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21년 아일랜드 총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21년 아일랜드 총선은 1921년 아일랜드 정부법에 따라 남아일랜드와 북아일랜드에서 각각 치러졌다. 남아일랜드에서는 신 페인이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으나, 사실상 무투표로 진행되었다. 북아일랜드에서는 얼스터 연합주의자당이 다수당이 되었고, 신 페인과 국민주의자가 의석을 얻었다. 이 선거는 아일랜드 분단을 더욱 확고히 하였으며, 남아일랜드 의회는 아일랜드 자유국 수립과 함께 해산되었고, 북아일랜드 의회는 자치 정부의 입법부로 기능하게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일랜드의 선거 - 1918년 아일랜드 총선
    1918년 아일랜드 총선은 아일랜드 자치를 추구하는 신 페인이 압승을 거두고 아일랜드 정치 지형을 변화시켜 아일랜드 독립 전쟁 발발과 아일랜드 자유국 수립의 계기가 되었다.
  • 1921년 선거 - 1921년 이탈리아 총선
    1921년 이탈리아 총선은 제1차 세계 대전 직후 이탈리아 사회의 혼란기에 다양한 정당들이 참여한 선거로, 베니토 무솔리니의 파시스트 세력이 부상하는 계기가 되었으나, 자유주의 계열 정당은 과반수 확보에 실패하고 이탈리아 사회당의 의석수가 감소한 반면 이탈리아 민중당은 꾸준한 지지세를 유지했다.
  • 1921년 아일랜드 - 영국-아일랜드 조약
    영국-아일랜드 조약은 1921년 영국과 아일랜드 대표 간에 체결되어 아일랜드 독립 전쟁을 종식시키고 아일랜드 자유국 수립의 토대가 되었으나, 북아일랜드의 탈퇴 가능성과 영국 항구 통제권 유지, 그리고 조약 내용에 대한 이견으로 아일랜드 내 분열과 내전을 야기했으며, 이후 아일랜드는 점진적으로 완전한 독립을 이루었다.
1921년 아일랜드 총선
선거 정보
선거일1921년 5월 24일
이전 선거1918년 아일랜드 총선
이전 선거 연도1918년
차기 선거1922년 아일랜드 총선
차기 선거 연도1922년
국가남아일랜드
남아일랜드 하원 선거
선거명남아일랜드 하원
선출 의석하원 전체 128석
과반 의석65석
정당 대표에이먼 데 벌레라
득표율'무투표 당선'
의석수124석
정당 대표'없음'
득표율'무투표 당선'
의석수4석
북아일랜드 하원 선거
선거명북아일랜드 하원
선출 의석하원 전체 52석
과반 의석27석
차기 선거1925년 북아일랜드 총선
차기 선거 연도1925년 북아일랜드 총선
정당 대표제임스 크레이그
득표율66.9%
의석수40석
정당 대표에이먼 데 벌레라
득표율20.5%
의석수6석
정당 대표조지프 데블린
득표율11.8%
의석수6석
관련 정보
달 에런 의장에이먼 데 벌레라
선거 전에이먼 데 벌레라
선거 전 정당신페인
선거 후에이먼 데 벌레라
선거 후 정당신페인

2. 배경

1918년 영국 총선에서 영국 하원에 선출된 신 페인 의원들은 1919년 1월 21일 아일랜드 의회(Dáil Éireann)를 구성하고 영국으로부터의 독립을 선언했다.[1] 이 선언 이후 아일랜드 독립 전쟁이 발발하여 1921년 7월 휴전 협정이 맺어질 때까지 계속되었다.

1920년 11월, 영국 의회는 아일랜드 정부법 1920을 통과시켰다. 이 법은 아일랜드를 북아일랜드와 남아일랜드로 분할하여 각각 자치 의회를 갖도록 했다. 두 의회는 모두 직접 선출되는 하원과 간접 선출되는 상원으로 구성되며, 두 하원 모두 비례대표제인 단일 양도 투표 시스템으로 선출될 예정이었다.

하원에서 선거 날짜가 발표되자, 앤트림주 브로우시안 출신의 보수당 국회의원 윌리엄 데이비슨 경은 "신 페인을 지지하지 않는 후보는 사살될 텐데, 남 아일랜드에서 선거를 치르는 목적이 무엇인가?"라고 질문했다. 다른 의원들은 "어떻게 아는가?"라고 답했다.[1]

존 딜런과 T. P. O'Connor는 당시 상황에서 아일랜드 의회당이 남부 의회 의석을 놓고 신 페인과 경쟁해서는 안 된다는 데 동의했다.[2]아일랜드 의회당 국회의원 스티븐 귄, 현재 아일랜드 자치 연맹의 회원은 신 페인에 대항하는 연맹 후보를 내세울 것을 주장했다. 3월 초, 그는 남부 연합주의자 미들턴 자작과 오란모어 경과 만나 선거에 참여하고, 미들턴의 지도 아래 IRA의 폭력에 반대하는 공약을 내세우기 위해 자원을 모을 것을 요청했다. 미들턴은 이전에도 그의 연합주의 반분할 연맹이 자치 연맹에 합류해 달라는 요청을 거절한 것처럼, 이번 제안도 거절했다.[3]

3. 1921년 선거

1921년, 아일랜드 정부법에 따라 남아일랜드와 북아일랜드에서 각각 자치 의회 선거가 실시되었다. 이 법은 아일랜드를 두 개의 별개의 정치체로 분할하여 각각 자체적인 자치 의회를 갖도록 했다. 두 의회는 모두 직접 선출되는 하원과 간접 선출되는 상원으로 구성되며, 두 하원 모두 비례대표제인 단일 양도 투표 시스템으로 선출될 예정이었다.[2]

남아일랜드에서는 신 페인이 128석 중 124석을 무투표로 획득하는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더블린 대학교 (트리니티 칼리지) 출신 무소속 연합주의자 4명이 나머지 4석을 차지했다. 앤트림주 브로우시안 출신의 보수당 국회의원 윌리엄 데이비슨 경은 "신 페인을 지지하지 않는 후보는 사살될 텐데, 남아일랜드에서 선거를 치르는 목적이 무엇인가?"라고 질문하기도 했다.[1]

북아일랜드에서는 제임스 크레이그가 이끄는 얼스터 연합주의자당이 총 52석 중 40석을 확보하여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에이먼 데 벌레라가 이끄는 신 페인과 조지프 데블린이 이끄는 국민주의자는 각각 6석을 차지했다.

1921년 아일랜드 총선 결과
남아일랜드북아일랜드
신 페인124석 (96.9%)6석 (11.5%)
무소속 연합주의자4석 (3.1%)해당 없음
얼스터 연합주의자당해당 없음40석 (76.9%)
국민주의자해당 없음6석 (11.5%)
벨파스트 노동당해당 없음0석 (0.0%)
무소속해당 없음0석 (0.0%)


3. 1. 남아일랜드 선거

1920년 아일랜드 정부법에 따라 남아일랜드가 설치되면서 치러진 1921년 남아일랜드 의회 선거에서, 신 페인은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128석 중 124석을 신 페인이 무투표로 획득했고, 더블린 대학교 (트리니티 칼리지) 출신 무소속 연합주의자 4명이 나머지 4석을 차지했다.[4] 사실상 신 페인 외 다른 정당들은 선거에 거의 참여하지 않았다.

앤트림주 브로우시안 출신의 보수당 국회의원 윌리엄 데이비슨 경은 하원에서 "신 페인을 지지하지 않는 후보는 사살될 텐데, 남 아일랜드에서 선거를 치르는 목적이 무엇인가?"라고 질문하기도 했다.[1]

존 딜런과 T. P. O'Connor는 당시 상황에서 아일랜드 의회당이 남부 의회 의석을 놓고 신 페인과 경쟁해서는 안 된다는 데 동의했다.[2] 스티븐 귄은 신 페인에 대항하는 후보를 낼 것을 주장했지만, 미들턴 자작은 이 제안을 거절했다.[3]

도네갈 선거구에 유일하게 연합주의자 후보로 동도네갈에 출마했던 로버트 L. 무어 소령이 선정되었으나, 선거 직전에 후보직을 사퇴했다.[5][6][7]

1921년 남아일랜드 총선
360px
정당대표의석 수의석 점유율
신 페인에이먼 데 발레라12496.9
무소속 연합주의자43.1
합계128100


3. 2. 북아일랜드 선거

1920년 아일랜드 정부법에 따라 북아일랜드가 설치되면서 치러진 첫 북아일랜드 의회 선거에서, 제임스 크레이그가 이끄는 얼스터 연합주의자당이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총 52석 중 40석을 확보하여 76.9%의 의석 점유율을 기록했다.[1] 에이먼 데 벌레라가 이끄는 신 페인은 6석(11.5%)을, 조지프 데블린이 이끄는 국민주의자는 6석(11.5%)을 차지했다.[1] 벨파스트 노동당과 무소속 후보는 의석을 얻지 못했다.

정당의석수득표율
얼스터 연합주의자당4066.9%
신 페인620.5%
국민주의자611.8%
벨파스트 노동당00.6%
무소속00.2%
합계52100%



에이먼 데 벌레라, 마이클 콜린스 등 여러 유명 공화주의자들이 북아일랜드 의원으로 당선되었다. 그러나 민족주의자들에 대한 위협, 후보자 및 조직원 체포, 선거 자료 압수 등의 주장이 제기되었다.

4. 제2대 아일랜드 의회 (Second Dáil)

신 페인은 남아일랜드와 북아일랜드 선거에서 당선된 의원들을 모두 제2대 아일랜드 의회 의원으로 간주했다. 그러나 연합주의자와 민족당 의원들은 의회 참석을 거부했고, 실제로는 신 페인 의원들만으로 의회가 운영되었다.[10]

선거는 형식적으로 두 개의 별도 입법부를 위한 것이었지만, 아일랜드 공화주의자들은 선출된 모든 사람을 제2대 의회의 구성원으로 간주했다. 이 선거 이후 의회의 구성은 다음과 같았다.

제2대 의회 구성
정당대표획득 의석수의석 점유율
신 페인에먼 데 발레라13072.2%
얼스터 연합당제임스 크레이그4022.2%
민족당조 데블린63.3%
무소속 연합주의자(해당 없음)42.2%
합계180100%



그러나 실제로는 의회는 125명의 신 페인 의원으로 구성되었다.[10] 연합주의자와 민족당 의원들은 의회 참석 요청을 무시했고, 4명의 무소속 연합주의자들은 남부 아일랜드 하원으로 모여 한 번의 짧은 회의를 열었다.

5. 결과 및 영향

1921년 선거는 아일랜드 분단을 확고히 하는 결과를 낳았다. 남아일랜드 의회는 신페인이 압도적인 의석을 차지했으나, 앵글로-아일랜드 조약에 따라 1922년 아일랜드 자유국이 수립되면서 해산되었다. 남아일랜드 의회는 거의 활동하지 못하고 단 두 번만 공식적으로 회합했다.

북아일랜드에서는 얼스터 연합주의자당이 다수 의석을 차지하여 1973년까지 자치 정부의 입법부로 기능하는 북아일랜드 의회를 구성했다. 신페인과 국민주의자는 각각 6석을 얻었지만, 얼스터 연합주의자당의 주도권을 막기에는 역부족이었다.

1921년 아일랜드 총선 결과
지역정당의석 수비고
남아일랜드신페인124석아일랜드 자유국 수립으로 의회 해산
독립 연합주의자4석
북아일랜드얼스터 연합주의자당40석1973년까지 북아일랜드 의회 유지
신페인6석
국민주의자6석



이 선거는 아일랜드인들의 독립 의지를 보여주었지만, 동시에 분단의 아픔을 남긴 역사적 사건으로 평가될 수 있다.

참조

[1] 간행물 New Parliaments https://api.parliame[...] 1921-04-05
[2] 서적 Catholic Belfast and Nationalist Ireland in the Era of Joe Devlin, 1871-1934
[3] 논문 Stephen Gwynn and the failure of constitutional nationalism in Ireland https://core.ac.uk/d[...]
[4] 웹사이트 Dáil elections since 1918 http://www.ark.ac.uk[...] 2009-04-26
[5] 뉴스 The Evening Leader, Corning, NY, 22 April 1921, P2 http://fultonhistory[...] The Evening Leader, Corning, NY 1921-04-22
[6] 뉴스 The Sunday Oregonian. (Portland, Ore.) May 15, 1921, Section One, Image 3 http://oregonnews.uo[...] The Sunday Oregonian 1921-05-15
[7] 뉴스 New-York tribune., May 14, 1921, Page 2, Image 2, citing Associated Press http://chroniclingam[...] New-York tribune 1921-05-14
[8] 서적 The Irish Republic Farrar, Straus and Giroux 1965
[9] 서적 The Indivisible Island Victor Gollancz Ltd. 1957
[10]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