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임스 매디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임스 매디슨은 미국의 건국의 아버지 중 한 명으로, 1751년 버지니아에서 태어났다. 그는 프린스턴 대학교를 졸업하고 버지니아 주 의회 의원, 대륙회의 대표 등을 거치며 정치 경력을 쌓았다. 헌법 제정 회의에서 버지니아 계획을 제시하고, 페더럴리스트 페이퍼를 저술하며 헌법 제정과 비준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이후 연방 하원 의원, 국무장관을 역임했으며, 1809년부터 1817년까지 미국 대통령으로 재임했다. 대통령 재임 기간 중 미영 전쟁을 겪었으며, 루이지애나 매입을 통해 미국의 영토를 확장했다. 퇴임 후에는 버지니아 대학교 총장으로 재직했고, 1836년 사망했다. 그는 "헌법의 아버지"로 불리며, 그의 유산은 헌법에 대한 공헌으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임스 매디슨 - 권리장전 (미국)
미국 권리장전은 강력한 중앙 정부에 대한 우려와 개인의 자유 보장 요구를 반영하여 미국 헌법에 추가된 첫 열 개의 수정 조항으로, 종교, 언론, 집회, 무기 소지 등의 자유와 적법 절차, 이중처벌 금지, 자기부죄 거부권 등 개인의 기본권을 보장하고 연방 정부의 권한을 제한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 제임스 매디슨 - 미국의 헌법
미국 헌법은 연방 정부의 조직, 권한, 시민의 기본권을 규정하는 미국의 최고 법규로서, 수많은 수정을 거치며 통치 체제를 확립하고 사회 변화를 반영해왔으며, 권력 분립, 연방주의, 기본권 보장 등의 원칙으로 세계 각국 헌법에 영향을 주었으나 현재까지도 여러 논쟁점을 안고 있다. - 1808년 미국 대통령 후보 - 제임스 먼로
제임스 먼로는 미국 독립 전쟁 참전 용사이자 버지니아 주지사, 국무장관, 주영 미국 대사를 거쳐 제5대 대통령(1817년-1825년)을 지냈으며, 그의 재임 기간은 "좋은 감정의 시대"로 불리며 정치적 안정, 영토 확장, 그리고 유럽 열강의 미주 대륙 간섭을 반대하는 미국의 외교 정책인 먼로 독트린 발표로 특징지어진다. - 1808년 미국 대통령 후보 - 조지 클린턴
조지 클린턴은 1739년 뉴욕에서 태어나 프랑스-인디언 전쟁 참전, 변호사 활동을 거쳐 뉴욕 주지사와 부통령을 역임했으며, 미국 헌법에 반대하는 입장을 보였고 1812년에 사망한 미국의 정치가이다.
제임스 매디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제임스 매디슨 |
출생 이름 | 제임스 매디슨 주니어 |
출생일 | 1751년 3월 16일 |
출생지 | 영국령 아메리카 버지니아 포트콘웨이 |
사망일 | 1836년 6월 28일 |
사망지 | 미국 버지니아주 오렌지군 몬트필리어 |
안장지 | 미국 버지니아주 오렌지군 몬트필리어 |
키 | 5피트 4인치 |
배우자 | 돌리 페인 (1794년 9월 15일 결혼) |
부모 | 제임스 매디슨 시니어 엘리너 매디슨 |
교육 | 뉴저지 대학교 (BA) |
![]() | |
종교 | 이신론http://www.adherents.com/people/pm/James_Madison.html → 성공회 |
군사 복무 | |
소속 | 버지니아 민병대 |
복무 기간 | 1775년–1776년, 1814년 |
부대 | 오렌지 카운티 민병대 |
계급 | 대령 총사령관 |
주요 전투 | 미국 독립 전쟁 1812년 전쟁 블래든스버그 전투 |
정치 경력 | |
소속 정당 | 민주공화당 |
이전 정당 | 연방당 (1791년까지) |
미국 대통령 | |
순서 | 제4대 |
임기 시작 | 1809년 3월 4일 |
임기 종료 | 1817년 3월 4일 |
부통령 | 조지 클린턴 (1809년–1812년) 공석 (1812년–1813년) 엘브리지 게리 (1813년–1814년) 공석 (1814년–1817년) |
전임 대통령 | 토머스 제퍼슨 |
후임 대통령 | 제임스 먼로 |
미국 국무장관 | |
순서 | 제5대 |
재임 시작 | 1801년 5월 2일 |
재임 종료 | 1809년 3월 3일 |
대통령 | 토머스 제퍼슨 |
전임 국무장관 | 존 마셜 |
후임 국무장관 | 로버트 스미스 |
미국 하원 의원 (버지니아) | |
선거구 | 제5선거구 (1789년–1793년) 제15선거구 (1793년–1797년) |
임기 시작 | 1789년 3월 4일 |
임기 종료 | 1797년 3월 4일 |
전임 의원 | 선거구 신설 |
후임 의원 | 존 도슨 |
연합 회의 대의원 (버지니아) | |
임기 시작 | 1786년 11월 6일 |
임기 종료 | 1787년 10월 30일 |
임기 시작 | 1781년 3월 1일 |
임기 종료 | 1783년 11월 1일 |
2. 어린 시절과 교육
제임스 매디슨은 버지니아 식민지의 유복한 노예 소유 농장주 가문에서 태어나 성장했다. 그는 어린 시절 가정교사를 통해 교육을 받았고, 이후 프린스턴 대학교(당시 뉴저지 칼리지)에 진학하여 계몽주의 사상을 접하며 학문적 기반을 다졌다.
2. 1. 가문과 출생

제임스 매디슨 주니어(James Madison Jr.)는 1751년 3월 16일(구력 1750년 3월 5일) 당시 대영 제국 버지니아 식민지 포트 콘웨이(Port Conway) 근처 벨 그로브(Belle Grove) 농장에서 태어났다. 그의 가문은 17세기 중반부터 버지니아에 정착했다. 그의 부모는 대령 제임스 매디슨 시니어(James Madison Sr., 1723년–1801년)와 엘리너 로즈 "넬리" 콘웨이(Eleanor Rose "Nellie" Conway, 1731년–1829년)였다. 아버지는 노예를 소유한 담배 농장주였으며, 제임스가 어린 시절 대부분을 보낸 오렌지 군의 몽펠리에(Montpelier) 농장을 상속받아 운영했다. 1760년대 초, 가족은 새로 지은 몽펠리에 저택으로 이사했다. 아버지는 약 5000acre (약 20km2)의 농장과 100여 명의 노예를 소유하여 버지니아 피드몬트(Piedmont) 지역에서 가장 큰 토지 소유주 중 한 명이었다. 어머니 넬리 콘웨이는 포트 콘웨이의 저명한 농장주이자 담배 상인의 딸이었다. 매디슨은 성공회 신앙으로 자랐다.
제임스는 12명의 자녀 중 맏이였으며, 그중 9명의 동생들이 유아기를 넘어 성장했다.
이름 | 생몰년 | 비고 |
---|---|---|
프랜시스 매디슨(Francis Madison) | 1753년 – 1800년 | 오렌지 군의 농장주 |
앰브로즈 매디슨(Ambrose Madison) | 1755년 – 1793년 | 농장주, 버지니아 민병대 대위, 몽펠리에 관리 보조 |
캐틀릿 매디슨(Catlett Madison) | 1758년 – 1758년 | 유아기에 사망 |
넬리 매디슨 하이트(Nellie Madison Hite) | 1760년 – 1802년 | |
윌리엄 매디슨(William Madison) | 1762년 – 1843년 | 미국 독립 전쟁 참전 용사, 변호사, 버지니아 주 의원 |
사라 캐틀릿 매디슨 메이컨(Sarah Catlett Madison Macon) | 1764년 – 1843년 | |
이름 미상 | 1766년 | 유아기에 사망 추정 |
엘리자베스 매디슨(Elizabeth Madison) | 1768년 – 1775년 | 어린 나이에 사망 |
이름 미상 | 1770년 | 유아기에 사망 추정 |
루벤 매디슨(Reuben Madison) | 1771년 – 1775년 | 어린 나이에 사망 |
프랜시스 "패니" 매디슨 로즈(Frances "Fanny" Madison Rose) | 1774년 – 1823년 |
2. 2. 교육 과정

매디슨은 11세부터 16세까지 스코틀랜드 출신 교사 도널드 로버트슨(Donald Robertson) 밑에서 공부했다. 로버트슨은 당시 미국 남부 여러 유력 가문의 가정교사였다. 매디슨은 그에게 수학, 지리, 현대 및 고전 언어를 배웠으며, 특히 라틴어에 능숙해졌다. 매디슨은 자신의 학문적 기초가 로버트슨 덕분이라고 회고했다.
1767년, 16세가 된 매디슨은 몽펠리에로 돌아와 토마스 마틴(Thomas Martin) 목사에게 대학 입학을 위한 2년간의 지도를 받았다. 당시 버지니아 식민지의 많은 청년들이 윌리엄 앤드 메리 칼리지에 진학했지만, 매디슨은 윌리엄스버그의 저지대 기후가 자신의 건강에 좋지 않을 것을 염려하여 그곳을 선택하지 않았다. 대신 1769년, 뉴저지주에 있는 뉴저지 칼리지(College of New Jersey, 훗날 프린스턴 대학교가 됨)에 입학했다.
프린스턴에서의 학업 과정에는 라틴어, 고대 그리스어, 신학, 그리고 계몽주의 사상가들의 저작 연구가 포함되었으며, 연설과 토론 능력을 기르는 데 중점을 두었다. 그는 캠퍼스 내 미국 위그-클리오소픽 학회(American Whig–Cliosophic Society)의 주요 회원으로 활동하며 경쟁 관계인 클리오소픽 학회(Cliosophic Society)와 경쟁했다. 프린스턴 재학 시절 가장 가까운 친구는 훗날 미국 법무장관이 되는 윌리엄 브래드퍼드(William Bradford)였다. 매디슨은 부지런히 학업에 매진하여 3년제 학사 과정을 2년 만인 1771년에 마쳤다. 다만 이 과정에서 과도한 공부로 건강을 해쳤을 가능성이 있다.[25]
졸업 후 매디슨은 바로 몽펠리에로 돌아가지 않고 프린스턴에 남아 대학 총장인 존 위더스푼(John Witherspoon) 밑에서 히브리어와 정치철학을 더 공부했다. 위더스푼은 매디슨에게 계몽주의의 철학, 가치관, 사고방식을 깊이 심어주었으며, 이는 매디슨의 사상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전기 작가 테렌스 볼(Terence Ball)은 매디슨이 프린스턴에서 "계몽주의의 자유주의에 몰입하여 18세기 정치 급진주의로 개종했다"고 평가했다. 매디슨은 1772년 초 몽펠리에로 돌아왔다.
몽펠리에로 돌아온 후, 매디슨은 뚜렷한 진로를 정하지 못한 채 동생들을 가르쳤다. 1773년부터는 법률 서적을 공부하기 시작하여 친구 브래드퍼드에게 학습 계획을 요청하기도 했다. 그는 법률 지식을 쌓았지만, 정식으로 변호사 수습 과정을 거치거나 자격을 취득하지는 않았다. 미국 독립 전쟁 이후에는 헌법 제정 회의를 준비하며 고대 민주주의에 대해 연구하는 시간을 보냈다. 매디슨은 때때로 정신적 피로와 질병으로 인한 불안감을 겪었으며, 스트레스를 받으면 일시적으로 활동 불능 상태에 빠지기도 했으나, 전반적으로는 노년까지 건강을 유지했다.
3. 초기 정치 경력
미국 독립 전쟁 발발(1775년) 전후로 제임스 매디슨의 정치 경력이 시작되었다. 그는 영국 의회의 인지세법 등 식민지에 대한 과세 조치가 부당하다고 여겨 영국 통치에 저항하는 애국자 진영에 합류했다. 또한, 종교의 자유를 중요하게 생각하여 버지니아에서 성공회를 국교에서 철폐하는 것을 지지했다.
1774년 고향 버지니아 몽펠리에로 돌아온 매디슨은 지역 안전 위원회에 참여하며 정치 활동을 시작했다. 1775년에는 오렌지 카운티 민병대 대령으로 임명되었고, 이후 버지니아의 첫 헌법 제정을 위한 제5차 버지니아 협약 대표로 선출되었다. 이 협의회에서 그는 버지니아 권리 선언에 종교의 "평등한 권리"를 명시하도록 기여했다. 버지니아 헌법 제정 후에는 버지니아 하원 의원과 버지니아 주지사의 국무원으로 활동하며 토마스 제퍼슨과 긴밀한 관계를 맺었다.
1780년부터 1783년까지는 미국의 중앙 정부 역할을 하던 제2차 대륙 의회(이후 연방 의회)의 대표로 활동했다. 이 시기 미국은 영국과의 전쟁, 인플레이션, 재정 문제 등 여러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매디슨은 재정 문제 해결을 위해 의회가 독자적으로 관세를 징수할 수 있도록 연합 조항 개정을 제안했으나, 모든 주의 동의를 얻지는 못했다. 그는 또한 프랑스와의 동맹을 지지했으며, 파리 조약 협상 과정에서 미국이 미시시피 강 동쪽 영토와 항행권을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륙 의회 임기를 마친 후, 1784년 다시 버지니아 하원에 선출되었다.
3. 1. 버지니아 주 의회 의원 및 대륙회의 대표
1765년 영국 의회가 통과시킨 인지세법은 식민지 주민들의 거센 반발을 샀고, 이는 미국 독립 전쟁으로 이어지는 갈등의 시발점이 되었다. 1775년 4월 19일, 미국 독립 전쟁이 발발했다. 당시 식민지 주민들은 영국의 조지 3세 국왕을 지지하는 로열리스트, 어느 쪽에도 속하지 않은 중립파, 그리고 대륙 의회의 지도 아래 영국 통치에 저항하는 애국자로 나뉘었다. 매디슨은 애국자에 합류했으며, 영국 의회가 식민지에 세금을 부과하는 것은 권한 남용이라고 생각하며 영국 통치에 저항하는 이들에게 공감했다.매디슨은 버지니아에서 성공회를 국교에서 철폐하는 것을 강력히 지지했다. 그는 국교를 단순히 '관용'하는 것만으로는 종교의 자유를 침해할 뿐만 아니라, 국교가 주장하는 권위에 대한 과도한 복종을 조장한다고 믿었다. 당시 영국 의회는 미국 교회를 위해 영국 왕관에 대한 충성 서약 없이 주교를 서품할 수 있도록 하는 법률을 통과시켰고, 새로운 성공회 교회들은 자치와 재정 자립 등 정치적 요소를 도입하기 시작했지만, 매디슨은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다고 보았다.
1774년 고향 몽펠리에로 돌아온 매디슨은 지역 안전 위원회(지역 애국자 민병대를 감독하는 혁명 지지 단체)에 참여했다. 1775년 10월에는 오렌지 카운티 민병대 대령으로 임명되어 아버지를 보좌했으며, 이후 버지니아의 첫 헌법 제정을 위한 제5차 버지니아 협약 대표로 선출되었다. 매디슨은 직접 전투에 참여하지는 않았지만, 전시 지도자로서 버지니아 정치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버지니아 헌법 제정 협의회에서는 버지니아 권리 선언 초안(1776년 5월 20일 작성)에서 종교에 대한 단순한 "관용" 대신 "평등한 권리"를 보장하도록 수정하는 데 기여했다. 버지니아 헌법 제정 후, 매디슨은 버지니아 하원 의원이 되었고, 이후 버지니아 주지사의 국무원으로 선출되어 당시 주지사였던 토마스 제퍼슨과 긴밀한 관계를 맺었다. 1776년 7월 4일에는 미국 독립 선언이 공식적으로 발표되었다.
매디슨은 1777년 11월 연합 조항 논의에 참여하여 종교의 자유 관련 조항 작성에 기여했다. 그는 종교의 자유에 관한 조항을 더욱 강화할 것을 제안했지만, 버지니아 협약은 신앙의 "자유로운 표현"이라는 급진적인 문구 대신 "관용"을 강조하는 온건한 표현을 채택했다. 1777년부터 1779년까지 국무원으로 활동한 후, 매디슨은 미국의 중앙 정부 역할을 하던 제2차 대륙 의회(1781년 연합 조항 비준 후 연방 의회가 됨)의 대표로 선출되었다.
1780년부터 1783년까지 의회 대표로 활동하는 동안, 미국은 영국과의 전쟁뿐만 아니라 극심한 인플레이션, 재정난, 주 정부 간 협력 부족 등 여러 어려움에 직면했다. 역사가 J. C. A. 스태그에 따르면, 매디슨은 이 시기에 재정 문제 전문가로 성장했으며, 입법 활동과 의회 내 연합 구축에 능숙한 인물로 평가받았다. 각 주가 재정적 의무를 다하지 못하는 상황에 실망한 매디슨은 의회가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통해 독자적인 세수를 확보할 수 있도록 연합 조항 개정을 제안했다. 조지 워싱턴 장군, 알렉산더 해밀턴 등 다른 지도자들도 이 개정안을 지지했지만, 13개 주 전체의 비준을 얻는 데는 실패했다. 의회 활동 기간 동안 매디슨은 미국과 프랑스 간의 긴밀한 동맹을 강력히 지지했으며, 서부 확장을 옹호했다. 그는 독립 전쟁을 종결시킨 파리 조약에서 미국이 미시시피 강 항행권과 강 동쪽의 모든 영토에 대한 통제권을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의회 임기를 마친 후, 매디슨은 1784년 버지니아 하원에 다시 당선되었다.
3. 2. 종교의 자유 옹호
제임스 매디슨은 젊은 변호사 시절부터 종교의 자유를 강력히 옹호했다. 그는 잉글랜드 국교회의 허가 없이 설교했다는 이유로 체포된 침례교 설교자들을 변호했으며, 설교자 엘라이자 크레이그와 함께 버지니아에서 종교의 자유를 헌법으로 보장하기 위해 노력했다.[27] 이러한 활동을 통해 종교의 자유 개념 확립에 기여했다.
매디슨은 국교 제도가 종교의 자유를 침해할 뿐만 아니라, 특정 종교가 가지는 권위에 대한 맹목적인 복종을 조장한다고 비판했다. 따라서 그는 버지니아에서 성공회를 국교에서 폐지하는 것을 적극 지지했다.
1776년 제5차 버지니아 협약 대표로 활동하며, 매디슨은 버지니아 권리 선언 초안의 종교 관련 조항에서 '관용(eng)'이라는 표현 대신 '평등한 권리(eng)'를 보장하도록 수정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이는 모든 개인이 양심에 따라 자유롭게 신앙을 가질 권리가 있음을 강조한 중요한 변화였다.
버지니아 주 의회 의원으로 활동하던 시기(1776년-1779년)에는 토마스 제퍼슨과 긴밀히 협력하며 그의 정치적 제자로 인정받았다. 두 사람은 함께 버지니아 종교의 자유 법 제정을 위해 노력했으며, 이 법은 잉글랜드 국교회를 국교에서 공식적으로 폐지하고 종교 문제에 대한 정부의 강제력을 배제하는 내용을 담았다. 특히, 매디슨은 패트릭 헨리가 제안했던, 시민들에게 자신이 선택한 종파에 헌금하도록 강제하는 안을 저지하는 데 성공했다.
매디슨은 연합 조항 제정 논의에도 참여하여 종교의 자유에 관한 조항 초안 작성에 기여했다. 매디슨은 신앙의 '자유로운 표현(eng)'이라는 더 과감한 표현을 제안했지만, 버지니아 협약은 이를 종교 내 '관용'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수정했다.
또한, 매디슨은 그의 사촌이자 윌리엄 앤드 메리 대학교 총장이었던 제임스 매디슨 주교(1749년-1812년)와 협력하여, 이 대학을 영국과 잉글랜드 국교회로부터 분리시키는 변화를 이끄는 데 기여했다. 그는 독립 전쟁 이후 버지니아 성공회 교구를 형성하는 데도 기여했다.
4. 헌법 제정과 비준
버지니아주 의회 의원 시절 제임스 매디슨은 토머스 제퍼슨과 함께 버지니아 종교 자유 법령 초안 작성에 참여하며 종교의 자유를 옹호했다.[1] 1780년대에 들어 기존 연합 규약의 한계를 절감하고 강력한 중앙 정부 수립의 필요성을 느꼈다.[2][3][4] 이를 위해 법률 및 정치 이론, 특히 여러 연방 국가 사례를 깊이 연구했다.[5][6]
1787년 필라델피아 헌법 제정 회의에서 그는 버지니아 대표단의 핵심 인물로서 새로운 연방 정부의 골격이 된 버지니아 계획을 입안하고 제시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7][8] 헌법 초안이 마련된 후에는 비준을 위해 적극적으로 활동했다. 알렉산더 해밀턴, 존 제이와 함께 '퍼블리우스(Publius)'라는 필명으로 총 85편의 ''연방주의자 논문''을 공동 저술하여 헌법의 정당성을 알리는 데 크게 기여했다.[9][10][11][12]
특히 중요한 버지니아주 비준 회의에서는 패트릭 헨리 등 반연방주의자들의 강력한 반대에 맞서 헌법 비준을 위한 논쟁을 이끌었다.[13] 그는 헌법의 필요성과 장점을 설득력 있게 주장하며 수정 없는 원안 비준을 관철하기 위해 노력했다.[14][15] 결국 1788년 6월 버지니아의 비준을 이끌어내며 헌법 발효에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했다.[16] 이러한 헌법 제정과 비준 과정 전반에 걸친 핵심적인 기여로 인해 매디슨은 훗날 "헌법의 아버지"로 불리게 된다.
4. 1. 헌법 제정 회의 (1787)
버지니아주 의회 의원 시절부터 제임스 매디슨은 종교의 자유를 꾸준히 옹호했으며, 토머스 제퍼슨과 함께 버지니아 종교 자유 법령의 초안을 작성했다. 이 법령은 1786년에 통과되어 종교의 자유를 보장하고 영국 국교회를 폐지하는 중요한 성과를 거두었다. 또한 그는 제임스 먼로와 함께 모호크 강 유역의 토지를 매입하는 등 토지 투자에도 관여했다.1780년대에 들어 매디슨은 각 주의 분열 양상과 취약한 중앙 정부에 대한 우려를 점차 키워나갔다. 그는 직접 민주주의가 사회적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고 보았으며, 공화주의 정부만이 당파성과 파벌주의의 폐해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고 믿었다. 특히 각 주에서 지폐를 법정 통화로 인정하거나 외국 대사의 외교적 면책을 거부하는 등의 법률 제정 움직임은 그의 우려를 더욱 깊게 만들었다. 더불어 연합 회의가 외교 정책을 효과적으로 수립하고, 미국의 무역을 보호하며, 애팔래치아 산맥 서쪽 지역의 정착을 촉진할 능력이 부족하다는 점도 심각한 문제로 인식했다. 매디슨은 당시 상황을 "미국 실험이 세계에 축복이 될 것인지, 아니면 공화주의 운동이 불러일으킨 희망을 영원히 짓밟을 것인지 결정할 위기가 왔다"고 진단했다.
이러한 위기의식 속에서 매디슨은 법률과 정치 이론 연구에 몰두했으며, 프랑스에 있던 제퍼슨이 보내준 계몽주의 서적들로부터 큰 영향을 받았다. 그는 특히 네덜란드 공화국, 스위스 연방, 아카이아 연맹 등 고대와 근현대의 연합체에 관한 국제법 및 헌법 연구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매디슨은 미국이 13개 주를 아우르는 광대한 영토를 바탕으로 과거 공화주의 실험의 한계를 극복하고 더 발전된 형태의 공화국을 건설할 수 있다고 확신했다. 그는 다양한 이해관계가 경쟁하는 큰 공화국에서는 어느 한 파벌이 다수결 원칙을 남용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기대했다. 또한, 미시시피 강 항해권 확보는 매디슨에게 매우 중요한 문제였다. 그는 존 제이가 제안한, 25년간 미시시피 강에 대한 미국의 권리를 유보하자는 안에 강력히 반대했으며, 역사가 랄프 케첨에 따르면 이 문제에 대한 매디슨의 적극적인 대응 의지가 1787년 연합 회의 복귀의 주요 동기가 되었다.


1787년 필라델피아에서 헌법 제정을 위한 회의가 열리자, 매디슨은 에드먼드 랜돌프, 조지 메이슨 등 버지니아 대표단의 동료들과 협력하여 새로운 연방 헌법의 골격이 된 버지니아 계획을 입안하고 제시했다. 이 계획은 행정부, 사법부, 입법부의 3권 분립을 명확히 하고, 인구 비례에 따라 의석을 배분하는 상원과 하원의 양원제 의회, 그리고 연방 의회가 제정한 법률에 대한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는 연방 심사회의 설립을 제안했다. 비록 버지니아 계획이 행정부의 구체적인 형태를 명시하지는 않았지만, 매디슨 개인은 강력한 단일 행정부를 선호했다.
많은 대표들은 버지니아 계획이 기존의 연합 규약을 폐기하고, 각 주의 입법부가 아닌 특별 협약을 통해 비준될 새로운 헌법 제정을 목표로 한다는 사실에 놀라움을 표했다. 그러나 조지 워싱턴과 벤저민 프랭클린과 같은 영향력 있는 인물들의 지지에 힘입어, 대표들은 비밀 회의를 통해 연합 규약을 대체할 새로운 헌법 제정이 필요하다는 데 동의하고 각 주에서의 비준 절차를 진행하기로 결정했다. 회의 과정에서 큰 주와 작은 주 사이의 이해관계 대립이 있었으나, 결국 큰 주들은 인구 비례에 따른 하원을 확보하고 작은 주들은 상원에서 동등한 대표권을 갖는 타협안에 합의했다.
1787년 9월 필라델피아 회의가 종료된 후, 매디슨은 동료 대표들을 설득하여 연합 회의가 비준 논쟁에서 중립적인 입장을 취하고 각 주가 자체적으로 헌법 비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헌법 지지자들은 스스로를 '연방주의자'라고 칭했으며, 매디슨은 이들의 핵심 인물 중 한 명이었다. 반면, 헌법 제정에 반대하는 '반연방주의자'들은 비준을 저지하기 위한 공개적인 캠페인을 벌였다.
이에 맞서 1787년 10월부터 연방주의자인 알렉산더 해밀턴과 존 제이는 뉴욕의 신문들을 통해 헌법 비준을 옹호하는 글들을 발표하기 시작했다. 제이가 건강 문제로 참여하지 못하게 되자, 해밀턴은 당시 연합 회의 업무로 뉴욕에 머물고 있던 매디슨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세 사람은 '퍼블리우스(Publius)'라는 공동 필명으로 총 85편의 글을 발표했는데, 이는 훗날 ''연방주의자 논문''으로 알려지게 된다. 이 논문집은 연합 규약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36편과 새로운 헌법의 장점을 설명하는 49편으로 구성되었다. 책으로도 출간된 이 글들은 각 주의 비준 협약에서 헌법 지지자들에게 중요한 논거를 제공했다.
특히 매디슨이 작성한 연방주의자 논문 10번은 20세기에 들어 대의 민주주의를 옹호한 중요한 문헌으로 높이 평가받게 되었다. 이 글에서 매디슨은 다수 파벌이 초래할 수 있는 위험을 지적하고, 광범위한 영토와 다양한 이해관계를 가진 큰 공화국을 형성함으로써 파벌의 부정적 영향을 효과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큰 공화국에서는 수많은 파벌이 서로 경쟁하게 되어 어느 한 파벌도 압도적인 다수를 점하기 어렵기 때문에 파벌의 영향력이 자연스럽게 통제될 것이라고 보았다. 또한 연방주의자 논문 51번에서는 연방 정부 내에서의 3권 분립과 연방 정부와 주 정부 간의 권력 분담이 어떻게 각 기관의 권력 남용을 막는 견제와 균형 시스템을 구축하는지를 설명했다.
버지니아주 비준 협약이 시작되자 매디슨은 아직 입장을 정하지 못한 소수의 대표들을 설득하는 데 주력했다. 오랜 기간 서신을 교환하며 설득했던 에드먼드 랜돌프는 결국 비준 후 수정안 제안을 조건으로 헌법의 무조건적인 비준을 지지하겠다고 선언하며 매디슨에게 힘을 실어주었다. 전 버지니아 주지사였던 패트릭 헨리는 강력한 연설로 비준 반대 여론을 주도했지만, 매디슨은 헌법 이론과 연방주의 원칙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헨리의 반연방주의적 주장에 논리적으로 반박하며 효과적으로 대응했다. 매디슨은 또한 연방 정부가 주 법률에 대해 거부권을 가져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했다. 역사가 론 체르노에 따르면, 매디슨은 "헌법 제정 회의에서 연방 정부가 주 법률에 대한 거부권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했다".[37]
비준 협약에서의 마지막 연설에서 매디슨은 동료 대표들에게 헌법 원안 그대로 비준할 것을 간곡히 호소하며, 만약 각 주가 자신들에게 유리한 수정안을 고집한다면 전체 비준 노력이 좌초될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다. 결국 1788년 6월 25일, 버지니아 협약은 89대 79로 헌법 비준을 가결했다. 이는 뉴햄프셔가 9번째 주로 비준하여 헌법 발효 요건을 충족시킨 지 일주일 만의 일이었으며, 이로써 새로운 미국 연방 정부 수립의 길이 열렸다. 이듬해 1월, 조지 워싱턴이 미국의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4. 2. 『페더럴리스트 페이퍼』 저술
매디슨은 알렉산더 해밀턴, 존 제이와 함께 1787년과 1788년에 걸쳐 미국 헌법 비준을 촉진하기 위한 글 모음인 『페더럴리스트 페이퍼』(The Federalist Papers)를 공동으로 저술했다.[30] 특히 매디슨이 쓴 논문 중 10편은 다양한 이해관계와 파벌이 존재하는 큰 규모의 국가가, 소수의 특정 이해관계에 좌우되기 쉬운 작은 국가보다 오히려 공화주의적 가치를 더 효과적으로 지켜낼 수 있다는 주장을 담고 있다. 그의 이러한 해석은 당시에는 큰 주목을 받지 못했지만, 20세기에 들어 미국 정치학계에서 다원주의 이론의 중요한 근거가 되었다.[31]버지니아에서는 1788년 헌법 비준 회의가 열렸는데, 매디슨은 이 회의에서 헌법 비준을 위한 노력을 이끌었다. 그는 패트릭 헨리와 같이 헌법 비준 전에 권리장전 추가와 같은 수정을 요구하는 반대파들과 치열한 논쟁을 벌였다. 매디슨은 헌법 제정과 비준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기 때문에 종종 "미국 헌법의 아버지"라고 불린다. 그러나 정작 매디슨 본인은 이러한 칭호에 대해 "그 공적을 나 혼자 주장할 수는 없다… 헌법은 전설 속 지혜의 여신처럼 한 사람의 머리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 여러 사람의 두뇌와 손을 거쳐 만들어진 작품으로 보아야 한다"며 겸손한 태도를 보였다.[32]
또한 매디슨은 당시 뉴욕주의 헌법 비준 회의에 참여하고 있던 해밀턴에게 편지를 보내, 헌법 비준은 '전체적으로' 그리고 '영구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자신의 확고한 입장을 전달했다. 이는 버지니아 회의에서 논의되던 조건부 비준과 같은 타협안에 대한 반대 의사를 분명히 한 것이었다.[33]
4. 3. "헌법의 아버지"
버지니아주 의회 의원으로서 매디슨은 토머스 제퍼슨과 함께 버지니아 종교 자유 법령 초안 작성에 참여하며 종교의 자유를 꾸준히 옹호했다. 이 법령은 종교의 자유를 보장하고 영국 국교회를 폐지하는 내용을 담아 1786년에 통과되었다. 그는 또한 제임스 먼로와 함께 모호크 강 유역의 토지를 매입하는 등 토지 투자에도 관심을 보였다.1780년대 들어 매디슨은 각 주의 분열과 약한 중앙 정부에 대한 우려를 키워나갔다. 그는 직접 민주주의가 사회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고 보았으며, 공화주의 정부가 당파성과 파벌주의의 폐해를 막을 수 있다고 생각했다. 특히 주 정부들이 지폐를 남발하거나 외국 사절의 외교적 면책을 거부하는 등의 문제에 깊은 우려를 표했다. 또한 당시 연합 규약 하의 의회가 외교 정책을 효과적으로 수립하고 미국 무역을 보호하며, 애팔래치아 산맥 서쪽 지역의 정착을 관리할 능력이 부족하다고 판단했다. 매디슨은 "미국 실험이 세계에 축복이 될 것인지, 아니면 공화주의 운동이 불러일으킨 희망을 영원히 짓밟을 것인지 결정할 위기가 왔다"고 생각하며, 법률과 정치 이론 연구에 몰두했다. 그는 제퍼슨이 프랑스에서 보내온 계몽주의 서적들의 영향을 받았으며, 네덜란드 공화국, 스위스 연방, 아카이아 연맹 등 과거 연합체들의 헌법과 국제법을 깊이 연구했다. 매디슨은 미국이 광대한 영토와 다양한 이해관계를 가진다는 점에서 과거의 공화주의 실험을 뛰어넘을 수 있다고 믿었으며, 다수의 횡포를 막기 위한 방안을 고심했다. 미시시피 강 항해권 확보 역시 그의 주요 관심사였는데, 존 제이가 제안한 25년간 항해권 포기 안에 강력히 반대했으며, 이는 그가 1787년 대륙회의로 복귀하는 중요한 동기가 되었다.
1787년 필라델피아 헌법 제정 회의가 열리자, 매디슨은 에드먼드 랜돌프, 조지 메이슨 등 버지니아 대표단 동료들과 함께 새로운 연방 헌법의 골격인 버지니아 계획을 마련하여 제시했다. 이 계획은 행정부, 사법부, 입법부의 삼권분립, 인구 비례에 따른 양원제 의회, 연방 법률에 대한 거부권을 가진 연방 심사회의 등을 제안했다. 버지니아 계획은 행정부 구조를 명확히 제시하지 않았지만, 매디슨 자신은 강력한 단일 행정부를 선호했다. 많은 대표들은 이 계획이 기존의 연합 규약을 폐지하고 각 주의 입법부가 아닌 특별 회의를 통해 비준될 새로운 헌법 제정을 목표로 한다는 점에 놀랐다. 하지만 조지 워싱턴, 벤저민 프랭클린과 같은 영향력 있는 인사들의 지지 속에 대표들은 비밀 회의에서 새 헌법 제정을 추진하기로 합의하고 각 주에서 비준 논쟁 절차를 시작했다. 이후 큰 주와 작은 주 사이의 이견을 조율하는 과정에서, 하원은 인구 비례로, 상원은 각 주에 동등한 대표권을 부여하는 대타협이 이루어졌다.
회의가 끝난 후 1787년 9월, 매디슨은 동료 의원들을 설득하여 연방 의회가 비준 논쟁에서 중립을 유지하도록 하고, 각 주에서 헌법 비준 여부를 결정하도록 했다. 헌법 지지 세력인 연방주의자 진영에 선 매디슨은 반연방주의자들의 반대 운동에 맞서기 위해 알렉산더 해밀턴, 존 제이와 힘을 합쳤다. 1787년 10월부터 이들 세 사람은 '퍼블리우스(Publius)'라는 공동 필명으로 뉴욕 신문에 헌법의 정당성을 알리는 글들을 연재하기 시작했다. 이것이 바로 총 85편으로 구성된 ''연방주의자 논문''이다. 이 논문들은 연합 규약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36편과 새 헌법의 장점을 설명하는 49편으로 나뉘었으며, 이후 책으로 묶여 각 주의 비준 회의에서 헌법 지지자들의 중요한 논거로 활용되었다.[30]
매디슨이 쓴 논문 중 특히 연방주의자 논문 10번은 다양한 이해관계와 파벌이 존재하는 큰 공화국이 소수의 특정 이해관계에 휘둘리는 작은 국가보다 공화주의 가치를 더 잘 수호할 수 있음을 논증했다. 그는 넓은 공화국에서는 수많은 파벌이 서로 경쟁하며 특정 파벌이 다수파가 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고 보았다. 이 주장은 당시에는 큰 주목을 받지 못했으나, 20세기 들어 대의 민주주의와 미국 정치의 다원주의를 설명하는 중요한 이론으로 재평가받았다.[31] 연방주의자 논문 51번에서는 연방 정부 내 삼권분립과 연방 정부와 주 정부 간의 권력 분립이 어떻게 상호 견제와 균형을 이루어 어느 한 기관이 지나치게 강력해지는 것을 막는지 설명했다.
버지니아 비준 회의가 시작되자 매디슨은 아직 입장을 정하지 않은 대표들을 설득하는 데 집중했다. 그는 에드먼드 랜돌프와 꾸준히 소통했고, 결국 랜돌프는 비준 후 수정안(권리장전 추가 등)을 제안하는 조건으로 헌법의 무조건 비준을 지지하겠다고 선언했다. 패트릭 헨리와 같은 강력한 반대파들이 비준 반대 연설로 회의 분위기를 주도하려 했지만, 매디슨은 헌법과 정치 이론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차분하고 논리적인 반박을 펼치며 반연방주의 주장에 맞섰다. 그는 또한 연방 정부가 주 법률에 대해 거부권을 가져야 한다고 강력히 주장했다. 마지막 연설에서 매디슨은 헌법 원안대로 비준할 것을 촉구하며, 만약 각 주가 자신에게 유리한 수정안을 고집한다면 비준 노력 전체가 무산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마침내 1788년 6월 25일, 버지니아 회의는 89대 79로 헌법 비준을 결정했다. 이는 뉴햄프셔가 아홉 번째 주로 비준하여 헌법 발효 요건을 충족시킨 지 일주일 만의 일이었고, 이로써 새로운 미국 정부의 출범이 확정되었다. 이듬해 첫 대통령 선거에서 조지 워싱턴이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매디슨은 헌법 제정과 비준 과정에서 보여준 핵심적인 역할 때문에 종종 "미국 헌법의 아버지"라고 불린다. 그러나 정작 본인은 이러한 칭호에 대해 "그 공적에 대해 주장할 생각은 없다… 헌법은 단일한 지성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 많은 두뇌와 많은 손의 결과물로 보아야 한다"며 겸손한 태도를 보였다.[32] 그는 뉴욕주 헌법 비준 회의에 참석 중이던 해밀턴에게 보낸 편지에서 헌법 비준이 '전체적으로' 그리고 '영구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했으며, 조건부 비준은 사실상 거부나 다름없다고 보았다.[33]
5. 연방 하원의원 및 정당 지도자 (1789-1801)
헌법이 버지니아에서 비준된 후, 제임스 매디슨은 뉴욕으로 돌아가 연방 의회 임무를 재개했다. 상원의원직 도전에 실패한 후, 패트릭 헨리 등의 반대와 게리맨더링 시도에도 불구하고 연방 하원의원에 출마했다.[38] 그는 제임스 먼로와의 경쟁 속에서 개인의 자유 보호를 위한 헌법 수정안 지지를 약속했고,[38] 1789년 버지니아 제5 선거구 의회 선거에서 승리하여 의석을 확보했다.
하원에 입성한 매디슨은 헌법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조지 워싱턴 대통령의 신뢰를 얻어 주요 고문으로 활동했다.[38] 그는 워싱턴의 첫 취임 연설 작성을 돕고 초기 내각 구성에도 영향을 미쳐 토마스 제퍼슨이 초대 국무장관으로 임명되는 데 기여했다. 또한 제1차 의회에서 연방 재정 확보를 위한 1789년 관세법 제정을 주도했다.
그러나 재무장관 알렉산더 해밀턴이 추진한 국가 부채 처리 및 경제 개발 계획, 특히 주 정부 부채의 연방 정부 인수 방안을 놓고 매디슨은 해밀턴과 대립각을 세웠다. 매디슨은 이 계획이 특정 지역과 계층에 편향되었다고 비판하며 의회 내 반대 여론을 이끌었다. 장기간의 정치적 논쟁 끝에 매디슨, 제퍼슨, 해밀턴은 1790년 타협에 이르렀다. 이 합의로 해밀턴의 부채 인수 계획이 1790년 재정법의 일부로 통과되는 대신, 새로운 연방 수도를 남부 포토맥 강 유역(워싱턴 D.C.)에 건설하기로 결정되었다. 이러한 해밀턴과의 정책 갈등은 이후 매디슨이 제퍼슨과 함께 연방당에 맞서는 민주공화당을 조직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5. 1. 연방 하원의원 당선
헌법이 비준된 후, 매디슨은 버지니아에서 미국 하원 의원 선거에 출마했다. 당초 상원의원 선거에 도전했으나 낙선했고, 당시 버지니아 정계를 장악하고 있던 반연방주의자 패트릭 헨리가 제2차 헌법 제정 회의를 소집할 가능성을 우려하여 하원의원 출마를 결정했다. 헨리와 그의 지지 세력은 게리맨더링을 통해 매디슨에게 불리하도록 오렌지 카운티를 포함한 선거구를 획정했으며, 강력한 경쟁자인 제임스 먼로를 매디슨의 대항마로 내세웠다.
어려운 선거 환경 속에서 매디슨은 개인의 자유를 보호하기 위한 헌법 수정안, 즉 권리장전의 필요성을 역설하며 지지를 호소했다. 그는 공개 서한을 통해, 비준 전 수정에는 반대했지만 이제는 "적절한 방식으로 추진되는 수정안이 선의의 반대자들을 만족시키고 자유를 위한 추가적인 보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고 입장을 밝혔다. 이러한 공약은 유권자들의 마음을 움직였고, 매디슨은 1789년 버지니아 제5 선거구 의회 선거에서 57%의 득표율로 먼로를 누르고 하원의원에 당선되었다.
하원의원이 된 매디슨은 헌법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조지 워싱턴 대통령의 신뢰를 얻어 주요 고문으로 활동했다. 그는 워싱턴의 첫 취임 연설문 작성을 도왔고, 행정부 초기 내각 부처 설립과 인선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여 토마스 제퍼슨이 초대 국무장관으로 임명되는 데 기여했다. 제1차 의회가 개원하자 연방 정부의 재정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관세 법안을 발의하여 1789년 관세법 제정을 이끌었다. 또한 선거 공약이었던 권리장전 제정을 위해 1789년 6월 8일, 12개의 헌법 수정안을 의회에 제출했다. 이 중 10개 조항이 1791년 12월 15일까지 각 주의 비준을 받아 권리장전으로 공포되었다. 나머지 조항 중 하나는 200여 년이 지난 후에 비준되어 미국 헌법 수정 제27조가 되었다.
한편, 매디슨은 재무장관 해밀턴이 추진한 경제 정책에는 비판적인 입장을 취했다. 특히 해밀턴이 제안한 주 정부 부채의 연방 정부 인수 및 연방 증권 발행 계획에 대해, 이것이 북부 투기자들에게만 유리하고 이미 부채를 상당 부분 상환한 버지니아와 같은 주에는 불리하다며 강력히 반대했다. 오랜 정치적 교착 상태 끝에 매디슨, 제퍼슨, 해밀턴은 1790년 타협에 합의했다. 이 타협을 통해 해밀턴의 부채 인수 계획은 1790년 재정법의 일부로 의회를 통과했고, 그 대가로 거주법이 제정되어 새로운 연방 수도를 포토맥 강 유역(훗날의 워싱턴 D.C.)에 건설하기로 결정되었다. 이러한 해밀턴과의 정책 대립 과정에서 매디슨은 토마스 제퍼슨과 함께 연방당에 대항하는 민주공화당 창당을 주도하며 연방 정부의 권한을 제한하려는 노력을 이어갔다. 그는 해밀턴이 추진한 미합중국 제1 은행 설립에 대해서도 헌법에 명시적 근거가 없다는 이유로 반대했으나, 은행 설립을 막지는 못했다.
5. 2. 권리장전 제정 주도
미국 헌법 비준 이후, 제임스 매디슨은 고향 버지니아에서 미국 하원 의원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미국 상원 의원직 확보에는 실패했는데, 이는 그의 정치적 입지를 위협하고 2차 헌법 수정을 추진하려던 패트릭 헨리와 반연방주의 세력의 견제 때문이었다.[34] 헨리는 게리맨더링을 통해 매디슨에게 불리한 선거구를 만들고, 강력한 경쟁자인 제임스 먼로를 내세우는 등 적극적으로 방해했다. 이러한 어려운 상황 속에서 매디슨은 선거 운동 과정에서 개인의 자유를 보호하기 위한 헌법 수정안, 즉 권리장전의 제정을 지지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는 공개 서한을 통해, 과거에는 헌법 비준 전 수정 요구에 반대했지만 이제는 수정안이 "선의의 반대자들의 마음을 만족시키고 자유를 위한 추가적인 보호 장치를 제공하는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고 믿게 되었다고 밝혔다. 이 약속은 유권자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매디슨은 1789년 버지니아 제5 선거구 의회 선거에서 먼로를 누르고 하원의원으로 당선될 수 있었다.
매디슨은 원래 권리장전이 불필요하다고 생각했다. 그는 연방 정부의 권한은 헌법에 명시된 것으로 제한되므로 별도의 권리 목록은 불필요하며[16], 특정 권리만 열거하면 명시되지 않은 다른 권리가 침해될 위험이 있고[16], 주 차원에서의 권리장전은 실효성이 부족하다는 점[16][34] 등을 이유로 들었다. 그러나 헌법 비준 과정에서 반연방주의자들이 권리장전 제정을 강력히 요구했고, 매디슨 자신도 선거 공약을 이행하고 2차 제헌 회의 소집을 막아야 할 필요성을 느끼면서 입장을 바꾸었다.
제1차 미국 의회가 개회하자 매디슨은 권리장전 제정을 주도적으로 이끌었다. 그는 각 주 비준 회의에서 제안된 200개가 넘는 수정안들을 면밀히 검토하여 1789년 6월 8일, 12개의 수정 조항을 의회에 공식적으로 제안했다.[36] 매디슨은 특정 권리를 헌법에 명시함으로써 국민들에게 그 중요성을 깊이 인식시키고, 사법부가 시민의 권리를 적극적으로 보호하도록 장려할 수 있다고 믿었다.
매디슨이 제안한 수정안들은 연방 정부의 권한 남용을 막고 종교의 자유, 언론의 자유, 평화로운 집회의 자유 등 기본적인 시민의 권리를 보장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특히 언론의 자유 보장, 정부의 부당한 재산 압류 방지, 배심원 재판 보장 등은 매디슨의 기여가 컸던 부분이다. 그는 또한 주 정부에 의한 권리 침해를 막기 위해 "양심의 평등한 권리 또는 언론의 자유 또는 형사 사건에서의 배심원 재판"을 주 정부가 침해할 수 없도록 하는 조항도 제안했으나, 이 조항은 상원 논의 과정에서 삭제되었다. 또한, 상비군에 대한 공화주의적 경계심을 반영하여, 주 정부가 규제하는 민병대의 필요성과 시민들이 "무기를 소지하고 휴대할 권리"를 명시한 미국 헌법 수정 제2조를 제안했다. 이는 국가의 강제력이 아닌 시민의 동의에 기반한 자유 정부를 유지하려는 그의 신념을 보여준다.
매디슨의 권리장전 제안은 헌법 지지자들을 크게 자극하지 않으면서도 반연방주의자들의 핵심 요구를 수용하려는 균형 잡힌 접근 덕분에 의회에서 비교적 순조롭게 논의되었다. 하원에서 대부분 원안대로 통과되었으나, 상원에서 주 정부 적용 조항 삭제 등 일부 수정이 이루어졌다. 최종적으로 매디슨이 제안한 12개 조항 중 10개 조항이 1791년 12월 15일까지 필요한 수의 주 비준을 받아 권리장전으로 공식 발효되었다. 매디슨은 권리장전이 주 정부의 권력 행사를 직접적으로 제약하지 못하게 된 점에 아쉬움을 표했지만, 권리장전의 제정은 헌법에 대한 비판을 완화하고 버지니아에서 그의 정치적 기반을 다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처음 제안된 12개 조항 중 비준되지 못한 2개 조항이 있었다. 하나는 의회 의원의 보수 변경 시점을 다음 선거 이후로 제한하는 조항이었는데, 이는 200년 이상이 지난 1992년에 미국 헌법 수정 제27조로 비준되었다. 다른 하나는 하원 의원 수의 증가에 따른 비례 배분 방식을 규정한 조항으로, 현재까지도 비준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다.[36]
5. 3. 해밀턴과의 대립 및 민주공화당 창당
미국 헌법 비준 이후, 매디슨은 고향 버지니아에서 미국 하원 의원으로 선출되어 제1차부터 제4차 의회까지 활동했다.[3] 그는 토머스 제퍼슨과 함께 민주공화당을 공동 창립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3] 1789년 6월 8일, 그는 권리장전의 기초가 된 12개의 헌법 수정안을 제안했으며, 이 중 10개 조항은 1791년 12월 15일까지 비준되었다.[3] 매디슨은 의정 활동 기간 동안 연방 정부의 권력을 제한하는 데 주력했다.[3]워싱턴 행정부 초기, 매디슨은 워싱턴의 주요 고문으로 활동하며 첫 취임 연설 작성과 내각 구성에 기여했다. 그는 1789년 관세법 제정을 주도했다. 그러나 재무장관 알렉산더 해밀턴이 국가 부채 처리와 경제 발전을 위해 강력한 중앙 정부 역할을 강조하는 정책들을 추진하면서 매디슨과의 견해 차이가 드러나기 시작했다. 특히 해밀턴이 제안한 주 부채의 연방 정부 인수 계획은 이미 부채를 상당 부분 상환한 버지니아 같은 남부 주에 불리하고 북부 투기꾼들에게 유리하다는 비판에 직면했으며, 매디슨은 의회에서 이 계획의 주요 반대자로 나섰다. 오랜 논쟁 끝에 매디슨, 제퍼슨, 해밀턴은 1790년 타협을 통해 해밀턴의 부채 인수 계획을 통과시키는 대신, 새로운 연방 수도를 남부 포토맥 강 유역(워싱턴 D.C.)에 건설하기로 합의했다.
![제퍼슨의 초상화. 그는 매디슨의 절친한 친구이자 정치적 동지였다.]](https://cdn.onul.works/wiki/source/194e900b8e9_55a9147f.jpg?width=240)
매디슨은 해밀턴의 정책에 대한 비판을 확산시키기 위해 제퍼슨과 함께 필립 프레노가 필라델피아에서 ''내셔널 가제트''를 창간하는 것을 도왔다. 1792년 매디슨은 이 신문에 기고한 글에서 미국이 두 파벌로 나뉘었다고 주장하며, 자신의 파벌은 "인류가 스스로를 다스릴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진 반면, 해밀턴의 파벌은 부유층을 편애하며 귀족적 군주제를 지향한다고 비판했다. 해밀턴의 경제 정책에 반대했던 많은 구 반연방주의자들이 민주공화당에 합류했다. (민주공화당은 종종 "공화당"으로 불렸으며, 이는 1850년대에 설립된 후대의 공화당과는 별개의 정당이었다.) 행정부의 정책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해밀턴의 연방당을 지지했다. 1792년 대통령 선거에서 양당은 워싱턴의 재선에는 동의했지만, 민주공화당은 연방당 소속의 부통령 존 애덤스를 조지 클린턴으로 교체하려 시도했다. (헌법상 대통령 선거인단은 자신이 속한 주 외부 출신 인물에게 최소 한 표를 행사해야 했으므로, 버지니아 출신 선거인단은 같은 버지니아 출신인 워싱턴과 제퍼슨 모두에게 투표할 수 없었다.) 그러나 애덤스가 부통령에 재선되었다. 1793년 제퍼슨이 국무장관직을 사임한 후, 매디슨은 하원에서 민주공화당의 실질적인 지도자 역할을 수행했다.
경제 정책에서 시작된 두 정파 간의 대립은 프랑스 혁명 전쟁 발발 이후 외교 정책 문제로 더욱 격화되었다. 매디슨과 제퍼슨은 프랑스 혁명의 공화주의 이념에 공감하며 프랑스를 지지한 반면, 해밀턴과 연방당은 영국과의 관계를 중시했다. 1794년, 영국이 프랑스와 교역하는 미국 선박 수백 척을 나포하면서 양국 간의 긴장이 고조되었다. 매디슨은 영국에 대한 경제 제재, 즉 무역 전쟁이 효과적일 것이며 이를 통해 미국이 완전한 경제적 독립을 달성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영국령 서인도 제도가 미국의 식량 공급에 의존하고 있으며, 영국 산업 역시 미국 시장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고 보았다.[3] 그러나 워싱턴 행정부는 전쟁을 피하고 영국과의 관계를 안정시키기 위해 존 제이를 특사로 파견했고, 그 결과 1794년 제이 조약이 체결되었다. 이 조약은 영국과의 무역 관계를 정상화했지만, 프랑스와의 관계 악화 및 영국에 대한 양보 등으로 인해 민주공화당의 격렬한 반발을 샀다. 매디슨은 이 조약이 "모든 본질적인 이익을 희생하고 우리나라의 명예를 짓밟았다"고 비판하며 조약 비준을 막기 위해 노력했으나 실패했다. 제이 조약에 대한 매디슨의 강력한 반대는 한때 긴밀했던 워싱턴 대통령과의 관계가 완전히 단절되는 결과를 낳았다.
1797년 매디슨은 의회를 떠났지만, 이듬해 제퍼슨과 함께 연방 정부의 권한 남용에 맞서 주의 권리를 옹호하는 켄터키-버지니아 결의문을 비밀리에 작성하며 정치적 영향력을 이어갔다. 이 결의문은 주가 위헌적인 연방 법률의 효력을 거부할 수 있다는 무효화 이론의 기초를 제공했다.[3]
6. 국무장관 (1801-1809)
토머스 제퍼슨 행정부에서 매디슨은 국무장관으로 임명되어, 재무장관 앨버트 갤러틴과 함께 내각의 핵심 인물로 활동했다. 외교 경험은 부족했지만, 사교성이 뛰어난 아내 돌리의 도움을 받아 워싱턴 D.C.의 정치 및 사교계에서 활동했다.
국무장관으로서 매디슨은 대법원과 중요한 법적 다툼을 겪기도 했는데, 대표적인 사례가 ''마버리 대 매디슨'' 사건이다. 이 판결은 미국 헌정사에서 중요한 사법심사 원칙을 확립하는 계기가 되었다.
매디슨의 국무장관 재임 기간 중 가장 큰 외교적 도전은 당시 전쟁 중이던 영국과 프랑스 사이에서 미국의 중립을 지키는 것이었다.[4] 초기에는 양국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려 했으나, 나폴레옹의 부상과 계속되는 유럽 전쟁 속에서 미국의 중립 유지는 점점 어려워졌다.
이 시기 주요 성과 중 하나는 1803년 루이지애나 매입이다. 나폴레옹의 결정으로 미국은 1500만달러에 광대한 영토를 확보하여 국토를 크게 확장했다. 매디슨은 헌법적 논란에도 불구하고 국가 이익을 위해 이 매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했다.
그러나 1805년 이후 영국과의 관계는 급격히 악화되었다. 영국 해군의 미국 상선 나포와 선원 징병 등 중립권 침해가 빈번해졌고, 프랑스 역시 미국의 해상 무역을 방해했다. 이에 매디슨과 제퍼슨 행정부는 경제적 압박 수단으로 통상 금지법을 시행했으나, 이는 외교적 성과 없이 미국 경제에 큰 피해만 안겨주었다.
이러한 외교적 어려움 속에서도 매디슨은 제퍼슨의 뒤를 이을 유력한 민주공화당 후보로 부상하여, 1808년 대통령 선거에서 연방당 후보 찰스 코츠워스 핑크니를 꺾고 제4대 미국의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6. 1. 루이지애나 매입

제퍼슨 행정부에서 매디슨은 국무장관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외교 경험이 부족했지만, 재무장관 앨버트 갤러틴과 함께 제퍼슨 내각의 핵심 인물이었다. 매디슨은 내성적인 성격이었으나, 사교성이 뛰어난 아내 돌리 매디슨의 도움을 받아 공직 생활의 사회적 부담에 대처했다. 당시 프랑스에서는 나폴레옹이 집권하면서 민주공화당 내 프랑스에 대한 우호적인 분위기는 다소 누그러졌고, 매디슨은 프랑스와 영국 사이에서 벌어지던 제1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에서 중립을 유지하고자 노력했다. 국내적으로 제퍼슨 행정부는 연방주의자들이 추진했던 정책 상당수를 폐지했는데, 외국인 및 선동법 폐지, 내국세 폐지, 군비 축소 등이 이루어졌다. 다만, 갤러틴의 설득으로 제1 미국 은행은 유지되었다. 한편, 연방주의 세력은 약화되었지만 존 마셜 대법원장은 사법부에서 연방주의 이념을 지켜나갔다. 특히 마버리 대 매디슨 판결을 통해 매디슨 국무장관이 전임 행정부의 임명장을 전달하지 않은 것은 부당하다고 판결하면서도, 대법원에는 해당 사건의 관할권이 없다고 결정했다. 이 판결은 사법심사 원칙을 확립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제퍼슨 대통령은 미국인들의 서부 진출에 깊이 공감했으며, 서부 영토 확장을 위해 미시시피강 서쪽의 스페인 영토인 루이지애나 획득을 희망했다. 제퍼슨 행정부 초기, 스페인이 루이지애나를 프랑스에 반환할 계획이라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프랑스가 미국 영토를 위협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졌다. 이에 1802년, 제퍼슨과 매디슨은 먼로를 프랑스로 파견하여 미시시피강 유역과 뉴올리언스의 매입 협상을 진행하도록 했다. 뉴올리언스는 미국 서부 농민들에게 매우 중요한 항구였다.

그러나 나폴레옹은 자신이 광대한 루이지애나 영토를 방어하기 어렵다고 판단하고, 영국에게 빼앗기기보다는 미국에 판매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생각했다. 프랑스 정부는 뉴올리언스뿐만 아니라 루이지애나 전체 영토의 매각을 제안했다. 제퍼슨의 명확한 승인은 없었지만, 먼로는 프랑스 주재 미국 공사 로버트 리빙스턴과 함께 협상을 진행하여 루이지애나 매입을 성사시켰다. 미국은 1500만달러에 약 2140000km2(약 2144465.83km2)가 넘는 광대한 영토를 확보하게 되었고, 이는 미국 영토를 두 배로 확장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제퍼슨은 루이지애나 매입의 헌법적 근거에 대해 우려하며 영토 획득을 명시적으로 허용하는 헌법 개정안을 제안하는 것을 고려했다. 그러나 매디슨은 이러한 상황에서는 헌법의 엄격한 해석보다는 국가 이익을 우선해야 한다고 제퍼슨을 설득했고, 행정부는 결국 헌법 개정 없이 상원에 루이지애나 매입 조약을 제출했다. 매디슨은 이 매입이 국가에 이익이 되므로 헌법적 정당성에 대해 크게 우려하지 않았다. 상원은 조약을 신속하게 비준했으며, 하원 역시 관련 법안을 빠르게 통과시켰다. 이처럼 제퍼슨과 매디슨은 기존의 당 정책 방향을 전환하면서까지 루이지애나 매입을 추진하여 의회의 승인을 얻어내는 데 성공했다. 이는 제퍼슨 행정부의 중요한 외교적 성과로 평가받는다.
6. 2. 통상 금지법
제퍼슨 행정부에서 국무장관을 지낸 매디슨이 직면한 주요 외교 과제는 전쟁 중이던 영국과 프랑스 사이에서 미국의 중립을 유지하는 것이었다.[4] 초기에는 양국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으나, 1805년 이후 영국과의 관계는 악화되었다. 영국은 미국 상선을 나포하고 프랑스 항구로 향하는 미국 상품을 압류했으며, 영국 해군 탈영병이라는 명목으로 미국 선원들을 강제 징병했다. 이에 대응하여 의회는 수입 금지법(Non-importation Act)을 통과시켜 영국 상품 수입을 제한했다.1807년 6월, 영국 군함 리오파드호가 미국 군함 체서피크호를 공격하여 선원들을 납치한 체서피크-리오파드 사건이 발생하면서 양국 간 긴장은 극도로 고조되었다. 프랑스 역시 미국 선박에 대한 공격을 시작했다. 매디슨은 경제적 압력이 영국과 프랑스로 하여금 미국의 중립 권리를 존중하게 만들 수 있다고 믿었고, 제퍼슨 대통령과 함께 의회를 설득하여 통상 금지법(Embargo Act of 1807)을 제정하도록 했다. 이 법은 미국의 모든 선박이 외국 항구로 출항하는 것을 금지하고, 외국 선박이 미국 항구에서 화물을 싣는 것을 막는 등 사실상 모든 대외 무역을 중단시키는 강력한 조치였다.
그러나 통상 금지법은 외교 정책 목표 달성에 실패했다. 영국과 프랑스는 미국의 요구에 응하지 않았고, 오히려 법의 가장 큰 피해는 미국 경제가 입게 되었다. 특히 해외 무역 의존도가 높았던 뉴잉글랜드 지역의 상인과 농민들은 극심한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으며, 법에 대한 불만이 높아지고 밀수가 성행하는 등 시행에도 어려움이 따랐다. 결국 통상 금지법은 비효율적이고 인기가 없다는 것이 명백해졌다.
매디슨이 대통령으로 당선된 후, 그의 취임 직전인 1809년 3월, 의회는 통상 금지법을 폐지했다. 대신 영국과 프랑스와의 교역만을 금지하고 다른 국가들과의 무역은 허용하는 무역 금지법(Non-Intercourse Act of 1809)을 제정했다.
7. 대통령 재임 (1809-1817)
제퍼슨 대통령의 임기 초부터 매디슨이 그의 뒤를 이을 유력한 후보로 거론되었다. 그러나 매디슨은 금수 조치와의 연관성 때문에 특히 북동부 지역에서 인기가 떨어지는 등 당내 기반이 약화되었다. 1800년 이후 연방당이 전국적인 영향력을 잃으면서, 매디슨의 대선 출마에 대한 주요 반대는 오히려 민주공화당 내부에서 나왔다. 매디슨은 존 랜돌프 의원이 이끄는 당내 반대파(터티엄 퀴드)의 공격 대상이 되기도 했다.
랜돌프는 영국과의 먼로-핑크니 조약 제안 거부에 불만을 품은 제임스 먼로를 설득하여 매디슨에게 도전하도록 했다. 또한 북부의 많은 당원들은 부통령 조지 클린턴이 매디슨 대신 제퍼슨의 후계자가 되기를 바랐다.
이러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매디슨은 1808년 1월 의회 후보 지명 모임에서 민주공화당의 대통령 후보로 지명되었다. 당시 연방당은 뉴잉글랜드를 제외하고는 세력이 약했기 때문에, 매디슨은 1808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연방당 후보 찰스 코테스워스 핑크니를 비교적 쉽게 누르고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7. 1. 취임과 내각 구성

1809년 3월 4일, 제임스 매디슨은 미국 국회의사당 하원 의사당에서 존 마셜 대법원장 앞에서 취임 선서를 하고 미국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퇴임하는 제퍼슨 대통령도 이 자리에 참석했다.[56] 조지 클린턴 부통령 역시 두 번째 임기를 시작하며, 두 명의 대통령을 연이어 모신 최초의 미국 부통령이 되었다.
정치적 통합과 폭넓은 지지를 누렸던 제퍼슨과 달리, 매디슨은 취임 초기부터 정치적 어려움에 직면했다. 이전의 정치적 동맹이었던 제임스 먼로와 부통령 조지 클린턴 등으로부터 반대에 부딪혔으며,[56] 금수 조치에 대한 반발로 연방당의 세력이 다시 커지고 있었다.
매디슨의 내각 구성 또한 순탄치 않았다. 그의 내각은 전반적으로 약하다는 평가를 받았다.[56] 당초 매디슨은 앨버트 갤러틴을 미국 국무장관으로 지명하려 했으나, 먼로와 클린턴 등의 반대에 부딪혔다. 매디슨은 의회와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 결국 갤러틴의 지명을 철회하고 그를 미국 재무장관직에 유임시켰다. 대신 로버트 스미스가 국무장관에 임명되었으나,[56] 스미스는 업무 능력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고, 매디슨이 실제 국무장관의 업무 대부분을 처리해야 했다. 결국 당내의 격렬한 논쟁 끝에 1811년 4월, 매디슨은 스미스를 해임하고 제임스 먼로를 새로운 국무장관으로 임명했다.[57] 다른 내각 구성원들은 주로 정치적 화합을 고려하여 임명되었으며, 대체로 눈에 띄는 활약을 보이지 못하거나 무능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자신이 불신하는 인물들로 구성된 내각 때문에 매디슨은 내각 회의를 거의 소집하지 않았고, 대신 재무장관 갤러틴과 개별적으로 주요 정책을 논의하는 방식을 선호했다.[58]
대통령 임기 초반, 매디슨은 제퍼슨 행정부의 기조를 이어받아 낮은 세금과 국가 부채 감축 정책을 추진하고자 했다. 그러나 1811년, 미국 제1은행의 설립 허가(charter)가 만료될 상황에 놓였을 때 매디슨이 명확한 입장을 보이지 않자 의회는 결국 허가 연장을 불허했다.
직책 | 성명 | 임기 |
---|---|---|
대통령 | 제임스 매디슨 | 1809년 - 1817년 |
부통령 | 조지 클린턴 | 1809년 - 1812년 |
엘브리지 게리 | 1813년 - 1814년 | |
국무장관 | 로버트 스미스 | 1809년 - 1811년 |
제임스 먼로 | 1811년 - 1814년, 1815년 - 1817년 | |
재무장관 | 앨버트 갤러틴 | 1809년 - 1814년 |
조지 캠벨 | 1814년 | |
알렉산더 달러스 | 1814년 - 1816년 | |
윌리엄 H. 크로포드 | 1816년 - 1817년 | |
육군장관 | 윌리엄 유스티스 | 1809년 - 1812년 |
존 암스트롱 주니어 | 1813년 | |
제임스 먼로 | 1814년 - 1815년 | |
윌리엄 H. 크로포드 | 1815년 - 1816년 | |
조지 그레이엄 (임시대행) | 1816년 - 1817년 | |
법무장관 | 시저 오거스터스 로드니 | 1809년 - 1811년 |
윌리엄 핑크니 | 1811년 - 1814년 | |
리처드 러시 | 1814년 - 1817년 | |
우정장관 | 기디언 그랜저 | 1809년 - 1814년 |
리턴 조나단 메그스 | 1814년 - 1817년 | |
해군장관 | 폴 해밀턴 | 1809년 - 1813년 |
윌리엄 존스 | 1813년 - 1814년 | |
벤자민 윌리엄스 크라우닌실드 | 1815년 - 1817년 |
7. 2. 미영 전쟁 (1812년 전쟁)
1807년 제퍼슨 행정부 말기에 제정된 1807년 무역금지법이 매디슨 취임 직후 폐지되었음에도, 영국 및 프랑스와의 해상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다.[64] 매디슨은 미국 선박에 대한 공격을 중단하는 국가와 먼저 무역을 재개하겠다고 제안하며 영국과 프랑스를 서로 압박하는 새로운 전략을 시도했지만, 1809년 중반 영국과의 협상이 결렬되면서 실패로 돌아갔다.[64] 이후 나폴레옹은 미국이 영국에 대해서도 무역 제한을 가한다면 프랑스는 미국 선박 공격을 중단하겠다고 제안했고, 매디슨은 이를 수용했다.[64] 그러나 영국은 해상 정책을 바꾸지 않았고, 프랑스 역시 약속을 어기고 미국 선박을 계속 공격했다.[64]계속되는 영국의 모욕, 특히 영국 해군의 미국 상선 나포와 미국인 선원 강제 징집은 미국의 여론을 악화시켰다.[61] 영국은 탈영병이나 위조 신분증 사용자를 찾는다는 명분을 내세웠지만, 실제로는 나폴레옹 전쟁 수행에 필요한 부족한 해군 인력을 미국인 납치를 통해 보충하려는 의도였다.[61] 또한 영국은 캐나다와 미시시피 강 서부의 아메리카 원주민들을 지원하고 선동하여 미국의 서부 개척을 방해하고 안보를 위협했다.[60] 이러한 영국의 지속적인 도발과 외교적 해결 노력의 실패 속에서, 미국 내에서는 국가의 명예 회복을 위한 "제2의 독립 전쟁"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졌다.[64] 특히 헨리 클레이와 존 C. 칼훈 등이 이끄는 매파(War Hawks) 의원들은 전쟁을 강력히 주장했다.[64] 많은 미국인들은 영국령 캐나다를 쉽게 점령하여 협상 카드로 사용하거나 영구히 통제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64] 결국 외교적 해결책이 실패하자 매디슨은 전쟁이 불가피하다고 판단했고,[64] 1812년 6월 1일, 의회에 영국의 "미국에 대한 전쟁 상태"를 더 이상 용인할 수 없다며 선전포고를 요청했다.[59] 선전포고는 지역 및 당파에 따라 찬반이 갈렸는데, 연방당과 북동부 지역의 일부 민주공화당 의원들은 전쟁에 반대했다.[64]

매디슨 행정부는 전쟁 준비가 부족한 상태에서 개전을 맞이했다. 이전 행정부들을 거치며 군대 규모가 축소되었기 때문에, 대부분 훈련이 부족한 민병대에 의존해야 했다.[59] 매디슨은 의회에 군비 증강을 요청했지만,[64] 전쟁 초기 미국의 캐나다 침공 시도는 실패로 돌아갔다. 매디슨은 디트로이트 요새를 거점으로 세 방향에서 캐나다를 공격할 계획이었으나, 북동부 주지사들의 비협조와 민병대의 한계로 차질을 빚었다.[64] 1812년 8월, 윌리엄 헐 장군은 디트로이트 포위전에서 영국군과 테컴세가 이끄는 원주민 연합군에 겁을 먹고 싸우지도 않고 항복했다.[64] 10월에는 퀸스턴 고지 전투에서도 미군이 패배했다.[64] 전쟁 자금 조달도 어려워 뉴욕과 필라델피아 은행가들의 고금리 대출에 의존해야 했다.[64]
전쟁 중 치러진 1812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매디슨은 민주공화당의 재지명을 받았다.[64] 전쟁에 반대하거나 매디슨의 전쟁 수행 방식에 불만을 품은 북동부 민주공화당원들과 연방당은 뉴욕 부지사 디윗 클린턴을 단일 후보로 내세워 매디슨에게 도전했다.[64] 매디슨은 북동부의 반전 여론을 의식해 매사추세츠 주지사 엘브리지 게리를 부통령 후보로 지명했다.[64] 클린턴이 북동부에서 강세를 보였지만, 매디슨은 펜실베이니아와 남부, 서부의 압도적인 지지를 바탕으로 재선에 성공했다. 다만 득표율 차이는 이전 선거보다 줄어들었다.[64]

전쟁 초기 육상에서의 연이은 패배에도 불구하고, 미국 해군은 USS 컨스티튜션 등의 활약으로 몇 차례 인상적인 승리를 거두며 국민들의 사기를 높였다.[64] 서부 전선에서는 에리 호수 전투에서의 승리로 영국군의 보급선을 차단했고,[64] 윌리엄 헨리 해리슨 장군은 템즈 전투(1813)에서 영국군과 테컴세 연합을 격파했다. 이 전투에서 테컴세가 전사하면서 미국 북서부 지역에서 원주민들의 조직적인 저항은 사실상 종결되었다.[64] 남부에서는 앤드류 잭슨 소장이 말발굽 만 전투(1814)에서 영국과 동맹을 맺은 크리크족을 제압했다.[64]
한편, 1814년 유럽에서 나폴레옹이 몰락하자 영국은 미국과의 전쟁에 병력을 증강 투입했다.[63] 1814년 8월, 영국군은 체서피크 만에 상륙하여 블라덴스버그 전투에서 미군을 격파하고 수도 워싱턴 D.C.를 점령했다.[63] 매디슨 대통령 부부는 버지니아로 피신해야 했고, 영국군은 백악관과 미국 국회의사당 등 주요 건물에 불을 질렀다.[63] 이때 검게 그을린 대통령 관저 외벽을 흰색 페인트로 칠하면서 백악관(White House)이라는 별칭이 유래되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63] 수도 함락과 방화는 미국에게 큰 충격과 치욕을 안겨주었다.[64] 그러나 영국군은 이어진 볼티모어 전투에서 미군의 저항에 막혀 퇴각했고,[64] 북부에서는 플랫츠버그 전투에서 미군이 승리하며 영국의 캐나다 방면 침공을 저지했다.[64]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양측 모두 부담을 느끼기 시작했다. 영국은 나폴레옹 전쟁으로 국력이 소진된 상태였고, 예상외로 강한 미국의 저항에 당황하며 전쟁을 조기에 마무리 짓기를 원했다.[64] 미국 역시 실익 없는 전쟁이 길어지는 것을 바라지 않았다.[64] 매디슨 행정부는 러시아의 중재 제안을 받아들여 앨버트 갤러틴, 존 퀸시 애덤스 등을 유럽에 파견하여 평화 협상을 진행했다.[64] 마침내 1814년 12월 24일, 벨기에 헨트에서 헨트 조약이 체결되어 전쟁 이전의 상태로 국경을 회복하는 조건으로 종전에 합의했다.[64] 미국 상원은 1815년 2월 16일에 이 조약을 비준했다.[64]
공교롭게도 종전 조약 체결 소식이 미국에 전해지기 전인 1815년 1월, 앤드류 잭슨이 이끄는 미군이 뉴올리언스 전투에서 영국 정규군을 상대로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64] 이 전투의 승리는 종전 소식과 맞물려 미국인들에게 마치 전쟁에서 승리한 듯한 인상을 주었고, 이는 매디슨 대통령의 명성을 회복시키는 데 크게 기여했다.[64]
미영 전쟁은 영토 변화 없이 끝났지만, 미국에게 중요한 의미를 남겼다. 세계 최강국 영국과 대등하게 싸웠다는 경험은 미국의 국제적 위상을 높였고, 국내적으로는 민족주의와 애국심을 고취시켜 연방의 결속을 다지는 계기가 되었다.[64] 또한 전쟁 기간 중 영국 상품 수입이 중단되면서 미국의 산업 발전이 촉진되었고, 영국으로부터의 경제적, 문화적 독립성이 강화되었다.[64] 전쟁을 반대했던 연방당은 하트퍼드 회의 등으로 분열주의적이라는 비판을 받으며 급격히 쇠퇴했고, 미국 정치는 당파적 갈등이 완화된 이른바 좋은 감정의 시대로 접어들게 되었다.[64]
7. 3. 지중해 해적 소탕
제2차 바르바리 전쟁은 지중해에서 해적 국가에 공물을 바치는 관습을 결정적으로 종식시키고, 그 지역에서 해적 시대의 종말을 가져오게 되었다.7. 4. 전후 내정 정책
매디슨의 두 번째 임기 이후는 1815년 중반부터 1817년까지 좋은 감정의 시대로 넘어가는 시기였으며, 이 기간 동안 연방당의 영향력은 더욱 줄어들었다. 전쟁 중 뉴잉글랜드 주 대표들이 모여 하트퍼드 협약을 체결하고 헌법 개정을 요구했으나, 이 협약이 명시적으로 뉴잉글랜드의 분리를 주장하지는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영국과의 전쟁을 성공적인 "제2의 독립 전쟁"으로 여기던 당시 미국 내 여론에 반하는 행동으로 비춰져 정치적으로 큰 타격을 입었다.매디슨은 과거 자신이 반대했던 여러 정책들을 수용함으로써 연방당의 약화를 더욱 부추겼다. 전쟁 자금 조달의 어려움과 통화 규제 기관의 필요성을 느낀 매디슨은 국립 은행 재건을 제안했다. 또한 군비 지출 증강, 미국 상품 보호를 위한 보호 관세 도입, 도로 및 운하와 같은 내부 개량 사업에 대한 연방 정부 지원을 가능하게 할 헌법 개정을 요구했다. 특히 국립 은행 설립 지지는 과거 알렉산더 해밀턴의 주장에 반대했던 입장에서 돌아선 것으로 여겨져, 존 랜돌프와 같은 엄격한 해석주의자들의 비판을 받았다. 랜돌프는 매디슨의 제안이 "알렉산더 해밀턴을 능가한다"고 평했다. 이러한 매디슨의 제안에 부응하여 제14차 미국 의회는 당시까지 가장 생산적인 입법 활동을 보였다. 의회는 미국 제2 국립은행에 25년 기한의 설립 허가를 내주었고, 외국산 상품 전반에 높은 관세를 부과하는 1816년 관세법을 통과시켰다. 매디슨은 서부 지역 연결을 위한 컴벌랜드 도로 건설에 대한 연방 정부 지출을 승인하기도 했다.
제1 미국 은행의 20년 기한 허가는 매디슨 행정부 2년차인 1811년에 만료될 예정이었다. 매디슨은 1791년 은행 설립을 막지 못했기에 허가 만료를 기다리고 있었다. 그러나 재무장관 앨버트 갤러틴은 은행 재인가를 원했고, 1812년 미영 전쟁이 발발하자 은행 없이는 전쟁 비용 충당이 어렵다는 점이 명확해졌다. 갤러틴의 후임 알렉산더 J. 달라스는 1814년 은행 재설립을 제안했으나 매디슨은 1815년 관련 법안을 거부했다. 하지만 1815년 후반, 매디슨은 입장을 바꿔 의회에 새로운 은행 설립을 요청했고, 이는 존 C. 칼훈, 헨리 클레이와 같은 젊은 공화당원들과 연방당의 다니엘 웹스터 등의 강력한 지지를 받았다. 결국 매디슨은 1816년 제2 미국 은행 설립 법안에 서명하고 윌리엄 존스를 초대 총재로 임명했다.
국내에서는 전쟁에 대한 비판도 있었지만, 전쟁 기간 동안 영국 제품 유입이 중단되면서 미국 경제의 영국 의존도를 낮추고 국민들의 문화적, 정신적 독립을 촉진하는 계기가 되었다. 전쟁이 끝나고 평화가 찾아오자 미국은 영국으로부터 완전한 독립을 이뤘다는 분위기에 휩싸였다. 연방당은 사실상 붕괴되어 정계에서 사라졌고, 정치적 논쟁은 계속되었지만 극단적인 대립은 줄어드는 좋은 감정의 시대가 시작되었다.
매디슨은 해밀턴주의자들이 주장했던 국립 은행, 관세 기반의 효율적인 조세 제도, 상비군과 강력한 해군의 필요성을 인정했지만, 내부 개량 문제에 있어서는 일정한 선을 그었다. 그는 임기 종료 직전 마지막 조치로 도로, 교량, 운하 건설 등 "내부 개량"을 위한 연방 자금 지원 법안(1817년 보너스 법안)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했다. 그는 이 법안이 조세 및 지출 조항의 일반 복지 증진 범위를 넘어서는 위헌적 요소가 있다고 판단했다.
매디슨은 법안 거부 이유를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 "이 법안을 생각해 보면… 저는 이 법안을 미국 헌법에 부합시키는 것은 극복할 수 없는 어려움이 있다는 생각에 사로잡혀 있습니다.… 헌법에서는… 의회에 주어진 입법권은 구체적이며, 이 법안에 의해 행사되는 권한은 헌법에 열거된 권한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43]
그는 의회가 내세운 '과세와 지출 조항의 일반 복지 규정'이 법안을 정당화한다는 견해를 반박하며 이렇게 덧붙였다.
: "헌법의 그러한 해석은 의회에 속한다고 이해되는 정의되고 제한된 권한 대신 일반적인 입법 권한을 부여하게 됩니다. '공동의 방위와 일반의 복지'라는 말은 모든 대상을 포함하며, 입법의 신탁이라는 관점에서 행동하는 것입니다."
다만 매디슨은 연방 차원에서 도로와 운하 건설을 지원하여 "우리의 확장된 연방의 여러 곳을 밀접하게 묶는" 것이 국가 권력 하에 실행되어야 할 중요한 과제 중 하나라고는 인정했다.
8. 퇴임 이후 (1817-1836)
1817년 대통령직에서 물러난 매디슨은 65세의 나이로 버지니아주에 있는 자신의 담배 농장 몬트펠리어로 돌아와 은퇴 생활을 시작했다. 몬트펠리어는 토머스 제퍼슨의 몬티첼로에서 멀지 않은 곳에 있었다. 다른 초기 대통령들처럼 매디슨 역시 퇴임 시 재정적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며, 이는 담배 가격 하락과 농장 경영 문제 때문이었다.[44]
은퇴 후에도 매디슨은 정치적 사안에 대해 꾸준히 관심을 가지며 여러 인물과 서신을 교환했고, 앤드루 잭슨과 같은 후임 대통령들에게 조언을 하기도 했다. 그는 미주리 타협과 같은 민감한 문제에 공개적으로 개입하지는 않았으나, 무효화 위기 당시에는 연방 탈퇴권 주장을 강하게 비판했다.
매디슨은 제퍼슨의 버지니아 대학교 설립을 도왔으며, 오랫동안 대학 운영에 참여했다. 1826년 제퍼슨이 사망하자 그의 뒤를 이어 버지니아 대학교의 제2대 총장으로 임명되어, 1836년 사망할 때까지 10년간 총장직을 수행했다.
1829년, 78세의 매디슨은 버지니아주 헌법 개정을 위한 리치먼드 헌법 회의에 대표로 참여하여 마지막으로 공직 활동을 했다. 이 회의에서 그는 노예제와 관련된 의석 배분 문제 등에서 타협안을 모색했으나, 큰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다.[47]
말년에 매디슨은 자신의 정치적 유산과 기록을 정리하는 데 많은 시간을 보냈으며, 때로는 과거의 서신이나 문서를 수정하기도 했다.[45] 건강 악화와 재정난 속에서도 그는 정치적 문제에 대한 글을 남기려 노력했다.[46][48]
매디슨은 1836년 6월 28일, 몬트펠리어에서 8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사인은 류머티즘과 심부전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자녀가 없었으며, 건국의 아버지 세대 중 마지막 생존자였다.[49] 그의 사후, 제헌 회의에 대한 상세한 기록들이 출판되었다.
매디슨의 초상화는 과거 5000 달러 지폐에 사용되기도 했다. 1861년과 1946년 사이에 발행된 20종류의 5000 달러 지폐 중 17종에 그의 초상화가 실렸다.
8. 1. 몬트펠리어 은퇴 생활

1817년 65세의 나이로 대통령 임기를 마친 매디슨은 버지니아주에 있는 자신의 담배 농장 몬트펠리어로 돌아와 은퇴 생활을 시작했다. 몬트펠리어는 토머스 제퍼슨의 몬티첼로에서 멀지 않은 곳에 있었다. 조지 워싱턴이나 제퍼슨처럼 매디슨 역시 대통령직을 수행하면서 재산이 줄어, 퇴임 당시에는 취임 때보다 더 가난한 상태였다. 담배 가격 하락과 의붓아들 존 페인 토드(John Payne Todd)의 농장 경영 부실로 인해 몬트펠리어는 지속적인 재정난에 시달렸다.[44] 일부 역사학자들은 이러한 재정적 어려움 때문에 매디슨이 자신이 기록한 미국 제헌회의 노트를 생전에 출판하지 않았다고 추측하기도 한다. 그는 노트의 가치를 알고 있었으며, 농장이 실패할 경우 아내 돌리가 노트를 팔아 자금을 마련할 수 있기를 바랐던 것으로 보인다.[44]
은퇴 후에도 매디슨은 정치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광범위한 서신 교환을 했으며, 앤드루 잭슨을 비롯한 후임 대통령들에게 조언을 제공하기도 했다. 미주리 타협을 둘러싼 공개적인 논쟁에는 직접 참여하지 않았지만, 사적으로는 노예제 확장에 대한 북부의 반대에 불만을 나타냈다. 1824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는 주요 후보 4명 모두와 좋은 관계를 유지했지만 선거에 깊이 관여하지는 않았다. 앤드루 잭슨 대통령 시기에는 무효화 운동을 공개적으로 비판하며 어떤 주도 연방에서 탈퇴할 권리가 없다고 주장했다.
매디슨은 제퍼슨이 버지니아 대학교를 설립하는 데 도움을 주었으며, 17년 동안 대학 방문자 위원회에서 활동했다. 1826년 7월 4일 제퍼슨이 사망하자, 매디슨은 버지니아 대학교의 제2대 총장으로 임명되어 사망할 때까지 10년간 총장직을 수행했다.
1829년, 78세의 매디슨은 버지니아주 헌법 개정을 위한 리치먼드 헌법 회의의 대표로 선출되어 마지막으로 공직 활동에 참여했다. 회의의 주요 쟁점은 주의 서부 지역과 동부 지역 간의 공정한 의석 배분 문제였다. 당시 버지니아 헌법은 노예 인구를 포함하여 인구에 따라 의석을 배분했기 때문에, 노예 소유가 적은 서부 지역은 인구에 비해 적은 의석을 할당받는 것에 불만을 가지고 있었다. 서부 대표들은 또한 재산 소유 자격 요건을 폐지하고 모든 백인 남성에게 투표권을 확대할 것을 요구했다. 매디슨은 과거 미국 헌법 제정 당시 사용했던 '3분의 5 타협'과 유사한 타협안을 제시하려 했으나 성공하지 못했고, 결국 노예 인구를 지역 인구에 포함시키는 동부 농장주들의 입장이 관철되었다. 매디슨은 버지니아 주민들이 투표권 확대 문제 등을 더 공정하게 해결하지 못한 것에 실망감을 느꼈다.[47]
말년에 매디슨은 자신의 역사적 유산에 대해 깊이 고심했다. 그는 자신이 소장한 서신과 문서를 수정하는 작업에 몰두했는데, 날짜를 바꾸거나 단어와 문장을 추가 또는 삭제하는 방식으로 내용을 변경했다. 70대 후반에는 이러한 문서 '가공'이 거의 집착에 가까울 정도였다. 예를 들어, 그는 라파예트를 비판하는 제퍼슨의 편지를 편집하면서 원래 문장을 지웠을 뿐만 아니라 제퍼슨의 필체를 모방하기도 했다.[45] 이는 자신의 행동을 정당화하고 역사를 통해 자신을 명확히 드러내려는 의도였을 수 있다. 역사가 드류 R. 맥코이(Drew R. McCoy)는 매디슨의 말년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술했다.
생애 마지막 6년 동안, 그를 집어삼킬 위기에 처한 막대한 재정적 어려움 속에서... 때로는 정신적 불안이 신체적 붕괴로 이어졌습니다. 1831년과 1832년 1년 동안 그는 거의 침대에 누워 지냈습니다... 문자 그대로 불안으로 병들어 그는 동포들에게 자신의 생각을 이해시킬 수 있을지 절망하기 시작했습니다.[46]
건강이 악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매디슨은 연방 의회와 군대에 목사를 임명하는 것에 반대하는 글을 쓰는 등 정치적 문제에 대한 메모를 남기기도 했다.[48]
매디슨은 1836년 6월 28일, 류머티즘과 심부전으로 몬트펠리어에서 8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는 자녀가 없었으며, 건국의 아버지 세대 중 마지막 생존자였다.[49] 그의 오랜 하인이었던 폴 제닝스(Paul Jennings)는 매디슨이 "촛불이 꺼지듯 조용히 숨을 거두었다"고 증언했다.[50] 매디슨은 몬트펠리어의 가족 묘지에 묻혔다. 그가 제헌 회의 당시 상세하게 기록했던 노트들은 그의 사후 몇 년 뒤에 출판되었다.
8. 2. 버지니아 대학교 설립 참여
매디슨은 토머스 제퍼슨이 버지니아 대학교를 설립하는 데 도움을 주었으며,[44] 17년 동안 버지니아 대학교 방문자 위원회에서 활동했다. 1826년 제퍼슨이 사망하자, 매디슨은 그의 뒤를 이어 버지니아 대학교의 제2대 총장(Rector)으로 임명되었다. 이는 그의 마지막 공직이었으며, 1836년 사망할 때까지 10년간 총장직을 유지했다.8. 3. 노예 제도에 대한 입장 변화
제임스 매디슨의 노예제에 대한 견해는 평생 동안 모순된 모습을 보였다. 그는 노예 노동에 의존하는 플랜테이션 사회에서 태어났으며, 그의 가족은 담배 농장을 통해 이익을 얻었다. 매디슨은 노예 제도가 남부 경제에 필수적이라고 생각하면서도, 다수의 노예 인구에 의존하는 사회의 불안정성에 대해 고민했다. 그는 노예 제도가 미국 혁명의 원리와 양립할 수 없다고 믿었지만, 평생 100명이 넘는 아프리카계 미국인 노예를 소유했다. 역사가 파리스 스파이스-간스(Paris Spies-Gans)에 따르면, 매디슨의 반노예제 사상은 "혁명 정치의 절정기에 가장 강력했으나, 1800년대 초 정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위치에 있었을 때 이러한 견해를 따르지 못했다"고 평가된다. 스파이스-간스는 "결국, 매디슨의 노예 제도에 대한 개인적 의존은 그가 자신의 한때 계몽적인 자유에 대한 정의 자체를 의심하게 만들었다"고 결론지었다.매디슨은 다른 남부 플랜테이션처럼 노예 노동에 의존하는 몽펠리에(Montpelier)에서 자랐다. 1769년 대학 진학을 위해 프린스턴 대학교로 떠날 때, 그의 노예 소니(Sawney)가 동행하여 그의 경비를 책임지고 가족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는 역할을 했다. 1783년, 몽펠리에에서 노예 반란 가능성을 우려한 매디슨은 노예 빌리(Billey)를 7년간의 견습 계약으로 팔아 사실상 해방시켰다. 빌리는 이후 윌리엄 가드너로 이름을 바꾸고 필라델피아에서 매디슨을 대리하는 선박 대리인이 되었다. 1801년 아버지가 사망하자 매디슨은 몽펠리에와 100명 이상의 노예를 상속받았다. 국무장관이 되어 워싱턴 D.C.로 이주한 후에도 그는 멀리서 몽펠리에를 운영했으며, 노예들을 해방하려는 노력은 하지 않았다. 1808년 대통령으로 선출된 후에는 노예들을 백악관으로 데려왔다. 1820년대와 1830년대에는 빚 때문에 토지와 노예 일부를 팔아야 했다. 1836년 사망 당시 그는 36명의 과세 대상 노예를 소유하고 있었다. 유언으로 남은 노예들을 아내 돌리(Dolley)에게 물려주며 그들의 동의 없이 팔지 말라고 했지만, 돌리는 결국 빚 때문에 동의 없이 노예들을 팔았다.
매디슨은 당시 버지니아 사회의 규범에 따라 농장 문서에서 노예에 대한 인도적인 대우를 강조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감독관에게 "필요한 복종과 노동과 일치하는 모든 인간성과 친절로 흑인들을 대우하라"고 지시했으며, 노예들에게 매일 음식을 위한 젖소와 식사를 제공하도록 했다. 1790년대에는 그의 노예 소니가 플랜테이션 일부의 감독관을 맡기도 했으며, 몽펠리에의 일부 노예들은 글을 읽을 수 있었다. 48년간 매디슨의 노예였고 백악관에서 시종으로 일했던 폴 제닝스는 1865년 출판된 회고록에서 "매디슨이 노예를 때리는 것을 본 적이 없으며, 감독관이 그렇게 하는 것도 허용하지 않았다"고 증언했다. 제닝스는 노예 제도를 비난하면서도 매디슨을 "이 세상에서 가장 훌륭한 사람 중 한 명"으로, 돌리를 "매우 훌륭한 여성"으로 묘사했다.
매디슨은 노예 제도를 "존재했던 가장 압제적인 지배"라고 불렀으며, 평생 동안 "혐오감"을 가지고 있었다고 전해진다. 1785년 버지니아 의회에서 토마스 제퍼슨이 제안한 노예 제도의 점진적 폐지 법안을 지지하는 연설을 했고, 개별 노예의 해방을 금지하는 법안 폐기에도 기여했다. 그러나 노예 소유주로서 혁명적 가치와 노예 소유의 모순을 인지하면서도, 실용주의자로서 이러한 자기 모순은 그의 정치 경력 전반에 걸쳐 나타났다. 역사가 드류 R. 맥코이는 매디슨의 반노예제 원칙이 "흠잡을 데 없다"고 평가했으며, 역사가 랄프 케트첨은 "매디슨은 노예 제도를 혐오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평생 동안 자신의 공화주의적 신념과 결코 일치시킬 수 없었던 노예 제도에 의존하는 짐을 짊어졌다"고 지적했다. 매디슨이 흑인이 본질적으로 열등하다고 생각했다는 증거는 없다. 그는 "백인들의 편견"과 더불어 "억압자와 피억압자로서의 이전 관계에서 비롯된" 양측의 감정 때문에 흑인과 백인이 평화롭게 공존하기 어렵다고 믿었다. 이 때문에 해방 노예들을 아프리카에 식민지를 건설하여 이주시키는 방안에 관심을 가졌고, 나중에는 전 노예들을 라이베리아로 이주시키는 미국 식민지화 협회의 회장을 맡기도 했다. 매디슨은 이 방법이 미국에서 노예 제도를 근절하는 점진적이고 장기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다고 보았지만, 장기적으로는 두 인종 집단 간의 평화로운 공존이 가능하다고 생각했다.
헌법 제정 과정에서 매디슨은 처음에는 외국 대서양 노예 무역을 20년간 보호하는 조항에 반대했지만, 남부 주들의 비준을 얻기 위한 필요한 타협으로 결국 수용했다. 또한 그는 하원 의석 배분 시 각 주의 자유민 인구와 노예 인구를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제안하여, 결과적으로 3/5 타협이 채택되는 데 영향을 미쳤다. 1819-1821년 미주리 위기 당시에는 서부로의 노예 제도 확장을 지지했다. 그는 노예 제도의 확산이 노예 수를 늘리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노예들을 분산시켜 생식적 증가를 감소시킬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를 통해 노예들의 상태를 개선하고, 해방을 가속화하며, 인종적 긴장을 완화하고 "부분적 해방"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보았다. 매디슨은 노예들을 "잘못된 길로 간 (그러나 여전히 교육 가능한) 학생들로서 규칙적인 지도가 필요하다"고 여겼다.
1829년, 78세의 매디슨은 버지니아 헌법 회의 대표로 선출되어 노예 문제를 다시 마주했다. 회의의 주요 쟁점은 의석 배분 문제였는데, 주 서부 지역 대표들은 노예 인구를 포함하여 의석을 배분하는 기존 방식이 노예 소유가 적은 서부에 불리하다고 주장했다. 주 서부 사람들은 노예를 거의 소유하지 않았고, 동부의 농장주들은 많은 노예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동부 백인들의 투표 가중치가 서부 백인들보다 더 컸다. 매디슨은 전성기 시절 "위대한 입법가"로 알려져 있었고, 미국 헌법에서 사용된 것과 유사하게 노예 인구의 3/5을 계산에 포함하는 타협안을 제시하려고 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 결국 동부 농장주들이 승리하여 노예 인구는 계속해서 그들 주인의 지역 인구에 포함되었다. 매디슨은 버지니아인들이 이 문제를 더 공정하게 해결하지 못한 것에 마음 아파했다. “1829년 회의는 절망적이지는 않았지만, 매디슨을 자기 기만의 벼랑 끝으로 꾸준히 몰아넣었다. 노예 제도의 난제가 그를 괴롭혔다.”[47]
8. 4. 사망
1817년 대통령 임기를 마친 매디슨은 버지니아주에 있는 그의 담배 농장인 몬트펠리어로 은퇴했다. 이곳은 제퍼슨의 몬티첼로와 멀지 않은 곳이었다. 은퇴 후에도 정치적 사안에 대해 광범위하게 서신을 주고받았으며, 1826년 제퍼슨이 사망한 후에는 그의 뒤를 이어 버지니아 대학교의 제2대 총장이 되어 사망할 때까지 10년간 봉직했다.
그러나 말년의 매디슨은 재정적 어려움과 건강 악화에 시달렸다.[44] 그는 자신의 정치적 유산에 대해 고심하며 과거의 서신과 문서들을 수정하기도 했다.[45] 1829년, 78세의 나이로 버지니아주 헌법 개정을 위한 리치먼드 헌법 회의에 대표로 참여했으나, 노예제와 관련된 의석 배분 문제에서 동부 농장주들의 입장을 넘어서는 타협안을 이끌어내지 못했다. 이 문제에 대한 고뇌는 그의 건강을 더욱 악화시킨 것으로 보인다.[46][47]
매디슨의 건강은 1830년대 내내 점차 나빠졌다. 1836년 6월 28일 아침, 그는 몬트펠리어에서 85세를 일기로 울혈성 심부전으로 사망했다.[49] (일부 자료에서는 류머티즘과 심부전으로 기록되기도 한다.) 그는 미국의 건국의 아버지 세대 중 마지막 생존자였다.[49] 임종 당시, 조카딸 넬리 매디슨 윌리스가 그의 상태를 묻자 Nothing more than a change of mind, my dear.|단지 마음이 바뀐 것뿐이네, 내 사랑아eng라고 답한 직후 숨을 거두었다는 일화가 전해진다. 그는 몬트펠리어의 가족 묘지에 안장되었다. 그의 오랜 하인이었던 폴 제닝스는 매디슨이 "촛불이 꺼지듯 조용히 숨을 거두었다"고 회고했다.[50]
매디슨은 유언을 통해 미국 식민화 협회, 프린스턴 대학교, 버지니아 대학교에 상당한 금액을 기부했으며, 아내 돌리 매디슨에게는 3만달러를 남겼다. 그러나 그가 남긴 재산은 예상보다 적었고, 돌리는 남편 사후 재정적 어려움을 겪었다. 결국 그녀는 1849년 사망하기 전까지 빚을 갚기 위해 몬트펠리어 저택과 남은 노예들, 가구 등을 매각해야 했다. 폴 제닝스는 돌리 매디슨이 말년에 "절대적인 빈곤 상태에 있었고, 때때로 생필품조차 부족했던 것 같다"고 증언하며, 자신이 그녀를 도왔던 경험을 기록으로 남겼다.
9. 유산 및 평가
미국의 건국의 아버지 중 한 명으로 여겨지는 매디슨은 미국의 건국과 초기 미국 헌법 정부 및 외교 정책 발전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다. 역사가 J.C.A. 스태그는 "1776년부터 1816년까지 젊은 국가가 직면한 모든 중요한 문제에서 승리한 쪽에 있었기 때문에—어떤 면에서 매디슨은 모든 건국 아버지 중 가장 성공적이고 아마도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이었다"고 평가했다.[1] 그는 주요 정당을 설립하고 4대 대통령을 역임했지만, 그의 유산은 주로 헌법에 대한 그의 공헌으로 정의되어 왔다. 그의 생전에도 그는 "헌법의 아버지"로 칭송받았다.[2] 법학 교수인 노아 펠드먼은 매디슨이 "지방 자치와 상위 국가 질서를 결합하는 확장된 연방 헌법이라는 현대적인 이상을 고안하고 이론화했다"고 썼다.[3] 펠드먼은 매디슨의 "자유를 보호하는 헌법 정부 모델"이 "세계 정치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미국의 사상"이라고 덧붙였다.[4] 역사가 고든 우드는 전쟁 중 그의 꾸준한 지도력과 대통령의 권력 확장을 피하려는 그의 결의에 대해 칭찬하며, 한 숭배자의 관찰을 인용하여 그 전쟁이 "반역죄 재판 한 건 없이, 심지어 명예훼손 기소 한 건 없이" 수행되었다고 언급했다.[5] 역사가들과 정치학자들의 다양한 순위는 매디슨을 평균 이상의 대통령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있으며, 2018년 미국 정치 과학 협회의 대통령 및 행정 정치 부서 여론 조사에서 매디슨은 12번째로 훌륭한 대통령으로 평가되었다.[6]
그러나 다양한 역사가들은 매디슨의 대통령직 재임 기간을 비판해 왔다.[7] 1968년, 헨리 스틸 코마저와 리처드 B. 모리스는 매디슨에 대한 기존의 견해가 "무능한 대통령"으로서 "불필요한 전쟁을 잘못 관리했다"는 것이었다고 지적했다.[8] 2006년 역사가들의 여론 조사에서 매디슨이 1812년 전쟁을 막지 못한 것은 재임 중인 대통령이 저지른 여섯 번째로 최악의 실수로 평가되었다.[9] 매디슨의 정책 결정 일관성에 관하여, 역사가 고든 S. 우드는 랜스 배닝이 그의 저서 "자유의 신성한 불" (1995)에서 "매디슨이 1790년대에 자신의 견해를 바꾸지 않았다고 주장하는 유일한 현대 학자"라고 언급했다.[10] 실제로 1812년 전쟁 중과 전쟁 후, 매디슨은 1790년대에 반대했던 여러 정책, 즉 국립 은행, 강력한 해군 및 직접 세금을 지지하게 되었다.[11] 우드는 많은 역사가들이 매디슨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지만, 매디슨을 그 자신의 시대의 관점에서—연방주의자들과는 다른 애국심 개념을 가진 애국자로서—보아야 한다고 주장한다.[12] 게리 로젠은 매디슨의 일관성을 다른 각도에서 설명하려 시도했다.[13]
개리 윌스는 매디슨에 대해 다음과 같이 평가했다.
"우리가 칭찬하는 매디슨의 공적은 완벽한 일관성 위에 있는 것이 아니라, 그의 대통령직 이상의 것이다. 그에게는 다른 미덕이 있다...농장주이자 헌법의 수호자로서 그와 대등한 자는 없었다...대통령으로서 매디슨의 공적 중 최고는 헌법을 수호하기 위한 열정이었다...누구도 이 나라를 위해 모든 것을 할 수 없었다. 워싱턴도 예외는 아니다. 매디슨은 최대 이상의 일을 해냈고, 다른 사람들보다 더 잘 여러 가지 일을 해냈다. 그래서 전적으로 충분했다."[51]
매디슨 가족의 농장인 몽펠리에는 국립 사적지로 지정되었다. 미국 의회 도서관의 일부인 제임스 매디슨 기념관은 매디슨을 위한 공식 기념관 역할을 한다.[14] 1986년 의회는 헌법 200주년 기념 행사의 일환으로 제임스 매디슨 기념 펠로우십 재단을 설립했다.[15][16]
매디슨을 기리기 위해 많은 장소와 기관이 명명되었다.
분류 | 명칭 | 설명 |
---|---|---|
군 (County) | 매디슨 군 | 미국 내 21개 군 |
도시 | 매디슨 | 위스콘신주의 주도[17][18] |
군 (County) | 매디슨 군 (앨라배마주) | 앨라배마주의 군[19] |
교육 기관 | 제임스 매디슨 칼리지 | 미시간 주립대학교의 사회 정책 및 국제 관계 전공 칼리지 |
교육 기관 | 제임스 매디슨 대학교 | 버지니아주 해리슨버그, 운동팀 제임스 매디슨 듀크스[20] |
연구소 | 제임스 매디슨 연구소 | 플로리다주 탈라해시, 헌법 제정 공헌 기념 |
산맥 | 매디슨 산맥 | 아이다호주, 1805년 루이스와 클라크 원정대의 머리웨더 루이스가 당시 국무장관 매디슨을 기념하여 명명 |
강 | 매디슨 강 | 몬태나주 남서부, 1805년 루이스와 클라크 원정대가 명명[52] |
산 | 매디슨 산 | 뉴햄프셔주 화이트 산맥 프레지덴셜 산맥 |
함선 | USS 제임스 매디슨 (SSBN-627) | 미국 해군의 원자력 잠수함[21] |
함선 | USS 매디슨 | 미국 해군 함선 3척 |
기타 | 매디슨 스퀘어 가든 | 뉴욕의 다목적 실내 경기장[22] |
thumb]]
매디슨의 초상화는 미국 5000달러 지폐에 사용되었다. 2021년, 매디슨 대도시 학군은 매디슨이 노예 노동을 사용했다는 사실에 대한 지역 사회의 반대 여론에 따라 제임스 매디슨 기념 고등학교의 이름을 변경했다.[23]
매디슨은 대중문화에서도 다루어졌다. 버지스 메러디스가 매디슨을 연기한 1946년 영화 ''매그니피센트 돌''은 돌리 매디슨의 삶을 다루며 매디슨을 주요 인물로 등장시켰다.[24] 또한 인기 뮤지컬 ''해밀턴''에도 등장하는데, 2013년 바서 대학 버전에서는 조슈아 헨리가, 2015년 브로드웨이 초연에서는 오키에리에 오나오도완이 매디슨 역을 맡았다.[25][26][27] 오나오도완은 이 역할로 그래미상을 수상했다.[28]
참조
[1]
웹사이트
The Federalist and the Republican Party | American Experience | PBS
https://www.pbs.org/[...]
[2]
웹사이트
James Madison - Founding Father, Constitution, Federalist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7-29
[3]
논문
Republicanism and American Foreign Policy: James Madison and the Political Economy of Commercial Discrimination, 1789 to 1794
https://www.jstor.or[...]
2024-09-01
[4]
위키
Virginia Resolutions of 1798
[5]
서적
James Madison and the Future of Limited Government
Cato Institute
2002
[6]
서적
Power Versus Liberty: Madison, Hamilton, Wilson and Jeffers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Virginia
2000
[7]
서적
The Sacred Fire of Liberty: James Madison and the Founding of the Federal Republic
Cornell University Press
1996
[8]
서적
Madison on the "General Welfare" of America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Inc.
1995
[9]
서적
American Compact: James Madison and the Problem of Founding
University Press of Kansas
1999
[10]
서적
The Federalist Papers
Penguin Putnam, Inc.
1999
[11]
서적
James Madison and the Future of Limited Government
Cato Institute
2002
[12]
서적
Power Versus Liberty: Madison, Hamilton, Wilson and Jeffers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Virginia
2000
[13]
서적
Madison on the "General Welfare" of America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Inc.
1995
[14]
서적
American Compact: James Madison and the Problem of Founding
University Press of Kansas
1999
[15]
웹사이트
James Madison Jr.
http://teachingameri[...]
teachingamericanhistory.org
2009-08-24
[15]
웹사이트
Madison, James, Jr.,
http://etcweb.prince[...]
Princeton University
2009-08-24
[16]
간행물
Wood, 2006b
[17]
웹사이트
Madison Debates in Convention - Tuesday June 26, 1787
http://avalon.law.ya[...]
[18]
웹사이트
Notes of the Secret Debates of the Federal Convention of 1787, TUESDAY JUNE 26TH
http://avalon.law.ya[...]
[19]
웹사이트
Jerry Fresia, "Toward an American Revolution - Exposing the Constitution and other Illusions" (South End Press, 1988)
http://www.cyberjour[...]
[20]
웹사이트
Fresia (1988) Chapter 3: The Constitution: Resurrection of an Imperial System
http://www.cyberjour[...]
[21]
웹사이트
James Madison to Thomas Jefferson, March 2, 1794.
http://memory.loc.go[...]
[21]
웹사이트
Thomas Jefferson to President Washington, May 23, 1792
http://memory.loc.go[...]
[21]
웹사이트
Thomas Jefferson to John Melish, January 13, 1813.
http://memory.loc.go[...]
[22]
웹사이트
The height differences between all the US presidents and first ladies
https://www.business[...]
[23]
서적
ちょっと笑える話
文藝春秋
[24]
서적
アメリカ大統領を読む事典
講談社
[25]
웹사이트
Did James Madison suffer a nervous collapse due to the intensity of his studies?
http://blogs.princet[...]
Princeton University Archives and Public Policy Papers Collection
[26]
서적
アメリカ大統領の妻たち
メタモル出版
[27]
서적
James Madison: A Biograph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Virginia Press
2009-02-06
[28]
웹사이트
James Madison Biography
http://www.american-[...]
2009-07-29
[29]
간행물
Wood, 2006
[30]
웹사이트
Selected summaries of ''The Federalist Papers''
http://wikisum.com/w[...]
2031-10-03
[31]
논문
Madison's Audience
1999
[32]
웹사이트
James Madison: Federalist
http://www.loc.gov/l[...]
[33]
웹사이트
Madison to Hamilton Letter
http://memory.loc.go[...]
2008-02-02
[34]
간행물
Matthews, 1995
[35]
간행물
Matthews, 1995
[36]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of the United States
http://frwebgate.acc[...]
2003-10-31
[37]
논문
Wood, 2006a
[38]
서적
Foreign Policies of the Founding Fathers
Michigan State Univ. Press
1963
[39]
서적
Writings
Library of America
2001
[39]
서적
Madison Letters
1865
[40]
웹사이트
definition of ''Madison, James''
http://encyclopedia2[...]
Free Online Encyclopedia
2008-02-03
[41]
뉴스
U.S. historians pick top 10 presidential errors
http://www.ctv.ca/se[...]
Associated Press article in CTV
2006-02-18
[42]
논문
Stagg
1983
[43]
웹사이트
Tax Foundation
http://www.taxfounda[...]
[44]
서적
James Madison
Times Books
2002
[45]
서적
James Madison
Times Books
2002
[46]
서적
The Last of the Fathers: James Madison and the Republican Legacy
Cambridge Univ. Press
1989
[47]
서적
The Last of the Fathers: James Madison and the Republican Legacy
Cambridge Univ. Press
1989
[48]
웹사이트
the text of the memoranda
http://press-pubs.uc[...]
[49]
웹사이트
The Founding Fathers: A Brief Overview
http://www.archives.[...]
The U.S.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2008-02-12
[50]
웹사이트
Widowhood
http://www.montpelie[...]
Montpelier
2014-06-12
[51]
논문
Wills 2002
[52]
서적
Historical Stories: About Greenville and Bond County, IL
https://books.google[...]
2007-08-15
[53]
서적
The Encyclopedia of New York City
1995
[54]
웹사이트
The religion of James Madison
http://www.adherents[...]
2013-04-09
[55]
서적
이야기 미국사
청아출판사
2002-02-16
[56]
서적
The Presidents A Reference History
Charles Scribner's Sons
2002
[56]
서적
The Presidents A Reference History
[57]
서적
The Three Lives of James Madison: Genius, Partisan, President
Random House
2017
[58]
서적
James Madison
Times Books
2002
[59]
서적
이야기 미국사
청아출판사
2002-02-16
[60]
서적
한권으로 보는 미국사 100장면
가람기획
1995-11-27
[61]
서적
한권으로 보는 미국사 100장면
가람기획
1995-11-27
[62]
서적
있는 그대로의 미국사 1
휴머니스트
2005
[63]
서적
이야기 미국사
청아출판사
2002-02-16
[64]
서적
한권으로 보는 미국사 100장면
가람기획
1995-11-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