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스니아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스니아인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일반 인구를 지칭하는 용어이다. 이 용어는 다양한 민족과 종교 집단을 포괄하며, 20세기 말 유고슬라비아 해체 이후 민족 무슬림을 지칭하는 '보슈냐크인'과 구분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보스니아인이라는 용어는 중세 보스니아 왕국 시대부터 사용되었으며, 오스만 제국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시대를 거치면서 종교적, 민족적 정체성이 복잡하게 얽혀 발전했다. 유고슬라비아 시대에는 '무슬림인'으로 분류되기도 했으나, 1990년대 이후 '보스니아인'이라는 용어가 다시 사용되었다. 현대 보스니아인들은 종교, 문화적 정체성을 다양하게 나타내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시민으로서의 정체성을 강조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슬라브 민족 - 카슈브인
카슈브인은 폴란드 북부 포메라니아 지역에 거주하며 포모제인을 기원으로 하는 서슬라브계 소수민족으로, 독일인의 동방 식민 운동에도 독자적인 언어와 문화를 유지하며 폴란드와 독일 등의 지배를 거쳐 현재 폴란드 내 50만 명 이상이 거주하고, 폴란드 정부의 보호 아래 독특한 문화와 전통을 보존하고 있다. - 슬라브 민족 - 유고슬라브인
유고슬라브인(Yugoslavs)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건국 이념에 따라 남슬라브족의 통일을 목표로 다양한 민족과 종교를 포괄하기 위해 만들어진 민족 범주이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민족 - 알바니아인
알바니아인은 발칸반도 서부에 주로 거주하며 알바니아어를 사용하는 민족으로, 고대 일리리아인의 후예로 여겨지며 오스만 제국 지배를 거쳐 1912년 독립을 쟁취했으나 코소보 알바니아인들은 세르비아의 지배를 받았고, 다양한 종교를 믿으며 서구 국가에 디아스포라를 형성하고 있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민족 - 유고슬라브인
유고슬라브인(Yugoslavs)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건국 이념에 따라 남슬라브족의 통일을 목표로 다양한 민족과 종교를 포괄하기 위해 만들어진 민족 범주이다.
보스니아인 | |
---|---|
개요 | |
![]() | |
민족 정보 | |
이름 | 보스니아인 |
고유 이름 | |
단수 (남성) | |
단수 (여성) | |
총 인구 | 약 4백만 명 |
주요 거주 지역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기타 거주 지역 | |
언어 | 보스니아어 크로아티아어 세르비아어 |
종교 | 다수: 수니 이슬람, 기독교 (동방 정교회, 로마 가톨릭교회) 소수: 유대교, 불가지론, 무신론 |
관련 민족 | (정보 없음) |
2. 용어
현대 영어에서 'Bosnians'라는 용어는 보스니아의 일반 인구를 지칭하는 가장 흔한 타칭이다. 이전 영어 문헌에서는 보스니아 거주자를 'Bosniacs' 또는 'Bosniaks'로 지칭하기도 했다. 이러한 모든 용어('Bosnians', 'Bosniacs', 'Bosniaks')는 모든 민족 및 종교 집단을 포함하여 보스니아 전체 인구를 지칭하는 일반적인 민족명으로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되었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주민들은 언어와 문화는 비슷하지만, 정교, 이슬람교, 가톨릭의 3가지 종교가 대립하는 역사적 배경을 가지고 있다. 전통적으로 세르비아-크로아티아어를 사용하는 가톨릭 신자들은 대부분 "크로아티아인", 정교 신자들은 대부분 "세르비아인"으로 불렀다.[32][33]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시대에 이 언어를 사용하는 무슬림 사이에서는 세르비아인도, 크로아티아인도 아닌 독자적인 정체성이 형성되기 시작했고[32], 그들은 "보스니아인", "무슬림", 투르크인,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다.
20세기 말, 구 유고슬라비아의 다수 민족 무슬림이 'Bosniak'을 자신들의 민족 명칭으로 재확인한 이후, 영어에서 해당 용어의 사용은 점차 새로운 상황에 적응해 왔다. 오늘날, 'Bosniaks' (철자 변형 'Bosniacs' 포함)라는 용어는 주로 민족 무슬림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며, 'Bosnians'라는 용어는 보스니아의 모든 거주자를 지칭하는 일반적인 의미를 유지하고 있다.
유럽 인권 재판소에서 'Bosnians'로 자신을 식별할 권리를 갖는 사건이 있었고, 승소했다.[12]
3. 역사
유고슬라비아 연방 인민 공화국 시대에는 세르비아, 크로아티아 등 민족별 공화국이 구성되었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3개의 종교가 혼재하여 민족별 국가로 만들기 어려워, 민족, 종교에 관계없이 지역 기반 공화국인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인민 공화국이 설정되었다. 이 시대에 "보스니아인"은 민족, 종교와 관계없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주민을 가리켰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유고슬라비아에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이슬람교도들은 스스로를 독자적인 민족 "보스니아인"으로 인정해 줄 것을 요구했지만, 유고슬라비아 연방 정부는 이를 거부하고 종교 호칭에 기반한 "무슬림인"으로 인정했다.[33] 이는 "보스니아인"이라는 호칭을 종교·민족에서 분리된 지역적인 호칭으로 생각하는 연방 정부의 의지였다. 1974년에는 유고슬라비아의 주요 민족으로서 "무슬림인"이 추가된 새로운 헌법이 시행되었다.
종교 간 결혼이나 세속화가 진전되던 도시 지역에서는, 민족·종교 공동체에 얽매이지 않는 코스모폴리턴적인 "보스니아인" 의식이 강했다. 그러나 요시프 브로즈 티토 사후, 1980년대부터 1990년대에 걸쳐 자유화, 경제 불황, 냉전 종결 등으로 유고슬라비아의 존재 의의에 의문이 제기되었다.[33] 민족주의가 신장하고 유고슬라비아가 해체되면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공존해 온 크로아티아인(가톨릭 신자), 세르비아인(정교 신자), 무슬림인(이슬람교 신자)의 3개 민족 사이에서 불신감이 높아졌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독립 전후로 3민족 간의 대립은 무력 충돌로 발전하여, 민족 청소 등의 만행이 횡행하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전쟁으로 발전했다.[33]
그 후 무슬림은 그 자칭을 "보슈냐크인"으로 되돌리고, 현재에는 이슬람교도인 보슈냐크인만을 보스니아인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다만 현재에도 화해주의자 등 일부에서는 크로아티아인이나 세르비아인을 포함하여 보스니아인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3. 1. 중세 시대 보스니아인
'보스니아'라는 이름이 정치체로 기록된 가장 초기의 기록은 서기 10세기 중반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그리스어 형태인 ''Βόσονα''로 이 지역을 지칭한다. 당시에는 이미 초기 중세 시대의 이동 시대가 끝난 시점이었다. 6세기 초부터 7세기 중반까지의 격동적인 시기에 초기 슬라브족은 비잔틴 제국을 침략하여 남동 유럽 전역에 정착했다. 많은 지역에서 그들은 이전에 로마화되었던 달마티아, 프라에발리타나, 판노니아 세쿤다, 판노니아 사비아 등의 로마 속주 출신 사람들을 만났다. 남아있던 로마화된 사람들은 주로 산악 지역으로 후퇴했고, 남 슬라브족 부족들은 평원과 계곡에 정착하여 점차 초기 공국으로 융합되었다. 이들은 확장되면서 주변 지역을 포함하게 되었고, 나중에는 더욱 중앙집권화된 국가로 발전했다.
12세기 동안, 지역 통치자들은 보스나 강 계곡을 중심으로 하는 보스니아 바나트를 발전시켰다. 언어학자 및 기타 학자들 사이에는 "보스니아"와 "보스나" (각각 지역과 강을 지칭)라는 이름의 기원, 그리고 이 두 용어 사이의 관계에 대한 여러 이론이 있다. "보스니아"라는 이름은 이 지역의 고유 용어에서 유래했을 수 있으며, 이는 보스니아 중심부를 관통하는 보스나 강에서 유래되었다고 추측된다. 이 뿌리에서 보스니아 주민을 지칭하는 민족 명칭이 ''보슈냐니''라는 내부 명칭 형태로 파생되었다.
13세기와 14세기 동안 보스니아 바나트는 솔리, 우소라, 돈지 크라이 및 자후믈레 지역을 점차적으로 통합하면서 확장되었다. 이 모든 지역의 주민들도 그들의 지역적 개성을 유지했다. 1377년까지 코트로마니치 왕조 아래에서 보스니아 왕국이 형성되었다. 여기에는 중세 세르비아와 크로아티아의 여러 영토가 포함되었다. 그 결과 많은 동방 정교회 기독교인과 로마 가톨릭 신자들이 보스니아 통치자의 신하가 되었으며, 그들과 함께 기원과 본질에 대한 학자들의 지속적인 논쟁의 대상이 되는 토착 보스니아 교회의 신봉자들도 있었다.[13] 보슈냐니는 스테판 2세 보스니아 반 치세부터 보스니아 통치자의 정치적 신하로 불리게 되었다. 이른바 보스니아 교회에 속한 사람들은 단순히 자신들을 '크르스차니' ("기독교인")라고 불렀다. 많은 학자들은 이 보스니아 '크르스차니'를 불가리아의 보고밀파와 관련된 마니교 이원론자로 분류하지만, 다른 학자들은 역사적 증거의 부족을 들어 이 이론에 의문을 제기한다. 가톨릭과 정교회 모두 보스니아 교회를 이단으로 간주하고 그 영향을 막기 위해 강력한 선교 운동을 벌였다. 이러한 분열의 결과로, 중세 보스니아에서는 크로아티아와 세르비아와는 대조적으로 일관된 종교적 정체성이 발전하지 못했다.
3. 2. 오스만 제국 시대
보스니아 왕국은 시간이 지나면서 정치적, 종교적 분열로 인해 점차 쇠퇴했다. 당시 오스만 제국은 이미 발칸 반도에 진출해 있었다. 코소보 전투에서 세르비아를 격파하고 서쪽으로 세력을 확장한 튀르크인들은 결국 보스니아 전역과 이웃 크로아티아의 일부를 정복했다. 중세 크로아티아 왕국과 보스니아 왕국에 걸쳐 있던 영토는 수 세기 동안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았으며, 이후 "터키 크로아티아"(후에 "보산스카 크라이나")로 불리기도 했다.
이러한 변화는 보스니아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는데, 많은 주민들이 이슬람교를 받아들이면서 복잡한 보스니아 민족-종교 정체성이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보스니아 교회는 사라졌지만, 그 쇠퇴 과정은 그 기원과 본질만큼이나 논쟁거리이다. 일부 역사가들은 보스니아의 "크르스차니"들이 가톨릭과 정교회의 박해를 피해 이슬람교로 집단 개종했다고 주장하는 반면, 다른 역사가들은 보스니아 교회가 튀르크 정복 수십 년 전에 이미 활동을 중단했다고 주장한다. 오스만 제국 통치하에서 보스니아인들 사이에서 독특한 무슬림 공동체가 발전하여 빠르게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했으며, 1600년대 초에는 보스니아 인구의 약 3분의 2가 무슬림이었다.
3. 3.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시대
1878년부터 1918년까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점령하는 동안, 제국의 재무 장관이자 비엔나에 기반을 둔 보스니아 행정관인 벤야민 폰 칼라이는 보스니아인들에게 '그들이 위대하고 강력한 국가에 속한다는 느낌'을 주는 것을 목표로 ''보슈냐슈트보'' 정책을 장려했다.[14] 이 정책은 다원적이고 다종교적인 보스니아 국가의 이상을 옹호했으며, 보스니아인을 "보스니아어를 사용하고 동등한 권리를 가진 세 종교로 나뉜다"고 보았다.[15][16]
이 정책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세르비아의 동방 정교회, 크로아티아의 가톨릭, 오스만 제국의 무슬림 등 주변 미결합주의 국가들로부터 분리하려는 시도였다. 제국은 19세기 중반 이웃한 크로아티아와 세르비아에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가톨릭 및 정교회 공동체로 확산된 크로아트 또는 세르비아 민족 개념을 억제하고자 했다.[16] 크로아트인과 세르비아인은 제국의 정책에 반대하며 민족주의 사상을 따랐고, 보스니아 민족 주장을 무시한 채 보스니아 무슬림을 자국 민족의 일부로 간주했지만, 대부분의 보스니아 무슬림은 이러한 개념을 거부했다.[17][18] 칼라이가 사망하면서 이 정책은 폐기되었다. 1910년대 후반, 민족주의는 보스니아 정치의 핵심 요소가 되었고, 세 그룹에 해당하는 민족 정치 정당들이 보스니아 의회 선거를 지배했다.[16]
3. 4. 유고슬라비아 시대
유고슬라비아 수립 초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정치 체제는 세르비아인과 크로아티아인의 주도로 운영되었다. 이 시기에는 '보스니아인' 또는 '보스니아크인'이라는 명칭은 구성 민족으로서 인정받지 못했다.[19][20]
1961년 인구 조사에서 보스니아인(보스니아 무슬림)은 '무슬림-민족적 소속'이라는 별도의 민족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1964년, 보스니아 당 제4차 대회는 보스니아인에게 자결권을 보장하였다. 1968년 보스니아 중앙위원회 회의에서 보스니아인은 별개의 민족으로 인정되었으나, 지도부는 '보스니아크' 또는 '보스니아'라는 명칭을 사용하지 않기로 결정하였다.[20][21] 그 대신, 1971년 인구 조사부터는 "민족으로서의 무슬림"이라는 범주가 타협안으로 도입되었다.[20]
3. 5. 현대
1990년대에 "국적상 무슬림"이라는 용어를 대체하기 위해 보스니아인이라는 이름이 도입되었다.[22] 이로 인해 보스니아인과 무슬림은 때때로 정치적 맥락에서 서로 바꿔 사용되기도 했다.[23] 오스만 제국 시대에는 시민들의 구분이 주로 개인의 종교적 정체성을 기반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는 민족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시민이 보스니아인으로 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은 종교적 소속, 특히 보스니아인의 경우, 보스니아 국가나 영토와 자신의 정체성을 더 관련짓는지 여부에 달려있는 것으로 보인다.[24]
4. 정체성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실시된 최근 공식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인구의 대다수는 보스니아인, 크로아티아인 또는 세르비아인 민족으로 정체성을 밝히고 있다.[24] 일부는 "보스니아인" 국적을 가지고 있다고 밝히지만, 이는 "기타" 범주에 포함된다.[24] 유엔 개발 계획(UNDP)이 2007년에 실시한 설문 조사에서, 응답자의 57%는 주로 민족적 지정을 통해 정체성을 밝힌 반면, 43%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시민"을 선택했다.[26][27]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상당수 인구는 "보스니아인"이라는 용어가 뚜렷한 집단적 문화 정체성 또는 민족 집단을 구성하는 사람들을 정의한다고 믿는다.
5. 종교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최신 인구 조사(2013년)에 따르면 "보스니아인"으로 확인된 사람은 상대적으로 적어, 이 집단과 그 나라에 존재하는 일부 종교 사이의 종교적 연관성을 확립하기 어렵다.[25]
작가이자 인류학자인 토네 브링가에 따르면, 보스니아에는 각 민족을 포괄하고 기독교와 이슬람교를 포함한 다양한 신앙을 "상호 작용"하는 독특한 "초민족 문화"가 존재한다.[25]
많은 수의 보스니아인들은 세속적이며,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가 전통적인 조직 종교를 거부한 공산주의 정치 체제의 일부가 되면서 강화된 추세이다.
참조
[1]
웹사이트
Statistischer Bericht - Mikrozensus - Bevölkerung nach Migrationshintergrund - Erstergebnisse 2022
https://www.destatis[...]
2023-04-20
[2]
웹사이트
U.S. Census
https://data.census.[...]
2022-03-24
[3]
Webarchive
Dossier Statistico Immigrazione
http://www.dossierim[...]
2017-11-07
[4]
웹사이트
Foreign-born persons by country of birth and year
http://www.statistik[...]
Statistiska Centralbyrån
2018-01-04
[5]
Webarchive
Migrants in Europe - Survey: Norway
http://www.reintegra[...]
2011-07-24
[6]
웹사이트
Relations bilatérales de la Bosnie-Herzégovine et France
https://www.diplomat[...]
2023-01-04
[7]
웹사이트
Présentation de la Bosnie-Herzégovine
http://www.diplomati[...]
2018-01-04
[8]
웹사이트
20680-Country of Birth of Person (full classification list) by Sex - Australia
http://www.censusdat[...]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2010-08-22
[9]
웹사이트
20680-Ancestry (full classification list) by Sex - Australia
http://www.censusdat[...]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2010-08-22
[10]
웹사이트
Ethnic origin population
http://www12.statcan[...]
2018-07-04
[11]
웹사이트
Statistics Denmark:FOLK2: Population 1. January by sex, age, ancestry, country of origin and citizenship
http://www.statbank.[...]
Statistics Denmark
2013-10-01
[12]
웹사이트
Bosnian leader stokes fears of Balkan breakup
https://www.bbc.com/[...]
2021-11-03
[13]
간행물
Pogledi o povijesti Bosne i crkvi bosanskoj
http://hrcak.srce.hr[...]
Faculty of Philosophy, Zagreb, FF press
2000-07
[14]
서적
Industrialization of Bosnia-Hercegovina: 1878-1918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5]
서적
Serbia, Croatia and Slovenia at Peace and at War: Selected Writings, 1983-2007
LIT Verlag Münster
[16]
서적
Religious Separation and Political Intolerance in Bosnia-Herzegovina
https://archive.org/[...]
Texas A&M University Press
[17]
서적
Central and South-Eastern Europe
2004
[18]
서적
The National Question in Yugoslavia: Origins, History, Politics
Cornell University Press
[19]
서적
The Former Yugoslavia's Diverse Peoples: A Reference Sourcebook
ABC-CLIO
[20]
서적
The National Question in Yugoslavia: Origins, History, Politics
Cornell University Press
[21]
서적
Ambivalent Peace: External Peacebuilding, Threatened Identity and Reconciliation in Bosnia and Herzegovina. Report No. 78
https://books.google[...]
Uppsala University
2007
[22]
서적
Turkey and Transatlantic Relations
https://books.google[...]
Brookings Institution Press
2018
[23]
서적
Religion and the Cold War: A Global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Vanderbilt University Press
2012
[24]
서적
Politics of Religion and Nationalism: Federalism, Consociationalism and Seccession
Routledge
2014
[25]
서적
Islam and Bosnia: Conflict Resolution and Foreign Policy in Multi-Ethnic States
McGill-Queen's Press
[26]
웹사이트
UNDP Published a Major Research on Return, Identity, Politics and Social Trust
http://www.undp.ba/?[...]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for Bosnia and Herzegovina
2007-07-07
[27]
웹사이트
Pulse of the citizenry
http://www.undp.ba/d[...]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for Bosnia and Herzegovina
2007-07-07
[28]
간행물
Body Height and Its Estimation Utilizing Arm Span Measurements in Bosnian and Herzegovinian Adults
https://scholar.goog[...]
2015
[29]
간행물
(PDF) Body Height and Its Estimation Utilizing Arm Span Measurements in Bosnian and Herzegovinian Adults
http://www.mjssm.me/[...]
2015
[30]
웹사이트
The World's Tallest Countries
http://www.worldatla[...]
2018-01-04
[31]
웹사이트
Top 10 Tallest Countries in 2017 - Highest Average Heights by Nation - The Gazette Review
http://gazettereview[...]
2016-06-17
[32]
서적
引き裂かれた国家―旧ユーゴ地域の民主化と民族問題
有信堂高文社
2003-10-10
[33]
서적
「民族浄化」を裁く―旧ユーゴ戦犯法廷の現場から
岩波書店
2005-10-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