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3년 독일 국가의회 선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03년 독일 국가의회 선거는 독일 제국의 국가의회 의원을 선출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선거 결과, 독일 사회민주당이 31.7%의 득표율로 81석을 얻어 제1당이 되었고, 독일 중앙당이 19.8%의 득표율로 100석을 차지했다. 국민자유당은 13.9%의 득표율로 51석, 독일 보수당은 10.0%의 득표율로 54석을 얻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03년 선거 - 제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1902년 가쓰라 다로 내각 하에서 치러진 제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는 제한 선거를 통해 376명의 중의원 의원을 선출했으며, 입헌정우회가 제1당이 되어 가쓰라 다로를 총리로 하는 제1차 가쓰라 내각이 출범하는 계기가 되었다. - 1903년 선거 - 1903년 콘클라베
1903년 콘클라베는 레오 13세의 선종 후 62명의 추기경이 교황을 선출하기 위해 바티칸에서 열렸으며, 국무원장 마리아노 람폴라가 유력했지만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거부권 행사로 주세페 멜키오레 사르토 추기경이 비오 10세로 선출되었고, 이후 비오 10세는 콘클라베 거부권 행사를 금지했다.
1903년 독일 국가의회 선거 | |
---|---|
선거 개요 | |
국가 | 독일 제국 |
선거 유형 | 의회 선거 |
이전 선거 | 1898년 독일 연방 선거 |
이전 선거 연도 | 1898년 |
선거일 | 1903년 6월 16일 |
차기 선거 | 1907년 독일 연방 선거 |
차기 선거 연도 | 1907년 |
선출 의석 | 397석 |
과반 의석 | 199석 |
등록 유권자 | 12,531,248명 |
등록 유권자 증감 | 9.53% |
투표자 수 | 9,533,814명 |
투표율 | 76.08% |
투표율 증감 | 8.02pp |
지도 | |
![]() | |
주요 정당 1 | |
![]() | |
대표 | 프란츠 폰 발레스트렘 |
정당 | 독일 중앙당 |
대표 취임일 | 1890년 |
이전 선거 결과 | 18.76%, 102석 |
의석수 | 100석 |
의석수 증감 | 2석 |
득표수 | 1,875,292표 |
득표율 | 19.75% |
득표율 변동 | 0.99 pp |
주요 정당 2 | |
![]() | |
대표 | 파울 싱어 & 아우구스트 베벨 |
정당 | 독일 사회민주당 |
대표 취임일 | 1890년 3월 18일 & 1892년 11월 21일 |
이전 선거 결과 | 27.18%, 56석 |
의석수 | 81석 |
의석수 증감 | 25석 |
득표수 | 3,010,771표 |
득표율 | 31.71% |
득표율 변동 | 4.53 pp |
주요 정당 3 | |
![]() | |
대표 | 오토 폰 만토이펠 |
정당 | 독일 보수당 |
대표 취임일 | 1892년 |
이전 선거 결과 | 10.71%, 53석 |
의석수 | 52석 |
의석수 증감 | 1석 |
득표수 | 901,415표 |
득표율 | 9.49% |
득표율 변동 | 1.22 pp |
주요 정당 4 | |
![]() | |
대표 | 에른스트 바서만 |
정당 | 국민자유당 |
대표 취임일 | 1898년 |
이전 선거 결과 | 12.86%, 48석 |
의석수 | 50석 |
의석수 증감 | 2석 |
득표수 | 1,301,473표 |
득표율 | 13.71% |
득표율 변동 | 0.85 pp |
주요 정당 5 | |
![]() | |
대표 | 오이겐 리히터 |
정당 | 자유사상인민당 |
대표 취임일 | 1893년 5월 7일 |
이전 선거 결과 | 7.20%, 29석 |
의석수 | 21석 |
의석수 증감 | 8석 |
득표수 | 536,879표 |
득표율 | 5.65% |
득표율 변동 | 1.55 pp |
주요 정당 6 | |
정당 | 자유보수당 |
이전 선거 결과 | 4.35%, 22석 |
의석수 | 21석 |
의석수 증감 | 1석 |
득표수 | 336,617표 |
득표율 | 3.54% |
득표율 변동 | 0.81 pp |
국가의회 의장 | |
선거 전 의장 | 프란츠 폰 발레스트렘 |
선거 전 의장 소속 정당 | 독일 중앙당 |
선거 후 의장 | 프란츠 폰 발레스트렘 |
선거 후 의장 소속 정당 | 독일 중앙당 |
2. 주요 정당 및 정치 세력
1903년 독일 국가의회 선거에는 다양한 정당 및 정치 세력이 참여했다. 주요 정당 및 정치 세력은 다음과 같다.
정당 | 득표수 | 의석수 | 득표율 변화 | 의석수 변화 |
---|---|---|---|---|
사회민주당 | 3,010,771 | 81 | +4.53 | +25 |
중앙당 | 1,875,292 | 100 | +0.99 | -2 |
국민자유당 | 1,301,473 | 50 | +0.85 | +2 |
독일 보수당 | 901,415 | 52 | -1.22 | -1 |
자유주의 인민당 | 536,879 | 21 | -1.55 | -8 |
독일 제국당 | 336,617 | 21 | -0.81 | -1 |
자유주의 연합 | 233,229 | 8 | -0.06 | -4 |
무소속 폴란드 | 164,742 | 8 | -0.45 | 0 |
독일 농업동맹 | 145,025 | 5 | +0.20 | -1 |
독일 개혁당 | 138,344 | 6 | 신생 정당 | 신생 정당 |
알자스-로렌 정당 | 126,276 | 11 | -0.19 | 0 |
폴란드 인민당 | 104,246 | 5 | +1.00 | +5 |
독일-하노버당 | 100,538 | 7 | -0.30 | -2 |
독일 인민당 | 82,007 | 5 | -0.51 | -3 |
바이에른 농민동맹 | 65,815 | 2 | -1.00 | -2 |
독일 사회당 | 59,291 | 3 | 신생 정당 | 신생 정당 |
기타 농민 | 45,870 | 1 | +0.36 | 1 |
폴란드 국민당 | 44,175 | 1 | 신생 정당 | 신생 정당 |
기독교 사회당 | 40,744 | 2 | -0.20 | +1 |
폴란드 법원 정당 | 34,621 | 2 | -0.51 | -4 |
국민 사회 그룹 | 33,655 | 1 | 0.00 | +1 |
알자스 자유주의자 | 25,677 | 2 | +0.05 | +1 |
무소속 보수주의자 | 22,490 | 1 | +0.18 | -2 |
덴마크당 | 14,843 | 1 | -0.04 | 0 |
무소속 자유주의자 | 9,808 | 0 | -0.50 | -3 |
알자스 자유주의 그룹 | 9,166 | 1 | +0.07 | +1 |
중산층 정당 | 6,909 | 0 | +0.03 | 0 |
무소속 반유대주의자 | 6,474 | 0 | -0.23 | -2 |
리투아니아당 | 6,012 | 0 | -0.05 | -1 |
기타 보수주의자 | 674 | 0 | -0.05 | 0 |
기타 | 11,884 | 0 | -0.05 | 0 |
미상 | 625 | 0 | 0.00 | 0 |
주요 정당은 다음과 같다.
- 사회민주당: 마르크스주의를 이념으로 하는 정당으로, 노동자 계급의 권익 보호와 사회 개혁을 주장했다. 1903년 선거에서 가장 많은 의석을 차지하며 제1당으로 부상했다.
- 중앙당: 가톨릭 교회의 지지를 받는 정당으로, 종교적 가치와 사회적 안정을 중시했다.
- 국민자유당: 자유주의와 민족주의를 결합한 정당으로, 경제적 자유와 독일 민족의 통일을 주장했다.
- 독일 보수당: 보수주의 정당으로, 전통적인 사회 질서와 군주제를 옹호했다.
- 자유주의 인민당: 자유주의 정당으로,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강조했다.
이 외에도 다양한 군소 정당들이 존재했으며, 이들은 특정 지역이나 계층의 이익을 대변했다. 예를 들어 폴란드 인민당은 폴란드인의 권익을, 독일 농업동맹은 농민의 이익을 대변했다.
3. 선거 결과
1903년 독일 국가의회 선거 결과, 사회민주당은 31.7%의 득표율로 81석을 얻어 제1당이 되었다. 중앙당은 19.8%의 득표율로 100석을 얻어 제2당을 유지했으며, 국민자유당과 독일 보수당은 각각 13.9%(51석), 10%(54석)를 얻었다. 상세한 정당별 득표수, 득표율, 의석수는 다음과 같다.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의석수 | 의석수 증감 |
---|---|---|---|---|
사회민주당 | 3,010,800 | 31.7 | 81 | +25 |
중앙당 | 1,875,300 | 19.8 | 100 | -2 |
국민자유당 | 1,317,400 | 13.9 | 51 | +5 |
독일 보수당 | 948,500 | 10.0 | 54 | -2 |
자유사상인민당 | 538,200 | 5.7 | 21 | -8 |
폴란드인의 당 | 347,800 | 3.7 | 16 | +2 |
보수자유당 | 333,400 | 3.5 | 21 | -2 |
반유대주의 정당 | 248,500 | 2.6 | 11 | -2 |
자유사상연합 | 243,200 | 2.6 | 9 | -3 |
독일 농민동맹 | 118,800 | 1.3 | 4 | -2 |
바이에른 농민동맹 | 111,400 | 1.2 | 4 | -1 |
알자스-로렌당 | 101,900 | 1.1 | 9 | -1 |
독일-하노버당 | 94,300 | 1.0 | 6 | -3 |
독일 인민당 | 91,200 | 1.0 | 6 | -2 |
덴마크인의 당 | 15,000 | 0.2 | 1 | 0 |
기타 | 97,500 | 1.0 | 3 | -4 |
기권/무효 | 44,800 | - | - | - |
합계 | 9,533,800 | 100 | 397 | 0 |
등록 유권자 / 투표율 | 12,531,200 | 76.1 | - | - |
3. 1. 득표율 및 의석 점유율
1903년 독일 국가의회 선거의 득표율 및 의석 점유율은 다음과 같다.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의석수 | 의석수 증감 |
---|---|---|---|---|
사회민주당 | 3,010,800 | 31.7 | 81 | +25 |
중앙당 | 1,875,300 | 19.8 | 100 | -2 |
국민자유당 | 1,317,400 | 13.9 | 51 | +5 |
독일 보수당 | 948,500 | 10.0 | 54 | -2 |
자유사상인민당 | 538,200 | 5.7 | 21 | -8 |
폴란드인의 당 | 347,800 | 3.7 | 16 | +2 |
보수자유당 | 333,400 | 3.5 | 21 | -2 |
반유대주의 정당 | 248,500 | 2.6 | 11 | -2 |
자유사상연합 | 243,200 | 2.6 | 9 | -3 |
독일 농민동맹 | 118,800 | 1.3 | 4 | -2 |
바이에른 농민동맹 | 111,400 | 1.2 | 4 | -1 |
알자스-로렌당 | 101,900 | 1.1 | 9 | -1 |
독일-하노버당 | 94,300 | 1.0 | 6 | -3 |
독일 인민당 | 91,200 | 1.0 | 6 | -2 |
덴마크인의 당 | 15,000 | 0.2 | 1 | 0 |
기타 | 97,500 | 1.0 | 3 | -4 |
기권/무효 | 44,800 | - | - | - |
합계 | 9,533,800 | 100 | 397 | 0 |
등록 유권자 / 투표율 | 12,531,200 | 76.1 | - | - |
사회민주당은 31.7%의 득표율로 81석을 얻어 제1당이 되었다. 중앙당은 19.8%의 득표율로 100석을 얻어 제2당을 유지했으며, 국민자유당과 독일 보수당은 각각 13.9%(51석), 10%(54석)를 얻었다.
3. 2. 지역별 결과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변화 | 의석수 | 의석수 변화 |
---|---|---|---|---|
알자스-로렌 지역당 | 69,011 | -4.90 | 6 | 0 |
사회민주당 | 68,267 | +1.46 | 0 | -1 |
로렌 독립 보수당 | 44,884 | +4.68 | 4 | +1 |
알자스 자유주의자 | 25,677 | +1.71 | 2 | +1 |
중앙당 | 20,034 | 신규 | 0 | 신규 |
독립 보수당 | 12,060 | -1.62 | 0 | -1 |
독일 제국당 | 9,874 | -0.60 | 1 | 0 |
알자스 자유주의 그룹 | 9,166 | +2.32 | 1 | +1 |
알자스-로렌 시위자들 | 8,163 | +0.17 | 1 | 0 |
자유 연합 | 7,368 | +2.47 | 0 | 0 |
성직자들 | 4,218 | -4.68 | 0 | -1 |
국민자유당 | 1,417 | -3.06 | 0 | 0 |
독립 자유주의자 | 1,327 | -2.54 | 0 | 0 |
기타 | 947 | +0.02 | 0 | 0 |
무효표 | 5,501 | |||
총 의석수 | 15 | |||
유권자 수 | 372,327 |
참조
[1]
서적
Elections in Europe: A data handbook
2010
[2]
서적
[3]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