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피는 설탕이나 당밀, 버터, 밀가루 등을 섞어 만든 과자이다. 재료와 가열 과정, 온도에 따라 질감과 굳기가 달라지며, 럼, 버터, 초콜릿, 견과류 등을 첨가하여 다양한 맛을 낼 수 있다. 미국에서는 버터향이 강하고 아몬드를 사용한 잉글리시 토피가 인기 있으며, 베이킹 소다와 식초를 사용해 기포를 만든 신더 토피도 있다. 토피는 사탕 사과와 토피넛 라떼 등 다양한 형태로 활용되며, 캐러멜과 유사하지만 우유나 크림 첨가 여부와 조리 온도에 따라 굳기가 달라진다. 토피의 어원은 불분명하며, 1825년경에 영어 단어로 처음 등장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토피 - [음식]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종류 | 사탕 |
국가 | 영국, 캐나다 |
주재료 | 설탕 또는 당밀, 버터 |
변형 | 잉글리시 토피 카르메야키 (일본어: カルメ焼き, Honeycomb toffee) |
영어 이름 | toffee |
발음 (IPA) | /ˈtɔːfi/ /ˈtɔfi/ |
![]() |
2. 제조법
토피를 만들려면 설탕 또는 당밀과 버터, 밀가루 등의 재료를 뻑뻑해져서 표면에 광택이 날 때까지 저으며 끓인다. 섞은 재료는 얕은 쟁반에 부어 냉각시킨다. 재료와 제조법, 특히 가열 온도에 따라 질감이 부드럽거나 끈적끈적해지기도 하고, 단단하거나 혹은 잘 부서지게 된다. 설탕이 캐러멜화 되면서 갈색과 훈연의 맛이 형성된다.[1]
토피는 럼, 버터, 초콜릿, 바닐라, 건포도, 산딸기 등 여러 재료들을 섞어 다양한 맛을 낼 수 있으며, 제조법을 달리하여 기존과 다른 형태로 만들 수도 있다.
토피를 조리할 때는 재료를 펼친 형태가 무너지지 않고 표면에 윤기가 돌 때까지 가열한다. 가열한 재료는 얕은 트레이에 부어 식혀서 성형한다. 재료, 과정, 온도(이것이 가장 중요하다)에 따라 토피의 질감과 굳기가 달라져서 부드럽고 끈적이거나 딱딱하고 부서지기 쉬워진다.[1]
3. 종류 및 변형
토피를 사용한 과자에는 막대기에 꽂은 사과를 토피로 감싼 사탕 사과(토피 애플)가 있다. 토피 애플은 타피 애플이나 캐러멜 사과(둘 다 캐러멜로 사과를 감싼 과자)와 비슷하다.
토피는 럼 & 버터 토피, 초콜릿 커버, 바닐라 & 초콜릿, 럼 & 건포도, 허니컴 등 다양한 재료와 조합하여 과자에 사용된다. 토피 크럼블과 같은 옛날 방식의 토피는 토피, 밀크 초콜릿, 비스킷, 견과를 조합하여 만들었다.
3. 1. 잉글리시 토피
미국에서 인기 있는 변형으로 매우 버터향이 강하고 종종 아몬드를 사용하여 만드는 ''잉글리시 토피''가 있다. 쫄깃한 버전과 딱딱한 버전 모두로 판매된다. 히스 바(Heath bar)는 잉글리시 토피 코어를 사용해 만든 과자 브랜드이다. ''잉글리시 토피''라는 이름에도 불구하고, 현재 영국에서 판매되는 다양한 종류의 토피와는 거의 유사성이 없다. 하지만 영국에서는 이 제품을 "버터 크런치"라는 이름으로 여전히 찾을 수 있다.
미국식 ''잉글리시 토피''는 버터가 많이 들어가고 아몬드가 많이 들어가는 것이 특징이며, 부드러운 것과 딱딱한 것이 있어 어느 것이 영국식이고 어느 것이 미국식인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 일반적인 잉글리시 토피는 초콜릿으로 감싸고 아몬드 슬라이스를 올린다. Heath bar영어는 잉글리시 토피 캔디 바이다.
3. 2. 신더 토피 (허니컴 토피)
미국식 ''잉글리시 토피''는 버터가 많이 들어가고 아몬드가 많이 들어가는 것이 특징이며, 부드러운 것과 딱딱한 것이 있어 어느 것이 영국식이고 어느 것이 미국식인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 일반적인 잉글리시 토피는 초콜릿으로 감싸고 아몬드 슬라이스를 올린다. 히스 바Heath bar영어는 잉글리시 토피 캔디 바이다.
''신더 토피'', ''허니컴'', ''스펀지 토피''Sponge toffee영어는 베이킹 소다와 식초를 재료로 첨가하여 생성된 기포로 부풀린 토피이다. 베이킹 소다와 식초의 화학 반응으로 탄산 가스가 생성되어 점도가 높은 재료에 머무른다. 뉴질랜드에서는 ''호키 포키''라고 불린다.
3. 3. 기타 변형
럼, 버터, 초콜릿, 바닐라, 건포도, 산딸기 등 여러 재료들을 섞어 다양한 맛이 나는 토피 과자들을 만들 수 있으며, 제조법을 조금 달리하여 기존과 다른 형태로 만들 수 있다.
미국에서 인기 있는 변형으로 매우 버터향이 강하고 종종 아몬드를 사용하여 만드는 '잉글리시 토피'가 있다. 쫄깃한 버전과 딱딱한 버전 모두로 판매된다. 히스 바(Heath bar)는 잉글리시 토피 코어를 사용해 만든 과자 브랜드이다. '잉글리시 토피'라는 이름에도 불구하고, 현재 영국에서 판매되는 다양한 종류의 토피와는 거의 유사성이 없다. 하지만 영국에서는 이 제품을 "버터 크런치"라는 이름으로 여전히 찾을 수 있다.[1]
미국식 '잉글리시 토피'는 버터가 많이 들어가고 아몬드가 많이 들어가는 것이 특징이며, 부드러운 것과 딱딱한 것이 있어 어느 것이 영국식이고 어느 것이 미국식인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 일반적인 잉글리시 토피는 초콜릿으로 감싸고 아몬드 슬라이스를 올린다. 히스 바Heath bar영어는 잉글리시 토피 캔디 바이다.[1]
'신더 토피', '허니컴', '스펀지 토피'Sponge toffee영어는 베이킹 소다와 식초를 재료로 첨가하여 생성된 기포로 부풀린 토피이다. 베이킹 소다와 식초의 화학 반응으로 탄산 가스가 생성되어 점도가 높은 재료에 머무른다. 뉴질랜드에서는 '호키 포키'라고 불린다.[1]
토피를 사용한 과자에는 사탕 사과 (토피 애플)가 있으며, 이것은 막대기에 꽂은 사과를 토피로 감싼 과자이다. 토피 애플은 타피 애플 또는 캐러멜 사과 (두 가지 모두 캐러멜로 사과를 감싼 과자)와 비슷하다.[1]
토피는 다양한 재료와 조합하여 다양한 형태로 과자에 사용된다. 럼 & 버터 토피, 초콜릿 커버, 바닐라 & 초콜릿, 럼 & 건포도, 허니컴 등이다.[1]
토피 크럼블 등의 옛날 방식의 토피는 토피, 밀크 초콜릿, 비스킷 & 견과의 조합이었다.[1]
4. 응용
견과류를 넣은 토피넛, 베이킹 소다와 식초를 넣어 부풀린 신더 토피(허니컴, 스펀지 토피) 등 다양한 재료를 조합하여 만든다.
미국에서 인기 있는 ''잉글리시 토피''는 버터향이 강하고 아몬드를 사용한다. 히스 바는 잉글리시 토피를 사용해 만든 과자 브랜드이다. 영국에서는 "버터 크런치"라는 이름으로 찾을 수 있다.
토피를 사용한 옛날 방식의 토피 크럼블은 토피, 밀크 초콜릿, 비스킷, 견과를 조합한 것이다.
4. 1. 토피 애플(Toffee apple)
토피를 특별하게 응용하는 방법은 캔디 애플이라고도 불리는 토피 애플을 만드는 것이다. 이는 막대에 꽂은 사과를 단단한 토피로 코팅시켜 만든다. 토피 애플은 캐러멜로 덮힌 캐러멜 애플과 비슷하다.[1]4. 2. 토피넛 라떼(Toffee nut latte)
토피넛 라떼는 토피에 아몬드나 호두 등의 견과류를 넣어 만든 토피넛을 재료로 한 음료이다. 우유나 커피 등을 섞어 만든다.미국식 ''잉글리시 토피''는 버터가 많이 들어가고 아몬드가 많이 들어가는 것이 특징이며, 부드러운 것과 딱딱한 것이 있어 어느 것이 영국식이고 어느 것이 미국식인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 일반적인 잉글리시 토피는 초콜릿으로 감싸고 아몬드 슬라이스를 올린다. 히스 바Heath bar영어는 잉글리시 토피 캔디 바이다.
''신더 토피''(Cinder toffee), ''허니컴''(Honeycomb), ''스펀지 토피''Sponge toffee영어는 베이킹 소다와 식초를 재료로 첨가하여 생성된 기포로 부풀린 토피이다. 베이킹 소다와 식초의 화학 반응으로 탄산 가스가 생성되어 점도가 높은 재료에 머무른다. 뉴질랜드에서는 ''호키 포키''(Hokey pokey)라고 불린다.
토피를 사용한 과자에는 사탕 사과(토피 애플)가 있으며, 이것은 막대기에 꽂은 사과를 토피로 감싼 과자이다. 토피 애플은 타피 애플 또는 캐러멜 사과(두 가지 모두 캐러멜로 사과를 감싼 과자)와 비슷하다.
토피는 럼 & 버터 토피, 초콜릿 커버, 바닐라 & 초콜릿, 럼 & 건포도, 허니컴 등 다양한 재료와 조합하여 다양한 형태로 과자에 사용된다. 토피 크럼블 등의 옛날 방식의 토피는 토피, 밀크 초콜릿, 비스킷 & 견과의 조합이었다.
4. 2. 1. 대한민국에서의 토피넛 라떼
잉글리시 토피처럼 토피에 아몬드나 호두 등의 견과류를 넣어 만든 것을 토피넛이라고 한다. 여기에 우유나 커피 등을 섞으면 토피넛 라떼가 된다.- 스타벅스에는 크리스마스 시즌 메뉴로 토피넛 라떼가 있다. 버터의 풍미와 구운 견과류의 고소한 향, 에스프레소가 어우러진 음료로 여기에 우유, 휘핑 크림, 토피넛 조각을 올린다.[8][9]
- 이디야에서는 토피넛 라떼를 4계절 내내 판매하고 있으며 매출이 높은 인기 메뉴다. 이디야 토피넛 라떼에는 커피가 들어가지 않고 우유와 달콤한 코코아, 토피넛을 넣어 만든다.[10] 이디야는 토피넛 라떼를 인스턴트 스틱으로 만든 비니스트도 판매한다. 이는 카페 매장과 마트, 인터넷 등에서 구입할 수 있기 때문에 카페에 방문하지 않아도 이디야 토피넛 라떼를 즐길 수 있다.
- 동원 F&B는 한때 덴마크 유제품 시리즈로 우유에 토피넛 시럽을 넣은 덴마크 토피넛 라떼를 판매했다. 하지만 현재는 단종되어 더 이상 생산하지 않는다.[11]
- 빙그레는 2012년 바나나맛우유&토피넛을 출시했다.[12]
5. 캐러멜과의 차이
토피와 캐러멜은 기본적으로 같은 방법으로 만든다. 하지만 캐러멜은 쫄깃쫄깃하고 토피는 단단한 사탕이라는 점이 다르다. 캐러멜은 부드럽게 하기 위해 우유나 크림을 넣어 만들고 더 낮은 온도에서 조리한다.
6. 어원
토피의 어원은 알려지지 않았다. 음식 전문 작가 해럴드 맥기는 "설탕과 당밀 혼합의 크리올에서 왔다"고 주장하지만 어느 크리올 언어인지는 명확하지 않다.[2] 옥스포드 영어사전에는 toffee와 별도로 북미식 영어 단어 '''태피(taffy)'''도 수록되어 있다. 옥스포드 영어사전에서는 이 단어가 처음 출판된 시기를 1825년으로 잡고 있으며, '태피'(taffy, 1817)라는 단어의 변형이라고 밝히고 있는데, 이 두 단어 모두 처음에는 영국 방언으로 기록되었다.[3][4]
참조
[1]
서적
The Foods of England
Tomato
[2]
서적
On Food and Cooking: The Science and Lore of the Kitchen
Scribner
[3]
사전
toffee, n. and a.
http://dictionary.oe[...]
Oxford English Dictionary
[4]
사전
taffy1
http://dictionary.oe[...]
Oxford English Dictionary
[5]
서적
On Food and Cooking: The Science and Lore of the Kitchen
Scribner
[6]
사전
toffee, n. and a.
http://dictionary.oe[...]
Oxford English Dictionary
[7]
사전
taffy1
http://dictionary.oe[...]
Oxford English Dictionary
[8]
웹사이트
스타벅스 홈페이지
https://www.istarbuc[...]
[9]
웹인용
스타벅스 홈페이지
https://www.starbuck[...]
2018-11-30
[10]
웹사이트
이디야 홈페이지
https://www.ediya.co[...]
[11]
뉴스
갑자기 단종된 후 재출시 요청 폭발하고 있는 '고소+달달' 덴마크 토피넛 라떼
https://m.post.naver[...]
인사이트
[12]
뉴스
빙그레, '바나나맛우유&토피넛' 출시
http://news.mt.co.kr[...]
머니투데이
2012-05-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