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4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814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는 민주공화당이 연방당을 압도하며 승리했다. 선거는 배경, 선거 제도, 주요 정당, 선거 결과로 구성되었으며, 민주공화당은 119석, 연방당은 64석을 얻었다. 또한, 여러 주에서 특별 선거가 치러졌고, 비투표 대의원도 선출되었다. 이 선거는 미국 하원의원 선거의 역사적 의의를 가지며, 여러 자치령의 대표가 선출되는 등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14년 미국의 선거 - 1814년 미국 상원의원 선거
1814년 미국 상원의원 선거는 1812년 전쟁의 영향으로 민주공화당과 연방당 간의 대립 속에서 치러졌으며, 민주공화당이 다수 의석을 유지하고 연방당이 버몬트에서 의석을 얻는 결과를 낳았다. - 미국의 하원의원 선거 - 1850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1850년-1851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는 민주당이 127석으로 가장 많은 의석을 확보했으며, 휘그당, 입헌통일당, 자유토지당, 주권당, 무소속 의원들이 선출되었다. - 미국의 하원의원 선거 - 1846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1846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는 위스콘신 준주의 주 승격으로 하원 의석이 증가한 첫 선거로, 휘그당이 근소하게 승리했으며, 텍사스와 아이오와 주의 신설로 의석이 증가하는 등 의회의 정치적 역학 관계에 변화를 가져왔다.
1814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 |
---|---|
선거 개요 | |
선거 이름 | 1814–15년 미국 하원 의원 선거 |
국가 | 미국 |
국기 게양 연도 | 1795년 |
선거 유형 | 입법부 |
진행 여부 | 아니오 |
이전 선거 | 1812–13년 미국 하원 의원 선거 |
이전 선거 연도 | 1812년 & 1813년 |
다음 선거 | 1816–17년 미국 하원 의원 선거 |
다음 선거 연도 | 1816년 & 1817년 |
선출 의석 수 | 모든 182석[주 1] (미국 하원) |
과반 의석 수 | 92석 |
선거 날짜 | 1814년 4월 26일 – 1815년 8월 10일[주 2] |
정당별 결과 | |
제1당 대표 | 헨리 클레이 |
제1당 | 민주공화당 |
제1당 대표 의석 | 켄터키 제2선거구 |
제1당 이전 선거 의석 | 114석 |
제1당 의석 | 118석[주 1] |
제1당 의석 변화 | 5석 증가 |
제2당 대표 | 티모시 핏킨 |
제2당 | 연방당 |
제2당 대표 의석 | 코네티컷 전체 선거구 |
제2당 이전 선거 의석 | 68석 |
제2당 의석 | 64석 |
제2당 의석 변화 | 4석 감소 |
의장 | |
선거 전 의장 | 랭던 체브스 |
선거 전 의장 소속 정당 | 민주공화당 |
선거 후 의장 | 헨리 클레이 |
선거 후 의장 소속 정당 | 민주공화당 |
2. 선거 배경
1814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는 1812년 전쟁의 영향 아래 치러졌다. 전쟁 초기 미국의 연이은 패배는 연방당에 유리하게 작용했지만, 전쟁 후반부의 전황은 민주공화당에 대한 지지로 이어졌다.
1814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당시, 각 주는 자체적인 선거 제도를 가지고 있었다. 몇몇 주는 전체 주를 하나의 선거구로 하여 모든 하원의원을 선출하는 방식을 택한 반면, 다른 주들은 주를 여러 개의 선거구로 나누어 각 선거구에서 한 명의 하원의원을 선출하는 방식을 사용했다.
1814년 미국 하원 의원 선거에는 민주공화당과 연방당이 주요 정당으로 참여했다.
전쟁은 주요 정치 쟁점이었다. 민주공화당은 전쟁을 지지하고 제임스 매디슨 대통령의 정책을 옹호한 반면, 연방당은 전쟁에 반대하며 뉴잉글랜드 지역을 중심으로 강한 반전 여론을 형성했다.
3. 선거 제도
당시 미국의 하원 의원 선거는 지금의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와 유사한 점과 차이점이 있었다. 대한민국은 각 지역구에서 한 명의 국회의원을 선출하는 소선거구제를 채택하고 있는데, 이는 당시 미국 일부 주에서 시행하던 선거구별 선거와 유사하다. 반면, 대한민국은 전국을 단일 선거구로 하여 비례대표 국회의원을 선출하는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데, 이는 당시 미국에서 일부 주가 채택했던 전 주 선거 방식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다만, 당시 미국은 정당별 득표율에 따라 의석을 배분하는 현대적인 비례대표제와는 달리, 주 전체에서 다수 득표를 한 정당이 해당 주의 모든 하원의원 의석을 차지하는 방식을 사용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4. 주요 정당
정당 주요 특징 및 후보 주요 선거 결과 민주공화당 토머스 제퍼슨과 제임스 매디슨이 이끌었으며, 농업 중심 정책과 주 정부 권한 강화를 주장했다. 프랑스 혁명을 지지했고, 남부와 서부 지역에서 강세를 보였다. 연방당 매사추세츠 대법원 부판사로 임명되어 사임한 의원의 뒤를 이어 존 W. 헐버트가 매사추세츠 제12선거구에서 51.4%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1] 뉴햄프셔에서는 파커 노이스가 49.1%를 얻었으나 과반수 득표에 실패했다.[7] 펜실베이니아에서는 제2선거구에서 새뮤얼 헨더슨이 50.4%로,[12] 제3선거구에서 아모스 슬레이메이커가 55.9%로 당선되었다.[13]
4. 1. 민주공화당
민주공화당은 토머스 제퍼슨과 제임스 매디슨이 이끌었던 정당으로, 농업 중심 정책과 주 정부의 권한 강화를 주장했다. 프랑스 혁명을 지지했으며, 주로 남부와 서부 지역에서 강세를 보였다. 주요 인물로는 헨리 클레이와 존 C. 칼훈 등이 있다.
1814년 미국 하원 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은 몇몇 선거구에서 주목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선거구 | 후보 | 득표율 |
---|---|---|
테네시 제5선거구 | 뉴턴 캐논 | 50.2%[8] |
뉴저지 제3선거구 | 토머스 바인스 | 51.3%[9] |
미주리 준주 | 루퍼스 이스턴 | 36.7%[10] |
오하이오 제6선거구 | 데이비드 클렌데닌 | 63.6%[11] |
4. 2. 연방당
다니엘 A. 화이트는 1814년 선거에서 매사추세츠주 에식스 노스 선거구에 연방당 후보로 출마하였다.5. 선거 결과
정당 | 의석 수 |
---|---|
민주공화당 | 119석 |
연방당 | 64석 |
합계 | 183석 |
1814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은 119석을, 연방당은 64석을 차지하여 민주공화당이 다수당을 유지하였다.
5. 1. 주별 선거 결과
주 | 유형 | 날짜 | 전체 의석 | 민주공화당 | 연방당 | ||
---|---|---|---|---|---|---|---|
의석 | 변화 | 의석 | 변화 | ||||
뉴욕 | 선거구 | 1814년 4월 26–28일 | 27 | 21 | 6 | ||
루이지애나 | 전 주 | 1814년 7월 4–6일 | 1 | 1 | 0 | ||
켄터키 | 선거구 | 1814년 8월 3일 | 10 | 10 | 0 | ||
뉴햄프셔 | 전 주 | 1814년 8월 29일 | 6 | 0 | 6 | ||
로드아일랜드 | 전 주 | 1814년 8월 30일 | 2 | 0 | 2 | ||
버몬트 | 전 주 | 1814년 9월 6일 | 6 | 0 | 6 | 6 | 6 |
코네티컷 | 전 주 | 1814년 9월 19일 | 7 | 0 | 7 | ||
조지아 | 전 주 | 1814년 10월 3일 | 6 | 6 | 0 | ||
메릴랜드 | 선거구 | 9 | 4 | 2 | 5 | 2 | |
델라웨어 | 전 주 | 1814년 10월 4일 | 2 | 0 | 2 | ||
뉴저지 | 전 주 | 1814년 10월 10–11일 | 6 | 6 | 4 | 0 | 4 |
사우스캐롤라이나 | 선거구 | 9 | 8 | 1 | 1 | 1 | |
오하이오 | 선거구 | 1814년 10월 11일 | 6 | 6 | 0 | ||
펜실베이니아 | 선거구 | 23 | 18 | 4 | 5 | 4 | |
매사추세츠 | 선거구 | 1814년 11월 7일[14] | 20 | 2 | 2 | 18 | 2 |
후기 선거 (임기가 시작되는 1815년 3월 4일 이후) | |||||||
버지니아 | 선거구 | 1815년 4월 | 23 | 19 | 2 | 4 | 2 |
테네시 | 선거구 | 1815년 8월 3–4일 | 6 | 6 | 0 | ||
노스캐롤라이나 | 선거구 | 1815년 8월 10일 | 13 | 11 | 1 | 2 | 1 |
합계 | 182 | 118 | 4 | 64 | 4 |
5. 2. 특별 선거
1814년과 1815년에는 제13대 미국 하원과 제14대 미국 하원을 보충하기 위한 특별 선거가 있었다. 특별 선거는 날짜, 그 다음 선거구 순으로 정렬된다.코네티컷 (1814년 9월 19일)
정당 | 의석 수 | 변화 | |
---|---|---|---|
연방주의자 | 7 | 0 | |
민주공화당 | 0 | 0 | |
합계 | 7 | 0 |
켄터키주 (1814년 8월 3일)
정당 | 의석 수 | 변화 | |
---|---|---|---|
민주공화당 | 10 | 0 | |
연방주의자 | 0 | 0 | |
합계 | 10 | 0 |
매사추세츠주 (1814년 11월 7일, 1815년 1월 6일 재선거)
정당 | 의석 수 | 변화 | |
---|---|---|---|
연방주의자 | 11 | +1 | |
민주공화당 | 6 | -1 | |
합계 | 17 | 0 |
뉴저지주 (1814년 10월 10일~11일)
정당 | 의석 수 | 변화 | |
---|---|---|---|
민주공화당 | 6 | +5 | |
연방주의자 | 0 | -5 | |
합계 | 6 | 0 |
뉴욕 (1814년 4월 26일~28일)
정당 | 의석 수 | 변화 | |
---|---|---|---|
민주공화당 | 21 | +7 | |
연방주의자 | 6 | -7 | |
합계 | 27 | 0 |
펜실베이니아주 (1814년 10월 11일)
정당 | 의석 수 | 변화 | |
---|---|---|---|
민주공화당 | 17 | -5 | |
연방주의자 | 6 | +5 | |
합계 | 23 | 0 |
테네시 (1815년 8월 3일~4일)
정당 | 의석 수 | 변화 | |
---|---|---|---|
민주공화당 | 6 | 0 | |
연방주의자 | 0 | 0 | |
합계 | 6 | 0 |
5. 3. 비투표 대의원
1807년 (알 수 없음)1813년
새 대표 선출.
민주공화당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