힐림니에타 아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힐림니에타 아푹은 코소보 미트로비차 출신의 보스니아인으로, 장애인 인권 운동가이다. 1980년대부터 근이영양증과 왜소증을 앓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위해 활동했으며, 1999년 코소보 전쟁 이후 '코소보의 작은 사람들'이라는 비정부 기구를 설립하여 대표를 맡았다. 장애인의 고용 기회 확대와 장애 여성 및 소녀들의 차별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했으며, 유엔 총회 장애인 권리 협약 초안 작성 특별 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했다. 2013년에는 유엔 인권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소보의 여자 정치인 - 아티페테 야히아가
아티페테 야히아가는 코소보 경찰 부청장을 거쳐 2011년 코소보 대통령으로 선출되어 유럽 연합 가입, 법치주의 확립 등을 위해 노력했으며, 퇴임 후에는 민주적 발전을 위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 미트로비차 (코소보) 출신 - 밀로시 크라시치
밀로시 크라시치는 코소보 출신의 세르비아 축구 선수로, 오른쪽 윙어 포지션에서 활동하며 CSKA 모스크바와 유벤투스 등에서 활약했고, 세르비아 국가대표팀으로 2010년 FIFA 월드컵에 출전했다. - 미트로비차 (코소보) 출신 - 발론 베라미
코소보 혈통의 스위스 축구 선수인 발론 베라미는 수비형 미드필더로 활약하며 스위스 축구 국가대표팀의 핵심 선수로 FIFA 월드컵에 4번 출전했고 제노아 CFC, SS 라치오,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 SSC 나폴리 등 여러 유럽 리그 클럽에서 뛰었다. - 소인증에 걸린 사람 - 찬드라 바하두르 당기
네팔 출신의 찬드라 바하두르 당기는 54.6cm의 키로 기네스 세계 기록에 등재된 세계에서 가장 작은 남성이었으며, 유명세를 통해 네팔을 알리고 빈곤 문제에 대한 관심을 촉구했다. - 소인증에 걸린 사람 - 번 트로이어
번 트로이어는 1994년 스턴트 배우로 데뷔하여 《오스틴 파워》 시리즈의 '미니미' 역할로 유명해진 미국의 배우이자 스턴트 배우이다.
힐림니에타 아푹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힐림니에타 아푹 |
출생 | 1956년 |
출생지 | 미트로비차, 코소보, 유고슬라비아 |
국적 | 코소보 |
직업 | 활동가, 코소보 작은 사람들의 감독, 예술가 |
교육 | 경제학, 법학 |
알려진 업적 | 작은 키를 가진 사람들과 장애인들의 권리를 위한 캠페인 |
수상 | 유엔 인권상 (2013년) |
2. 생애
힐림니예타 아푹은 1956년 당시 유고슬라비아의 코소보 미트로비차에서 보스니아인 가족의 일원으로 태어났다.[1][2] 그녀는 태어날 때부터 저신장 장애를 가졌으나,[1] 부모의 지지 속에 교육을 받고 경제학과 법학을 공부하며 독립적인 삶을 개척했다.[3]
1980년대부터 장애인, 특히 근이영양증과 난쟁이증을 가진 이들의 권리를 위해 활동하기 시작했으며,[4][5] 코소보 전쟁 이후에는 비정부 기구 'Little People of Kosovo영어'를 설립하여 장애인의 고용 기회 증진과 장애 여성 및 소녀들의 인권 보호에 힘썼다.[4][5][6][3] 또한 유엔 총회의 장애인 권리 협약 초안 작성 특별 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는 등 국제적인 인권 증진에도 기여했다.[1][5] 아푹은 예술가로서 장애인 중심의 문화를 추구하는 작품 활동도 병행하고 있다.[4][7]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2013년 유엔 인권상을 수상했다.[1][4]
2. 1. 어린 시절과 교육
힐림니예타 아푹은 1956년 당시 유고슬라비아였던 코소보 미트로비차에서 태어났다. 그녀의 가족은 보스니아인이다.[1][2] 아푹은 태어날 때부터 신체 발달이 불균형한 저신장 장애를 가지고 있었다.[1] 그녀의 부모는 아푹이 독립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했다. 예를 들어, 아푹이 페달에 발이 닿을 수 있도록 자동차를 개조해 주었고, 덕분에 그녀는 18세에 운전면허를 취득할 수 있었다.[3] 운전면허 취득은 그녀가 학업을 이어가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되었으며, 이후 경제학과 법학을 공부했다.[3]2. 2. 장애인 인권 운동
아푹은 1980년대부터 특히 근이영양증과 난쟁이증을 앓는 장애인의 권리를 위한 활동가로 활동해 왔다.[4][5] 그녀는 비정부 기구인 '코소보의 작은 사람들'(Little People of Kosovo영어)의 창립 이사이다.[4][5][6] 이 단체는 1999년 코소보 전쟁이 끝난 후 미국의 리틀 피플 오브 아메리카를 본보기로 하여 설립되었다.[3]아푹은 이 단체와 다른 자원봉사 활동을 통해 장애인의 고용 기회를 늘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4][5] 또한, 그녀는 성별과 장애로 인해 복합적인 차별에 직면하는 장애 여성과 소녀들을 위한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3]
그녀는 유엔 총회에서 장애인 권리 협약의 초안을 작성하는 특별 위원회의 위원으로 활동하기도 했다.[1][5] 이러한 활동가로서의 공로를 인정받아 2013년에는 유엔 인권상을 수상했다.[1][4]
2. 3. 국제 활동
아푹은 유엔 총회의 장애인 권리 협약 초안 작성에 관한 특별 위원회 위원을 역임했다.[1][5] 2013년, 그녀는 활동가로서의 업적으로 유엔 인권상을 받았다.[1][4]3. 예술 활동
아푹은 예술가이기도 하며, 그녀의 작품은 그녀가 "진정한 문화"라고 부르는 장애인 중심의 문화를 목표로 한다.[4][7]
참조
[1]
뉴스
Priznanje UN uklesalo Kosovo među svetske borce za ljudska prava
https://www.slobodna[...]
2013-12-14
[2]
웹사이트
Droits de l'homme : 4 activistes majeurs dont on parle peu
https://www.toneofir[...]
2019-12-09
[3]
웹사이트
Gender equality reduces poverty
https://asksource.in[...]
2015-11
[4]
웹사이트
Pakistani activist Malala Yousafzai among winners of 2013 UN human rights prize
https://news.un.org/[...]
2013-12-05
[5]
웹사이트
Winners of the United Nations Human Rights Prize for 2013 announced
https://www.ohchr.or[...]
[6]
웹사이트
Apuk: Položaj osoba sa invaliditetom je loš u svim oblastima života
https://www.radiokim[...]
2020-12-03
[7]
서적
Rethinking disability: world perspectives in culture and society
https://www.worldcat[...]
2016
[8]
웹인용
Droits de l'homme : 4 activistes majeurs dont on parle peu
https://www.toneofir[...]
2019-12-09
[9]
웹인용
Apuk: Položaj osoba sa invaliditetom je loš u svim oblastima života
https://www.radiokim[...]
2020-12-03
[10]
웹인용
Gender equality reduces poverty
https://asksource.in[...]
2015-11
[11]
웹인용
Winners of the United Nations Human Rights Prize for 2013 announced
https://www.ohchr.or[...]
[12]
웹인용
Priznanje UN uklesalo Kosovo među svetske borce za ljudska prava
https://www.slobodna[...]
2013-12-14
[13]
웹인용
Pakistani activist Malala Yousafzai among winners of 2013 UN human rights prize
https://news.un.org/[...]
2013-12-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