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hou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hou'는 작센어 또는 앵글로색슨어에서 유래된 지명 접미사로, "뒤꿈치 모양의 곶", "바위 투성이의 가파른 경사", "가파른 해안" 등을 의미한다. 이 접미사는 노르망디 지역과 영국 지명에서 발견되며, 채널 제도와 프랑스 노르망디 지역의 여러 지명에 사용되었다. 채널 제도에는 건지섬, 올더니섬, 험섬, 사크섬, 저지섬과 그 주변의 여러 섬들이 '-hou'를 포함하는 지명을 가지고 있으며, 노르망디 지역에도 다양한 형태의 '-hou'가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르만어 - 저지어
    저지어는 영국 해협의 저지 섬에서 사용되는 노르만어의 한 종류로, 역사적으로 섬 주민 대다수가 사용했으나 영어의 영향으로 사용자가 감소하여 현재는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았다.
  • 노르만어 - 건지어
    건지어는 채널 제도의 건지 섬에서 발전한 노르만어의 한 형태로 프랑스어와 가까운 오일어에 속하지만, 역사적 요인으로 쇠퇴하여 현재는 언어 보존 및 부흥을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다.
  • 채널 제도 - 세인트헬리어
    세인트헬리어는 영국 해협 저지섬의 12개 교구 중 하나이자 섬의 행정 및 사법 중심지이며, 6세기 성인 헬리어의 이름에서 유래되었고, 저지 전투 무대이자 다양한 문화 시설과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채널 제도 - 세인트피터포트
    세인트피터포트는 건지 섬의 수도로, 동쪽 해안에 위치하며 허름 섬, 제투 섬 등과 인접하고 서안 해양성 기후를 띠며 다양한 공원, 역사적 군사 시설, 스포츠 클럽, 미디어 시설을 갖추고 여러 저명한 인물과 관련있는 도시이다.
  • 지명학 - 유엔 지명 표준화 회의
    유엔 지명 표준화 회의는 지명 표준화의 기술적 문제를 다루는 국제 회의이나, 지명이 특정 지역에 대한 정당성을 부여하는 정치적 함의를 내포하며, 대한민국은 이 회의에서 동해와 독도 등 민감한 지명에 대한 국제 사회의 지지를 얻기 위해 노력하고 일본해 명칭 문제에 대해 지속적으로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 지명학 - 가도카와 일본 지명 대사전
    가도카와 일본 지명 대사전은 가도카와 쇼텐에서 발행한 일본 지명 사전으로, 도도부현별 서적판과 CD-ROM, DVD-ROM, 온라인 버전으로 출시되어 헤이세이 대합병에 대응하며 지속적으로 갱신되고 있다.
-hou
기본 정보
에모리 대학교 캠퍼스
에모리 대학교 캠퍼스
모토Cor prudentis possidebit scientiam (현명한 자의 마음은 지식을 얻는다.)
교훈Et Veritate et Service (진실과 봉사)
개요
유형사립 연구 대학
설립일1836년
기부금109억 달러 (2023년)
총장Gregory L. Fenves
교직원 수3,434명 (2022년 가을)
학생 수14,788명 (2022년 가을)
학부생 수7,405명 (2022년 가을)
대학원생 수7,383명 (2022년 가을)
위치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
캠퍼스교외
색상옥스포드 블루와 골드
별칭에모리
운동 경기NCAA 디비전 III
컨퍼런스University Athletic Association (UAA)
마스코트독수리
웹사이트www.emory.edu
역사
이전 명칭에모리 칼리지 (Emory College, 1836-1919)
기타
랭킹US 뉴스 & 월드 리포트 (2024): 미국 내 24위

2. 어원 및 의미


  • hou는 작센어 또는 앵글로색슨어 ''hōh''(뒤꿈치)에서 유래했으며, "뒤꿈치 모양의 곶", "바위 투성이의 가파른 경사", "가파른 해안"을 의미한다.[1][2][3] 이 지명은 마지막 ''-hou''로 나타나거나 로망스어 정관사 ''le Hou''와 연관되어 나타난다. 노르망디 어디에서나 발견되지만, 그 서부 지역에서 더 많이 발견된다.


영국 지명학에서는 ''-hoo'', ''-hoe'', ''-(h)ow'', ''-ho'' 등으로 나타나는데, Northoo(서퍽), Poddinghoo(우스터셔), Millhoo(에식스), Fingringhoe(에식스), Rainow(체셔), 소호(런던) 등이 그 예이다.[4] 독립적인 요소로는 ''Hoe, Hoo, Hooe, Ho'', ''the Hoe'' 등이 있으며, 플리머스(도싯)의 The Hoe가 대표적이다.

노르망디에서는 작은 섬을 의미하는 고대 노르드어 ''hólmr''와 혼합되기도 했으며, 다른 곳에서는 "holm"으로 영어화되어 나타난다. 스톡홀름처럼 현대 스칸디나비아 언어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노르망디에서 ''hólmr''는 ''-homme'', ''-houme'', ''-onne''과 정관사를 붙인 le Homme, le Houlme, le Hom 등으로 변화했다. 노르망디 지명과 지소사 ''hommet / houmet''도 이 요소에서 파생되었다.

프랑스어에서 -hou에 해당하는 단어는 "islet"과 동족어인 ''îlot''이다.

3. 채널 제도

채널 제도영국 해협에 위치한 군도로, 영국 왕실령에 속한다.[1]

속한 섬
리우섬건지섬
오우메츠섬건지섬
부르우섬올더니섬
르 플래트 오우메츠험섬
제트후섬험섬
브레쿠섬사크섬
르 플래트 오우메츠저지섬
르 오우메츠 두 오아이스저지섬
레 오우메츠저지섬


3. 1. 건지 섬

건지(Guernsey) 앞에는 리후(Lihou)가 있다.

3. 2. 올더니 섬

올더니섬

3. 3. 험 섬

험 섬은 채널 제도의 작은 섬 중 하나이다. 허름 앞에 위치한다.

3. 4. 사크 섬

사크는 채널 제도의 작은 섬 중 하나이다. 브레쿠섬(Brecqhou)이 사크 섬에 속해 있다.

3. 5. 저지 섬

Les Écréhous의 광경

  • 레 에크레오스섬(Écréhous)
  • 르 플래트 오우메츠
  • 르 오우메츠 두 오아이스(Le Hommet du Ouaisné)
  • 레 오우메츠(Les Hommets)
  • 라 로코코(La Rocco, ''rocque-hou''이 어원)
  • 이코(Icho, ''ic-hou''이 어원)
  • 레 제크레호
  • 라 로코 (''rocque-hou''에서 유래)
  • 이초 (''ic-hou''에서 유래)

4. 노르망디


  • hou는 노르망디 지역에서 지명 접미사로 사용되는 단어이다. 어원과 의미는 논쟁의 대상이지만,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이 단어가 작센어 또는 앵글로색슨어 ''hōh'' ("뒤꿈치")에서 유래되었으며, "뒤꿈치 모양의 곶", "바위 투성이의 가파른 경사", "가파른 해안"을 의미한다고 생각한다.[1][2][3] 이 지명은 ''-hou''로 나타나거나 로망스어 정관사 ''le Hou''와 연관되어 나타난다.


노르망디에서는 때때로 작은 섬을 의미하는 고대 노르드어 ''hólmr''와 혼합되었을 수 있으며, 다른 곳에서는 "holm"으로 영어화된 것을 자주 볼 수 있다.

  • hou 접미사가 사용된 지명은 다음과 같다.


지명
망슈
외르
센마리팀


4. 1. -hou


  • hou는 노르망디 지역에서 지명 접미사로 사용되는 단어이다. 어원과 의미는 논쟁의 대상이지만,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이 단어가 작센어 또는 앵글로색슨어 ''hōh'' ("뒤꿈치")에서 유래되었으며, "뒤꿈치 모양의 곶", "바위 투성이의 가파른 경사", "가파른 해안"을 의미한다고 생각한다.[1][2][3] 이 지명은 ''-hou''로 나타나거나 로망스어 정관사 ''le Hou''와 연관되어 나타난다.


노르망디에서는 때때로 작은 섬을 의미하는 고대 노르드어 ''hólmr''와 혼합되었을 수 있으며, 다른 곳에서는 "holm"으로 영어화된 것을 자주 볼 수 있다.

  • hou 접미사가 사용된 지명은 다음과 같다.


지명
망슈
외르
센마리팀


4. 2. 변형 Ho- / Hau-

건지섬의 리우섬(Lihou)과 오우메츠섬(Houmets), 올더니섬의 부르우섬(Burhou), 험섬의 제트후섬(Jethou)과 르 플래트 오우메츠, 사크섬의 브레쿠섬(Brecqhou), 저지섬의 레 에크레오스섬(Écréhous), 르 플래트 오우메츠, 르 오우메츠 두 오아이스(Le Hommet du Ouaisné), 레 오우메츠(Les Hommets), 라 로코코(La Rocco, ''rocque-hou''이 어원), 이코(Icho, ''ic-hou''이 어원) 등이 "-hou" 변형 지명에 해당한다.[1][2][3]

이 지명은 마지막 '-hou'로 나타나거나 로망스어 정관사 'le Hou'와 연관되어 나타나며, 노르망디 서부 지역에서 더 많이 발견된다. 영국 지명학에서는 작센어 또는 앵글로색슨어 요소를 동일하게 사용하지만, 음성학적으로 '-hoo' 또는 '-hoe', 때로는 '-(h)ow' 또는 '-ho'의 결과를 낳는다. 예를 들어 Northoo (서퍽), Poddinghoo (우스터셔), Millhoo (에식스), Fingringhoe (에식스), Rainow (체셔), 소호(런던) 등이 있다.[4]

노르망디에서는 때때로 작은 섬을 의미하는 고대 노르드어 'hólmr'와 혼합되었을 수 있으며, 이는 스톡홀름과 같이 현대 스칸디나비아 언어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노르망디에서 'hólmr'의 일반적인 진화는 '-homme', '-houme', 심지어 지명의 끝에 '-onne'과 정관사를 붙인 le Homme, le Houlme, le Hom이다. 노르망디 지명과 지소사 'hommet / houmet'도 이 요소에서 파생된다.

참조

[1] 서적 Les noms de lieux de la France Champion, Paris 1920-1929
[2] 서적 Dictionnaire étymologique des noms de lieux en France Larousse, Paris 1963
[3] 서적 Les noms de communes et anciennes paroisses de la Manche Picard, Paris 1986
[4] 서적 The Concise Oxford Dictionary of English Place-names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196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