculum'' (Nematoda: Trichostrongyloidea) in free-ranging exotic antelope in Texas
[50]
웹인용
Addax
http://www.arkive.or[...]
ARKive
2017-11-01
[51]
저널
Species survival plan contributions to research and reintroduction of the addax ''Addax nasomaculatus''
[52]
저널
Determinants of dominance in captive female addax (''Addax nasomaculatus'')
[53]
저널
Fluid and particle retention in the digestive tract of the addax antelope (Addax nasomaculatus)—Adaptations of a grazing desert ruminant
[54]
저널
Ovulatory cycles and anovulatory periods in the addax (Addax nasomaculatus).
[55]
저널
Analysis of reproductive data on the addax (''Addax nasomaculatus'') in captivity
[56]
저널
Reproductive behavior of addax antelope
http://www.journals.[...]
[57]
웹인용
Addax
http://www.saharacon[...]
Sahara Conservation Fund
2013-01-14
[58]
저널
Notes on Addax nasomaculatus
[59]
저널
Can Addax and Oryx be saved in the Sahel?
[60]
서적
The Rough Guide to West Africa
https://book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